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118B1 - 유량 제어기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118B1
KR100950118B1 KR1020070070105A KR20070070105A KR100950118B1 KR 100950118 B1 KR100950118 B1 KR 100950118B1 KR 1020070070105 A KR1020070070105 A KR 1020070070105A KR 20070070105 A KR20070070105 A KR 20070070105A KR 100950118 B1 KR100950118 B1 KR 100950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ontrol member
ring packing
flow pat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498A (ko
Inventor
도미오 하마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하마인터나쇼나루
Publication of KR2008000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4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in-lin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float without flexible member or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79Resilient material valve
    • Y10T137/7888With valve member flexing about securement
    • Y10T137/7889Slee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718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6734With metering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65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7539Having guide or restrictor
    • Y10T137/87547Manually vari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65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7555Having direct response valve [e.g., check valve, etc.]
    • Y10T137/87563With reverse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Taps Or Cocks (AREA)
  • Check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제어기는 제어류의 유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무게와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제어기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를 가진 본체와, 상기 유로들을 시일(seal)하는 링 패킹과, 상기 링 패킹을 관통하고, 링 패킹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막대 모양의 유량제어부재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제어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수단과, 링 패킹의 바깥측에 설치된 제4 유로와, 상기 제4 유로를 통한 상기 제2 유로로부터 상기 제1 유로를 향한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고, 제4 유로를 통한 제1 유로로부터 제2 유로를 향한 유체의 흐름은 허용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량 제어기 {FLOW CONTROLLER}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포트가 설치되어, 제2 포트로부터 제1 포트에는 유량이 제어된 제어류, 제1 포트로부터 제2 포트에는 자유류로서 유체를 통과시키는 유량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량 제어기의 일례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6-33105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유량 제어기를 도 15에 나타낸다.
상기 유량 제어기의 본체부(80)는, 제1 포트로 작용하는 개구부(82) 및 제2 포트로 작용하는 개구부(84)를 구비한다. 상기 제1포트(82)와 제2포트(84)를 연결하는 유로상에는, 제어류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어구멍(86)이 형성된 제어체(88)가 설치된다. 니들(needle)(90)이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제어구멍(86)으로 삽입되어 질 수 있다. 끝이 가늘게 형성된 니들(90)의 제어구멍(86)내에의 진입 길이를 변화시킴에 따라,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에 형성된 클리어런스(clearance)의 단면적이 변화하여, 제어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6-331059호의 단락 0015 참조). 니들(90)의 축방향의 이동은, 회전조정부재(92)를 사용자가 회전 조작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제1포트(82)와 제2포트(84)를 연결하는 외부 유로가 제어체(88)의 바깥측에 형성되어진다. 상기 외부 유로상에는, 체크 밸브로 작용하는 다이어프램 (diaphragm)(94)이 설치된다. 상기 다이어프램(94)은, 상기 외부 유로를 통하여, 제2포트(84)로부터 제1포트(82)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동시에, 제1포트 (82)로부터 제2포트(84)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은 허용한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6-331059호의 단락 0013, 0015-0017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5에 도시된 종래의 유량 제어기에서는, 니들(90)의 바깥면과 제어구멍(86)의 안둘레면의 사이의 클리어런스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제어류의 유량을 제어하고 있다. 상기 단면적은 제어구멍(86)에 대해서 니들(90)을 움직임으로써 조절된다.
그러나, 유량이 적을 때에 제어류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다. 이러한 단점은 도16a와 16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a는, 니들(90)의 바깥면과 제어구멍(86)의 안둘레면의 사이에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없는 상태, 즉, 제어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니들(90)을 이동시켜, 니들(90)의 바깥면과 제어구멍(86)의 안둘레면 사이에 클리어런스(C)를 생기게 한다. 클리어런스(C)가 생긴 상태를 도 16b에 나타낸다. 이 클리어런스(C)는, 니들(90)의 바깥둘레면의 전체둘레를 따라서 형성된다.
