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455B1 -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455B1
KR100950455B1 KR1020080015196A KR20080015196A KR100950455B1 KR 100950455 B1 KR100950455 B1 KR 100950455B1 KR 1020080015196 A KR1020080015196 A KR 1020080015196A KR 20080015196 A KR20080015196 A KR 20080015196A KR 100950455 B1 KR100950455 B1 KR 10095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at
switch
footrest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992A (ko
Inventor
정희태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4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용 시트를 가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위치 조절용 발판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은, 운행 중 운전자가 왼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오토매틱 자동차에 마련되어 있는 왼발지지대에 결합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석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들과, 상기 운전자가 왼발을 올려놓고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로 틸팅되는 조작판과, 상기 조작판에 의하여 접지되는 상기 스위치들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판, 운전석, 조절, 등받이

Description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ASSISTANT FOOTBOARD ADJUSTING AUTOMOBILES'S SEAT POSI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용 시트를 가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위치 조절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차량을 운행시 사용하지 않는 운전자가 왼발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조절용 스위치가 운전자의 왼발 받침대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시트위치 조절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착석시 승객의 하체와 수평으로 된 시트쿠션과, 시트쿠션의 후단에 직각으로 세워져 승객의 등이 접촉되는 시트백과, 그 시트백의 상단에 돌출 설치되어 승객의 머리를 기댈 수 있게 된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트에 운전자 및 다른 승객들이 탑승하게 될 때 그 자체로 약간의 편안함을 얻는다 할지라도 그들의 체형에 따라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탑승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었다. 특히 운전자 및 탑승자들의 체형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제작된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탑승감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서 시트 전체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최근에 제작되고 있는 많은 차량에는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의 슬라이딩기능과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모두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작동스위치를 통해 시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차량의 탑승자 중 운전자의 탑승감은 안전운전의 가장 중용한 요소이므로, 언제든지 운전석의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위치조절기능이 대부분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의 운전석 시트위치 조절용 스위치는, 운전석의 옆쪽에 위치되거나 또는 도어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어 차량의 운행 중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는 실정이다. 즉,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 중에 운전석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굽히거나, 또는 시선을 돌려 스위치의 위치를 확인한 후 조작하여야 하므로, 운행 중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되어 사고의 위험이 항시 도사리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토매틱차량을 운행할 때 운전자가 사용하지 않는 왼발을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조절용 스위치가 운전자의 왼발 받침대에 설치되어 있는 자 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은, 운행 중 운전자가 왼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오토매틱 자동차에 마련되어 있는 왼발지지대에 결합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석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들과, 상기 운전자가 왼발을 올려놓고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로 틸팅되는 조작판과, 상기 조작판에 의하여 접지되는 상기 스위치들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위치들에 전달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푸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들은,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와,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2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스위치들에 전달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푸시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에 의하면, 오토매틱차량을 운행할 때 운전자가 사용하지 않는 왼발을 이용하여 운전석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운전석 위치 조절용 스위치가 운전자의 왼발 받침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운행 중 운전자가 시선을 전방에 유지하면서 운전석의 위치 및 등받이의 회동을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판(100)은 운전자가 왼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왼발지지대 위에 설치되어 있다. 발판(100)은 운전자가 왼발을 이용하여 운전석(10)을 전후로 슬라이딩시키고, 운전석등받이(11)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러(20)를 통해 제1 및 제2 구동부(30, 40)에 연결되어 있다.
운전석(10)의 제1 구동부(30)는 운전석(10)을 전후로 슬라이딩시키며, 제2 구동부(40)는 운전석등받이(11)를 회동시킨다. 또한, 컨트롤러(20)는 발판(10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구동부(30, 40)를 작동시켜 운전석(10) 또는 운전석등받이(11)를 슬라이딩 또는 회동시킨다.
발판(100)은, 상기 왼발지지대에 결합되는 몸체(110)와, 제1 및 제2 구동부(30, 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몸체(11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120)들과, 왼발을 이용하여 각각의 스위치(120)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판(13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운행 중 운전자가 왼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오토매틱 자동차에 마련되어 있는 왼발지지대에 결합되어 있다.
스위치(120)들은 운전석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30) 및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1 구동부(30)를 구동시키는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와, 제2 구동부(40)를 구동시키는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는 몸체(110)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는 몸체(110)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 되어 있다.
조작판(130)은 몸체(1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후 및 좌우로 눌려지면서 상기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 및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를 각각 작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몸체(110)의 중앙부에는 조작판(130)이 결합되도록 결합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판(130)의 중앙부 하면에는 결합홈(111)에 삽입되는 볼(131a)이 결합된 샤프트(13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조작판(130)은 결합홈(111)에 삽입되어 결합된 볼(131a)을 기준으로 몸체(110)에서 전후, 좌우로 회동되면서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 또는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를 각각 눌러주게 되어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 및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를 작동시킨다.
한편,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판(130)이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 또는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를 눌러서 작동시킨 후에는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 또는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에서 자동으로 이격되도록 몸체(110)의 상면에는 인장스프링(113)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왼발에 힘을 주어 조작판(130)을 눌러주어야만 조작판(130)이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 또는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를 눌러주게 되고, 또한 왼발에서 힘을 빼면 인장스프링(113)에 의하여 조작판(130)이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 또는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에서 떨어져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 또는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스위치(120)들에 전달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푸시스위치(125)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발판(10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푸시스위치(125)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운전자가 푸시스위치(125)를 접지시키면, 상기 스위치(120)들이 컨트롤러(20)에 접속되고, 푸시스위치(125)가 단락되면 상기 스위치(120)들이 컨트롤러(20)에 접속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시스위치(125)가 접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조작판(130)을 밟아도 상기 스위치(120)들이 작동되지 않으며, 상기 푸시스위치(125)가 접지되어야만 상기 스위치(120)들이 작동되는 것이다. 즉, 자동차의 운행중 운전자가 왼발을 이용하여 발판(100)을 간편하게 조작하여 운전석(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운전석(10)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자동차의 전방을 지속적으로 주시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자동차의 운행 중 운전자가 보다 안전하게 운전석(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컨트롤러 30 : 제1 구동부
40 : 제2 구동부 100 : 발판
110 : 몸체 120 : 스위치
130 : 조작판

