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930B1 - 데이터 수집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수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930B1
KR100947930B1 KR1020047000921A KR20047000921A KR100947930B1 KR 100947930 B1 KR100947930 B1 KR 100947930B1 KR 1020047000921 A KR1020047000921 A KR 1020047000921A KR 20047000921 A KR20047000921 A KR 20047000921A KR 100947930 B1 KR100947930 B1 KR 10094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measurement
message
wireless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830A (ko
Inventor
아키오 모로주미
카나토 고바야시
키아키 세기
Original Assignee
티 앤드 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 앤드 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 앤드 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3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방법은,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여, 그 측정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측정단말과,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집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방법에 있어서, 측정단말은, 순번이 규정될 수 있는 한정된 수의 식별정보중 하나를 자신의 식별정보로서 기억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수집단말이 무선으로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조회 단계와, 측정단말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자신의 식별정보를 보내는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자신의 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 1의 응답 단계와, 수집단말이 식별정보의 순번대로 응답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 1의 식별단계와, 수집단말이 기억된 식별정보의 측정단말과 개별적으로 무선을 통해 통신하여 해당 측정단말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측정단말로부터 자동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수집방법{DATA COLLECTION METHOD}
본 발명은, 온도 등의 물리량을 측정하여 수집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운송물의 온도 관리를 하기 위해, 컨테이너내에 정기적으로 온도를 기록하는 측정단말을 함께 포장함으로써, 컨테이너를 개봉한 후에, 함께 포장된 측정단말을 꺼내어 여기에 기록된 온도를 수집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단말을 이용한 방법에 의하면, 운송중에 컨테이너를 개봉하지 않고는 이상의 유무를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측정단말의 데이터로부터 컨테이너의 이상을 사전에 검출하여 이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컨테이너내에 측정 단말이 함께 포장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럭이나 선박의 창고 등의 많은 장소에 별도로 측정단말을 배치하여 온도 등의 환경 조건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상 사태가 발생되어버린 컨테이너를 운송도중에 처리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컨테이너에 함께 포장되어 있는 측정단말로부터 무선으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면, 컨테이너를 개봉하지 않고서도 측정단말에 기록된 측정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는 해소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복수의 컨테 이너를 취급하는 경우, 각각의 컨테이너에 함께 포장되어 있는 측정단말과 개별적으로 무선에 의해 교신하고자 하면 각각의 측정단말의 식별정보를 사전에 취득해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측정단말은 항시 자신의 식별정보를 발신하여, 기지국에 대응하는 수집단말이 그 수집 단말에서 관리하는 측정단말의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해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측정단말이 항시 발신을 반복하는 경우는 그로인해 소비되는 전력이 크므로, 장기간에 걸친 운송에 대처할 수 없다.
단말의 식별정보를 컨테이너의 바깥면에 기재해두고, 어떠한 방법을 통해 수집 단말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입력의 수고로움이 증가될 뿐만아니라, 입력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법이라 할 수는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내부의 측정단말의 식별정보를 간단한 방법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측정단말의 측정 데이터에 의해 컨테이너의 온도 관리를 수행하거나, 컨테이너의 이상 유무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집단말에, 순번이 규정될 수 있는 식별정보, 예를 들면 식별번호를 기억시키고, 상기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자신의 식별정보의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송신하여, 수집단말이 자동적으로 측정단말의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방법은,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여, 그 측정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측정단말과, 이 측정단말로 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집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방법으로서, 측정단말에는, 순번이 규정될 수 있는 한정된 수의 식별정보 중 하나를 자신의 식별정보로서 기억하는 메모리를 설치한다. 그리고, 수집단말이 무선을 통해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조회단계와, 측정단말이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메시지가 종료되고 나서 자신의 식별정보를 보내는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 1 응답단계와, 수집단말이 식별정보의 순번대로 응답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 1 식별단계와, 수집단말이 기억된 식별정보의 측정단말과 개별적으로 무선을 통해 통신하여 해당 측정단말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갖는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수집방법에 의하면, 측정 단말은 평상시에는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혹은 단속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무선장치를 사용하기만 하면 되므로, 소비전력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측정단말로부터는 식별정보를 보내는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개별적으로 식별정보가 송신되므로, 수집단말측도 동시에 도래한 식별정보를 구별하기 위한 수신용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송수신 방법이며, 간단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집단말을 관리할 수 있는 측정단말의 식별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일단,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수집단말은,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개개의 측정단말과의 통신이 가능하므로, 상기 측정단말이 측정한 혹은 측정중인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상 유무나 그 측정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데이터 수집 방법을 이용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측정 단말은, 센 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측정 데이터를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수단과, 순번이 규정될 수 있는 제한된 수의 식별정보 중 하나를 자신의 식별정보로서 기억하는 메모리와, 무선장치를 통해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 나서 자신의 식별정보를 보내는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자신의 식별정보를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하는 제 1 응답 수단을 가진다. 또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집 단말은,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측정단말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무선장치를 통해 수신가능한 수단과, 무선장치를 통해 측정단말에 대해 식별 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조회수단과, 메시지가 종료된 후에, 무선장치를 통해 식별정보의 순번대로 수신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 1 식별수단을 가지며, 수신가능한 수단은, 기억된 식별정보의 측정단말과 개별적으로 무선장치를 통해 통신하여 해당하는 측정단말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한다.
트럭에 탑재된 컨테이너에 측정단말이 함께 포장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면, 무선 장치의 교신범위는 좁아도 되며, 예를 들어 수 미터 정도로 한정되어도 좋다. 그리고, 교신 범위가 한정되어 있으면, 수집 단말과 교신가능한 측정단말도 한정되며, 이에 따라, 측정단말이 갖는 식별정보 또한 한정되어도 되므로, 제 1 응답단계에서의 필요시간이 단축된다. 선박의 창고와 같이 넓은 창고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수십 미터정도로 교신 범위가 한정된 무선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수집단말에서 교신가능한 측정 단말의 수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교신 범위가 한정된 저출력의 무선장치여도 좋으므로, 소비전력의 절감은 물론, 측정단말의 전지(電池) 수명을 연장시키는데도 효과가 있다.
