KR100951009B1 -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009B1
KR100951009B1 KR1020080022812A KR20080022812A KR100951009B1 KR 100951009 B1 KR100951009 B1 KR 100951009B1 KR 1020080022812 A KR1020080022812 A KR 1020080022812A KR 20080022812 A KR20080022812 A KR 20080022812A KR 100951009 B1 KR100951009 B1 KR 100951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sensor
node
detection signal
sink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095A (ko
Inventor
이호근
김규형
권기구
이은령
배장식
김광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9006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5/00Control of light, e.g. intensity, colour or phase
    • G05D25/02Control of light, e.g. intensity, colour or phas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04W16/20Network planning tools for indoor coverage or short range network deploy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점등 및 소등하는 조명 제어장치에 있어서, 일정 구역에서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인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싱크 노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대형 사무실 공간에서 일정 구역에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일정 구역 내에 구비되는 조명등을 자동으로 소등시켜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사람 퇴실 유무를 확인 후 전등을 오프 하는 방식에 비해서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막아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센서노드, 싱크노드, 조명, 구역, 절전, 무선

Description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사무실의 조명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절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화 사회에서 대형 빌딩 사무실 공간의 경우 단일 공간에 여러 개의 부서 또는 팀이 밀집되어 있고, 이러한 부서 또는 팀은 파티션(Partition)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사무실 공간은 파티션(20)에 의해 여러 개의 부서 또는 팀으로 구분된다. 이렇게 구분된 부서 또는 팀들은 일반적으로 일정 구역의 조명등(10)을 공동으로 이용하게 되고, 일정 구역 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조명등(10)은 하나의 조명등 스위치(2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이때 설치되는 파티션(20)은 높이를 높게 하여 구성원들 간의 구획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의 공석 유무를 쉽게 판단하기가 힘이 들었다. 따라서, 부서 또는 팀들이 동일한 일정 구역의 조명등(10)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 퇴근시 소등 유무를 판단하기가 힘들었고, 단일 조명등 스위치(30)에 의해 온/오프 제어를 받는 영역이 너무 크기 때문에 퇴실 때 전등을 소등할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 조명등은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점등되어 있어서 절전의 효과가 아주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정 시간 뒤에 사람이 일괄적으로 퇴실 유무를 확인하고 일일이 조명등을 소등해 주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일정 구역 내에 사람이 존재하고 있지 않을 경우 일정 구역에 구비된 다수 개의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소등해줌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무실의 구조 변경 또는 부서 배치 변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한 조명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는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점등 및 소등하는 조명 제어장치에 있어서, 일정 구역에서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인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 및 센서 노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싱크 노드를 구비한다.
특히, 인체 감지 신호에는 센서 노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포함되고, 싱크 노드는 일정시간 이외의 시간에 센서 노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식별코드를 기설정된 단말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싱크 노드는 기설정된 일정시간 동안에는 인체 감지 신호를 기초로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제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싱크노드는 일정구역 내의 모든 센서 노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조명등을 소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노드 및 싱크노드는 ID설정부를 구비하고, ID설정부의 ID설정값에 따라 센서노드 및 싱크노드가 그룹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ID설정값을 갖는 센서노드 및 싱크노드가 동일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ID설정부는 DIP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방법은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점등 및 소등하는 조명 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수 개의 센서 노드가 일정 구역에서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다수 개의 센서 노드가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싱크노드가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싱크노드가 상기 일정구역 내의 모든 센서노드로부터 입력받은 인체 감지 신호를 기초로 일정 구역의 인체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싱크노드가 상기 일정 구역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조명등을 소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싱크노드가 일정시간 이외의 시간에 센서노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센서노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기설정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노드 및 싱크노드에 동일한 ID설정값을 입력하여, 센서노드 및 싱 크노드를 동일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대형 사무실 공간에서 일정 구역에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일정 구역 내에 구비되는 조명등을 자동으로 소등시켜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사람 퇴실 유무를 확인 후 전등을 오프 하는 방식에 비해서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막아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설정한 일정시간 이외의 시간에 센서 노드로부터 싱크 노드에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침입을 감지한 센서 노드의 식별코드를 기설정된 단말로 전송해줌으로써 불법 침입을 방지하고 보안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무실의 구조 변경 또는 부서 배치 변경에 따라 능동적으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대형 사무실은 다수 개의 서브 구역(이하, '일정 구역'이라 칭함)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일정 구역은 파티션(20)에 의해 다수 개의 단위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구역(예컨대, 도 2에서는 4개 구역)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조명등은 각 일정 구역마다 설치된 조명등 스위치(30)에 의해 제어를 받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는 센서 노드(100) 및 싱크노드(2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노드(100)는 대형 사무실의 일정 구역 내에 다수 개가 설치된다. 