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390B1 -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8390B1 KR100948390B1 KR1020090122323A KR20090122323A KR100948390B1 KR 100948390 B1 KR100948390 B1 KR 100948390B1 KR 1020090122323 A KR1020090122323 A KR 1020090122323A KR 20090122323 A KR20090122323 A KR 20090122323A KR 100948390 B1 KR100948390 B1 KR 1009483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unit
- ignition signal
- ignition
- guided weap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5/00—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 F42C15/40—Arming-means in fuzes; Safety means for preventing premature detonation of fuzes or charges wherein the safety or arming action is effected electric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42—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the launching apparatus being used also as a transport container for the rock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3/00—Rocket or torpedo launchers
- F41F3/04—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 F41F3/045—Rocket or torpedo launchers for rockets adapted to be carried and used by a person, e.g. bazook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007—Preparatory measures taken before the launching of the guided missi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8—Primers; Detonators
- F42C19/0819—Primers or igniters for the initiation of rocket motors, i.e. pyrotechnical aspec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oys (AREA)
Abstract
발사관에 삽입된 유도무기를 사출하기 위한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전원부와,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제1 전기적 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제1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가이드부와, 유도무기가 발사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라운드(GND,접지)와 신호 가이드부가 연결되며, 유도무기가 발사관에서 이탈되면 그라운드와 신호 가이드의 연결이 해제되는 착탈 연결부와, 제1 점화신호를 입력받아 유도무기에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유도무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추진기관을 점화시키는 제2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신호 발생부와, 신호 가이드부에서 출력되는 제1 점화신호와 전원부에서 제공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점화신호 발생부로 제1 점화신호를 전달하는 릴레이부 및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제2 전기적 신호가 릴레이부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화신호 발생부, 릴레이, 유도무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병용 중거리 유도무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전자적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무기 시스템에서의 유도무기 사출은 신관에서 유도탄이 분리(유도탄 발사 또는 사출모터(1단 추진체)의 점화)됨을 확인하고 점화펄스를 발생시켜 추진기관(2단 추진체)를 점화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신관에서 유도탄이 사출되었음을 확인하는 알고리즘은 유도탄이 장착 되어있을 때는 그라운드와 연결시켜 단락(short)상태를 유지하고(접지), 유도탄이 이탈 되었을 때는 개방(open)상태가 되어 발생되는 ARM1 신호를 이용한다. 하지만 그라운드나 여기에 관여된 스위치, 유도탄과 그라운드를 연결시켜 주는 착탈 연결기 등에 문제가 생긴다면 원치 않게 추진기관이 점화될 것이고 이는 위험한 상황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유도탄에는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없어 유도탄 점검 시에 여러 가지 위험 요소가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 국내 및 서방 국가에서 개발된 대부분의 유도탄 발사 장치는 유도탄의 추진기관을 점화하여 발생하는 추력을 이용하여 발사대로부터 유도탄을 이탈시키는 방식으로 개발되어 옴에 따라, 유도탄 발사 시 또는 신관 점검 시에 사출 통제자의 실수 또는 유도탄의 각종 구성품의 장애에 의해 의도치 않게 유도탄이 사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도무기에 존재하는 추진기관을 점화하기 위한 신관을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되 신관에 유도무기 사출을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전원 제어부가 별도로 구비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구동 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압 데이터를 사출 통제자가 모니터링하여 유도무기의 사출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발사관에 삽입된 유도무기를 사출하기 위한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는,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전원부와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제1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되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면 제1 점화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신호 가이드부와, 유도무기가 상기 발사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라운드(GND,GROUND)와 상기 신호 가이드부가 연결되고, 상기 유도무기가 상기 발사관에서 이탈되면 상기 그라운드와 상기 신호 가이드부의 연결이 끊어지도록 구비되는 착탈 연결부와, 상기 제1 점화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유도무기에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유도무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추진기관을 점화시키는 제2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신호 발생부와, 상기 신호 가이드부에서 출력되는 제1 점화신호와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신호 발생부로 상기 제1 점화신호를 전달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제2 전기적 신호가 상기 릴레이부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Relay Controller)를 포함한다.
