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395B1 -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395B1
KR101389395B1 KR1020120127204A KR20120127204A KR101389395B1 KR 101389395 B1 KR101389395 B1 KR 101389395B1 KR 1020120127204 A KR1020120127204 A KR 1020120127204A KR 20120127204 A KR20120127204 A KR 20120127204A KR 101389395 B1 KR101389395 B1 KR 10138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auxiliary power
main power
thermocoupl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
이환석
김균회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20127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송수신 장치의 보조 파워 서플라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원격 송수신 장치에서 주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자체 스큅 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에 보조전원의 공급을 제공하는 보조 파워 서플라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송수신 장치에서 주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자체 스큅 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에 보조전원의 공급을 제공하는 보조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Auxiliary Power Supply and Method using thermal battery module with the self squib function in a remote transmitter/receiver device}
본 발명은 원격 송수신 장치의 보조 파워 서플라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원격 송수신 장치에서 주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자체 스큅 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에 보조전원의 공급을 제공하는 보조 파워 서플라이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송수신 장치에서 주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자체 스큅 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에 보조전원의 공급을 제공하는 보조 파워 공급 방법에 대한 것이다.
원격송수신장치의 주 전원의 공급이 중단시 빠른 시간내에 보조전원의 공급이 되어야 지상장비들과 송수신 통신을 지속할 수 있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은 유도무기 내 원격송수신장치의 외부 전원구성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송수신장치(110), 주전원(120), 보조전원(130), 사통(140), 충전 및 ON/OFF 회로(141) 등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보조전원(130)은 납축전지가 사용된다. 탑재된 납축전지의 내관 및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2에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측은 납축전지의 외관을 보여주고, 우측은 납축전지의 내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종래의 경우, 납축전지를 탑재하여 보조전원으로 사용하였으나 설치공간을 상대적으로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도무기 발사전에 지상충전장비로 납축전지를 충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11-0126976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유도무기 내 보조전원의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전원 공급용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무기 발사전에 지상충전장비로 충전해야 하는 불편을 줄인 전원 공급용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유도 무기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장비를 이용한 충전이 필요없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 파워 서플라이는, 주전원; 상기 주전원을 보조하며 열전지를 갖는 보조 전원; 상기 주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원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스큅 회로; 및 상기 주전원 또는 보조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원격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전원의 전원공급 중단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보조전원의 전원공급이 안정화될 때까지 상기 원격송수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캐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큅 회로는, 상기 주전원 인가후, 상기 주전원의 정상 동작 또는 비정상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초기에 상기 주전원으로부터의 전하를 저장하는 다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수단은 전압 제어 릴레이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큅 회로는, 상기 주전원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에 초기에 저장된 전하들로 구성된 방전전류로 상기 열전지를 착화시키는 스큅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셰이핑 및 클리핑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스 셰이핑 및 클리핑 회로는,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 중 제 1 캐패시터에 의한 방전전압을 저항, 상기 제 2 캐패시터, 및 열전지 스큅저항의 결합을 이용하여 펄스 형태의 셰이핑 전압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스 셰이핑 및 클리핑 회로는, 상기 셰이핑 전압을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클립핑하여 상기 스큅 신호를 구형파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지 스큅 저항은 1옴이며, 상기 스큅 신호는 상기 셰이핑 전압의 파형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지 스큅 저항은 상기 열전지의 내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는, 보조 전원이 주전원을 보조하며 주전원 인가후 다수의 캐패시터를 충전하고 주전원을 감시하는 충전 및 감시 단계; 상기 주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지를 감지하는 주전원 비정상 감지 단계; 중단이 감지되면, 상기 다수의 커패시터가 방전되며, 스큅 회로가 스큅 신호를 생성하는 스큅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스큅 신호에 따라 열전지 전압을 생성하는 열전지 전압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외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전원의 전원공급 중단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보조전원의 전원공급이 안정화될 때까지 상기 원격송수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큅 회로는, 상기 주전원 인가후, 상기 주전원의 정상 동작 또는 비정상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초기에 상기 주전원으로부터의 전하를 