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313B1 -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313B1
KR101695313B1 KR1020090117187A KR20090117187A KR101695313B1 KR 101695313 B1 KR101695313 B1 KR 101695313B1 KR 1020090117187 A KR1020090117187 A KR 1020090117187A KR 20090117187 A KR20090117187 A KR 20090117187A KR 101695313 B1 KR101695313 B1 KR 10169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ensor
sensor node
sensing result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568A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3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은 센싱 범위 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센싱 결과가 언센싱(unsensing) 상태이면 송신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송신기를 통해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송신기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OPERATING METHOD OF SENSOR NODE AND OPERATING METHOD OF SENSOR NETWOR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되면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는 사물 및 환경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구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센서 네트워크는 자동차 주차 관리, 사무실 조명 제어 등과 같이 일상 생활과 밀접한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상 생활의 편익 도모를 위하여,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소모가 감소된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단 거리의 라우팅 경로를 선택하는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은, 센싱 범위 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 결과가 언센싱(unsensing) 상태이면, 송신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신기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센싱 범위 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는, 움직임이 센싱될 때, 상기 센싱 결과를 센싱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 움직임이 센싱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센싱 결과를 언센싱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센싱 결과가 변할 때, 상기 송신기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한 후에, 상기 센싱 결과에 관계 없이 상기 송신기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방송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송신기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방송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상기 센싱 결과가 센싱 상태로부터 언센싱 상태로 변할 때, 상기 송신기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 범위 내의 센서 노드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센서 노드들 중 제어 노드와의 거리값이 가장 작은 센서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센서 노드로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 노드들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의 센싱 결과들을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집된 센싱 결과들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의 조명들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결과들을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 중 미리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 중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센서 노드의 송신기는 활성화되고, 센싱 결과를 비전송하는 센서 노드의 송신기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센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 중 센싱 결과가 변하는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로서, 상기 센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 중 언센싱 상태를 감지한 센서 노드로부터 센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로부터 센싱 결과들이 수신된 후,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의 센싱 결과들을 재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재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의 센싱 결과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센싱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수신하는 단계 및 재수신하는 단계들을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시지를 송신하는 센서 노드의 송신기는 활성화되고, 나머지 센서 노드들의 송신기는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센서 노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노드와 최단 거리를 갖는 센서 노드를 통해 라우팅 경로가 설정된다. 따라서, 최단 거리의 라우팅 경로가 선택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유사한 구성 요소들은 유사한 참조 번호들을 이용하여 인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노드(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 노드(100)는 프로세서(110), 통신기(120), 센서(130), 그리고 조명(14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센서 노드(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10)는 센서 노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software)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응용(111) 및 운영체제(113, OS, 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응용(111)은 프로세서(110), 통신기(120), 센서(130), 그리고 조명(140)과 같은 센서 노드(100)의 자원들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응용(111)은 프로세서(110)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한다. 응용(111)은 통신기(120)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예를 들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응용(111)은 센서(130)를 이용하여 센싱 범위 내의 목표를 센싱한다. 예를 들면, 응용(111)은 센서(130)를 이용하여 움직임, 밝기, 압력, 중력, 온도 등을 센싱한다. 응용(111)은 조명(140)을 턴-온 또는 턴-오프 한다. 예를 들면, 응용(111)은 통신기(120)를 통한 통신 결과에 따라, 조명(140)을 턴-온 또는 턴-오프 한다.
운영체제(113)는 센서 노드(100)의 하드웨어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 통신기(120), 센서(130), 그리고 조명(140)을 제어한다. 운영체제(113)는 프로세서(110), 통신기(120), 센서(130), 그리고 조명(140)과 같은 센서 노드(100)의 자원들이 응용(111)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예시적으로, 운영체제(113)는 TinyOS, MANTIS, PEEROS, T-Engine, NanoQplus 중 하나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운영체제(113)는 통신 스택을 포함한다. 통신 스택은 MAC (media access control) 계층 및 라우팅(routing) 계층을 포함한다. MAC 계층은 센서 노드들 사이의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라우팅 계층은 멀티 홉(multi ho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라우팅 수단을 제공한다.
