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946B1 -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946B1
KR100948946B1 KR1020090101611A KR20090101611A KR100948946B1 KR 100948946 B1 KR100948946 B1 KR 100948946B1 KR 1020090101611 A KR1020090101611 A KR 1020090101611A KR 20090101611 A KR20090101611 A KR 20090101611A KR 100948946 B1 KR100948946 B1 KR 100948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pair
parking lot
bicycle park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석
백순봉
Original Assignee
(주)신기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기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기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10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이 발명의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일정 높이 및 길이를 갖는 지지대(110)와, 자전거의 양바퀴를 안착 고정한 상태로 자전거를 세워 보관하는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120)와,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은 지지대의 일정 높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자전거 주차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각 힌지결합부분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자전거 주차대를 수평상태로 승하강시키는 다수의 승하강장치(130), 및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에 보관될 자전거를 보호하는 커버(140)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자전거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람이 통행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더라도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관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자전거를 보관하는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를 개별 조립방식으로 결합하여 구성하므로, 분해조립이 간편하여 이전설치가 편리하고, 필요조건에 따라 증설 및 감축설계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Bicycle parking device}
이 발명은 자전거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람이 통행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더라도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이 증가하여 교통체증 및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근거리 이동시에는 자전거가 점차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자전거 운행에 따른 환경오염의 걱정이 없고 사용자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교통수단으로서, 도로공간 이용이 효율적이고 도로가 혼잡할 경우에도 개인의 이동성을 높여 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자전거의 생활화를 정부와 시민단체 등에서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의 하나로 전국에 자전거 도로망이 늘어나고 있고, 역이나 터미널, 백화점, 공공시설 및 아파트 단지와 같은 공용주거시설 등에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 한 자전거 주차대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분실방지 및 임시 보관이나 주차를 위하여 도로변이나 공공의 부지 등에 거치 프레임과 함께 기둥 및 지붕으로 구성되는 자전거 주차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주차시설의 주차장치는 건축물의 벽체나 도로변의 펜스에 인접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단부에 세워지는 기둥과, 고정된 기둥 사이에 자전거 앞바퀴를 고정할 수 있는 다수의 거치봉을 나란히 형성하여 구성하고, 도난방지를 위해 거치봉에 사용자가 임의로 쇠사슬 등을 묶어서 사용하거나 전용 자물쇠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차장치의 상부에는 차양판을 설치하여 자전거 주차시설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 주차시설은 지하철 역사나 공공장소 등과 같이 보행자의 통행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어 단거리 교통수단으로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자전거 보관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나, 자전거를 보관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는 통상적으로 보관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여유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자전거 주차시설은 비교적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소에서는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통행량이 많은 장소에서는 자전거 주차시설의 구조물과 자전거의 수평보관에 따라 보관되는 자전거가 돌출되어 넓은 주차면적을 차지하면서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자전거 보관대를 설치할 장소선택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인도에 자전거 주차장치가 설치된 경우에는 보행공간의 축소로 보행자의 보행이 어렵고, 인도 쪽으로 돌출된 주차장치 또는 주차된 자전거에 의하여 예 기치 않은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등의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전거 주차의 특징상, 사용자는 용무시간이 짧은 경우 주차시설에 주차하는 것이 번거롭고 기동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흔히 사용자는 좀 떨어진 곳에 주차공간이 있음에도 주차되어 있는 자전거 사이에 끼워 넣는 경우와 주차시설을 외면한 주위의 가로수 혹은 주위의 건축물에 쇠사슬로 묶어 주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한편, 상술한 자전거 주차장치에 자전거를 주차시키는 방법으로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거치대 위에 올려서 세운 다음 앞쪽으로 돌아 들어가서 거치대의 주차장치에 자물쇠를 채워야 한다. 그런데, 장소가 협소한 관계로 주위의 자전거를 넘어뜨리기도 하고, 타 자전거를 밀쳐서 공간을 확보해야만 하는 등 주차장치의 사용에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910008호(발명의 명칭 : 수직거치식 자전거 주차장치)에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자전거의 앞바퀴를 앞바퀴홀더에 삽입시켜 자전거를 기립시켜 수직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자전거 보관에 필요한 주차공간을 줄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 또한 자전거를 수직으로 세워 보관하더라도 앞바퀴에서 손잡이까지의 높이만큼은 인도 등의 도로변 쪽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람이 통행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더라도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관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자전거를 보관하는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를 개별 조립방식으로 결합하여 구성하므로, 분해조립이 간편하여 이전설치가 편리하고, 필요조건에 따라 증설 및 감축설계가 편리한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자전거도로 중에서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자전거도로의 상부공간을 주차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주차장의 하부공간을 우천시 비상대피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자전거를 지면에서 잠금 처리한 후 일정 높이 상승시켜 보관하므로 잠금 처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자전거 도난방지가 가능한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본인의 자전거만을 승하강시켜 보관하거나 출고함에 따라 보관 중인 여타 자전거와 충돌하거나 접촉할 염려가 전혀 없으므로 자전거의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 다.