도 2에서는 파티션(20)에 의해 분할 형성된 단위 구역마다 하나의 센서 노드(100)가 각각 설치된 것으로 도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구역의 면적, 주변 환경, 센서 노드(100)의 인체 감지 범위에 따라서 단위 구역 내 설치되는 센서 노드(100)의 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센서 노드(100)는 대형 사무실의 일정 구역에서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그리고, 센서 노드(100)는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조명등 스위치(30) 단에 연결된 싱크 노드(200)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센서 노드(100)는 해당 센서 노드가 설치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상기한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 싱크 노드(200)로 전송한다. 이에, 싱크 노드(200)는 인체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 노드(100)의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 편, 싱크 노드(200)는 센서 노드로부터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10)을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예컨대, 싱크 노드(200)는 일정구역 내의 모든 센서 노드(100)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조명등(10)을 소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센서 노드(100) 및 싱크 노드(200)는 초전력으로 유지 보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가 하드 리얼 타임(Hard Real Time)조건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긴 시간의 슬립모드(Sleep mode)를 지원하여 전원 소비가 작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센서 노드(100) 및 싱크 노드(20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센서 노드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싱크 노드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 노드(10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 노드(100)는 인체 감지부(110), ID 설정부(120), 제어부(130) 및 무선 통신부(140)를 구비한다.
인체 감지부(110)는 대형 사무실의 일정 구역에서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 인체 감지부(110)는 적외선 센서, 광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 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일정 구역 내에서 인체의 존재 유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ID 설정부(120)는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와 하나의 싱크 노드(200)가 그룹(Group)화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센서 노드(100) 내부와 후술되는 싱크 노드(200) 내부에 각각 구비된다. 즉, 일정 구역 내에 배치되는 센서 노드(100)의 ID(식별자)와 싱크 노드(200)의 ID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와 하나의 싱크 노드(200)를 그룹화해줄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싱크 노드(200)에 대응되는 센서 노드(100)의 개수를 1~n개 까지 추가 증설이 가능하고, 1~n개의 센서 노드(100)는 자신과 동일한 ID를 갖는 싱크 노드(200)로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전송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형 사무실 내에 설치된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가 동일한 RF 채널을 이용하여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싱크 노드(200)로 전송한다고 하더라도 싱크 노드(200)는 자신과 동일한 ID를 갖는 센서 노드(10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ID 설정부(120)는 DIP(Dual In-line Package) 스위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IP 스위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서 각종 설정을 위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스위치로 DIP형 IC의 형태를 띄고 있는 것으로, 각각의 비트마다 독립적으로 온/오프를 설정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와 싱크 노드(200)를 그룹화하기 위해 각각 고유 ID를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예컨대 5비트(bit) DIP 스위치가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싱크 노드(200)의 ID를 '00101'으로 설정한 뒤, 그룹화하고자하는 센서 노드(100)의 ID를 '00101' 를 설정하여 주면 손쉽게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와 하나의 싱크 노드(200)를 동일 그룹으로 그룹화해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와 하나의 싱크 노드(200)를 그룹화해주기 위한 복잡한 설정과정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쉽게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와 하나의 싱크 노드(200)를 동일 그룹화해줄 수가 있다. 이에, 사무실의 환경변화(예컨대, 사무실 구조 변경 또는 부서 배치 변경)에 따라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인체 감지부(110)에서 출력되는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통신부(140)에 인가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해당 센서 노드(100)가 설치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상기한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 무선 통신부(140)로 출력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30)는 해당 센서 노드가 설치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140)는 제어부(130)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무선 채널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싱크 노드(2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싱크 노드(20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싱크 노드(200)는 무선 통신부(210), ID 설정부(220), 제어부(230), LAN컨트롤러(240) 및 조명등 구동부(250)을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210)는 일정 구역 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로부터 전송되는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설정된 통신 알고리즘을 기초로 변환하여 제어부(230)에 인가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210)는 제어부(2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무선 채널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기설정된 단말(260, 예컨대, 보안 관리실의 메인 컴퓨터)로 전송한다.