통신기(120)는 센서 노드(100)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통신기(120)는 유선 통신 수단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통신기(120)는 애드 혹(Ad hoc)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통신기(120)는 IEEE 802.15.4 기반의 통신 수단(예를 들면, ZigBee)을 제공한다. 통신기(120)는 송신기(121) 및 수신기(123)를 포함한다.
센서(130)는 센싱 범위 내의 대상을 센싱한다. 예를 들면, 센서(130)는 대상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동작 센서, 대상의 밝기를 센싱하는 밝기 센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 중력의 방향을 센싱하는 중력 센서, 그리고 대상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조명(140)은 광원(light source)으로 동작한다.
예시적으로, 센서 노드(100)는 센싱 범위 내의 센싱 결과를 통신기(120)를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통신기(120)를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센서 노드(120)는 조명(140)을 제어한다.
예시적으로, 통신기(120)는 무선 통신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센 서(130)는 대상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센서 노드(100)는 센싱 범위 내의 대상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센서 노드(100)는 조명(140)을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센서 노드(100)의 통신기(120)는 무선 통신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센서 노드(100)의 센서(130)는 대상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 노드(100)는 조명(140)을 제어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센서 노드(100)의 구성 요소로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때, 센서 노드(10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것이다. 센서 노드(100)의 구성 요소로서 음원 장치가 제공될 때, 센서 노드(100)는 음원 장치를 제어할 것이다. 즉, 조명(140)은 센서 노드(100)가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어하는 장치의 실시 예들 중 하나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센서 노드(100)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네트워크는 센서 노드 그룹(200), 제어 노드(300), 그리고 스위치(400)를 포함한다.
센서 노드 그룹(200)은 복수의 센서 노드들(100)을 포함한다. 센서 노드 그룹(200)에서, 각각의 센서 노드(100) 내부의 참조 번호는 해당 센서 노드(100)의 주소를 나타낸다. 센서 노드 그룹(200)에서, 센서 노드들(1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센서 노드들(1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센싱 결과를 수신한다.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어 노드(300)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센서 노드들(100)로 전송된다. 예시적으로, 센서(130) 및 조명(140)이 제공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제어 노드(3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센서 노드(100)와 동일하게 구성될 것이다. 제어 노드(300)에서 구동되는 운영체제는 센서 노드(100)에서 구동되는 운영체제(113)와 동일할 것이다. 제어 노드(300)에서 구동되는 응용은 센서 노드(100)에서 구동되는 응용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노드(300)에서 구동되는 응용은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 노드(300)는 스위치(400)와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스위치(400)는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의 조명들(1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스위치(400)로부터 턴-온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 노드(300)는 턴-온 메시지를 센서 노드들(100)에 전송한다. 스위치(400)로부터 턴-오프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 노드(300)는 턴-오프 메시지를 센서 노드들(100)에 전송한다. 즉, 센서 노드들(100)의 센싱 결과에 관계없이, 센서 노드들(100)의 조명들(140)은 스위치(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치(400)에 의해 센서 노드들(100)의 조명들(140)이 턴-온 되면, 센서 노드들(100)는 센서들(130)을 각각 활성화한다.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센서들(130)에 의한 센싱 결과들은 통신기들(120)을 통해 제어 노드(300)로 각각 전송된다. 예를 들면, 특정 센서(130)에 의한 센싱 결과가 센싱 상태(sensing status) 및 언센싱 상태(unsensing status) 사이에서 변화할 때, 특정 센서(130)에 의한 센싱 결과가 대응하는 통신기(120)의 송신기(121)를 통해 전송된다. 예를 들면, 특정 센서(130)에 의한 센싱 결과가 센싱 상태(sensing status) 및 언센싱 상태(unsensing status) 사이에서 첫 번째로 변화할 때, 특정 센서(130)에 의한 센싱 결과가 대응하는 통신기(120)의 송신기(121)를 통해 전송된다.