제어류를 약간의 유량으로 흐르게 하기 위해, 도16A에 도시된 상태의 니들 (90)를 약간 이동시킨다. 그러나, 클리어런스(C)는 니들(90)의 바깥둘레면의 전체둘레를 따라서 형성되기 때문에, 클리어런스(C)의 단면적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제어류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 제어류의 유량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끝이 가늘게 형성되는 니들(90)에 유체의 저항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니들(90)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니들(90)을 금 속 등의 강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량 제어기의 경량화나 재료 비용의 저감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류의 유량의 조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경량화나 재료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유량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제어기는, 제1 포트에 연이어 통하는 제1 유로, 및 제2 포트에 연이어 통하는 제2 유로를 가진 본체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시일(seal)하기 위해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의 사이에 배설되는 링 패킹과; 상기 링 패킹을 관통하고, 링 패킹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막대 모양으로 설치되며, 적어도 바깥둘레면에 개구하고, 링 패킹을 통하여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연통시키는 제3 유로를 가지며, 링 패킹에 대한 유량제어부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3 유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 가능한 유량제어부재와; 상기 링 패킹 및/또는 상기 유량제어부재를, 유량제어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 수단과; 상기 본체내의,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연통하도록 상기 링 패킹의 바깥측에 설치된 제4 유로와; 상기 제4 유로를 통한 상기 제2 유로로부터 상기 제1 유로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동시에, 제4 유로를 통한 제1 유로로부터 제2 유로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은 허용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제3 유로의 개구형상의 설정에 의해, 유량제어부재와 링 패킹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른 유체의 유량의 변화량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막대 모양의 유량제어부재의 바깥둘레면에 개구한 제3 유로와 링 패킹에 의해 유량을 제한하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유량 제어기와 같이 끝이 가는 니들과 같은 약한 부재에 유체의 저항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량제어부재는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이고 염가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량 제어기에서, 상기 유량제어부재의 바깥둘레면에 개구하는 상기 제3 유로의 일단의 바깥둘레 폭은 유량제어부재의 일단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유량 제어기에서, 상기 제3 유로는, 축선 방향으로 유량제어부재의 일단을 노칭(notching)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일단을 향하여 점차 간격이 넓어지는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notc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제어류의 유량을 적합하게 조절 가능한 제3 유로를, 간단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제어기에서, 상기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는, 유량제어부재의 양측면에 개구되어지고, 유량제어부재의 일단으로부터의 노칭 깊이가,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다른 측면보다 깊이가 더 깊은 일측면에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를 통하여 제1 유로와 제2 유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류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 보다 정밀하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제어기에서,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유량제어부재의 일단 및 바깥둘레면에 개구하고, 상기 제3 유로의, 상기 유량제어부재의 축선에 수직인 면에서 의 단면의 단면적이, 상기 일단을 향해 점차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단면적은 상기 유량제어부재의 타단을 향해서는 점차 줄어들게 된다. 니들의 바깥둘레면에 따른 클리어런스의 단면적에 의해서 유량을 조절하는 종래의 유량 제어기와 비교할때, 제어류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제어류의 유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링 패킹 및/또는 상기 유량제어부재와 연계하는 나사부가 설치되어, 일부가 상기 본체 외부에 노출하고, 상기 나사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knob)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브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링 패킹 및/또는 상기 유량제어부재를, 유량제어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조작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양단측에 가진 원통이며. 제1 유로 및 제2 유로 중의 한쪽을 구획형성하는 바깥둘레벽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본체의 바깥둘레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관통 구멍을 덮어 본체와 동축에 배치되고, 본체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고 안둘레면에 제1 나사부가 설치된 원통 형상의 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 중의 한쪽에 위치하는 상기 유량제어부재의 단부에는, 유량제어부재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노브의 안둘레면까지 이어져,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맞춤하는 제2 나사부가 설치된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노브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 나사부 및 제2 나사부에 의해, 상기 유량제어부재를, 유량제어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본체와 노브가 동축으로 설치되어지며, 따라서 그 외형을 소형이고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제어기 본체와, 제1 및 제2 포트에 접속되는 각 호스를 동축에 설치할 수 있고, 해당 유량 제어기를 채용한 장치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포트는, 서로의 축선이 수직이 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제어부재는, 일단측이 상기 제1 및 제2 포트의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배설되는 동시에, 타단측에 제1 나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맞춤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량제어부재의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에 돌출하여 회전조작 가능한 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브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의 작용에 의해, 상기 유량제어부재를, 유량제어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및 제2 포트가 서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노브가 돌출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링 패킹과 일체로 설치되고, 링 패킹으로부터 상기 제2 유로측을 향하여 경사하여 이어지는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패킹의 주위에 형성된 상기 제4 유로를 막는 밸브 본체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체크 밸브의 밸브 본체와 링 패킹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장치를 심플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안둘레면에는, 상기 콘형상의 밸브 본체의 바깥면에 따르는 돌출둘레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둘레부에, 상기 제4 유로를 이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진다. 이에 의하면, 돌출둘레부에 의해서 체크 밸브의 밸브 본체와 링 패킹을 본체내에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제4 유로를 컴팩트하게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유량 제어기에 의하면, 제어류의 유량의 조절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함과 동시에, 경량화나 재료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따른 유량 제어기(S1)의 외관 사시도를 도 1에, 유량 제어기(S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 2에,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 제어기(S1)는, 원통 형상의 본체(2)와, 본체(2)의 바깥둘레면의 일부를 덮어 본체(2)로 동축에 배설되고, 본체(2)에 대해서 사용자가 회전조작 가능한 조작 수단으로서의 원통의 노브(4)를 구비한다.
원통형의 본체(2)의 양단부에는, 제1 포트(6a)가 형성된 제1니플(nipple) 부재(6) 및, 제2 포트(8a)가 형성된 제2 니플 부재(8)가 부착되어 있다. 본체(2)의 양단에 설치된 제1 포트(6a) 및 제2 포트(8a)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 내에 유체를 도입하기 위한 호스 등의 유체의 도통로(P1,P2)를 접속 가능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체(2)는, 양단측에 각각, 제1 포트(6a)에 연이어 통하는 제1 유로(2a), 및, 제2 포트(8a)에 연이어 통하는 제2 유로(2b)를 가진다.
또한, 본체(2)의, 제1 유로(2a)를 구획형성하는 바깥둘레벽에는, 관통 구멍 (2c,2d)이, 대향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2 및 3 참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4)는, 본체(2)의 바깥둘레면의 일부 및 관통 구멍(2c,2d)을 덮어 배치된다.
본체(2)의 일단측에는 커버부(2e)가 형성되어진다. 노브(4)의 일단측(4b)이 커버부(2e)내에 삽입되어 배설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체(2)의 일단 근처에, 본체 (2)의 통 모양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소정의 틈을 두고, 바깥 원통형상부(커버부 (2e))가 형성되고, 노브(4)의 일단측(4b)은, 상기 원통형상부(커버부(2e))의 안둘레면과 본체(2)의 바깥둘레면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본체(2)의 타단측에 삽입되어 부착되는 제1 니플 부재(6)에는, 본체 (2)의 타단면을 따라, 바깥둘레 방향으로 더 이어지는 돌출둘레부(6b)가, 노브 (4)의 본체(2)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어진다. 즉, 노브(4)는, 커버부 (2e)와 돌출둘레부(6b)의 사이에 끼워져, 본체(2)의 바깥둘레면상에 유지된다.