여기서, 릴레이부는 상기 제1 점화신호가 입력되는 제1 포트와,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 포트 및 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전기적 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연결되는 포트가 결정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상기 릴레이부에 인가하는 전원 스퀴브신호 인가부 및 상기 점화신호 발생부의 작동상태 점검을 위해 상기 점화신호 발생부가 상기 제2 점화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점검신호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화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점화신호를 입력받은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때에 상기 제2 점화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제2 전기적 신호의 전압 데이터를 상기 유도무기의 사출 통제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원격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발사관에 삽 입된 유도무기를 사출하기 위한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은, (a)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전원부에서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b) 상기 유도무기를 상기 발사관에서 사출하기 위한 사출신호를 인가하는 단계와, (c) 상기 사출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유도무기가 상기 발사관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제1 전기적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에서 제1 전기적 신호의 입력이 중단됨에 따라 제1 점화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생성된 제1 점화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유도무기에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도무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추진기관에 제2 점화신호가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e)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출력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점화신호가 발생시켜 상기 추진기관에 상기 제2 점화신호가 공급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a)단계 이후에, (a1) 상기 제2 전기적 신호의 전압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유도무기의 사출 통제자가 모니터할 수 있도록 원격 전송하는 단계가 실행되고 상기 (b)단계가 실행되는 것도 좋다.
또한, 상기 (e)단계는 상기 제1 점화신호를 입력받은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때에 상기 제2 점화신호가 상기 추진기관에 공급되는 것이 더욱 좋을 것이다.
본 명세서를 통해 기재되는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 제어방법은, 유도무기의 추진기관이 연결된 상태에서 각 유도무기의 구성부품을 검사하는 도중 또는 보관시에 기타 구성품(착탈 연결기, 스위치 등)의 불량으로 원치 않는 신관 점화신호가 발생되어 유도무기가 사출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도무기를 사출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압 데이터를 사출 통제자가 모니터링하여 유도무기의 사출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유도무기의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우선적으로 종래의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에서 유도무기를 사출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 개기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초가 제공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도무기는 발사관으로부터 사출되어 어떤 목표지점에 도달하는 비행체를 의미하는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유도탄으로 설명되고 있음에 유의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도무기 사출 제어장치가 구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도무기 사출 제어장치(10)는 착탈 연결부(11), 열전지(12), 옵토 커플러(13), 신관(14) 및 추진기관(15)으로 이루어진다.
착탈 연결부(11)는 그라운드(7)에 접지되는 일단과 후술할 옵토 커플러(13)에 연결되는 타단을 구비하며, 유도무기(유도탄)가 발사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도록 스위치가 온(on) 상태에 있으며, 유도탄이 발사관을 이탈하게 되면 스위치는 오프(off) 상태에 된다.
착탈 연결부(11)는 일반적으로 착탈 연결기라는 용어로 사용되며 이러한 용어는 본 명세서서 착탈 연결부(11)를 지칭하는 용어로 혼용될 것이다.
열전지(12)는 유도탄이 발사관을 이탈하면 후술할 옵토 커플러(13)에 의해 신관(14)에 전달되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옵토 커플러(13)는 상술한 착탈 연결부(11)의 타단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열전지(12)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이 전기적 신호를 상술한 그라운드(8)로 흘려보내거나, 신관(14)으로 전달되는 신호로 사용되도록 분기하는 수단이다.
신관(14)은 옵토 커플러(13)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유도탄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기관(15)을 점화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유도무기 사출 제어장치(10)를 이용하여 유도탄을 사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탄은 착탈 연결기(11)를 통해 그라운드(8)와 연결되어 있다. 유도탄은 정상(normal) 상태에서는 착탈연결기(11)를 통해 그라운드(8)와 연결되어 단락(short)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열전지(12)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는 모두 상기 그라운드(8)로 흘러가므로 옵토 커플러(13)를 통해 신관(14)에 보내지는 신호는 없다.