센서 노드들(100) 중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노드의 송신기(121)는 활성화된다. 반면, 센서 노드들(100) 중 센싱 결과를 전송하지 않는 노드의 송신기(121)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센서 노드들(100)의 송신기들(121)에 의한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제어 노드(300)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메시지는 제어 노드(300)로부터 센서 노드들(100)로 전송된다. 수신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센서 노드들(100)은 조명(140)을 턴-오프 한다. 따라서,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센서 노드들(100)의 조명(140)이 턴-오프 된다. 즉, 센싱 범위 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조명(140)이 턴-오프 된다.
센서 노드들(100)의 동작 및 제어 노드(300)의 동작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은 도 2의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100)가 센싱 결과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감지 변수(F) 및 시간 변수(T)가 정의된다. 감지 변수(F) 및 시간 변수(T)는 센서 노드(100)에 의해 설정 및 유지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감지변수(F)의 값은 1로 설정되 고, 시간변수(T)의 값은 1로 설정된다. 예시적으로, 조명(140)을 턴-온한 후에, 센서 노드(100)는 감지변수(F) 및 시간변수(T)의 값을 각각 초기값인 1로 설정한다. 이후에, 1의 값을 갖는 감지 변수(F)는 센싱 상태를 나타내며, 0의 값을 갖는 감지변수(F)는 언센싱 상태를 나타낸다.
S120 단계에서, 센싱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별된다. 움직임이 감지되면, S130 단계에서, 감지변수(F)의 값은 1, 즉 센싱 상태로 설정되고, 시간변수(T)의 값은 1로 초기화된다. 이후에 S170 단계가 수행된다.
S120 단계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S140 단계가 수행된다. S140 단계에서, 시간변수(T)의 값이 1만큼 증가한다. S150 단계에서, 시간변수(T)의 값이 기준시간(Tref)과 비교된다. 시간변수(T)의 값이 기준시간(Tref) 보다 크거나 같으면, S160 단계가 수행된다. 시간변수(T)의 값이 기준시간(Tref) 보다 작으면, S170 단계가 수행된다.
S160 단계에서, 감지변수(F)의 값은 0, 즉 언센싱 상태로 설정된다. 이후에 S170 단계가 수행된다.
S170 단계에서,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별된다.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면, 센서 노드(100)의 센싱 결과 처리 동작은 종료된다.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S120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140)이 턴-온 된 후에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 변수(F)는 센싱 상태를 유지하며, 시간 변수(T)는 초기화된다(S130 단계). 마지막 움직임이 감지된 후에 추가적인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시간 변수(T)는 카운트-업 된다(S140 단계). 시간 변수(T)의 값이 기준 시간(Tref)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적인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감지 변수(F)는 언센싱 상태로 설정된다(S160 단계). 이후에, 다시 움직임이 감지되면, 감지 변수(F)는 센싱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시간 변수(T)는 초기화된다(S130 단계). 이 동작들은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반복된다.
요약하면, 센싱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될 때, 센싱 결과(즉, 감지 변수(F))는 센싱 상태로 설정된다. 마지막 움직임이 감지된 후 기준 시간(Tref) 동안 추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센싱 결과는 언센싱 상태로 설정된다. 예시적으로, 기준 시간(Tref)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센서 노드(100)가 도 3의 감지 변수(F)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감지 변수(F)의 값이 변화하는지 판별한다. 예를 들면, 조명(140)이 턴-온 된 후에, 센서 노드(100)는 감지 변수(F)의 값이 변화하는지 판별한다. 감지 변수(F)의 값이 변화하지 않았으면, S250 단계가 수행된다. 감지 변수(F)의 값이 변화하면, S220 단계 내지 S240 단계들이 수행된다.
S22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송신기(121)를 활성화한다. S23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활성화된 송신기(121)를 통해, 감지 변수(F)의 값을 전송한다. S24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송신기(121)를 비활성화한다. 이후에, S250 단계가 수행된다.