또한, 식별정보로서, 순번을 규정할 수 있는 제 1 식별정보와, 그룹을 식별할 수 있는 제 2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조회 단계에서는 제 2 식별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발신하고, 제 1 응답단계에서는 메시지에 포함된 제 2 식별정보를 자신의 식별정보에 포함하는 측정단말이 응답하도록 하는 것도 유용하다. 제 2 식별정보마다 제 1 식별정보를 붙이면 되므로, 측정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정보의 수를 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식별정보까지는 알 수 없더라도, 제 2 식별정보가 사전에 판명되어 있다면, 제 2 식별정보마다 제 1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제 1 응답 단계를 위한 필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응답 단계 이전에,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모든 측정단말이 자신의 식별정보를 각각 일제히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 2 응답단계와, 상기 제 2 응답단계에서 식별정보의 식별이 가능하면, 상기 식별 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제 1 식별단계를 스킵하는 제 2 식별단계를 설치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수집단말에서 관리가능한 측정단말이 하나밖에 없을 때는, 상기 측정단말의 식별정보가 송신되는 순번을 기다리지 않더라도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빠른 타이밍에 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측정단말에는, 제 1 응답수단에 의해 응답하기 전에,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하는 제 2 응답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집단말에는, 메시지가 종료된 후에, 무선장치를 통해 모든 측정단말로부터 일제히 송신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정보의 식별이 가능하면, 상기 식별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제 1 식별수단의 동작을 스킵하는 제 2 식별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별정보를 조회할 때에는, 동일한 메시지를, 그것을 반복한 회수와 함께 복수회 송신함으로써, 측정단말에서는 평상시에는 단속적으로 수신하는 방법으로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는 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의 수명 연장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시지에 대해 응답할 때에는, 개개의 측정단말이 구비한 시계의 시간 또는 시각의 편차를 고려하여, 식별정보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예비시간의 합이 1개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서, 자신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순번을 카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측정 단말로부터의 송신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집단말이 식별정보를 확실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들 측정 단말 및 수집단말의 기능은, 각각의 단말이 구비하고 있는 CPU 등 의 프로세서로 가동하는 펌웨어(firmware) 등의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ROM 등의 적당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경우, 컴팩트하고, 일회용이거나 그에 가까운 구성의 측정단말에 의해, 본 발명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선 장치를 통해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 나서 자신의 식별정보를 보내는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자신의 식별정보를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을 가지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면 된다. 또한, 수집단말의 기능은, 무선장치를 통해 측정단말에 대해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단계와, 메시지가 종료된 후, 무선장치를 통해 식별정보의 순번대로 수신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단계와, 기억된 식별정보의 측정단말과 개별적으로 무선장치를 통해 통신하여 해당하는 측정단말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 명령을 갖는 프로그램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를 내장하여,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측정단말에서는, 무선장치를 통해 송수신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광통신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측정단말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또한 개개의 측정단말을 식별정보로 지정하거나 주파수를 바꾸는 등의 수단에 의해, 복수의 측정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또한, 안테나를 내장함으로써, 이음매가 없는(seamless) 하우징을 채용하여, 밀봉성이 높고 내수성이나 내후성 및 내구성이 높은 측정단말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조건의 환경에 설치할 수 있는 측정 단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선장치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서는, 주파수를 설정하거나, 프로토콜을 설정하거나, 개개의 측정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측정 단말과 개별적으로 통신할 필요가 있다. 개별적으로 통신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설정측이 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호스트장치와 측정단말을 유선으로 접속하는 것인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하우징의 바깥면에 준비되게 되면, 밀봉성이 손상되어 내수성 등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딥 스위치(dip switches) 등의 조작 패널을 설치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무선 장치에 추가적으로, 측정 단말에 광 또는 자장(자기, magnetism)을 이용하여 유선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다른 측정단말에 대한 영향을 피하여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광 또는 자장을 이용한 통신수단에 의해 무선장치를 통해 송수신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광통신 수단은, 포토다이오드 혹은 포토트랜지스터와 LED의 조합 등에 의해 간단하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측정단말에 적합한 통신수단이다. 따라서, 센서, 무선장치,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 및 광통신 수단을 내장한 측정 단말이라면, 상술한 무선장치를 내장한 측정단말의 이점을 살리고, 또한 측정단말의 식별정보 등을 광통신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는 측정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측정단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 추가하여, 광통신 수단에 의해 자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을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측정단말이라면, 측정단말을 설치 장소에 부착시킬 때, 혹은 측정단말을 포장속에 넣을 때 측정단말의 조건을 광통신수단에 의해 플렉시블하게 세트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단말을 이용하는 피(被)측정측 시스템에 맞는 설정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으며, 피측정측 시스템을 바꾸지 않고 측정단말을 도입하여 그 이점을 누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집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측정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집단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수집 시스템에서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의 개요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식별정보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조회 메시지 및 응답 메시지의 포멧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조회 메시지에 대해 응답 메시지가 출력되는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보틀링(bottling) 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1)의 개요가 도시되어 있다. 