저장하는 다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 수단은 전압 제어 릴레이 방식을 이용하며, 전압 제어 릴레이의 동작에 따라 다수의 캐패시터 중 일부의 초기 방전 패쓰(path)를 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큅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스큅 회로가, 상기 주전원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에 초기에 저장된 전하들로 구성된 방전전류로 상기 열전지를 착화시키는 스큅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셰이핑 또는 클리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펄스 셰이핑 또는 클리핑 단계는,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 중 제 1 캐패시터에 의한 방전전압을 저항, 상기 제 2 캐패시터, 및 열전지 스큅저항의 결합을 이용하여 펄스 형태의 셰이핑 전압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펄스 셰이핑 또는 클리핑 단계는, 상기 셰이핑 전압을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클립핑하여 상기 스큅 신호를 구형파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지 스큅 저항은 1옴이며, 상기 스큅 신호는 상기 셰이핑 전압의 파형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지 스큅 저항은 상기 열전지의 내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송수신 장치에서 주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 자체 스큅 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 이용하여 빠른 시간내에 보조전원의 공급을 제공하는 보조 파워 서플라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이러한 열전지 모듈을 이용하므로 기존 납축전지 설치공간보다 유도무기내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충전이 필요가 없으므로 유도무기 발사전에 지상충전장비로 충전해야 하는 불편이 없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격송수신장치의 외부전원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전원에 탑재되는 납축전지의 내 및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송수신장치의 외부전원 시스템(300)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330)의 내부 등가모델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열전지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열전지 모듈(334)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스큅회로(311)에 사용되는 전압제어 릴레이회로도이다.
도 8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스큅회로(311)에 사용되는 제너다이오드 모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전압발생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블록(910,920)에 해당하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블록(930,940)에 해당하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정상동작전 에너지 공급용 외부 캐패시터가 구성되는 회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회로도의 등가회로도로서 에너지 공급용 외부 캐패시터에 대한 동작설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스큅 회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스큅 회로도의 모델링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큅 회로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7은 도 14 및/또는 도 15에 도시된 스큅 회로도의 스큅 신호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송수신장치의 외부전원 시스템(300)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전원시스템(300)은, 주전원(320); 상기 주전원(320)을 보조하며 열전지(400)를 갖는 보조 전원(330); 상기 주전원(32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원(330)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스큅 회로(311); 및 상기 주전원(320) 또는 보조 전원(33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원격송수신 장치(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전원(330)의 내부 등가모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전원(330)은 열전지로서 내부 등가모델은 열전지 전원(400), 이 열전지 전원(400)을 스위칭하는 스위치(430), 스위치(430)를 동작시키는 열전지 스큅 저항(420) 및 퓨즈(410) 등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열전지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열전지 모듈(334)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열전지 모듈(334)은 스큅 회로(311)와 이 스큅 회로(311)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보조전원인 열전지(330)로 구성된다. 즉, 스큅 회로(311)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큅 신호를 생성하고, 이 스큅 신호가 보조전원인 열전지(330)를 동작시켜 보조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도 7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스큅회로(311)에 사용되는 전압제어 릴레이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압 제어 릴레이에 의해 NO(Normal Open) 및/또는 NC(Normal Close) 상태가 구현된다.
도 8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스큅회로(311)에 사용되는 제너다이오드 모델도이다. 제너다이오드는 정전압(定電壓) 다이오드라고도 하며, 제너 효과를 이용하여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이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면 도 7에 도시된 스큅 신호를 클립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전압발생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열전지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열전지를 착화시키기 위한 과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주전원인가 후 캐패시터를 충전하고 주전원을 감시하는 과정의 블록(910), 주전원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지를 감지하는 과정의 블록(920), 주전원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캐패시터를 방전하는 과정의 블록(930), 방전 전류로 스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셰이핑/구형펄스형 스큅 신호 생성 과정의 블록(940), 이러한 스큅 신호에 따라 열전지 전압을 생성하는 과정의 블록(950) 등이 구성된다.
부연하면, 도 9는 주전원(도 320)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열전지를 착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원이 상실되므로 초기에 캐패시터에 저장중인 전하들로 구성된 방전전류로 열전지를 착화시켜 보조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만드는 열전지 전압발생 과정 블록도이다.