S25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판별한다. 예를 들면, 조명끔 메시지는 제어 노드(300)로부터 통신기(120)의 수신기(123)를 통해 수신된다.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센서 노드(100)는 S21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S26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조명(140)을 턴-오프 한다.
요약하면, 감지 변수(F)의 값이 변할 때, 즉, 센싱 결과가 센싱 상태 및 언센싱 상태 사이에서 변할 때, 센서 노드(100)는 송신기(121)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송신기를 통해 센싱 결과를 전송하고, 그리고 송신기를 비활성화한다. 즉, 센싱 상태의 변화라는 조건이 충족될 때, 센서 노드(100)는 송신기(121)를 활성화하고,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 따라서, 송신기(121)에 의한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도 5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센서 노드(100)의 동작 방법에 대응하는 제어 노드(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감지 변수(F), 즉 센싱 결과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감지 변수들(F), 즉 센싱 결과들을 각각 수신한다.
S32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수신된 감지 변수들(F)의 값들이 모두 0인지 판별한다. 즉,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수집된 센싱 결과들이 모두 언센싱 상태들을 나타내는지 판별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센서 노드들(100) 각각은 센싱 상태가 변화할 때에 감지 변수(F), 즉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 따라서,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수신된 감지 변수 들(F)의 값들이 모두 0이면,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다. 즉,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수집된 센싱 결과들이 모두 언센싱 상태를 나타내면,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다.
따라서, S33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조명끔 메시지를 송신한다. 조명끔 메시지는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로 전송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면,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은 조명(140)을 턴-오프 한다.
감지 변수들(F)의 값이 0이 아니면, S31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감지 변수(F)의 값의 수신을 지속한다. 즉, 센서 노드들(100)의 센싱 상태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센싱 상태를 나타내면, 제어 노드(300)는 센싱 결과의 수신을 지속한다. 그리고,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에 의한 조명(140) 공급도 지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노드(100)의 송신기(121)는 센싱 결과가 변화할 때 활성화된다. 송신기(121)가 활성화되는 시간이 감소하므로, 센서 노드(100)의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또한,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은 수신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조명들(140)을 턴-오프 한다. 따라서,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 움직임(예를 들면,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 불필요한 조명이 제공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예를 들면, 사람)이 감지될 때,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 모두로부터 조명들(140)이 제공된다. 따라서, 센서 노드 그룹 내의 대상(예를 들면, 사람)에게 충분한 양의 조명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센서 노드(100)가 도 3의 감지 변수(F)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서, 전송 변수(X)가 정의된다. 전송 변수(X)는 센서 노드(100)에 의해 설정 및 유지된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S41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전송 변수(X)의 값을 1로 설정한다. 즉, 전송 변수(X)의 값은 1로 초기화된다. 이후에, 1의 값을 갖는 전송 변수(X)는, 센서 노드(100)가 센싱 결과를 전송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0의 값을 갖는 전송 변수(X)는, 센서 노드(100)가 센싱 결과를 전송하였음을 나타낸다.
S42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감지 변수(F)의 값이 변화하는지 판별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센싱 범위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될 때, 감지 변수(F)는 센싱 상태로 설정된다. 마지막 움직임이 감지된 후 기준 시간(Tref) 동안 추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감지 변수(F)는 언센싱 상태로 설정된다. 감지 변수(F)가 변화하지 않으면, S450 단계가 수행된다. 감지 변수(F)가 변화하면, S430 단계가 수행된다.
S430 단계에서, 전송 변수(X)의 값이 1인지 판별된다. 즉, 센싱 결과(즉, 감지 변수(F))가 전송되었는지 판별된다. 전송 변수(X)의 값이 1이면, 즉 센싱 결과 가 전송되었으면, S450 단계가 수행된다. 전송 변수(X)의 값이 0이면, 즉 센싱 결과가 전송되지 않았으면, S440 단계가 수행된다.