이 데이터 수집 시스템(1)은, 복수의 측정단말(10)과,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단말(20)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측정단말(10)은 측정유닛, 데이터 로거(logger) 혹은 로그 단말 등으로 불리우는 것으로서, 트럭(9)의 짐받이(deck, 8)에 탑재된 복수의 컨테이너(7)에 탑재되며, 수집 단말(20)은 운전석(6) 등의 오퍼레이터가 감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다. 각각의 측정단말(10)은 서미스터 등의 온도 센서를 내장하고 있으며, 컨테이너(7)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단말(10)은 무선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집 단말(20)과 무선을 통해 교신함으로써, 측정한 데이터를 수집 단말(20)에 모은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데이터 수집 시스템(1)에 의해, 컨테이너(7)의 온도를, 컨테이너(7)를 열지않고 운전석(6)에서 집중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이 수집 단말(20)은, 측정 단말(1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전용기로서 실현해도 좋고, 본 발명에 이러한 기능에 부가하여, 다른 복수의 기능을 구비한 멀티 기능의 단말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형이어도 좋고, 운전석 등에 고정된 시스템으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 단말(1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측정단말(10)은, 주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11)와, 측정 단말(10)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12)와, 메모리(13)와, 측정중의 온도나 동작 모드 등을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14)와, 무선(전파)에 의해 수집 단말(20)과 교신하는 RF 무선부(15) 및 안테나(17)와, 적외선 등의 광을 이용하여 수집 단말(20) 혹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교신하는 광통신부(16)를 구비하고 있다. CPU(12)는, ROM(19)에 기록된 펌웨어(19a)를 로딩함으로써, 센서(11)에 의해 측정된 온도 데이터(측정 데이터)를 메모리(13)의 측정 데이터 기억부(13a)에 기록하는 기록 기능(12a)과, 기록된 데이터를, 무선부(15)를 통해 수집단말(20)로 송신하는 업로드 기능(12b)과, 수집단말(20)로부터의 메시지를 해석하는 해석 기능(12c)와, 메시지에 대해 메모리(13)에 기록된 식별번호(IDNo; 13b)를, 그 번호의 순번이 도래하면 송신하는 제 1 응답 기능(12d)과, 식별번호(13b)를 메시지가 종료한 후에 송신하는 제 2 응답 기능(12e)과, 광통신부(16)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에 의해 식별번호를 설정하거나, 무선부(15)의 주파수 조건 등을 설정하는 설정 기능(12f) 등을 구비한 제어장치로서 동작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 단말(10)은, 밀폐된 하우징(10a)에 상기의 기기가 수납되어 있으며, 안테나(17)만이 튀어나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내습성 및 내식성이 높고, 내구성을 비롯한 여러가지 면에서의 내성이 높다. 이 때문에, 식료품이나 기타 물품의 운반에 이용되는 컨테이너(7)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10b)에는 LCD(14)와 광통신용 포트(16a)가 설치되어 있어, 광통신에 의해 식별번호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 측정 단말(10)은, 무선부(15)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측정단말(1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집단말(20)에서는, 개개의 측정단말을 식별정보로 지정함으로써 복수의 측정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측정 단말(10)이 수집단말(20)과 그와 같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무선 주파수를 설정하거나, 프로토콜을 설정하거나, 개개의 측정단말(1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있는데, 본 실시예의 단말(10)에서는 광통신부(16)를 이용하여 설정을 수행하고 있다. 광통신부(16)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포토다이오드 혹은 포토트랜지스터와, 데이터를 발신하기 위한 광원으로서의 LED를 조합함으로써, 낮은 비용으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컴팩트한 측정단말(10)에 적합한 개별 통신 수단이다. 또한, 지향성이 높아, 무선(전파)과 같이 정보가 브로드캐스트(broadcast)되는 일이 없다. 한편, 광이라는 공간으로 전파되는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 등과 같이 방수성 혹은 밀폐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부품은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밀폐된 구조의 측정단말(10)의 이점을 살리면서, 식별정보 등의 측정단말(10)을 식별하거나,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조건을 플랙시블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수집 단말(2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수집단말(20)은, 조작용 키(21)와, 수집단말(20)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22)와, 메모리(23)와, 측정된 데이터나 동작 상황 등을 표시하는 LCD(24)와, 무선으로 측정단말(10)과 교신하는 RF무선부(25) 및 안테나(27)와, 적외선 등의 광을 이용하여 측정단말(20) 또는 호스트 컴퓨터와 교신하는 광통신장치(26)와,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USB 혹은 RS232C 등의 통신부(2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CPU(22)는 ROM(29)에 기록된 펌웨어(29a)를 로딩함으로서, 측정단말(10)에 대해, 식별번호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조회 기능(22a), 측정 단말(10)로부터 시분할로 송신된 식별번호를 인식하여 메모리(23)에 기록하는 제 1의 식별기능(22b), 측정단말(10)로부터 메시지가 송신된 후, 바로 송신된 식별번호를 인식하여 메모리(23)에 기록하는 제 2의 식별기능(22c), 식별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측정 단말(10)과 개별적으로 통신하여 측정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기능(22d), 다운로드된 측정 데이터를 LCD(24)에 표시하거나, 데이터를 해석(解析) 또는 해석(解釋)하여 과거의 이상 유무나, 온도의 급변 등을 해석하는 기능(22e) 등을 구비한 제어 유닛으로서 동작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집 단말(20)은, 대형 LCD(24)가 전면(前面)(20b)에 배치된 핸디 타입(handy-type)의 단말이다. 전면(20b)에는 또한, 광통신용 포트(26a)와, 복수의 스위치(21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측면에는 인코더 스위치 타입의 죠그 다이얼(21b; jog dial)이 배치되고, 반대측 측면에는 퍼스널 컴퓨터와의 접속 인터페이스(28a)가 배치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수집 시스템(1)에서, 각 측정단말(10)의 식별번호를 수집단말(20)이 취득하고, 취득한 식별번호에 의해 각 측정단말(10)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처리의 개요가 플로우챠트로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수집단말(20)에서의 처리이고, 도 4(b)는 측정단말(10)에서의 처리이다. 또한, 측정단말(10)에서, 센서(11)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혹은 기타 물리량을 측정하는 처리는, 기록 기능(12a)에 의해, 식별번호의 송수신과는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실시되는 처리이며,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는, 상술한 측정단말(10) 및 수집단말(20)을 제어하는 CPU 혹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제어장치를 가동시키는 펌웨어 등의 프로그램 혹은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ROM 등의 적당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 또는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컨테이너(7)가 집하장에 모여, 트럭(9)에 탑재된 것으로 한다. 컨테이너(7)에는, 각각 측정단말(10)이 함께 포장되어 있어, 컨테이너(7) 내부의 온도, 습도 혹은 기타 환경이 계속적으로 측정되고, 그 측정 데이터가 측정단말(10)의 메모리(13)에 기록되고 있다. 이들 컨테이너(7)는, 수송처가 동일한 것으로, 어느 정도의 규칙성은 있다하더라도, 발송원이 다르거나, 수송경로가 다르다는 등의 이유로, 반드시 동일한 환경에서 수송된 것은 아니다. 또한, 각각의 컨테이너(7)에 함께 포장된 측정단말(10)의 식별번호(13b)는, 컨테이너(7) 밖에서는 파악이 불가능하며, 또한 컨테이너(7)를 개봉하는 것도 어렵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수집 시스템(1)에서는, 우선 측정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전에, 단계 51에서, 수집단말(20)이 조회기능(22a)에 의해 RF무선부(25)를 통해 그룹별로 식별번호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방송한다.