이 발명의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일정 높이 및 길이를 갖는 지지대와, 자전거의 양바퀴를 안착 고정한 상태로 자전거를 세워 보관하는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와,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은 지지대의 일정 높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자전거 주차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각 힌지결합부분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자전거 주차대를 수평상태로 승하강시키는 다수의 승하강장치, 및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에 보관될 자전거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는 지지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자전거 주차대는 자전거의 양바퀴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주차판과, 주차판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자전거가 쓰러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자전거 앞바퀴를 고정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며, 잠금부재는 주차판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선회 및 좌우이동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잠금레버와, 한 쌍의 잠금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한 쌍의 잠금레버가 서로 간에 벌어지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 및 자전거 앞바퀴가 한 쌍의 잠금레버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어 한 쌍의 잠금레버의 일측에 맞물리거나 해제되는 한 쌍의 잠금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잠금레버는 일측으로 연장되어 자전거 앞바퀴가 접촉하면서 가압하면 잠금레버와 함께 선회하면서 한 쌍의 잠금레버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하는 연장바와, 한 쌍의 잠금레버 간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자전거 앞바퀴를 구속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잠금핀에 맞물렸다가 자전거 앞바퀴에 의해 연장바를 가압하는 힘이 한 번 더 가해지면 잠금핀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스토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승하강장치는 일측이 지지대의 일정 높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 브라켓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일측이 한 쌍의 링크부재의 한 쪽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한 쌍의 링크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자전거 주차대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압축실린더와, 제1 압축실린더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한 쌍의 링크부재의 타측에 선회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 연결편을 매개로 자전거 주차대의 주차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 및 양측이 한 쌍의 링크 연결편의 한 쪽과 연결 브라켓의 일측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자전거 주차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압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자전거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람이 통행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더라도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관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자전거를 보관하는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를 개별 조립방식으로 결합하여 구성하므로, 분해조립이 간편하여 이전설치가 편리하고, 필요조건에 따라 증설 및 감축설계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자전거도로 중에서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자전거도로의 상부공간을 주차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주차장의 하부공간을 우천시 비상대피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자전거를 지면에서 잠금 처리한 후 일정 높이 상승시켜 보관하므로 잠금 처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자전거 도난방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본인의 자전거만을 승하강시켜 보관하거나 출고함에 따라 보관 중인 여타 자전거와 충돌하거나 접촉할 염려가 전혀 없으므로 자전거의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대에 자전거가 주차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장치의 측면도로서, 자전거 주차 초기상태(도 3)와 완료상태(도 4)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 시된 자전거 주차장치의 완료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의 자전거 주차 초기상태에서 완료상태까지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대 및 그 승하강장치의 상세도 및 평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대의 잠금부재의 풀림 및 잠금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장치를 이용한 자전거 주차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100)는 지면에 고정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대(110)와, 자전거의 바퀴를 안착 고정한 상태로 자전거를 세워 보관하는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120)와, 일측은 지지대(110)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자전거 주차대(1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각 힌지결합부분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자전거 주차대(120)를 수평상태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130), 및 지지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120)에 보관될 자전거를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140)로 구성된다.
지지대(11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대(111)와, 한 쌍의 수직 지지대(111)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 지지대(112), 및 한 쌍의 수평 지지대(112)를 상하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되 일정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승하강장치(130) 및 자전거 주차대(120)를 지지하는 다수의 주차 지지대(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주차 지지대(113) 중에서 최외측에 위치하는 주차 지지대(113)의 한 쪽은 수직 지지대(111)에 근접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쪽은 조금 멀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120)를 지지대(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하기 위한 효율적으로 공간활용을 위해서다.
자전거 주차대(120)는 자전거의 양바퀴를 안착 고정한 상태로 자전거를 세워 보관하는 것으로서, 자전거의 양바퀴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고정홈(122)이 형성된 주차판(121)과, 주차판(121)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자전거가 쓰러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앞바퀴를 고정하는 잠금부재(1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주차판(121)의 하부에는 주차판(121)을 도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받침대(121a)가 설치된다.