이러한 블록도의 주요 기능은 외부 전압인가시 캐패시터는 초기 충전상태로 있으며 주전원(320)의 공급상태를 모니터 하다가 주전원의 공급이 중단시 전압 제어 릴레이 동작으로 개시되는 방전전류로 열전지를 착화시켜 열전지에서 출력되는 정격전압을 보조전원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보여주는 상세 회로도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블록(910,920)에 해당하는 회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주전원(320)을 감시하고 충전하는 기능과 주전원의 비정상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회로도이다. 이러한 감지 수단은, 캐패시터(C1,C2) 및 제 1, 제 2, 제 3 전압 제어 릴레이(1011,1012,1013) 등이 구성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블록(930,940)에 해당하는 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 회로도는 캐패시터 방전과 펄스 셰이핑(shaping)/구형 펄스 스큅신호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캐패시터(C2,C3) 및 제너다이오드(ZD1) 등이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정상동작전 에너지 공급용 외부 캐패시터가 구성되는 회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외부 캐패시터(1210)가 원격송수신 장치(310)의 앞단에 설치된다. 이 외부 캐패시터(1210)는 상기 주전원(320)의 전원공급 중단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보조전원(도 3의 330)의 전원공급이 안정화될 때까지 상기 원격송수신 장치(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원격송수신 장치(310)는 DC/DC(Direct Current) 컨버터(1230) 및 내부 회로(1220) 등이 구성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회로도의 등가회로도로서 에너지 공급용 외부 캐패시터에 대한 동작설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회로도를 전류(I), 외부 캐패시터(C), 장치등가저항(R), 입력전압(Vin) 등으로 모델링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주전원(320)의 전원 공급 중단시 보조전원(330)의 전원공급이 안정화될 때까지 외부 캐패시터(1210)에 저장된 에너지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원격송수신장치(310) 내에 승압기능을 갖고 있는 DC/DC 컨버터를 사용하므로 Vin=0.7*Vdc까지 동작 가능하다.
따라서, Vin은 RC 시정수값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원격송수신장치(310) 동작용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여기서, 장치 모델링을 위한 등가저항 R은 R = Vin/I를 이용하여 구한다.
또한, 보조전원인 열전지 동작 지연시간은 약 530ms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시정수 = R*C > 530ms이므로, 캐패시터(C) = 530ms/R이 된다.
예를 들어, 장치 전류 = 1A @ 28V라고 하면, 등가저항 R = 28V/1A = 28 ohm이 된다. 따라서, C = 530ms /28 = 26.5 mF가 된다. 즉, 외부 캐패시터(1210)SMS 26.5mF 이상이 되어야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스큅 회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열전지 스큅 회로도는 제 1 전압 제어 릴레이(1011), 제 2 전압 제어 릴레이(1012), 제 3 전압 제어 릴레이(1013), 제 1 캐패시터(1411), 제 2 캐패시터(1412), 제 3 캐패시터(1413), 제너다이오드(1420) 등이 병렬 및/또는 직렬 연결의 조합되어 구성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스큅 회로도의 모델링 도면이다. 특히, 도 15는 펄스 셰이핑 및 클립핑 회로(1510)의 구현예를 보여준다. 펄스 셰이핑 및 클립핑 회로(1510)는 열전지내의 열전지 스큅 저항(420), 저항(R1), 캐패시터(C3), 제너다이오드(ZD1) 등의 회로 소자에 의해 신호를 셰이핑 및/또는 클립핑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큅 회로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4 및 도 15의 회로도를 바탕으로, 도 16의 플로우챠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전지(330)는 내부에 작은 값인 1옴의 열전지 스큅저항(420)을 갖는다. 또한, 초기에 제 1 캐패시터(1411)에 저장된 전하들은 부하(Load)(1120)와 비활성화된 제 2 전압 제어 릴레이(1012)에 의해 방전되며 이 비활성화된 릴레이 (1012)에 의해 제 2 및 제 3 캐패시터(1412,1413)에 저장된 초기 전하들도 방전된다(단계 S1600).
외부전원인 주전원(320)이 인가되면 제 2 전압 제어 릴레이(1012)가 동작되어 제 2 및 제 3 캐패시터(1412,1413)의 초기 방전 path를 끊는다(단계 S1610).