또한, 커버부(2e)의 안쪽의 저면(2f)(도 2 참조)에는, 본체(2)의 축선방향으로 나열된 다수의 홈들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홈들에 대향하는 노브(4)의 일단면에는, 상기 홈에 걸어맞춤하는 볼록부(4c)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4)를 회전 조작했을 때에는 볼록부(4c)가 상기 홈들을 넘도록 하여 회 전 가능한 동시에, 노브(4)를 원하는 회전 위치에서 정지시켰을 때에는 볼록부(4c)가 상기 홈들에 걸어맞춤하여, 노브(4)가 그 위치에 유지된다.
노브(4)의 안둘레면의, 관통 구멍(2c,2d)과의 대응 위치에는, 둘레방향으로 제1 나사부(4a)가 설치되어 있다. 즉, 노브(4)의 제1 나사부(4a)는, 관통 구멍 (2c,2d)을 통하여 본체(2)내의 제1 유로(2a)에 면하고 있다.
본체(2)의, 제1 유로(2a)와 제2 유로(2b)의 사이의 안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둘레부(2g)가 형성된다. 또한, 돌출둘레부(2g)에는, 제1 유로(2a)와 제2 유로(2b)를 연통하는 제4 유로(2h)를 이루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둘레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형성되고 있다.
본체(2)내의, 제1 유로(2a)와 제2 유로(2b)의 사이의 돌출둘레부(2g)에는, 고무 부재(10)가 부착된다. 고무 부재(10)는, 제1 유로(2a)와 제2 유로(2b) 사이를 시일하는 링 패킹(10a)과, 링 패킹(10a)으로부터 제2 유로(2b)측을 향하여 경사하여 이어지는 콘형상으로 형성되고, 제4 유로(2h)의 일단을 막는 밸브 본체(1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도 2 및 도 5 참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형상의 밸브 본체(10b)는, 링 패킹(10a)의 약간 안둘레측으로부터 기울어진 바깥쪽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고, 고무 부재(10)의, 링 패킹(10a)과 콘형상의 밸브 본체(10b)와의 사이의 바깥면에는, 네크(neck)부(10c)가 형성된다.
다른 한편, 돌출둘레부(2g)의, 제2 유로(2b)측의 측면은, 고무 부재(10)의 콘형상의 밸브 본체(10b)의 바깥면에 따르는 경사면(2i)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출둘레부(2g)의 제1 유로(2a)측의 측면은, 본체(2)의 축선에 수직인 수직면(2j)에 형성되어 있다.
고무 부재(10)는, 콘형상의 밸브 본체(10b)의 바깥면이 경사면(2i)에 따르도록 배설되고, 네크부(10c)에 돌출둘레부(2g)가 걸어맞춤하여 본체(2)내에 유지된다.
콘형상의 밸브 본체(10b)는, 돌출둘레부(2g)의 경사면(2i)을 따라서, 링 패킹(10a)의 바깥측에 설치된 제4 유로(2h)의 일단을 덮도록 배설된다.
그리고, 제1 유로(2a) 및 제4 유로(2h)내의 유체의 유체압이, 제2 유로(2b)내의 유체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4 유로(2h)내의 유체의 유체압에 밀려 콘형상의 밸브 본체(10b)가 변형하고, 유체는, 제1 유로(2a)로부터 제2 유로(2b)에, 제4 유로(2h)를 통해서 흐른다.
한편, 제2 유로(2b)내의 유체의 유체압이, 제1 유로(2a) 및 제4 유로(2h)내의 유체의 유체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콘형상의 밸브 본체(10b)는 제2 유로(2b)내의 유체의 유체압으로 밀리지만, 밸브 본체(10b)는 경사면(2i)에 압접되어 제4 유로(2h)의 일단을 막고, 유체가 제2 유로(2b)로부터 제1 유로(2a)를 향해 흐르는 경우가 없다.
즉, 밸브 본체(10b)는, 제4 유로(2h)를 통한 제2 유로(2b)로부터 제1 유로 (2a)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동시에, 제4 유로(2h)를 통한 제1 유로(2a)로부터 제2 유로(2b)를 향하는 유체의 흐름은 허용하는 체크 밸브로서 작용한다.
본체(2) 내에는, 링 패킹(10a)을 관통하고, 바깥둘레면이 링 패킹(10a)의 안 둘레면에 밀접한 상태로 링 패킹(10a)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막대 형상의 유량제어부재(12)가 설치된다.
유량제어부재(12)는, 일단부(12a) 및 바깥둘레면에 개구하고, 링 패킹(10a)을 통하여 제1 유로(2a)와 제2 유로(2b)를 연통시키는 제3 유로(12b)를 가지며, 링 패킹(10a)과의 축선방향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제3 유로(12b)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일단부(12a)측에는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notch)(개구부)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는 V-형상의 노치로서 일단부(12a) 및 유량제어부재 (12)의 바깥둘레변에 개구되어진다. 두갈래로 갈라진(V-형상의)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유량제어부재의 일단부(12a)측은 V-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도2 및 도6 참조). V-형상으로 형성된 공간이 제3 유로(12b)로 작용한다.