잠금부재(123)는 주차판(121)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고정부(124)와, 고정부(124)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선회 및 좌우이동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잠금레버(125)와, 한 쌍의 잠금레버(125) 사이에 설치되어 한 쌍의 잠금레버(125)가 서로 간에 벌어지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126), 및 자전거 앞바퀴가 한 쌍의 잠금레버(125)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부(124)의 각각 고정되어 한 쌍의 잠금레버(125)의 일측에 맞물리는 한 쌍의 잠금핀(12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잠금레버(125)는 그 일측으로 연장되어 자전거 앞바퀴가 접촉하면서 가압하면 한 쌍의 잠금레버(125)가 좁혀지도록 하는 연장바(125a)와, 한 쌍의 잠금레버(125)가 좁혀지면서 자전거 앞바퀴를 구속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잠금핀(127)에 맞물리는 스토퍼홈(125b)을 각각 갖는다. 이때, 스토퍼홈(125b)은 자전거 앞바퀴에 의해 연장바(125a)를 가압하는 힘이 한 번 더 가해지면 잠금핀(127)과의 맞물림 이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승하강장치(130)는 자전거 주차대(120)를 승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일측이 주차 지지대(113)의 일정 높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 브라켓(132)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131)와, 일측이 한 쌍의 링크부재(131)의 한 쪽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압축실린더(133)와, 제1 압축실린더(133)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134)와, 한 쌍의 링크부재(131)의 타측에 선회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 연결편(135)을 매개로 자전거 주차대(120)의 주차판(121)의 하면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136), 및 양측이 한 쌍의 링크 연결편(135)의 한 쪽과 연결 브라켓(136)의 일측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 압축실린더(137)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링크부재(131)는 자전거 주차대(120)를 사람이 통행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더라도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주차 지지대(113)의 일정 높이에 지지 브라켓(132)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 압축실린더(133)는 초기에 외부에서 일정 힘이 가해지면 제1 압축실린더(133)에 대해 접혀진 상태의 한 쌍의 링크부재(131)를 링크구조의 메커니즘을 통해 펼쳐지도록 하거나, 펼쳐진 상태의 한 쌍의 링크부재(131)를 링크구조의 메커니즘을 통해 접히도록 하는 주요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2 압축실린더(137)는 자전거 주차대(120)에 보관되는 자전거의 하중에 의해 주차판(121)이 하부 쪽으로 꺾이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조 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 제2 압축실린더(133)는 스프링압과 공기압을 함께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자전거 주차대(120)를 서서히 승하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를 주차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자전거 주차대(120)의 주차판(121)의 고정홈(122)을 따라 자전거를 이동시킨다. 이렇게 이동하다가 자전거 앞바퀴가 한 쌍의 잠금레버(125)의 연장바(125a)를 동시에 밀면서 가압하면, 그 힘에 의해 벌려져 있던 한 쌍의 잠금레버(125)가 좁혀지면서 한 쌍의 잠금레버(125)에 의해 앞바퀴가 구속지점에 도달하면 한 쌍의 잠금레버(125)의 스토퍼홈(125b)에 한 쌍의 고정핀(127)이 맞물려(도 10 참조) 자전거 앞바퀴가 한 쌍의 잠금레버(125)의 의해 감긴다. 즉, 자전거 앞바퀴가 한 쌍의 잠금레버(125)의 의해 잠김에 따라, 자전거는 세워져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쓰러지거나 자전거 주차대(120)에서 이탈할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주차 지지대(113)의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134)를 당기면서 상부로 올리는 초기 힘을 가한다. 그러면, 제1 압축실린더(133)에 대해 접혀져 있던 한 쌍의 링크부재(135)가 링크구조의 메커니즘을 통해 순차적으로 펼쳐지면서 자전거 주차대(120)에 주차된 자전거를 점점 상부로 이송시킨다. 그러다가 한 쌍의 링크부재(131)가 완전히 펼쳐지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그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이렇게 보관하다가 자전거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주차 지지대(113)의 일측에 위치하는 손잡이(134)를 밀면서 하부로 내리는 초기 힘을 가한 다. 그러면, 제1 압축실린더(133)에 의해 펼쳐져 있던 한 쌍의 링크부재(135)가 링크구조의 메커니즘을 통해 순차적으로 접혀지면서 자전거 주차대(120)에 주차된 자전거를 점점 하부로 이송시킨다. 그러다가 한 쌍의 링크부재(131)가 제1 압축실린더(133)에 대해 완전히 접히고 주차판(121)의 받침대(121a)가 도로면에 닿으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출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자전거에 전진하는 힘을 가해 자전거 앞바퀴에 의해 연장바(125a)를 가압하는 힘이 한 번 더 가해지면 스토퍼홈(125b)으로부터 잠금핀(127)의 맞물림이 해제된다(도 9 참조). 그러면, 사용자는 자전거를 후진시켜 출고하면 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대에 자전거가 주차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장치의 측면도로서, 자전거 주차 초기상태(도 3)와 완료상태(도 4)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장치의 완료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자전거 주차 초기상태에서 완료상태까지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대 및 그 승하강장치의 상세도 및 평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대의 잠금부재의 풀림 및 잠금상태를 각각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주차장치를 이용한 자전거 주차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자전거 주차장치 110 : 지지대
120 : 자전거 주차대 130 : 승하강장치
140 : 커버

Claims (5)

  1. 바닥면에 고정되며 일정 높이 및 길이를 갖는 지지대와,