다음으로, 유도탄이 사출되는 경우에는 사출모터(1단 추진체, 6)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출모터 기폭 스위치가 눌려지면, 유도탄은 발사관으로부터 분리되어 착탈 연결기(11)가 끊어진다. 이러한 상태는 개방(open) 상태를 만들므로, 열전지(12)에서 옵토 커플러(13)에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되면 옵토 커플러(13)는 동작으로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옵토 커플러(13)는 신관(14)으로 하이(high)신호를 전송한다. 즉, 여기서 사용되는 옵토 커플러(13)는 전기적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작동하고 전기적 신호의 공급이 중단되면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으로 작동 중에는 신관(14)으로 로우(low)신호를 전송하고 작동이 멈춰지면 신관(15)으로 하이(high)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인버팅(inverting) 기능이 있는 옵토 커플러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점화신호는 신관(14)에 전송되는 하이(high)신호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ARM1 신호로 지칭될 것이다. ARM1 신호는 유도탄 내부의 케이블을 통해 신관(14)에 전달된다. 신관(14)에서는 ARM1 신호를 전달받으면 약 350ms후에 추진기관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펄스를 발생시켜 추진기관(2단 추진체, 15)를 기폭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도무기 사출 제어장치(10)는 발사관에 삽입된 유도탄의 점검을 위해서 외부의 전원을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만일 착탈 연결기(11)에 이상이 발생하여 그라운드(8)와의 연결이 끊어진다면 유도탄이 그대로 사출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20) 착탈 연결부(21), 전원부(22), 신호 가이드부(23), 점화신호 발생부(24), 전원 제어부(26) 및 릴레이부(50)를 포함한다.
착탈 연결부(21), 신호 가이드부(23) 및 점화신호 발생부(24)에 대한 설명은 종래의 사출 제어장치(10)에서 설명한 착탈 연결부(11), 옵토 커플러(13) 및 신관(14)에 각 대응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전원부(22)는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기적 신호는 신호 가이드부(23)로 전송되며, 상기 제2 전기적 신호는 후술할 전원 제어부(26)의 제어명령에 의해 점화신호 발생부(24)에 제공된다.
본 명세서를 통해 사용되는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는 통상 전압 신호로 서로 다른 전압을 갖는 신호이므로 제1 및 제2 전기적 신호로 구분하여 지칭한다.
신호 가이드부(23)에는 유도탄이 발사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부(22)에서 제1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며, 유도탄이 발사관을 이탈하여 사출되면 제1 전기적 신호의 공급이 중단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점화신호(하이(high)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신호 가이드부(23)가 점화신호 발생부(24)로 전송하는 상기 하이(high)신호를 ARM1 신호라 지칭한 바 있음에 유의할 것이다.
릴레이(relay)부(50)는 ARM1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점화신호 발생부(24)에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가이드부(23)와 점화신호 발생부(24)는 기본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데 보다 정확히는 릴레이부(50)의 구성이 전기적 스위칭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즉 릴레이부(50)는 전원 제어부(26)가 제2 전기적 신호를 입가하도록 제어하는지 여부에 따라 ARM1신호 점화신호 발생부(24)에 전달되거나 또는 전달되지 않도록 온/오프 스위칭 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원 제어부(26)는 전원부(22)에서 출력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여 신호 가이드부(23)에서 출력되는 ARM1 신호가 점화신호 발생부(24)에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원 제어부(26)는 전원부(22)에서 공급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상기 신호 가이드부(23)와 점화신호 발생부(24)사이의 릴레이부(50)에 흘리게 된다. 이렇게 제2 전기적 신호가 릴레이부(50)에 인가되면, 릴레이부(50)는 ARM1 신호가 점화신호 발생부(24)에 전달되도록 스위칭 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 가이드부(23)에서 출력되는 ARM1 신호가 점화신호 발생부(24)로 전송될 수 있는 것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는 착탈 연결부(21), 전원부(22), 신호 가이드부(23), 점화신호 발생부(24), 전원 제어부(26), 송신부(27), 전원 스퀴브(squib)신호 인가부(28) 및 점검신호 인가부(29)를 포함한다.
착탈 연결부(21), 전원부(22), 신호 가이드부(23), 점화신호 발생부(24), 전원 제어부(26)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원 스퀴브 신호 인가부(28)는 전원부(22)에서 제2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가이드부(23)에서 생성되는 제1 점화신호(ARM1 신호)다 점화신호 발생부(24)로 전달되게 한다.