이 V-형상의 노치(개구부)로 이루어지는 제3 유로(12b)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유로(12b)나 V-형상의 노치(개구부)의 폭은 일단부(12a)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설치된다. 즉, 유량제어부(12)의 둘레방향의 제3 유로(12b)의 폭이 일단부(12a)로 갈수록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3 유로(12b)의, 유량제어부재(12)의 축선에 수직인 면에서의 단면의 단면적이, 일단부(12a)를 향하여 점차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의 상태에서는, 링 패킹(10a)의 위치에, 유량제어부재(12)의 일단부 (12a) 선단 근처의 부분이 위치하고 있다. 유량제어부재(12)를 왼쪽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링 패킹(10a)에 대응하는 제3 유로(12b)의 단면적과, 링 패킹(10a)에 대하 여 제1유로(2a) 측, 유량제어부재(12)의 측면(12c,12d)에 개구하는 제3 유로(12b)의 개구 면적이 점차 작아진다. 이에 따라, 제3 유로(12b)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적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링 패킹(10a)이 이루는 링내에 있어서의 제3 유로 (12b)의 단면적, 및 링 패킹(10a)에 대하여 제1유로(2a) 측에, 유량제어부재(12)의 측면(12c,12d)에 개구하는 제3 유로(12b)의 개구면적중의, 보다 작은 쪽의 면적에 의해서, 제3 유로(12b)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제한된다.
즉, 유량제어부재(12)는, 링 패킹(10a)과의 축선방향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제3 유로(12b)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V-형상의 노치의 노칭 깊이는, 유량제어부재(12)의 양 측면(12c,12d)에 있어서의, 그 일단부(12a)로부터 서로 다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12c)에서의 노칭 깊이가 후면(12d)에서의 노칭 깊이보다 더 깊다.
이에 의하면 유량제어부재(12)를, 링 패킹(10a)의 위치에, 그 두갈래로 갈라진 V형상의 노치의 분기점 부근이 오도록 위치를 제어했을 때, 즉, 제3 유로(12b)의 유량을 적게 제어했을 때, 상기 후면(12d)에 있어서의 분기점은 링 패킹(10a)에 차단되어 제1 유로(2a)와 제2 유로(2b)를 연통하는 경우가 없어지고, 전면(12c)에있어서의 분기점을 통해서만, 제1 유로(2a)와 제2 유로(2b)가 연이어 통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유로(2a)와 제2 유로(2b)를, 전면(12c)의 V-형상의 노치만을 통하여 연통시킬 수 있고, 제3 유로(12b)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 그 유량을 보다 미묘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조작 수단으로서의 노브(4)를 회전조작 함으로써, 유량제어부재(12) 를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로(2a)내에 위치하는 유량제어부재(12)의 타단부(12e)측에는, 유량 제어부재(12)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여 관통구멍(2c,2d)을 통과하여 노브(4)의 안둘레면까지 이어지고, 제1 나사부(4a)에 나사맞춤하는 제2 나사부(12f)가 설치된 돌출부(12g)가 설치된다.
돌출부(12g)는, 유량제어부재(12)와 일체로 형성된 제1 돌출부분(12ga)(도 6 참조)과, 그 제1 돌출부분(12ga)의 단면에 형성된 구멍부분(12h)에 삽입되는 삽입부(12i)를 가지며, 삽입부(12i)를 풀어 제1 돌출부분(12ga)에 부착되는 제2 돌출부분(12gb)(도 7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제2 돌출부분(12gb)에는, 노브(4)의 제1 나사부(4a)에 나사맞춤하는 제2 나사부(12f)가 설치되어 있다.
본 유량 제어기(S1)의 조립시에는, 본체(2) 내에 유량제어부재(12)를, 제2 돌출부분(12gb)를 떼어낸 상태로 넣고, 그 후, 본체(2)의 관통 구멍(2c,2d)을 통해서 제2 돌출부분(12gb)의 삽입부(12i)를, 구멍부분(12h)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을 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노브(4)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제1 및 제2 나사부(4a,12f)의 작용에 의해, 유량제어부재(12)를,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때, 돌출부(12g)가 본체(2)의 관통 구멍(2c,2d)을 통과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2)에 대해서 노브(4)를 회전시켰을 때, 돌출부(12g)가 본체 (2)의 관통 구멍(2c,2d)의 가장자리부에서 걸어멈춤되고, 유량제어부재(12)가 노브 (4)에 추종하여 본체(2)에 대해서 회전해 버리는 경우가 없다. 즉, 유량제어부재 (12)의 돌출부(12g)가 본체(2)의 관통 구멍(2c,2d)을 통과하고 있는 것이, 유량제어부재(12)의 회전방지로서 작용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유량 제어기(S2)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유량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유량 제어기(S2)는, T자의 파이프 모양의 본체(3)(도 10 참조)를 구비하고, 본체(3)를 이루는 T자형상의 파이프의,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파이프의 선단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본체(3)에 대해서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 수단으로서의 노브(5), 제1 포트(6a)가 형성된 제1 니플 부재(6), 및, 제2 포트(8a)가 형성된 제2 니플 부재(8)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제1 니플 부재(6) 및 제2 니플 부재(8)는, 제1 포트(6a) 및 제2 포트(8a)의 축선이 수직이 되도록, 본체 (3)를 이루는 T자 모양의 파이프의 3개의 선단 중의,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파이프의 선단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에서는, T자형상의 아래쪽의 단부에 제2 니플 부재(8)가, 상부의 양단부에 각각 제1 니플 부재(6) 및 노브(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는, 그 내부에, 제1 포트(6a)에 연이어 통하는 제1 유로(3a), 및, 제2 포트(8a)에 연이어 통하는 제2 유로(3b)를 가 진다.