ID 설정부(220)는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와 하나의 싱크 노드(200)가 그룹(Group)화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싱크 노드(200) 내부에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노드(100)의 ID(식별자)와 싱크 노드(200)의 ID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다수 개의 센서 노드(100)와 하나의 싱크 노드(200)를 그룹화해줄 수 있다.
제어부(230)는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인체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어부(230)는 일정 구역 내의 모든 센서 노드(100)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판단결과,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제어부(230)는 조명등 구동부(250)에 조명등 오프(OFF)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230)는 조명등 구동부(250)에 조명등 온(ON)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기설정된 일정시간(예컨대, 09:00~18:00) 동안에는 제어부(230)가 조명등 구동부(250)에 조명등 오프(OFF)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일반적인 업무시간 동안에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10)이 자주 온/오프되는 것을 방 지할 수가 있게 되고, 보다 안정적으로 일정 구역의 조명등(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조명등 구동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 스위치(30)를 온/오프하여 일정 구역 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조명등(10)을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여기서, 하나의 조명등 스위치(30)와 연결되어 있는 일정 구역(예컨대, 도 2에서는 4개 구역)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조명등(10)은 동일한 조명등 스위치(30)에 의해 제어를 받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230)는 기설정된 일정시간 이외의 시간에 센서 노드(100)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인체 감지 신호를 기설정된 단말(260)로 전송하여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기설정된 일정시간이 06:00~24:00로 설정된 경우, 06:00~24:00 이외의 시간에 제어부(230)에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싱크 노드(200)는 일정 구역 내에 불법 침입자가 있다고 판단하고, 입력받은 인체 감지 신호를 LAN(Local Area Network) 컨트롤러(240) 또는 무선 통신부(210)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260)에게 전송한다. 이때, 단말(260)로 전송되는 인체 감지 신호에는 칩입을 감지한 센서 노드(100)의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한 단말은 건물 내 보안 관리실의 메인 컴퓨터 또는 건물 경비원의 개인 단말이 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230)는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고, 전술한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LAN컨트롤러(240)는 제어부(230)와 연결되어 제어부(2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LAN 망을 통해 기설정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조명등 구동부(30)는 제어부(23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 스위치(30)를 온/오프 한다. 조명등 구동부(30)는 일반적인 릴레이(Relay)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센서 노드(100)는 대형 사무실의 일정 구역에서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한다(S10). 그리고, 센서 노드(100)는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조명등 스위치(30) 단에 연결된 싱크 노드(200)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한다(S20). 이에, 싱크 노드(200)는 센서 노드로부터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싱크 노드(200)가 일정구역 내의 센서 노드(100)로부터 입력받은 인체 감지 신호를 기초로 일정 구역 내에 인체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S30, S40). 예컨대, 싱크 노드(200)는 일정 구역 내의 모든 센서 노드(100)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판단결과,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싱크 노드(200)는 일정 구역 내에 구비되는 조명등(10)을 오프 시킨다(S5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조명등 스위치(30)와 연결되어 있는 일정 구역(예컨대, 도 2에서는 4개 구역)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조명등(10)은 동일한 조명등 스위치(30)에 의해 제어를 받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싱크 노드(200)는 센서 노드(100)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이 기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인 지를 판단한다(S60). 판단 결과, 기설정된 일정시간 이외의 시간에 센서 노드(100)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싱크 노드(200)는 인체 감지 신호를 기설정된 단말(260)로 전송한다(S70). 이때 단말(260)로 전송되는 감지 신호에는 칩입을 감지한 센서 노드(100)의 설치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포함된다. 이에 단말(260)은 인체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칩입을 감지한 센서 노드(100)의 위치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무실 보안을 담당하는 자는 단말(260)을 통해 칩입자의 현재 위치를 조속히 파악하여 보안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80). 이를 위해 단말(260)에는 상기한 설치 위치 식별코드를 통해 센서 노드(100) 각각의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하는 대형 사무실 공간에서 조명등의 절전을 위해서 위한 것이다. 동일한 조명등 스위치에 의해서 온/오프 제어를 받는 조명 시설이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분산되어 구성된 대형 사무실 공간에서 일정 구역에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일정 구역 내에 인체가 존체 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즉, 일정 구역이 전부 공석으로 판단될 경우 일정 구역 내에 구비되는 조명등을 자동으로 소등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대형 사무실의 일반적인 조명등 배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센서 노드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싱크 노드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0)