점검신호 인가부(29)는 점화신호 발생부(24)의 작동상태 점검을 위한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상기 점화신호 발생부(24)에서 제2 점화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 신호는 열전지(30)에서 출력되는 제1 전기적 신호와 제2 전기적 신호의 전압과는 다른 전압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1 전기적 신호는 5V 전압, 제2 전기적 신호는 12V 전압이고 점검신호 인가부(29)를 통해 인가되는 전기적 에너지는 15V 전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신관(24)이 제2 점화신호(ARM2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압에 결정되는 것으로, 신관(24)이 제2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면, 열전지에서 출력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점검신호 인가부(29)는 상술한 전원 스퀴브 신호 인가부(28)에 의한 제2 전기적 신호의 이동 경로가 최종적으로는 그라운드(GND)인 것과는 달리 점검신호 인가부(29)에서 인가되는 전기적 에너지는 직접 점화신호 발생부(24)에 연결된다.
송신부(27)는 전원 스퀴브 신호 인가부(28)에 의해 전원부(22)에서 출력되는 제2 전기적 신호의 전압 데이터를 사출 통제자에게 송신하여 사출 통제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사출 통제자는 제2 전기적 신호의 전압 데이터가 정상범위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유도탄을 사출시키는 사출모터의 조작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가 구동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는 착탈 연결부(21), 옵토 커플러(23), 신관(24), 전원 제어부(26), 원격 송신부(27), 전원 스퀴브(squib)신호 인가부(도 3의 28참조), 점검신호 인가부(도 3의 29참조) 및 릴레이부(50)를 포함한다.
먼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의 사출과정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전원 스퀴브신호 인가부(28)에서 전원 스퀴브 신호가 인가되면 열전지(30)에 서 제2 전기적 신호가 출력된다. 출력된 제2 전기적 신호는 옵토 커플러(23)와 신관(24) 사이에 위치한 릴레이부(50)에 공급된다.
릴레이부(50)는 ARM1 신호가 인가되는 제1 포트(51), 그라운드(41)와 연결된 제2 포트(52), 온/오프 스위치(53) 및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코일(43)을 포함한다. 유도무기를 사출하기 위해 제2 전기적 신호가 릴레이부(50)에 공급되면 코일(43)에 의한 전자기적 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2 포트(52)에 연결되어 오프 상태에 있던 스위치(53)는 코일(43)에 의해 제2 포트(52)에서 이탈되어 제1 포트(51)에 접속된다. 이제, ARM1신호가 신관(24)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던 오프 상태가 해제되고 온 상태로 전환되어 옵토 커플러(23)를 통해 신관(24)으로 ARM1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아직 옵토 커플러(23)에서 전송되는 ARM1 신호가 없으므로 신관(24)에 ARM1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열전지(30)에서 출력된 제2 전기적 신호의 전압 데이터는 원격 송신기(27)에 의해 사출 통제자에게 전송된다. 사출 통제자는 전압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전압 데이터에 이상이 없는 유도탄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유도탄을 사출시키는 사출모터(6)를 기폭시킨다. 사출모터(6)가 기폭되면 유도탄은 발사관에서 이탈하게 되며 이에 따라 착탈 연결부(21)에서 그라운드(8)와 옵토 커플러(23)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제, 옵토 커플러(23)에 연결된 그라운드(8)로 빠져나가던 열전지(30)에서 출력되는 5V의 제1 전기적 신호는 착탈 연결부(21)가 그라운드(8)와 연결이 끊어짐 에 따라 더 이상 옵토 커플러(23)에 공급되지 않는다.
옵토 커플러(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지(30)로부터 제1 전기적 신호의 공급이 중단되면 하이(high)신호(ARM1 신호)를 신관(24)으로 출력한다.
신관(24)과 옵토 커플러(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기적 신호에 의해 통전 가능한 상태에 있어 ARM1 신호는 신관(24)에 전달된다.