돌출둘레부(2g), 제4 유로(2h), 및 링 패킹(10a)와 밸브 본체(10b)를 포함하는 고무 부재(10)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3)내에는, 링 패킹(10a)을 관통하고, 바깥둘레면이 링 패킹(10a)의 안둘레면에 밀접한 상태로 링 패킹(10a)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속이 빈 막대 형상의 유량제어부재(13)가 설치된다. 실시예1에서와 같이, 상기 유량제어부재(13)가 움직이는 동안, 유량제어부재(13)의 바깥둘레면은 링 패킹 (10a)의 안둘레면에 밀접하게 접촉되어진다.
상기 유량제어부재(13)는, 일단부(13a) 및 바깥둘레면에 개구하여, 링 패킹 (10a)을 통하여 제1 유로(3a)와 제2 유로(3b)를 연통시키는 제3 유로(13b)를 가지며, 링 패킹(10a)과의 축선방향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제3 유로(13b)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유량제어부재(13)의 일단부(13a)측에는,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는 V-형상의 노치로서 유량제어부재 (13)의 일단부(13a) 및 바깥둘레면에 개구되어진다. 상기 두갈래로 갈라진(V-형상의)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유량제어부재(13)의 일단부(13a)는 V-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도 9 및 도 12 참조). V형상으로 갈라진 사이가, 제3 유로(13b)로 작용한다.
실시예 1에서는, 유량제어부재(13)는, V-형상의 노치가 형성된 일단부(12a)가 제2 유로(2b)로 향하도록 배설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 2에 대해서는, V-형상의 노치가 형성된 일단부(13a)가 제1 유로(3a)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일단 부(13a)는 제2 유로(3b)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V-형상의 노치가 형성된 일단부(13a)는 제1유로(3a) 또는 제2 유로(3b)를 향하도록 선택적으로 결정되어진다.
상기 제3 유로(13b)나 V-형상의 노치(개구부)의 폭은, 도 9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13a)를 향하여 점차 넓어지도록 설치된다. 즉, 유량제어부재(13)의 바깥둘레면의 둘레방향의 제3 유로(13b)의 폭이 일단부(13a)를 향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 되어진다.
유량제어부재(13)는, 링 패킹(10a)과의 축선방향의 위치 관계에 따라, 링 패킹(10a)을 사이에 두고 제2 유로(3b)측면에 개구하는 제3 유로(13b)의 개구면적을 변화시켜, 제3 유로(13b)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V-형상의 노치의 노칭 깊이는, 유량제어부재(13)의 양측면에 있어서, 유량제어부재(13)의 일단부(13a)로부터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유량제어부재(13)를, 링 패킹(10a)의 위치에, 상기 V-형상 노치의 분기점 부근이 오도록 위치를 제어했을 때, 제1 유로 (3a)와 제2 유로(3b)를, 유량제어부재(13)의 일측면측의 V형상의 노치만으로 연통시킬 수 있어, 제3 유로(13b)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 그 유량을 보다 미묘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조작수단으로서의 노브(5)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유량제어부재(13)를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량제어부재(13)의 타단부(13e)측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제 어부재(13)의 양측면으로부터,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3j)가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13j)는 상기 유량제어부재(13)의 축선에 대하여, 유량제어부재(13)의 양측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진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3) 내에는, 거의 원통형상의 스토퍼 부재(16)가 설치된다. 스토퍼부재(16)는, 본체(3)의, 노브(5)가 부착되는 타단부측의 내측에, 본체(3)의 안둘레를 따라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스토퍼 부재(16)에는, 도 13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바깥둘레면에 축선방향으로 이어지는 돌출형상부(16e)가 형성되고, 본체(3)의 안둘레벽에는 이 돌출형상부(16e)에 걸어맞춤하는 홈들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스토퍼 부재(16)는 본체(3)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걸어멈춤된다. 또한, 스토퍼 부재(16)에는,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제어부재(13)의 양 돌출부(13j)가 각각 들어가, 유량제어부재(13)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 노치들(16a)가 형성된다. 또한, 스토퍼 부재(16)에는, 제2 유로(3b)내의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한 노치(16b)가 형성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5)는, 스토퍼 부재(16)의 걸어멈춤부(16c)에, 둘레방향의 오목형상의 걸어맞춤부(5b)가 걸어맞춤하여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된다.
유량제어부재(13)는, 일단부(13a)가 제1 포트(6a)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유량제어부재(13)의 타단부(13e)측에는, 유량 제어부재(13)와 동축에 볼트(14)가 부착되는 것에 의해, 제1 나사부(13f)가 설치된다. 노브(5)에는, 너트(18,19) 가 부착되는 것에 의해, 제1 나사부(13f)에 나사맞춤하는 제2 나사부(5a)가 설치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5)의 안쪽의 면에는, 본체(2)의 축선방향의 요철이 둘레방향으로 다수 나열되어 이루어지는 홈(5c)이 형성되고, 대향하는 스토퍼 부재(16)의 일단면에는, 홈(5c)에 걸어맞춤하는 볼록부(16d)가 형성되어 있다(도 13b 참조).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5)를 회전 조작했을 때에는 볼록부 (16d)가 홈(5c)을 넘도록 하여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노브(5)를 원하는 회전 위치에서 정지시켰을 때에는 볼록부(16d)와 홈(5c)이 걸어맞춤하고, 노브(5)가 그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노브(5)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제1 및 제2 나사부(13f,5a)의 작용에 의해, 유량제어부재(13)를, 그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j)가 스토퍼 부재(16)의 안내 노치(16a)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본체(3)에 대해서 노브(5)를 회전시켰을 때, 유량제어부재(13)가 노브(5)에 추종하여 본체(3)에 대해서 회전해 버리는 경우가 없다. 즉, 돌출부(13j)와 스토퍼 부재(16)의 안내 노치(16a)가, 유량제어부재(13)의 회전 방지로서 작용한다.