S44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감지 변수(F)의 값, 즉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 그리고, 센서 노드(100)는 전송 변수(X)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 즉, 센싱 결과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전송 변수(X)의 값이 설정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감지 변수(F)의 값, 즉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동작은, 송신기(121)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송신기(121)를 통해 감지 변수(F)의 값을 전송하고, 그리고 송신기(121)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후에, S450 단계가 수행된다.
S45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별한다. 예시적으로, 방송 메시지는 제어 노드(300)로부터 통신기(120)의 수신기(123)를 통해 수신된다.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S420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면, S460 단계가 수행된다.
S46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감지 변수(F)의 값, 즉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 감지 변수(F)의 값, 즉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동작은, 송신기(121)를 활성화하고, 센싱 결과를 전송하고, 그리고 송신기(121)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그리고, 센서 노드(100)는 전송 변수(X)의 값을 1로 설정한다. 즉, 센싱 결과가 전송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도록, 전송 변수(X)가 설정된다. 이후에, S470 단계가 수행된다.
S47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별한다. 예 시적으로, 조명끔 메시지는 제어 노드(300)로부터 통신기(120)의 수신기(123)를 통해 수신된다.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면, S48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조명(140)을 턴-오프 한다.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S420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센서 노드들(100)의 조명들(140)이 턴-온 되면, 센서 노드들(100) 각각은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감지 변수(F)를 설정한다. 그리고, 감지 변수(F)의 값, 즉 센싱 결과가 변화하는지에 기반하여, 센서 노드들(100) 각각은 감지 변수(F)의 값, 즉 센싱 결과를 송신한다.
감지 변수(F)의 초기값은 센싱 상태이다. 따라서, 센서 노드들(100) 중 감지 변수(F)의 값이 언센싱 상태로 변화하는 센서 노드(100)는 감지 변수(F)의 값, 즉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 그리고, 해당 센서 노드(100)의 전송 변수(X)의 값은 0으로 설정된다(S440 단계).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감지 변수(F)의 값이 변화해도 감지 변수(F)의 값은 전송되지 않는다(S430 단계). 즉,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센서 노드(100)는 최초로 언센싱 상태가 감지될 때에만,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면, 센서 노드(100)는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 그리고, 전송 변수(X)의 값을 1로 설정한다(S460 단계). 즉,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고 조명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센서 노드(100)는 최초로 언센싱 상태가 감지될 때에만,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 전송 변수(X)의 값이 1로 설정되면, 센서 노드(100)는 감지 변수(F)의 값의 변화에 기반하여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S420 단계). 즉, 방송 메시지 수신 후에 최초로 언센싱 상태가 감지되는 조건은, 방송 메시지 수신 후에 센싱 결과가 언센싱 상태로부터 센싱 상태로 그리고 센싱 상태로부터 언센싱 상태로 변화하는 조건을 포함한다.
요약하면, 센서 노드(100)의 조명이 턴-온 된 후에, 또는 방송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최초로 언센싱 상태가 감지될 때, 센서 노드(100)는 센싱 결과를 전송한다.
도 7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센서 노드(100)의 동작 방법에 대응하는 제어 노드(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S51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감지 변수들(F)의 값들을 수신한다. 예시적으로,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감지 변수들(F)의 값들, 즉 센싱 결과들을 수신한다.
S52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수신된 감지 변수들(F)의 값들이 0인지, 즉 언센싱 상태들인지 판별한다. 예시적으로,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수신된 모든 감지 변수들의 값들이 0인지, 즉 모든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언센싱 상태가 수신되는지 판별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센서 노드들(100) 각각은 최초로 언센싱 상태가 감지될 때 감지 변수(F)의 값을 전송한다. 따라서, 모든 감지 변수들(F)의 값들이 0이 아니면,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별된다. 따라서, S51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감지 변수들(F)의 값들의 수신을 지속한다.