수집단말(20)의 RF무선부(25) 및 측정단말(10)의 RF무선부(15)는 교신범위가 트럭의 짐받이(8)에 적합하게 수 미터정도가 되도록 출력이 한정되어 있다. 혹은, 메시지를 송신할 때는 출력을 한정한다. 이에 따라, 다른 트럭이나 창고에 수납된 컨테이너(7)의 측정단말(10)에 메시지가 보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짐받이(8)에 탑재된 컨테이너내의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13b)를 얻을 수가 있다.
도 5에는, 본 실시예의 측정 단말(10)에 할당되어 있는 식별정보(ID)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측정단말(10)의 메모리(13)에 기록되는 식별정보(13b)는, 각각의 측정단말(子機, 10)이 속하는 그룹을 식별하는 정보(GrID; 71)와, 측정단말의 명칭(72)과, 동일 그룹내에서 단말(10)에 대해 고유하게 붙여진 식별번호(IDNo; 7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룹 정보(71)와 식별번호(73)에 의해, 측정단말 상호간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룹 정보(71)에, 발송원 혹은 수송처를 나타내는 정보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발송을 접수한 날짜 등도 그룹정보(71)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정보(71)를 붙임으로써, 측정단말(10)을 식별하는 식별번호(73)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그룹정보(71)가 어느 정도 한정되어 있으면, 단시간에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6(a)는, 수집단말(20)이 발신하는 메시지(75)의 포멧을 나타내고 있다. 메시지(75)는, 동기 데이터(75a)와, 메시지(75)의 송신처가 되는 측정단말(10)의 그룹정보(75b)와, 측정단말(10)을 식별하는 번호정보(75c)와, 측정단말(10)에 송신하는 커맨드(75d)와, 커맨드(75d)에 부수되는 파라미터 정보(75e)와, 메시지(75)의 반복 발신 회수(반복된 회수)를 나타내는 순회수(75f)와, 에러방지용 CRC 부호(CRC code, 75g)를 구비하고 있다. 트럭의 짐받이(8)에 탑재된 컨테이너(7)에 함께 포장되어 있는 측정 단말(10)의 식별 번호(73)를 조회하는 메시지(75)에서는, 번호 정보(75c)는 특정되지 않고, 커맨드(75d)로서 조회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측정단말(10)은, 무선부(15)를 단속적(예를 들면, 10초 피치)으로 수신 모드로 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비를 절감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단계 51에서는, 메시지(75)를 10초이상, 예를 들면 12초에 걸쳐 반복적으로 발신한다. 그리고, 메시지(75)를 반복하여 송신할 때마다 순회수(75f)를 감소(decrement)시킴으로써, 측정단말(10)이 메시지(75)를 수신하였을 때, 최종 메시지(75)가 종료되는 시각을 연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 메시지(75)를 수신하면, 측정단말(10)은, 상기 메시지(75)의 의미와, 상기 메시지(75)의 반복이 종료되는 시각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4로 되돌아가서, 측정단말(10)은, 단계 61에서 메시지(75)를 수신하면, 우선, 단계 62에서 메시지(75)에 포함되어 있는 그룹 정보(75b)가 자신의 식별정보(13b)의 그룹 정보(71)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해석기능(12c)에 의해 판단한다. 그룹정보(71)가 일치하면, 단계 63에서 제 2의 응답기능(12e)에 의해, 메시지(75)가 종료되고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신의 식별정보(13b)를 송신한다. 또한, 단계 64에서, 제 1의 응답기능(12d)에 의해, 자신의 식별정보(13b)의 식별번호(73)에 할당된 시간대가 되는 것을 기다렸다가, 단계 65에서 자신의 식별정보(13b)를 다시 송신한다.