신관(24)은 ARM1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약 350ms의 시간이 경과한 후 추진기관(25)을 점화시키기 위한 ARM2 신호를 출력한다. 신관(24)은 약 350ms 경과 후에 ARM2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신관(24)이 ARM1 신호를 입력받고 ARM2 신호를 출력하기까지의 시간은 그 시간의 길이를 다양하게 하여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ARM2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유도탄의 신관 점검과정에 대한 설명을 개시한다.
전원 제어부(26)에 구비되는 점검신호 생성부(29)는 열전지(30)로부터 제3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신관(14)에 공급한다. 제3 전기적 신호는 신관을 구동하기에 적절한 크기의 전압을 사용한다. 신관(24)은 제3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ARM2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신관 점검을 수행하면 착탈 연결기(21)의 오작동이나 유도탄의 다른 구성품들의 장애로 인해 옵토 커플러(23)가 ARM1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도탄이 사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 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은 유도탄의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S10), 전원 스퀴브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20), 사출모터를 이용하여 사출신호를 유도탄에 인가하는 단계(S30), ARM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40), ARM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50) 및 추진기관을 점화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은 외부 전원을 인가하여 유도탄의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S10), 유도탄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는 단계(S15), 전원 스퀴브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S20), 열전지에서 출력되는 전압 데이터를 사출 통제자에게 원격 송신하는 단계(S25), 전압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전압의 이상 유무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S27), 사출모터를 이용하여 사출신호를 유도탄에 인가하는 단계(S30), ARM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40), ARM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50) 및 추진기관을 점화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명세서 기재의 간략화를 위해 그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사상적 범주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도무기 사출 제어장치가 구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착탈 연결부 22:전원부
23:옵토 커플러 24:신관
25:추진기관 26:전원 제어부
Claims (9)
- 발사관에 삽입된 유도무기를 사출하기 위한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에 있어서,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전원부;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제1 전기적 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제1 점화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가이드부;상기 유도무기가 상기 발사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라운드(GND,접지)와 상기 신호 가이드부가 연결되며, 상기 유도무기가 상기 발사관에서 이탈되면 상기 그라운드와 상기 신호 가이드의 연결이 해제되는 착탈 연결부;상기 제1 점화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유도무기에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유도무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추진기관을 점화시키는 제2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점화신호 발생부;상기 신호 가이드부에서 출력되는 제1 점화신호와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점화신호 발생부로 상기 제1 점화신호를 전달하는 릴레이부; 및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제2 전기적 신호가 상기 릴레이부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power Controller)를 포함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부는상기 제1 점화신호가 입력되는 제1 포트;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 포트; 및상기 제1 포트와 제2 포트 중 어느 하나의 포트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전기적 신호의 입력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연결되는 포트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제공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상기 릴레이부에 인가하는 전원 스퀴브신호 인가부; 및상기 점화신호 발생부의 작동상태 점검을 위해 상기 점화신호 발생부가 상기 제2 점화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점검신호 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점화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1 점화신호를 입력받은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때에 상기 제2 점화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제2 전기적 신호의 전압 데이터를 상기 유도무기의 사출 통제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원격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 발사관에 삽입된 유도무기를 사출하기 위한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에 있어서,(a)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전원부에서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b) 상기 유도무기를 상기 발사관에서 사출하기 위한 사출신호를 인가하는 단계;(c) 상기 