    자전거의 양바퀴를 안착 고정한 상태로 자전거를 세워 보관하는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은 상기 지지대의 일정 높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자전거 주차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각 힌지결합부분을 기준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자전거 주차대를 수평상태로 승하강시키는 다수의 승하강장치, 및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에 보관될 자전거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자전거 주차대는 자전거의 양바퀴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주차판과, 상기 주차판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자전거가 쓰러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자전거 앞바퀴를 고정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주차판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선회 및 좌우이동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잠금레버와, 상기 한 쌍의 잠금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한 쌍의 잠금레버가 서로 간에 벌어지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스프링, 및 자전거 앞바퀴가 상기 한 쌍의 잠금레버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잠금레버의 일측에 맞물리거나 해제되는 한 쌍의 잠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전거 주차대는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는 일측으로 연장되어 자전거 앞바퀴가 접촉하면서 가압하면 상기 잠금레버와 함께 선회하면서 상기 한 쌍의 잠금레버 간의 간격이 좁혀지도록 하는 연장바와, 상기 한 쌍의 잠금레버 간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자전거 앞바퀴를 구속하는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잠금핀에 맞물렸다가 자전거 앞바퀴에 의해 상기 연장바를 가압하는 힘이 한 번 더 가해지면 상기 잠금핀과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스토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일측이 상기 지지대의 일정 높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 브라켓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의 한 쪽에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자전거 주차대를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압축실린더와, 상기 제1 압축실린더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의 타측에 선회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 연결편을 매개로 상기 자전거 주차대의 주차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연결 브라켓, 및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링크 연결편의 한 쪽과 상기 연결 브라켓의 일측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자전거 주차대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압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KR1020090101611A 2009-10-26 2009-10-26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KR100948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611A KR100948946B1 (ko) 2009-10-26 2009-10-26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611A KR100948946B1 (ko) 2009-10-26 2009-10-26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946B1 true KR100948946B1 (ko) 2010-03-25

Family

ID=4218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611A KR100948946B1 (ko) 2009-10-26 2009-10-26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9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802A (zh) * 2018-01-24 2018-06-15 深圳市海派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自行车存放装置
CN109204620A (zh) * 2018-11-07 2019-01-15 河北工业大学 一种基于露天汽车车位的自行车停放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3981A (ja) * 1990-03-22 1991-12-05 Noguchi Seisakusho:Kk 駐輪装置
KR200445580Y1 (ko) * 2009-03-03 2009-08-14 서형건설산업 주식회사 자전거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3981A (ja) * 1990-03-22 1991-12-05 Noguchi Seisakusho:Kk 駐輪装置
KR200445580Y1 (ko) * 2009-03-03 2009-08-14 서형건설산업 주식회사 자전거 주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802A (zh) * 2018-01-24 2018-06-15 深圳市海派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自行车存放装置
CN109204620A (zh) * 2018-11-07 2019-01-15 河北工业大学 一种基于露天汽车车位的自行车停放装置
CN109204620B (zh) * 2018-11-07 2023-10-13 河北工业大学 一种基于露天汽车车位的自行车停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713B1 (ko) 자전거 주차대
JP4303306B1 (ja) 自転車駐輪装置
KR101003831B1 (ko) 자전거를 수직으로 주차시키는 개인 보관함
KR101255695B1 (ko) 자전거 2중 거치장치
KR100948946B1 (ko) 공간 활용형 자전거 주차장치
CN106476934A (zh) 自行车双层存放库
KR100976608B1 (ko) 직립형 자전거 주차장치
WO2006042459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pour le stationnement des bicyclettes
CN106741321A (zh) 一种可使用市民卡的公共自行车租赁装置
KR20120000620A (ko) 자전거 주차용 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주차장치
JPH06219355A (ja) 自転車駐輪機
CN212724361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临时交通灯
CN206680149U (zh) 一种网络通信施工登高装置
CN206466065U (zh) 一种可使用市民卡的公共自行车租赁装置
CN209025543U (zh) 一种市政园林施工用快装防护装置
KR20120026281A (ko) 자전거 잠금용 거치대
CN206625470U (zh) 一种用于楼梯改造可调节倾角的坡道装置
CN211547484U (zh) 一种修路施工用反光警示路锥
CN211898013U (zh) 一种安全围栏
CN112727177A (zh) 一种共享单车库设备及存取方法与运行管理方法
EP2872694B1 (en) Mobile bridge and method for erecting such a mobile bridge
KR20040065446A (ko) 노변용 2단 주차장치
CN206800247U (zh) 一种可移动的led警示灯
KR20110034955A (ko) 자전거 보관대
CN211252592U (zh) 一种轨道交通检测用行走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