도 6(b)에는, 응답 메시지(76)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응답 메시지(76)는, 동기 데이터(76a)와, 측정단말(10)에 설정된 자신의 식별 정보(13b)의 그룹정보(76b)와, 번호정보(76c)와, 메시지(76)의 반복 회수를 나타내는 순회수(76d)와, 에러방지용 CRC부호(76e)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수집단말(20)은, 이 응답 메시지(76)를 수신함으로써, 발신원의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13b)를 얻을 수 있으며, 이후에는, 고유 식별정보를 모두 세트하여(set in full) 메시지를 발신함으로써 특정한 측정단말(10)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에는, 수집단말(20)로부터 메시지(75)가 발신되어, 측정단말(10)이 응답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약 12초 동안, 조회용 메시지(75)가 수집단말(20)로부터 발신된 후, 적당한 대기 시간(77a)을 두고, 모든 측정단말(10)이 일제히 자신의 식별정보(13b)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76)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룹정보(71)의 각각에서 조회 메시지(75)가 다르기 때문에, 그룹정보(71)가 동일한 측정단말(10)이 일제히 자신의 식별정보(13b)를 송신한다. 이후, 적당한 대기시간(77b)을 두고, 자신의 식별정보(13b)의 식별번호(73)가 작은 측정단말(10)부터 순차적으로 자신의 식별정보(13b)를 송신한다. 따라서, 수집단말(20)은, 조회 메시지(75)의 그룹 정보(71)에 해당하는 측정단말(10)이 하나밖에 없다면, 그 측정단말의 식별정보(13b)의 식별번호(73)에 관계없이, 조회 메시지(75)가 종료된 다음에 수신하는 응답 메시지(76)로 식별정보(13b)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단말(10)이 하나라면, 그 식별번호가 최종의 번호, 예를 들면 250번이라 하더라도, 최초의 응답 메시지(76)에서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그 단계에서 식별정보를 취득하는 작업을 다음 단계로 진행시킬 수 있다.
한편, 조회 메시지(75)에 포함된 그룹정보에 대응하는 측정단말(10)이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초의 응답 메시지(76)에서는 식별정보가 중복되므로 판별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후 식별번호(73)의 순서대로 개개의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13b)가 송신되므로, 수집단말(20)에서는 트럭의 짐받이(8)에 있는 각각의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13b)를 확실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측정 단말(10)로부터 순서대로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76)간에는 적당한 대기시간(77a) 혹은 가드 시간(guard time; 77b)이 세트되어 있다. 즉, 측정단말(10)의 제 1 응답기능(12d)에서는, 1대의 측정단말(10)이 식별정보(13b)를 송신하기 위해 할당되어 있는 시간이, 실제의 응답 메시지(76)를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에 더하여, 대기시간(77b)이 포함된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대기시간(77b)은, 개개의 측정단말(10)에서 CPU(12) 혹은 RTC(리얼타임 클록)가 있는 경우는, RTC에서의 타임 카운트의 공차(公差)를 흡수하기 위한 시간으로, 응답 메시지(65)가 일부라도 중복되어 송신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수집단말(10)에서는, 단계 51에서 조회 메시지(75)를 발신한 후에, 단계 52에서 제 2의 식별기능(22c)에 의해 측정단말(10)로부터 일제히 보내져오는 응답 메시지(76)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53에서 식별정보(13b)가 판명되었을 때에는, 그 그룹에 포함되는 측정단말(10)은 1대이므로, 다음번에 시분할로 송신될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로 진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계 54의 제 1 식별기능(22b)이 수행할 처리를 스킵한다.
한편, 단계 53에서 식별정보가 판명되지 않을 때에는, 복수의 측정단말(10)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단계 54에서, 제 1 식별기능(22b)에 의해 순번에 따라 시분할로 각각의 측정단말(1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식별정보(13b)를 수신하여, 메모리(23)에 기록한다. 그리고, 단계 55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그룹 정보(71)의 수만큼 상기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짐받이(8)에 탑재되어 있는 컨테이너(7) 내부의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13b)를 모두 얻을 수 있다.
단계 56에서, 다운로드 기능(22d)에 의해 개개의 측정단말(10)과 교신하여, 각각의 측정단말(10)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단말(20)에 다운로드한다. 측정단말(10)에서는, 단계 65에서 식별 정보를 송신한 후, 단계 66에서 자신의 식별번호(13b)가 고유하게 포함된 조회 메시지(75)에 의해 개별적으로 호출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리고 호출되면, 단계 67에서 업로드 기능(12b)에 의해, 메모리(13a)에 기록되어 있던 과거의 측정 데이터를 업로드한다. 또한, 현재 측정중인 측정 데이터를 수집단말(20)에 업로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집단말(20)에서는, 이와 같은 수순에 따라, 짐받이(8)에 탑재된 컨테이너(7)의 측정단말(10)로부터, 과거 및 현재의 측정 데이터를 모두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수집단말(20)에 다운로드된 측정 데이터를 해석기능(22e)에 의해 해석함으로써, 각 컨테이너(7)에 과거의 수송 환경에 이상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송중에, 즉 짐받이(8)에 탑재된 각 컨테이너(7) 내부의 온도 혹은 기타의 상황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수집단말(20)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집단말(20)에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28)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전송하여, 추가로 해석하거나 축적해두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측정단말(10) 및 수집단말(20)을 이용한 수집 시스템(1)에서는, 컨테이너(7)에 함께 포장된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를 수집단말(20)이 자동적으로 취득하여, 측정단말(10)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단말(20)로 모을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7)를 개봉하지 않고서도, 상기 컨테이너(7)가 수숭중 혹은 보관중에 거친 환경의 변화를 측정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트럭의 짐받이(8) 혹은 선박의 창고나 기타의 창고 등과 같은 단위로, 그 속에 수납되어 있는 컨테이너(7)의 각각의 측정단말(10)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데이터의 수집에 걸리는 시간이나 수고를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개개의 컨테이너(7)의 환경을 측정단말(10)을 통해 개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짐받이나 선박의 창고 내부의 환경 조건을, 물건에 의해 밀착된 위치에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짐받이나 창고의 여러 장소에 센서를 설치하는 것보다도 물건 가까이의 실제 환경을 보다 자세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송 혹은 보존 환경을 보다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 상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송중이나 보관중 환경 변화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컨테이너를 열기 전에 알 수가 있으므로, 조기에 보다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게 되어, 한층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를 컨테이너(7)에 부여되어 있는 식별 데이터와 관련하여 세트하는 것에 의해서도, 컨테이너(7)의 개봉없이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를 취득하여 개별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컨테이너(7)에 식별 데이터가 부여되기까지 측정단말(10)에 식별정보를 세트할 수 없기 때문에, 컨테이너(7)의 식별 데이터가 부여되기까지 컨테이너(7)를 봉할 수 없는 사태가 생기므로, 실제로는 사용이 곤란하다. 