사출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유도무기가 상기 발사관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제1 전기적 신호의 입력이 중단되는 단계;(d) 상기 (c)단계에서 제1 전기적 신호의 입력이 중단됨에 따라 제1 점화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및(e) 상기 (d)단계에서 생성된 제1 점화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유도무기에 추진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유도무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추진기관에 제2 점화신호가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상기 (a)단계에서 출력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점화신호가 발생시켜 상기 추진기관에 상기 제2 점화신호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에,(a1) 상기 제2 전기적 신호의 전압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유도무기의 사출 통제자가 모니터할 수 있도록 원격 전송하는 단계가 실행되고 상기 (b)단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상기 제1 점화신호를 입력받은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때에 상기 제2 점화신호가 상기 추진기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2323A KR100948390B1 (ko) | 2009-12-10 | 2009-12-10 |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US12/956,821 US20110138992A1 (en) | 2009-12-10 | 2010-11-30 | Controlling apparatus for ejecting guided missile and method thereof |
JP2010270434A JP2011122816A (ja) | 2009-12-10 | 2010-12-03 | 誘導武器の射出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
CN2010105776218A CN102095336A (zh) | 2009-12-10 | 2010-12-07 | 用于弹射导弹的控制设备及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2323A KR100948390B1 (ko) | 2009-12-10 | 2009-12-10 |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48390B1 true KR100948390B1 (ko) | 2010-03-19 |
Family
ID=4218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2323A KR100948390B1 (ko) | 2009-12-10 | 2009-12-10 |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138992A1 (ko) |
JP (1) | JP2011122816A (ko) |
KR (1) | KR100948390B1 (ko) |
CN (1) | CN102095336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993B1 (ko) | 2010-05-18 | 2013-04-17 | 국방과학연구소 | 열전지 상태 확인 및 출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KR101292153B1 (ko) * | 2011-11-25 | 2013-08-09 | 국방과학연구소 | 신관용 전원저장장치 및 기폭장치 회로 |
KR101325596B1 (ko) * | 2013-08-27 | 2013-11-06 | 국방과학연구소 | 하이브리드 착화안전회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도무기발사 안전강화 방법 |
KR101389395B1 (ko) * | 2012-11-12 | 2014-05-30 | 국방과학연구소 |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 |
KR101968326B1 (ko) | 2018-07-11 | 2019-04-11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유도비행체 사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57420B (zh) * | 2013-09-24 | 2016-08-17 | 上海机电工程研究所 | 导弹安全发射系统的发射方法 |
CN107747891A (zh) * | 2017-11-22 | 2018-03-02 | 中国工程物理研究院电子工程研究所 | 一种多电压体制控制全电子引信测试仪及其测试方法 |
CN111578779A (zh) * | 2020-06-12 | 2020-08-25 | 孙宏宇 | 一种导弹发射火工品保险控制装置及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18420A (en) | 1959-07-16 | 1962-01-23 | Bosch Arma Corp | Time delay circuit |
US3027492A (en) | 1959-12-29 | 1962-03-27 | Vita Alphonse J De | Delay circuit |
JPH08207898A (ja) * | 1995-02-07 | 1996-08-13 | Fujitsu Ltd | 飛翔体および射出装置 |
JPH08240397A (ja) * | 1994-11-15 | 1996-09-17 | Hughes Aircraft Co | ミサイルランチャーのミサイル発射安全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ミサイル発射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45596A (en) * | 1954-02-10 | 1962-07-24 | Randolph S Rae | Guided missile |
US3728936A (en) * | 1964-12-03 | 1973-04-24 | Us Navy | Arming and safing device |
US4455916A (en) * | 1982-02-22 | 1984-06-26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 Armament shorting arrangement |
JPS59103098U (ja) * | 1982-12-28 | 1984-07-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飛しよう体 |
JP2859406B2 (ja) * | 1990-09-14 | 1999-02-17 | 富士通株式会社 | 射出型電子装置射出装置とその信号伝達方法 |
JP2595374B2 (ja) * | 1990-09-14 | 1997-04-02 | 富士通株式会社 | 射出型電子装置の射出方法および射出装置 |
US5647558A (en) * | 1995-02-14 | 1997-07-15 | Bofors Ab |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al thrust trajectory correction of a ballistic projectile |
JPH09229593A (ja) * | 1996-02-20 | 1997-09-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飛しょう体発射装置 |
DE19648609A1 (de) * | 1996-11-14 | 1998-05-20 | Bodenseewerk Geraetetech | Verriegelungs-Baugruppe bei einem Startgerät für Flugkörper |