제어신호가 +28V로 Enable되면 제 3 전압 제어 릴레이(1013)가 동작하면서 제 1 전압 제어 릴레이(1011)가 동작하면서 제 2 캐패시터(1412)에 전하가 충전된다(단계 S1620,S1630).
외부전원인 주전원(320)이 차단되면 제 1 전압 제어 릴레이(1011)가 비활성되거나 또는 제어신호가 0V로 Disabl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640).
판단결과, 주전원의 전원공급이 실패하거 제어 신호가 오프(OFF)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 3 전압 제어 릴레이(1013)에 의해서 제 1 전압 제어 릴레이(1011)가 비활성되어 제 2 캐패시터(1412)에 저장된 전하들에 의한 방전전류를 열전지 스큅 회로(1510)로 내보낸다(단계 S1650,S1660,S1661). 이때 제 1 캐패시터(1411)에 저장된 전하들에 의한 전압은 제 2 전압 제어 릴레이(1012)가 스큅전류를 생성하는 동안 활성상태로 유지하여 제 2 및 제 3 캐패시터(1412,1413)가 단락되는 것을 막아준다.
제 2 캐패시터(1412)에 의한 방전전압은 저항(R1), 캐패시터(C3), 열전지 스큅저항(420) 1옴에 의해서 펄스형태로 셰이핑(shaping)되며 여기서 펄스 지속 시간(duration time)이 결정된다.
펄스형태의 셰이핑 전압은 5V 역전압에 의해 동작되는 제너다이오드(1420)에 의해 5V에서 클립핑(clipping)되어 구형 스큅신호가 되는데 열전지 스큅저항(420)이 1옴이므로 전압파형과 똑같은 구형 스큅전류가 된다(단계 S1661).
주전원(320)의 전원공급이 중단된 후 구형 스큅전류에 의해서 열전지가 정상작동하기 전까지 외부 캐패시터(1210)에 저장된 전하들에 의해서 부하(1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열전지의 출력이 정상범위에 들어가면서 보조 전원(330)이 정상전원을 부하(1120)에 공급한다. 여기서, 부하(1120)는 원격송수신장치이다.
도 17은 도 14 및/또는 도 15에 도시된 스큅 회로도의 스큅 신호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좌측 그래프(1710)는 제 2 캐패시터(1412)의 방전전압신호를 보여주며, 우측 그래프(1720)는 열전지 스큅 신호를 보여준다.
110,310: 원격송수신장치
120,320: 주전원
130,330: 보조전원
111: 제어회로
140, 350: 사통
141: 충전 및 온/오프 회로
311: 스큅회로
1011: 제 1 전압 제어 릴레이
1012: 제 2 전압 제어 릴레이
1013: 제 3 전압 제어 릴레이
1120: 부하
1210: 외부 캐패시터
1320: 장치등가저항
1411: 제 1 캐패시터
1412: 제 2 캐패시터
1413: 제 3 캐패시터
1420: 제너다이오드
1510: 펄스 셰이핑 및 클리핑 회로
1520: 열전지 스큅 저항

Claims (18)

  1. 주전원;
    상기 주전원을 보조하며 열전지를 갖는 보조 전원;
    상기 주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보조 전원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스큅 회로; 및
    상기 주전원 또는 보조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원격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주전원의 전원공급 중단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보조전원의 전원공급이 안정화될 때까지 상기 원격송수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캐패시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큅 회로는, 상기 주전원 인가후, 상기 주전원의 정상 동작 또는 비정상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초기에 상기 주전원으로부터의 전하를 저장하는 다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전압 제어 릴레이 방식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큅 회로는, 상기 주전원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에 초기에 저장된 전하들로 구성된 방전전류로 상기 열전지를 착화시키는 스큅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셰이핑 및 클리핑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셰이핑 및 클리핑 회로는,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 중 제 1 캐패시터에 의한 방전전압을 저항, 제 2 캐패시터, 및 열전지 스큅저항의 결합을 이용하여 펄스 형태의 셰이핑 전압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셰이핑 및 클리핑 회로는, 상기 셰이핑 전압을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클립핑하여 상기 스큅 신호를 구형파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지 스큅 저항은 1옴이며, 상기 스큅 신호는 상기 셰이핑 전압의 파형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지 스큅 저항은 상기 열전지의 내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10. 보조 전원이 주전원을 보조하며 주전원 인가후 다수의 캐패시터를 충전하고 주전원을 감시하는 충전 및 감시 단계;
    상기 주전원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지를 감지하는 주전원 비정상 감지 단계;
    중단이 감지되면,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가 방전되며, 스큅 회로가 스큅 신호를 생성하는 스큅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스큅 신호에 따라 열전지 전압을 생성하는 열전지 전압 생성 단계;를 포함하되,