또한, 컨테이너(7)의 식별정보를 바코드를 읽는 등의 방법으로 취득한다 하더라도, 개개의 컨테이너(7)의 식별 정보를 읽어들이지 않으면 안되는데 반해, 본 실시예의 수집 시스템(1)에서는, 트럭의 짐받이나 선박내의 창고에 수납된 후에, 식별번호를 조회하는 처리를 하면 되므로, 매우 간단하면서도 단기간에 개개의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미스 등도 없기 때문에, 매우 확실하게 수집단말(20)을 통해 측정단말(10)에 액세스하여 측정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는 측정단말(10)로부터 시분할로 발신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집단말(20)측에서는 시분할로 분리된 상태에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정보의 파악도 용이하고, 간단한 기구 또는 처리에 의해 확실하면서도 높은 정밀도로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집 시스템(1)은,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이 가능할 뿐만아니라, 신뢰성도 높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단말 및 수집단말(20)에 의한 수집 시스템(1)이 트럭의 짐받이에 수납된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므로, 무선장치의 교신 거리를 수 미터정도로 하였으나, 선박내부의 창고나 기타 대형 창고의 경우라면, 무선 장치의 교신 거리를 수 십 미터정도로 넓힘으로써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식별정보에 그룹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그룹마다 식별번호가 붙게 되므로, 식별 번호의 수를 늘리지 않고도 고유하게 측정단말(10)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수집단말(20)이 식별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소비하는 시간을 줄일 수가 있는데, 그룹정보를 제하고 식별번호만으로 측정단말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측정단말(10)은 온도 혹은 습도를 측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센서에서 측정대상이 되는 물리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속도에 민감한 물품이라면 가속도 센서를 장착시키고, 빛에 민감한 물품이라면 광센서를 장착시키는 등, 여러가지의 물리량을 측정하여, 본 실시예의 수집 시스템에 의해 상기 측정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집 시스템 및 수집 방법의 적용이 가능한 분야는, 컨테이너 수송 등의 수송분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데이터 로거 시스 템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획마다 측정 단말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구획에서 수집단말을 조작하여 측정단말의 식별정보를 취득하고,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면, 구획마다 설치되어 있는 측정 단말의 식별정보의 관리가 불필요해지므로, 관리에 드는 수고 및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특히, 이벤트 회장 등과 같이 임시로 측정단말을 설치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수집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비용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수의 주입기(81)에 의해 액체(82)를 보틀(83)에 채우는 보틀링 시스템(80)에서도 본 실시예의 측정단말(10)과 수집단말(20)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1) 및 데이터 수집방법은 유효하다. 복수의 주입기(81)에 각각 측정단말(10)을 장착하고, 주입기(81)로부터 주입되는 액체(82)의 온도나, 주입기(81)의 온도 등을 정기적으로 채취하여 기록하고, 적당한 타이밍에 무선으로 수집 단말(20)에 보내어, 각각의 주입기(81)의 주입 조건을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주입기가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보틀에 주입하는 시스템에서는, 개개의 주입기(81)의 측정 정보를 그 때마다 폴링(polling)에 의해 취득하고자 하면, 주입기(81)의 처리에 추종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반해, 어느 정도의 수 혹은 양의 측정 데이터가 기억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각각의 측정 단말(10)에 의해, 개개의 주입기(81)의 상태를 일단 데이터로서 축적하고, 이후 적당한 타이밍에 수집단말(20)에 버스트(burst mode) 전송함으로써, 개개의 주입기(81)의 정보를 대략 정시에 가까운 짧은 시간에 수집하여,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주입기(81)의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에서는, 식별 정보를 고정시켜 두어도 좋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집 시스템(1)을 채용하면, 개개의 측정 단말(10) 혹은 주입기(81)의 식별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므로, 각 보틀링 시스템(80)에서 주입기(81)를 교체하더라도, 그 때마다 교체가 발생한 주입기(81) 혹은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를 수집 시스템(1)으로 피드백하지 않더라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교체가 발생하였을 때나, 보틀링 시스템(80)을 재구성하였을 때, 측정단말(10)의 식별정보를 조회함으로써 수집 시스템(1)이 보틀링 시스템(80)의 구성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기(81)의 이력까지도 포함한 관리를 본 발명의 수집 시스템(1)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집 시스템(1)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개별적인 주입기(81)의 이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되어, 불량품(rejected lots)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낭비를 방지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된 품질의 제품을 출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단말은, 언제라도 예를 들면 측정단말을 설치하는 장소에 부착시키거나, 혹은 측정단말을 포장속에 넣는 등의 타이밍에, 측정단말의 조건을 광통신 수단에 의해 플랙시블하게 세트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단말을 이용하는 피측정측의 시스템에 맞게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피측정측 시스템을 바꾸는 일 없이 측정단말을 도입하여 그 이점을 누릴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방법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에서는, 컨테이너 내부 등에 설치되는 측정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집단말과의 교신에 의해 간단히 취득할 수 있으며, 이후 취득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단말과 교신함으로써 측정단말의 측정 데이터를 수집단말에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를 개봉하지 않고도, 측정단말의 측정 데이터에 의해 컨테이너의 온도를 관리하거나, 컨테이너의 이상 유무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는 수집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방법 및 시스템은, 컨테이너 등의 수송 분야에서 유용할 뿐만아니라, 기타 분야, 예를 들면 보틀링 시스템 등의 식료품이나 음료를 패키징하는 분야 등에서도 유용하다. 또한, 측정 단말을 사전에 수집단말에 등록해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측정단말이 분산되거나, 교체되는 경우가 있는 분야에서의 데이터 수집에는 특히 적합하다. 이벤트 회장이나 미술관, 전시장 등에서 전시물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제공되는 서비스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이용하는 등, 응용 분야는 넓다.