각 유량 제어기 S1 및 S2에서, 제1 포트(6a)로부터 제2 포트(8a)에는, 제4 유로(2h)를 통하여 자유류로서 유체를 통과시키고, 제2 포트(8a)로부터 제1 포트 (6a)에는, 제3 유로(12b,13b)를 통하여, 유량제어부재(12,13)의 축선방향의 위치에 따라 유량이 제어된 제어류로서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량 제어기 (S1,S2)에 의하면, 유량제어부재(12,13)의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량 제어기와 비교하여, 유량이 적은 경우에도, 유량을 미묘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막대 모양의 유량제어부재(12,13)의 바깥둘레면에 개구한 제3 유로 (12b,13b)와 링 패킹(10a)에 의해 유량을 제한하기 때문에, 종래의 유량 제어기의 니들과 같은 약한 부재에 유체의 저항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량제어부재(12,13)의 각 구성요소의 재료로서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이나 염가의 재료를 채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2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개변이 가능하다.
유량제어부재에 설치되는 제3 유로는, 적어도 유량제어부재의 바깥둘레면에 개구하여야 하며, 링 패킹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해당 제3 유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 가능하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량제어부재 (20)를, 원기둥의 바깥둘레면에 개구하는 개구부의 둘레방향의 개구폭이, 유량제어부재(20)의 일단(20a)을 향하여 점차 확대되도록 하는 홈부(20b)를 형성하고, 이 홈부(20b)를 제3 유로로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 수단에 의해 링 패킹에 대해서 유량제어부재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양자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즉, 유량제어부재에 대해서 링 패킹을 이동시키거나 양자 모두 이동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링 패킹과 밸브 본체는 반드시 일체로 설치할 필요는 없고, 다른 부재로서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필수적인 특징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고무 부재(링 패킹 및 밸브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유량제어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유량제어부재의 제2 돌출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유량제어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는 제1 유로측에서 본 실시예 2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스토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b는 노브 측에서 본 실시예 2에 따른 유량 제어기의 스토퍼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유량제어부재의 별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유량 제어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a는 니들과 제어구멍 사이에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없는 종래의 유량 제어기의 단면도이다.
도 16b는 니들과 제어구멍 사이에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있는 종래의 유량 제어기의 단면도이다.

Claims (12)

  1. 제1 포트(6a)에 연이어 통하는 제1 유로(2a, 3a), 및 제2 포트(8a)에 연이어 통하는 제2 유로(2b,3b)를 구비한 본체(2,3)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2a,3a)와 상기 제2 유로(2b,3b)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유로 (2a,3a)와 제2 유로(2b,3b)의 사이를 시일(seal)하기 위한 링 패킹(10a)과,
    상기 링 패킹(10a)을 관통하고, 링 패킹(10a)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적어도 바깥둘레면에 개구하여, 링 패킹(10a)을 통하여 상기 제1 유로(2a,3a)와 상기 제2 유로(2b,3b)를 연통시키는 제3 유로(12b,13b,20b)를 가지며, 링 패킹(10a)에 대한 유량제어부재(12,13,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3 유로(12b,13b,20b)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막대 모양의 유량제어부재 (12,13,20)와,
    상기 링 패킹(10a) 및 상기 유량제어부재(12,13,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유량제어부재(12,13,20)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수단(4,5)과,
    상기 제1 유로(2a,3a)와 상기 제2 유로(2b,3b)를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링 패킹(10a)의 바깥측에 설치된 제4 유로(2h)와,
    상기 제4 유로(2h)를 통한 상기 제2 유로(2b,3b)로부터 상기 제1 유로 (2a,3a)를 향한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동시에, 제4 유로(2h)를 통한 제1 유로 (2a,3a)로부터 제2 유로(2b,3b)를 향한 유체의 흐름은 허용하는 체크 밸브(10b)를 구비하며,
    상기 유량제어부재(12,13)의 바깥둘레면에 개구하는 상기 제3 유로(12b,13b)의 끝단의 둘레 폭이, 유량제어부재(12,13)의 일단(12a,13a)을 향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유로(12b,13b)는, 유량제어부재(12,13)의 일단(12a,13a)을 축 방향으로 노칭함으로써 형성된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notch)이며, 그 폭이 상기 일단 (12a,13a) 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는 유량제어부재(12)의 양측면(12c,12d)에 개구되어지고,
    상기 양측면(12c,12d)에서의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의 노칭 깊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기.