감지 변수들(F)의 값들이 0이면, 센서 노드 그룹(200) 내의 모든 센서 노드들(100)에서 적어도 한 번씩은 언센싱 상태가 감지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때, S53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방송 메시지를 송신한다. 방송 메시지는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에 전달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면, 센서 노드들(100)은 감지 변수(F)의 값들을 제어 노드(300)에 전송한다. S54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감지 변수들(F)의 값들을 수신한다.
S55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센서 노드들(100)로부터 수신된 감지 변수들(F)의 값들이 0인지 판별한다. 즉, 센서 노드들(100) 중 언센싱 상태를 감지한 후에 다시 센싱 상태를 감지한 센서 노드가 존재하는지 판별된다. 방송 메시지에 따라 수신되는 감지 변수들(F) 중 센싱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 존재하면,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S51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감지 변수들(F)의 값들의 수신을 지속한다.
방송 메시지에 따라 수신되는 감지 변수들(F) 중 센싱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S560 단계에서, 제어 노드(300)는 조명끝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140)이 턴-온 된 후에 또는 방송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언센싱 상태가 최초로 감지될 때, 센서 노드(100)의 송신기(121)가 활성화된다. 송신기(121)가 활성화되는 시간이 감소하므로, 센서 노드(100)의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
또한,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은 수신되는 메시지에 기반하여 조명들(140)을 턴-오프 한다. 따라서,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 움직임(예를 들면,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 불필요한 조명이 제공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센서 노드 그룹(200)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예를 들면, 사람)이 감지될 때,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100) 모두로부터 조명들(140)이 제공된다. 따라서, 센서 노드 그룹 내의 대상(예를 들면, 사람)에게 충분한 양의 조명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들(100)이 제어 노드(300)와 통신하는 최단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각 센서 노드(100)의 주소가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각 센서 노드(100)는 통신 범위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센서 노드들(100) 각각의 통신 범위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예시적으로, 주소 21인 센서 노드(100)의 통신 범위(A), 주소 17인 센서 노드(100)의 통신 범위(B), 주소 13인 센서 노드(100)의 통신 범위(C), 주소 14인 센서 노드(100)의 통신 범위(D), 그리고 주소 15인 센서 노드(100)의 통신 범위(E)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 21인 센서 노드(100)의 통신 범위(A) 내에 제어 노드(300)는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주소 17, 주소 13, 그리고 주소 14인 센서 노드들(100)의 통신 범위들(B, C, D) 내에 제어 노드(300)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어 노드(300)와 통신하기 위하여, 주소 21, 주소 17, 주소 13, 그리고 주소 14인 센서 노드들(100)은 다른 센서 노드들(100)을 경유한다. 즉, 센서 노드들(100)은 멀티 홉(multi hop)을 통해 제어 노드(300)와 통신한다.
주소를 나타내는 참조 번호에 더하여, 추가적인 참조 번호가 각 센서 노드들(100)에 기재되어 있다. 추가적인 참조 번호는 센서 노드들(100) 각각의 제어 노드(300)에 대한 거리값을 나타낸다. 센서 노드(100) 및 제어 노드(3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거리값은 낮은 수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주소 10, 주소 15, 그리고 주소 20인 센서 노드들(100)의 거리값은 1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주소 5, 주소 9, 주소 14, 주소 19, 그리고 주소 25인 센서 노드들(100)의 거리값은 2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센서 노드들(100)은 1 내지 6의 거리값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센서 노드(100)에 설정되어 있는 거리값에 기반하여, 센서 노드들(100)은 제어 노드와 통신하는 최단 경로, 즉 최단 라우팅(routing) 경로를 선택한다.
도 9는 도 8의 센서 노드들(100)이 라우팅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S61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통신 범위 내의 센서 노드를 검출한다. 예시적으로, 주소 21인 센서 노드(100)는 주소 16, 주소 17, 그리고 주소 22인 센서 노드들(100)을 검출한다.