Claims (18)

  1.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측정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측정단말 및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집단말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방법으로서,
    상기 측정단말은, 순번이 규정될 수 있는 한정된 수의 식별정보의 하나를 자신의 식별정보로서 기억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집단말이 무선으로 상기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조회 단계;
    상기 측정단말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보내는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 1의 응답 단계;
    상기 수집단말이 상기 식별정보의 순번대로 응답된 상기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 1의 식별단계;
    상기 수집단말이, 기억된 상기 식별정보의 상기 측정단말과 개별적으로 무선을 통해 통신하여 해당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 1의 응답단계 전에,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모든 상기 측정단말이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각각 일제히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 2의 응답단계; 및
    상기 제 2의 응답단계에서 상기 식별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면, 상기 식별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식별단계를 스킵하는 제 2의 식별단계를 가지는 데이터 수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말 및 수집단말은 교신범위가 수 미터 정도로 한정된 무선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수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순번을 규정할 수 있는 제 1의 식별정보 및 그룹을 식별할 수 있는 제 2의 식별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조회단계에서는 상기 제 2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상기 메시지를 발신하며,
    상기 제 1의 응답단계에서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제 2의 식별정보를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에 포함하는 상기 측정단말이 응답하는 데이터 수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단계에서는, 동일한 메시지를 반복한 회수와 함께 복수회 송신하는 데이터 수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응답단계에서는, 상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예비 시간의 합계를 하나의 상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하여, 자신의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순번을 카운트하는 데이터 수집방법.
  6. 삭제
  7.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는 수단;
    상기 측정 데이터를,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가능한 수단;
    순번을 규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의 하나를 자신의 식별정보로서 기억하는 메모리;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보내는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하는 제 1의 응답수단; 및
    상기 제 1의 응답수단에 의해 응답하기 전에,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하는 제 2의 응답수단을 가지는 측정단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장치는 교신범위가 수 미터 정도로 한정되어 있는 측정단말.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송수신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한 광통신수단을 가지는 측정단말.
  11.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득가능한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무선장치를 통해 수신가능한 수단;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상기 측정단말에 대해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조회수단; 및
    상기 메시지가 종료된 후,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의 순번대로 수신한 상기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 1의 식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가능한 수단은, 기억된 상기 식별정보의 상기 측정단말과 개별적으로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통신하여 해당하는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메시지가 종료된 후,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모든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일제히 송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면, 상기 식별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식별수단의 동작을 스킵하는 제 2의 식별수단을 더 가지는 수집단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장치는 교신범위가 수 미터 정도로 한정되어 있는 수집단말.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수단은 동일한 메시지를 반복 회수와 함께 복수회 송신하는 수집단말.
  14. 삭제
  15.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측정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가능한 측정단말 및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신가능한 수집단말을 가지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으로서,
    상기 측정단말은,
    상기 측정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가능한 수단;
    순번을 규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의 하나를 자신의 식별정보로서 기억하는 메모리;
    무선으로 상기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보내는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 1의 응답수단; 및
    상기 제 1의 응답수단에 의해 응답하기 전에,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 2의 응답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집단말은,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가능한 수단;
    무선으로 상기 측정단말에 대해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조회수단; 및
    상기 메시지가 종료된 후, 무선으로 상기 식별정보의 순번대로 수신한 상기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 1의 식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가능한 수단은, 기억된 상기 식별정보의 상기 측정단말과 개별적으로 통신하여 해당하는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메시지가 종료된 후, 모든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일제히 무선으로 송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면, 상기 식별정보를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식별수단의 동작을 스킵하는 제 2의 식별수단을 더 가지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
  16. 센서로부터 취득한 측정 데이터를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가능한 측정단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순번을 규정할 수 있는, 한정된 수의 식별정보의 하나를 자신의 식별정보로서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 나서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자신의 식별정보를 보내는 순번이 도래하였을 때, 상기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하는 제 1의 응답단계; 및
    상기 제 1의 응답단계 전에, 상기 메시지가 종료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자신의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송신하는 제 2의 응답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을 가지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말은 광통신 수단을 가지며,
    상기 광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자신의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을 더 가지는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8. 센서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취득가능한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무선장치를 통해 수신가능한 수집단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상기 측정단말에 대해 식별 정보를 조회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제 1의 식별단계;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상기 메시지가 종료된 후, 상기 식별정보의 순번대로 수신한 상기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가 종료된 후,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모든 상기 측정단말로부터 일제히 송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면,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식별단계를 스킵하는 제 2의 식별단계; 및