    외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상기 주전원의 전원공급 중단후 일정시간 동안 상기 보조전원의 전원공급이 안정화될 때까지 원격송수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공급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큅 회로는, 상기 주전원 인가후, 상기 주전원의 정상 동작 또는 비정상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 수단, 및 초기에 상기 주전원으로부터의 전하를 저장하는 다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공급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전압 제어 릴레이 방식을 이용하며, 전압 제어 릴레이 의 동작에 따라 다수의 캐패시터 중 일부의 초기 방전 패쓰(path)를 끊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공급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큅 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스큅 회로가, 상기 주전원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에 초기에 저장된 전하들로 구성된 방전전류로 상기 열전지를 착화시키는 스큅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셰이핑 또는 클리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공급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셰이핑 또는 클리핑 단계는, 상기 다수의 캐패시터 중 제 1 캐패시터에 의한 방전전압을 저항, 제 2 캐패시터, 및 열전지 스큅저항의 결합을 이용하여 펄스 형태의 셰이핑 전압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공급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셰이핑 또는 클리핑 단계는, 상기 셰이핑 전압을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클립핑하여 상기 스큅 신호를 구형파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공급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지 스큅 저항은 1옴이며, 상기 스큅 신호는 상기 셰이핑 전압의 파형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공급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지 스큅 저항은 상기 열전지의 내부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공급 방법.
KR1020120127204A 2012-11-12 2012-11-12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 KR10138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04A KR101389395B1 (ko) 2012-11-12 2012-11-12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204A KR101389395B1 (ko) 2012-11-12 2012-11-12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395B1 true KR101389395B1 (ko) 2014-05-30

Family

ID=5089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204A KR101389395B1 (ko) 2012-11-12 2012-11-12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3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240B1 (ko) * 2005-07-19 2006-11-23 이세찬 전원 공급 장치
KR100948390B1 (ko) * 2009-12-10 2010-03-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240B1 (ko) * 2005-07-19 2006-11-23 이세찬 전원 공급 장치
KR100948390B1 (ko) * 2009-12-10 2010-03-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무기의 사출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49911B (zh) 一种保护电路
US9906059B2 (en) Charge and discharge management system and movable power source using the same
JP5846259B2 (ja) 車両用充電制御装置
US9654005B2 (en)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862239B2 (en) Antenna driving device
US10785841B2 (en) Driver circuit for light-emitting component
KR101523158B1 (ko) 차량용 충전 장치
EP3220524B1 (en) In-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having in-vehicle power supply device mounted therein
CN109524942B (zh) 包括电气保护系统的电气链路
CN103427134A (zh) 操作电池的荷电状态指示器的方法、指示电路及监测电路
KR101903271B1 (ko) 보조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50871B1 (ko) 충방전 제어 회로,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배터리 장치
KR101389395B1 (ko) 원격 송수신 장치의 자체 스큅기능을 갖는 열전지 모듈을 이용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 및 방법
US10260851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electronic detonator
CN104716704B (zh) 电池状态监视电路以及电池装置
KR101018896B1 (ko) 평활용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 회로
CN107181290B (zh) 电池管理系统
CN106484648B (zh) 一种通信设备、系统及数据发送、接收方法
RU2280304C1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0320435B2 (en) Remote-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14301106A (zh) 一种充电控制器的唤醒电路、车载充电机及新能源汽车
US8553377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06877851B (zh) 一种传感器延时控制电路
CN106484643B (zh) 一种通信设备、系统及数据发送、接收方法
CN218102697U (zh) 一种双电源快速切换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