S620 단계에서, 센서 노드(520)는 검출된 센서 노드들(100) 중 거리값이 가장 낮은 노드를 선택한다. 예시적으로, 주소 21인 센서 노드(100)에 의해 검출된 노드들 중 주소 17인 센서 노드(100)의 거리값이 4로 가장 낮다. 따라서, 주소 17 인 센서 노드(100)가 선택된다.
S630 단계에서, 센서 노드(100)는 선택된 노드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즉, 주소 21인 센서 노드(100)는 주소 17인 센서 노드(10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센서 노드(100)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 송신기(121)를 활성화한다.
주소 17인 센서 노드(100)의 통신 범위 내의 센서 노드들(100) 중 주소 13 및 주소 18인 센서 노드(100)의 거리값이 3으로 가장 낮다. 예시적으로, 주소 13인 센서 노드(100)가 선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주소 17인 센서 노드(100)는 주소 21인 센서 노드(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주소 13인 센서 노드(100)로 전송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센서 노드(100)는 메시지를 전송할 때 송신기(121)를 활성화한다.
마찬가지로, 주소 13인 센서 노드(100)에 의해 주소 14인 센서 노드(100)가 선택된다. 그리고, 주소 14인 센서 노드(100)에 의해 주소 15인 센서 노드(100)가 선택된다. 주소 15인 센서 노드(100)의 통신 범위 내에 제어 노드(300)가 존재한다. 즉, 주소 21인 센서 노드(100)가 전송한 메시지는 주소 17, 주소 13, 주소 14, 그리고 주소 15인 센서 노드들(100)을 통해 제어 노드(300)에 전달된다.
예시적으로, 특정 센서 노드(100)로부터 제어 노드(300)로의 라우팅 경로가 검출되면, 검출된 라우팅 경로는 센서 노드들(1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소 17인 센서 노드(100)는, 주소 21인 센서 노드(1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의 경로를 주소 13인 센서 노드(100)로 저장할 것이다. 이후에, 특정 센서 노드(100) 는 라우팅 경로를 검출하는 동작을 생략하고, 저장되어 있는 라우팅 경로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 및 도 8의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센서 노드 그룹(200)은 제 1 내지 제 4 서브 그룹들(200a~200d)로 분할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서브 그룹들(200a~200d)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4 제어 노드들(300a~300d)이 제공된다. 즉, 센서 노드 그룹(200)의 센서 노드들이 서브 그룹 단위로 제어된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 그룹(200a)에서 움직임이 감지되고 제 2 내지 제 4 서브 그룹들(200b~200d)에서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 1 서브 그룹(200a)에 대응하는 센서 노드들의 조명들은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 2 내지 제 4 서브 그룹들(200b~200d)에 대응하는 센서 노드들의 조명들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와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노드(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가 센싱 결과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센서 노드가 도 3의 감지 변수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에 대응하는 제어 노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센서 노드가 도 3의 감지 변수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센서 노드 동작 방법에 대응하는 제어 노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들이 제어 노드와 통신하는 최단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센서 노드들이 라우팅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 도 1 및 도 8의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Claims (10)

  1.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센싱 범위 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 결과가 센싱(sensing) 상태로부터 언센싱(unsensing) 상태로 변화하면, 송신기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송신기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결과가 전송된 후에 상기 센싱 결과가 변경되어도,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지 않는 동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범위 내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는
    움직임이 센싱될 때, 상기 센싱 결과를 센싱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 움직임이 센싱된 후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센싱 결과를 언센싱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결과가 상기 센싱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센싱 결과를 상기 송신기를 통해 전송하지 않는 동작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한 후에, 상기 센싱 결과에 관계 없이 상기 송신기를 비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방송 메시지가 수신될 때, 상기 송신기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상기 센싱 결과가 센싱 상태로부터 언센싱 상태로 변할 때, 상기 송신기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송신기를 통해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기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 메시지가 수신된 후 그리고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한 후에 상기 센싱 결과가 변경되어도, 상기 센서 노드는 다음 방송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지 않는 동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는
    통신 범위 내의 센서 노드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센서 노드들 중 제어 노드와의 거리값이 가장 작은 센서 노드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센서 노드로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8. 복수의 센서 노드들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로부터 각각 한 번씩 센싱 결과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로부터 각각 한 번씩 상기 센싱 결과들이 수집되면,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로 방송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로부터 각각 한 번씩 상기 센싱 결과들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시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싱 결과들이 움직임 없음을 가리키면,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의 조명들을 턴-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 각각이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 센싱 결과를 전송한 후에 상기 센싱 결과가 변경되어도,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변경된 센싱 결과가 수집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 중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센서 노드의 송신기는 활성화되고, 센싱 결과를 비전송하는 센서 노드의 송신기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센서 노드들 중 움직임이 없는 센싱 결과를 획득한 센서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결과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결과들을 수집하는 단계에서, 각 센서 노드로부터 한 번씩만 센싱 결과가 전송되는 동작 방법.