US5936188A (en) * | 1997-12-02 | 1999-08-10 | Raytheon Company | Missile with a safe rocket ignition system |
US6345784B1 (en) * | 1999-11-26 | 2002-02-12 | Tadiran Spectralink Ltd | System and method for munition impact assessment |
US6474592B1 (en) * | 2001-05-25 | 2002-11-05 | Tadiran Spectralink Ltd. | System and method for munition impact assessment |
US20050023409A1 (en) * | 2003-07-28 | 2005-02-03 | Moshe Shnaps | System and method for munition impact assessment |
WO2008112012A2 (en) * | 2006-10-04 | 2008-09-18 | Raytheon Company | Supercapacitor power supply |
US7647857B2 (en) * | 2007-07-03 | 2010-01-19 | Lockheed Martin Corporation | Electro magnetic restraint mechanism |
-
2009
- 2009-12-10 KR KR1020090122323A patent/KR1009483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
- 2010-11-30 US US12/956,821 patent/US2011013899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12-03 JP JP2010270434A patent/JP2011122816A/ja active Pending
- 2010-12-07 CN CN2010105776218A patent/CN102095336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18420A (en) | 1959-07-16 | 1962-01-23 | Bosch Arma Corp | Time delay circuit |
US3027492A (en) | 1959-12-29 | 1962-03-27 | Vita Alphonse J De | Delay circuit |
JPH08240397A (ja) * | 1994-11-15 | 1996-09-17 | Hughes Aircraft Co | ミサイルランチャーのミサイル発射安全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ミサイル発射システム |
JPH08207898A (ja) * | 1995-02-07 | 1996-08-13 | Fujitsu Ltd | 飛翔体および射出装置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993B1 (ko) | 2010-05-18 | 2013-04-17 | 국방과학연구소 | 열전지 상태 확인 및 출력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KR101292153B1 (ko) * | 2011-11-25 | 2013-08-09 | 국방과학연구소 | 신관용 전원저장장치 및 기폭장치 회로 |
KR101389395B1 (ko) * | 2012-11-12 | 2014-05-30 | 국방과학연구소 |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 |
KR101325596B1 (ko) * | 2013-08-27 | 2013-11-06 | 국방과학연구소 | 하이브리드 착화안전회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도무기발사 안전강화 방법 |
KR101968326B1 (ko) | 2018-07-11 | 2019-04-11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유도비행체 사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1122816A (ja) | 2011-06-23 |
US20110138992A1 (en) | 2011-06-16 |
CN102095336A (zh) | 2011-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48390B1 (ko) |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
AU2012356548B2 (en) | System for trigger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tonator assemblies | |
US1019761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arm and fire devices | |
US9250051B1 (en) | Squib initiation sequencer | |
US9127918B2 (en) | Distributed ordnance system, multiple stage ordnance system, and related methods | |
JP6696054B2 (ja) | ストア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KR101551703B1 (ko) | 모의된 실제 특성을 이용한 유도탄 발사절차 점검 시스템 | |
US10260851B2 (en) | System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electronic detonator | |
CN110440642B (zh) | 一种靶弹测发控系统 | |
EP1880162B1 (en) | Power management of blasting lead-in system | |
US9915207B2 (en) | Ignition unit for turbojet engine | |
KR101213974B1 (ko) | 전기식 기폭관용 기폭장치, 이를 구비하는 폭파장치 및 전기식 기폭관의 기폭방법 | |
US10451007B1 (en) | Enhanced operability dual mode ramjet and scramjet engine ignition system | |
DE102013204273B3 (de) | Feuerwerkskörper-Abschusssystem und Feuerwerkskörper-Abschussverfahren | |
CN110442057A (zh) | 一种灭火航弹的延时引爆控制系统及控制方法 | |
KR102225852B1 (ko) | 드론용 전자식 안전장전장치 및 제어방법 | |
US6439097B1 (en) | Missile launcher with piezoelectric launcher pulse power source and inductive launcher/missile coupling | |
KR101528903B1 (ko) | 시간 지연을 이용한 비행체 분리 제어 장치 | |
KR102168914B1 (ko) | 수중발사체의 안전스위치 | |
KR101957745B1 (ko) | 광통신을 이용한 원격 탄두 기폭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
JP5121064B2 (ja) | 起爆システム | |
RU2240495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программирования дистанционных взрывателей снарядов реактивных систем залпового огня | |
KR101325596B1 (ko) | 하이브리드 착화안전회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도무기발사 안전강화 방법 | |
RU2669947C2 (ru) |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уском и взрывом реактивного снаряда | |
RU2343399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моликвидации ракет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