  5. 제1 포트(6a)에 연이어 통하는 제1 유로(2a, 3a), 및 제2 포트(8a)에 연이어 통하는 제2 유로(2b,3b)를 구비한 본체(2,3)을 포함하는 유량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2a,3a)와 상기 제2 유로(2b,3b)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유로 (2a,3a)와 제2 유로(2b,3b)의 사이를 시일(seal)하기 위한 링 패킹(10a)과,
    상기 링 패킹(10a)을 관통하고, 링 패킹(10a)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적어도 바깥둘레면에 개구하여, 링 패킹(10a)을 통하여 상기 제1 유로(2a,3a)와 상기 제2 유로(2b,3b)를 연통시키는 제3 유로(12b,13b,20b)를 가지며, 링 패킹(10a)에 대한 유량제어부재(12,13,2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3 유로(12b,13b,20b)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막대 모양의 유량제어부재 (12,13,20)와,
    상기 링 패킹(10a) 및 상기 유량제어부재(12,13,2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유량제어부재(12,13,20)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수단(4,5)과,
    상기 제1 유로(2a,3a)와 상기 제2 유로(2b,3b)를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링 패킹(10a)의 바깥측에 설치된 제4 유로(2h)와,
    상기 제4 유로(2h)를 통한 상기 제2 유로(2b,3b)로부터 상기 제1 유로 (2a,3a)를 향한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동시에, 제4 유로(2h)를 통한 제1 유로 (2a,3a)로부터 제2 유로(2b,3b)를 향한 유체의 흐름은 허용하는 체크 밸브(10b)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유로(12b)는, 상기 유량제어부재(12)의 일단 (12a) 및 바깥둘레면에 개구하고,
    상기 유량제어부재(12)의 축선에 수직인 면에서의 제3 유로(12b)의 단면적이, 상기 유량제어부재(12)의 일단(12a)을 향해 점차 커지며,
    상기 제3 유로(12b)는, 상기 유량제어부재(12)의 일단(12a)을 향하여 점차 간격이 넓어지는, 유량제어부재(12)의 일단(12a)을 축선 방향으로 노칭(notching)함으로써 형성된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no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notch)는,
    유량제어부재(12)의 양측면(12c,12d)에 개구되어지고,
    상기 양측면(12c,12d)에서의 두갈래로 갈라진 노치의 노칭 깊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4,5)은, 상기 링 패킹(10a) 및 상기 유량제어부재(12,13)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와 연계하는 나사부가 설치되고, 일부가 상기 본체(2,3) 외부에 노출하고, 나사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knob)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브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나사부가 상기 링 패킹(10a) 및 상기 유량제어부재(12,13)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유량제어부재(12,13)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상기 제1 유로(2a) 및 제2 유로(2b)를 양단측에 가진 원통이며, 제1 유로(2a)및 제2 유로(2b) 중의 한쪽을 구획형성하는 바깥둘레벽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본체(2)의 바깥둘레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관통 구멍을 덮어 본체(2)와 동축에 배치되고, 본체(2)에 대해서 회전 조작 가능하고 안둘레면에 제1 나사부(4a)가 설치된 원통 형상의 노브(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유로(2a)및 제2 유로(2b) 중의 한쪽에 위치하는 상기 유량제어부재 (12)의 단부(12e)에는, 유량제어부재(12)의 축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관통 구멍(2c,2d)을 통과하여 상기 노브(4)의 안둘레면까지 이어져, 상기 제1 나사부(4a)에 나사맞춤하는 제2 나사부(12f)가 설치된 돌출부(12g)가 설치되고,
    상기 노브(4)를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 나사부(4a) 및 제2 나사부(12f)에 의해, 상기 유량제어부재(12)를, 유량제어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6a)및 제2 포트(8a)는, 서로의 축선이 수직이 되도록 상기 본체(3)에 설치되고,
    상기 유량제어부재(13)의 일단측(13a)이 상기 제1 포트(6a) 및 제2 포트(8a)의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이동하고, 유량제어부재(13)의 타단측(13e)은 제1 나사부 (13f)를 가지며,
    상기 조작 수단(5)은, 상기 제1 나사부(13f)에 나사맞춤하는 제2 나사부(5a)가 형성되고, 상기 유량제어부재(13)의 상기 타단측(13e)으로부터 상기 본체(3) 외부에 돌출하여 사용자가 회전 조작 가능한 노브(5)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브(5)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 나사부(13f)및 제2 나사부(5a)에 의해, 상기 유량제어부재(13)를, 유량제어부재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링 패킹(10a)과 일체로 설치되고, 링 패킹(10a)으로부터 상기 제2 유로(2b)측을 향하여 경사하여 이어지는 콘 (cone) 형상으로 형성되고, 링 패킹(10a)의 주위에 형성된 상기 제4 유로(2h)를 막는 밸브 본체(1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안둘레면에는, 상기 콘형상의 밸브 본체 (10b)의 바깥면에 따른 돌출둘레부(2g)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둘레부(2g)에, 상기 제4 유로(2h)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기.