KR1020090117187A 2009-11-30 2009-11-30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KR10169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187A KR101695313B1 (ko) 2009-11-30 2009-11-30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187A KR101695313B1 (ko) 2009-11-30 2009-11-30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568A KR20110060568A (ko) 2011-06-08
KR101695313B1 true KR101695313B1 (ko) 2017-01-12

Family

ID=4439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187A KR101695313B1 (ko) 2009-11-30 2009-11-30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714B1 (ko) 2013-02-26 2015-07-22 주식회사 케이티 M2m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복수의 디바이스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10Y1 (ko) 2006-05-23 2006-08-03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유비쿼터스 유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841B1 (ko) * 2007-12-18 2009-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클러스터링을 위한 헤드 노드를선정하는 방법 및 그 무선 센서 네트워크
KR100951009B1 (ko) * 2007-12-21 2010-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형 사무실의 조명 제어장치및 방법
KR20090080706A (ko) * 2008-01-22 2009-07-27 한국과학기술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센서노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210Y1 (ko) 2006-05-23 2006-08-03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유비쿼터스 유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568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appila et al. Survivable path routing in WSN for IoT applications
US110062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data routing
Ancillotti et al. A reinforcement learning-based link quality estimation strategy for RPL and its impact on topology management
Pozza et al. Neighbor discovery for opportunistic networking in internet of things scenarios: A survey
US756484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outing data in a personal area network
KR102351845B1 (ko) 광역 에너지 하비스팅 센서 네트워크 배치를 위한 멀티-홉 네트워킹 프로토콜
KR100709501B1 (ko) 피코넷 통신 시스템 내의 이웃들을 발견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20070009583A (ko) 디바이스의 p2p 네트워크로의 연결
EP1500231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ad-hoc routing algorithm based on activity detection in an ad-hoc network
Li et al. WSNHA-GAHR: a greedy and A* heuristic routing algorith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n home automation
KR20050115263A (ko) 노드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통신 노드
US10091720B2 (en)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es in a wireless network based on a user input
Chen et al. A state-free data delivery protocol for multihop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0956642B1 (ko) 듀티 사이클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Pantoni et al. A confirmation-based geocast routing algorithm for street lighting systems
WO20182204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data routing
JP2005278185A (ja) センサネットおよびセンサ装置を作動させる方法
Casari et al. ALBA: An adaptive load-balanced algorithm for geographic forward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Kazmi et al. Recent MAC protocols for mobility-aware wireless sensor networks—a survey and future directions
KR101695313B1 (ko) 센서 노드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동작 방법
US7239896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capacity and battery life of an ad hoc network system using sensor management
JP5885242B2 (ja) センサノード、センサノード制御方法、及び、センサノード制御プログラム
Zhang et al. Body-to-body network routing algorithm based on link comprehensive stability
JP2013192105A (ja) ノード装置、ノード装置制御方法、及び、ノード装置制御プログラム
KR101208039B1 (ko) LPL(Low Power Listening)시점 중복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