  1.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점등 및 소등하는 조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정 구역에서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인체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노드; 및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상기 인체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상기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싱크 노드를 구비하고,
    상기 인체 감지 신호에는 상기 센서 노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싱크 노드는 일정시간 이외의 시간에 상기 센서 노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식별코드를 기설정된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싱크 노드는 기설정된 일정시간 동안에는 상기 인체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제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싱크노드는 상기 일정구역 내의 모든 센서 노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조명등을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 및 상기 싱크노드는 ID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ID설정부의 ID설정값에 따라 상기 센서노드 및 상기 싱크노드가 그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동일한 ID설정값을 갖는 센서노드 및 싱크노드가 동일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ID설정부는 DIP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
  8. 일정 구역 내의 조명등을 점등 및 소등하는 조명 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수 개의 센서 노드가 상기 일정 구역에서 인체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다수 개의 센서 노드가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싱크노드가 상기 인체 존재 유무에 따른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싱크노드가 상기 일정구역 내의 모든 센서노드로부터 입력받은 인체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일정 구역의 인체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싱크노드가 상기 일정 구역에 인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명등을 소등하는 단계; 및
    상기 싱크노드가 일정시간 이외의 시간에 상기 센서노드로부터 인체 감지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센서노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기설정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 및 상기 싱크노드에 동일한 ID설정값을 입력하여, 상기 센서 노드 및 상기 싱크노드를 동일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방법.
KR1020080022812A 2007-12-21 2008-03-12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및 방법 KR100951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182 2007-12-21
KR20070135182 2007-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095A KR20090068095A (ko) 2009-06-25
KR100951009B1 true KR100951009B1 (ko) 2010-04-02

Family

ID=4099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812A KR100951009B1 (ko) 2007-12-21 2008-03-12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313B1 (ko) * 2009-11-30 2017-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KR101246671B1 (ko) * 2010-09-08 2013-03-25 전자부품연구원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 조명시스템 및 조명제어방법
KR101347824B1 (ko) * 2011-03-15 2014-01-08 (주) 한일디엔에스 조명 제어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205048205U (zh) * 2015-06-16 2016-02-24 赵依军 内置天线的led球泡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112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
KR20070081901A (ko) * 2006-02-14 2007-08-20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용 절전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112A (ko) * 2005-12-08 2007-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센서 네트워킹 방법
KR20070081901A (ko) * 2006-02-14 2007-08-20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용 절전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095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43B1 (ko)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스위치장치를 이용한 조명과 보안 제어시스템
US20160139576A1 (en) Occupancy based demand controlled utility system
JP533532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3005044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100951009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및 방법
GB2507549A (en)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associated with a property based on mobile device location
JP2014003600A (ja) 電力線通信システム
US11602030B2 (en) Luminaire with power failure detection
JP3747582B2 (ja) 照明装置
KR20150095226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
JP3991535B2 (ja) 照明装置
KR20130143265A (ko)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US20200314986A1 (en) Lighting control
KR102015010B1 (ko) 조명그룹의 이상 감지 시스템
KR20150068052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1327410B1 (ko) 다기능 재실 감지 장치
CN109891334B (zh) 控制建筑物区域中的环境的控制器、方法、介质
JP4752446B2 (ja) 照明制御用センサ
JP7330547B2 (ja) リモコン通信を用いた節電制御システム
JP5943793B2 (ja) 照明制御装置
JP7167787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609364B1 (ko) 에너지 절감을 목적으로 한 건축물에 적용하는 pc 상태를 이용한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3852A (ko)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9004244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637564B1 (ko)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