KR1020070070105A 2006-07-12 2007-07-12 유량 제어기 KR100950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1623A JP4253333B2 (ja) 2006-07-12 2006-07-12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JP-P-2006-00191623 2006-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98A KR20080006498A (ko) 2008-01-16
KR100950118B1 true KR100950118B1 (ko) 2010-03-30

Family

ID=3864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105A KR100950118B1 (ko) 2006-07-12 2007-07-12 유량 제어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57711B2 (ko)
EP (1) EP1879088A3 (ko)
JP (1) JP4253333B2 (ko)
KR (1) KR100950118B1 (ko)
CN (1) CN100567783C (ko)
TW (1) TW2008047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312B1 (ko) * 2015-03-09 2016-01-04 우창배 배관 이음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3921A1 (en) * 2010-04-14 2011-10-20 General Electric Company Needle valve assembly with floating seat apparatus
US10491357B2 (en) * 2010-07-12 2019-11-26 Entropic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ynamic subchannel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5484236B2 (ja) * 2010-07-22 2014-05-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逆止弁装置
US8800597B2 (en) * 2011-04-15 2014-08-12 Graco Minnesota Inc. Fine control gas valve
ITMI20120289A1 (it) * 2012-02-27 2013-08-28 Dropsa Spa Dispositivo di lubrificazione con regolazione della portata di lubrificante fluido
ITMI20120288A1 (it) 2012-02-27 2013-08-28 Dropsa Spa Dispositivo di lubrificazione con misuratore di portata
CN103760922B (zh) * 2014-01-28 2016-02-17 中国地质科学院水文地质环境地质研究所 同心式流量调节器
CN106106044B (zh) * 2016-06-21 2022-05-17 中国灌溉排水发展中心 一种多功能取水器及其应用
CN108052127A (zh) * 2017-12-08 2018-05-18 周宝龙 一种特殊的卡合紧密型液体流量控制结构
CN107943115A (zh) * 2017-12-08 2018-04-20 周宝龙 一种特殊的卡合装配型液体流量控制结构
CN112879585B (zh) * 2021-01-11 2022-02-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可调式稳流阀及包含其的稳流控制系统
KR102661353B1 (ko) * 2023-03-20 2024-04-25 박주양 유량 조절이 가능한 개폐밸브 및 그 조립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1059A (ja) * 1993-05-21 1994-11-29 Nippon Pisuko:Kk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H0791562A (ja) * 1990-05-14 1995-04-0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調整円錐体
JP2005533229A (ja) * 2002-07-17 2005-11-04 フィッシャー コントロー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スカートガイド式グローブ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0392A (en) * 1957-08-27 1961-04-18 Eugene C Greenwood Combination metering and shut-off valve
US3521852A (en) * 1966-12-12 1970-07-28 Thomas S Gillis Jr Throttle and shutoff valve
JPS4722542U (ko) 1971-03-15 1972-11-14
US3811470A (en) 1971-06-01 1974-05-21 J Schaefer Fluid control device
US3791413A (en) * 1972-03-23 1974-02-12 Leslie Co Pressure reducing valve spool
DE2255282C2 (de) 1972-11-11 1982-05-19 Knorr-Bremse GmbH, 8000 München Drossel-, insbesondere Drosselrückschlagventil
US3920042A (en) 1975-01-20 1975-11-18 Leland F Blatt Flow control valve
JPS51124636A (en) 1975-04-24 1976-10-30 Nitsushin Kanetsu Kougiyou Kk Controlling method of furnace atmosphere
US4022113A (en) * 1975-12-10 1977-05-10 Blatt Leland F Flow control valve
DE2738476C2 (de) * 1976-09-02 1985-08-01 Shoketsu Kinzoku Kogyo K.K., Tokio/Tokyo Steuerventil
US4230300A (en) * 1979-06-11 1980-10-28 Mary Louise Wiltse Flow metering and shut-off valve
US5269346A (en) * 1992-09-24 1993-12-14 Yuda Lawrence F Flow control valve
DE4317604A1 (de) * 1993-05-27 1994-12-01 Festo Kg Drosselventil
JP3856922B2 (ja) 1997-09-25 2006-12-13 Smc株式会社 速度制御機構付シリンダ
US6397890B1 (en) * 1999-02-15 2002-06-04 Case Corp. Variable metering fluid control valv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562A (ja) * 1990-05-14 1995-04-04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調整円錐体
JPH06331059A (ja) * 1993-05-21 1994-11-29 Nippon Pisuko:Kk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2005533229A (ja) * 2002-07-17 2005-11-04 フィッシャー コントロー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スカートガイド式グローブバル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312B1 (ko) * 2015-03-09 2016-01-04 우창배 배관 이음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4704A (en) 2008-01-16
CN101105229A (zh) 2008-01-16
CN100567783C (zh) 2009-12-09
JP2008019960A (ja) 2008-01-31
KR20080006498A (ko) 2008-01-16
US7757711B2 (en) 2010-07-20
JP4253333B2 (ja) 2009-04-08
EP1879088A3 (en) 2009-10-21
US20080011362A1 (en) 2008-01-17
EP1879088A2 (en)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118B1 (ko) 유량 제어기
US20200147627A1 (en) Water outflow control assembly, shower head and shower head assembly method
JP2009115311A (ja) 弁要素内に軸方向の流れを有する流量制御閉鎖弁
TWI621815B (zh) Gas valve closed (2)
CN103423228A (zh) 流体压力缸
KR101516700B1 (ko) 유량 제어 장치
JPH01247876A (ja) スプール弁
CA3032880A1 (en) Valve
JP7214883B2 (ja) 電子膨張弁
KR20040002758A (ko) 정밀 조절 글로브 밸브
US10816099B2 (en) Spool valve
US6792965B2 (en) Shuttle valve assembly
JP4825242B2 (ja) 回転ダンパ
KR20150068083A (ko) 살수 패턴 조절이 가능한 유체 분사장치
JP2007170257A (ja) 多連スロットルボデーにおける燃料供給構造
EP2466176B1 (en) Switch device for water conduit valve
JP7440049B1 (ja) 流量制御弁
JP2008175281A (ja) 油圧制御装置
JP2003336754A (ja) 流体切換具
KR200303584Y1 (ko) 유체 조절용 볼밸브
JP2013019225A (ja) 切替弁
JPS6110136A (ja) 油圧機器の圧力調整装置
JP6526948B2 (ja) 静圧軸受付サーボ弁
CN110388481B (zh) 球阀
US20230022254A1 (en) Fluid pressure proportional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