Claims (3)

  1. 운전자가 왼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자동차의 왼발지지대에 결합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운전석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30) 및 상기 운전석의 등받이를 회동시키는 제2 구동부(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에 각각 연결되는 스위치(120)들과;
    상기 운전자가 발을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로 틸팅되는 조작판(130)과;
    상기 조작판(130)이 상기 스위치들에 접지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30, 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위치(120)들에 전달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푸시스위치(12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120)은,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구동부(30)를 구동시키는 운전석전후이동스위치(121)와, 상기 몸체의 상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2 구동 부(40)를 구동시키는 등받이회동조절스위치(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
  3. 삭제
KR1020080015196A 2008-02-20 2008-02-20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 KR10095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196A KR100950455B1 (ko) 2008-02-20 2008-02-20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196A KR100950455B1 (ko) 2008-02-20 2008-02-20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992A KR20090089992A (ko) 2009-08-25
KR100950455B1 true KR100950455B1 (ko) 2010-04-02

Family

ID=4120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196A KR100950455B1 (ko) 2008-02-20 2008-02-20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592B1 (ko) 2012-02-06 2013-08-16 세진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용 좌석 구동 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56U (ko) * 1996-09-25 1998-07-06 양재신 상하좌우각조절이 자유로운 풋레스트
KR19980052579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운전석시트의 허리받이 자동조절장치
KR200177172Y1 (ko) * 1999-10-21 2000-04-15 차상안 발판 스위치
JP2006096084A (ja) * 2004-09-28 2006-04-13 Aisin Seiki Co Ltd 車両の制動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56U (ko) * 1996-09-25 1998-07-06 양재신 상하좌우각조절이 자유로운 풋레스트
KR19980052579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운전석시트의 허리받이 자동조절장치
KR200177172Y1 (ko) * 1999-10-21 2000-04-15 차상안 발판 스위치
JP2006096084A (ja) * 2004-09-28 2006-04-13 Aisin Seiki Co Ltd 車両の制動支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592B1 (ko) 2012-02-06 2013-08-16 세진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용 좌석 구동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992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91175B (zh) 乘员姿势调整装置和踏板装置
JP2009208636A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US9707864B2 (en) Seat device of vehicle
KR20180003605A (ko) 차량용 시트
KR20170066775A (ko) 착좌 모드에 따른 후석 시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50455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위치 조절용 발판
EP1571064A1 (en) Adjustable pedal and steering mechanism
JP4894787B2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CN113619454A (zh) 座椅结构及汽车
JP4013911B2 (ja) 自動車の運転姿勢調整装置
CN206664363U (zh) 用于车辆的扶手组件、车辆中央控制台组件以及车辆
KR20050006821A (ko) 리어시트 암레스트 각도조절장치
JP3174207B2 (ja) 車両用ブレーキペダル構造
JP2022112990A (ja) 運転姿勢可変システム
JP3513890B2 (ja) 車両の運転姿勢調整装置
JPH1085260A (ja) 車椅子搭乗用輸送装置
JP4894786B2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JP2005162164A (ja) 車両の運転操作装置
KR200145904Y1 (ko)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시트 쿠션깊이조절장치
JP3265086B2 (ja) 車両の運転姿勢調整装置
JP2005271770A (ja) 運転姿勢調節装置
JP2009262849A (ja) 車両用運転姿勢調整装置及び車両用運転姿勢調整方法
KR19980052625U (ko) 형상변경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JP2009214582A (ja) 自動車運転席のフロア構造
KR20080021453A (ko) 취침이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