    기억된 상기 식별정보의 상기 측정단말과 개별적으로 상기 무선장치를 통해 통신하여 해당하는 측정단말로부터 상기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실행가능한 명령을 가지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47000921A 2001-09-13 2002-09-13 데이터 수집방법 KR100947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7875 2001-09-13
JP2001277875 2001-09-13
PCT/JP2002/009412 WO2003025881A1 (fr) 2001-09-13 2002-09-13 Procede de collecte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830A KR20040030830A (ko) 2004-04-09
KR100947930B1 true KR100947930B1 (ko) 2010-03-15

Family

ID=1910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921A KR100947930B1 (ko) 2001-09-13 2002-09-13 데이터 수집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78217B2 (ko)
EP (1) EP1426909B1 (ko)
JP (1) JP4220899B2 (ko)
KR (1) KR100947930B1 (ko)
CN (1) CN1524253A (ko)
AU (1) AU2002328435C1 (ko)
WO (1) WO20030258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202A (ko) 2015-10-20 2017-05-02 주식회사 엔젠소프트 센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8147B2 (en) * 2002-10-17 2007-07-24 Paksense, Llc Perishable product electronic label including time and temperature measurement
EP1673744B1 (en) * 2003-09-05 2010-01-27 Sensitech Inc. Automatic conditioning of data accumulated by sensors monitoring supply chain processes
US7152019B2 (en) 2004-11-30 2006-12-1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based computing
US20070171083A1 (en) * 2005-02-18 2007-07-26 Kou Yuen-Foo M Monitoring moisture inside a container
JP4967255B2 (ja) * 2005-05-23 2012-07-04 株式会社ツムラ 低温殺虫方法及び低温殺虫設備
JP4675208B2 (ja) * 2005-10-26 2011-04-20 株式会社ティアンドデイ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70108303A1 (en) * 2005-11-16 2007-05-17 Ace Dragon Corp. Modular display and control unit
US8156208B2 (en) * 2005-11-21 2012-04-10 Sap Ag Hierarchical, multi-tiered mapping and monitoring architecture for service-to-device re-mapping for smart items
US20070118496A1 (en) * 2005-11-21 2007-05-24 Christof Bornhoevd Service-to-device mapping for smart items
US8005879B2 (en) * 2005-11-21 2011-08-23 Sap Ag Service-to-device re-mapping for smart items
US8522341B2 (en) 2006-03-31 2013-08-27 Sap Ag Active intervention in service-to-device mapping for smart items
US8296408B2 (en) * 2006-05-12 2012-10-23 Sap Ag Distributing relocatable services in middleware for smart items
US8296413B2 (en) * 2006-05-31 2012-10-23 Sap Ag Device registration in a hierarchical monitor service
US8065411B2 (en) * 2006-05-31 2011-11-22 Sap Ag System monitor for networks of nodes
US8131838B2 (en) * 2006-05-31 2012-03-06 Sap Ag Modular monitor service for smart item monitoring
CN200944065Y (zh) * 2006-07-21 2007-09-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能测量温度的移动存储设备
US8396788B2 (en) * 2006-07-31 2013-03-12 Sap Ag Cost-based deployment of components in smart item environments
US8762060B2 (en) * 2007-01-30 2014-06-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vasive network for environmental sensing
US7831785B2 (en) * 2007-04-30 2010-11-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80306798A1 (en) * 2007-06-05 2008-12-11 Juergen Anke Deployment planning of components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KR100792545B1 (ko) * 2007-06-13 2008-01-09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센서 인터페이스모듈이 분리된 다중 채널 무선 계측 시스템
US8880740B2 (en) * 2007-10-24 2014-1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location
CN100595538C (zh) * 2008-06-23 2010-03-24 上海轶龙应用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无线实时温度监测记录方法
AU2010345759B2 (en) 2010-02-15 2014-08-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680220B2 (ja) 2011-12-20 2015-03-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ストレージ・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9970822B2 (en) 2012-04-27 2018-05-15 Par Technology Corporation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for workflow monitoring system
US8931952B2 (en) * 2012-04-27 2015-01-13 Par Technology Corporation 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for workflow monitoring system
JP6047339B2 (ja) * 2012-08-22 2016-12-21 日置電機株式会社 測定装置
EP2914942B1 (en) 2012-11-02 2023-06-14 Variable Inc.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color sensing, storage and comparison
US9674323B1 (en) 2013-08-29 2017-06-06 Variable, Inc. Modular multi-functional device, method, and system
TWI512667B (zh) * 2014-09-26 2015-12-11 Univ Tatung Method of managing logistics temperatur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CN106856482A (zh) * 2015-12-08 2017-06-16 中山爱科数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健康数据采集方法
CN106325525A (zh) * 2016-09-27 2017-01-11 成都西可科技有限公司 一种热敏唤醒的终端和热敏唤醒终端的方法
US10746599B2 (en) 2018-10-30 2020-08-18 Variab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pectral interpolation using multiple illumination sources
CN109885740A (zh) * 2019-01-24 2019-06-14 杭州志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可视化温度记录系统
CN111782432B (zh) * 2020-06-29 2024-03-22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用于容器异常分析的数据的采集方法及装置
CN111967230A (zh) * 2020-08-13 2020-11-20 上海威克迈龙川汽车发动机零件有限公司 一种在现场测量后自动输入对应报表的测量系统及其应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789A (ja) * 1995-10-04 1997-04-15 Denso Corp データ通信装置
JP2000049656A (ja) * 1998-07-17 2000-02-18 Lucent Technol Inc 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9771A (en) * 1993-02-24 1998-02-17 Amsc Subsidiary Corporation System for mapping occurrences of conditions in a transport route
US5745049A (en) 1995-07-20 1998-04-28 Yokogawa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equipment diagnosis system
US5867801A (en) * 1996-01-11 1999-02-02 General Railway Signal Corporation Remote asset monitoring system
US5887176A (en) * 1996-06-28 1999-03-23 Randtec,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tracking of inventory
US6362737B1 (en) * 1998-06-02 2002-03-26 Rf Code, Inc.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with adaptive transceivers and methods of operation
US5999091A (en) * 1996-11-25 1999-12-07 Highwaymaster Communications, Inc. Trailer communications system
US6047250A (en) * 1997-04-21 2000-04-04 Management And Repor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monitoring fluid distribution and associated methods
JP3922662B2 (ja) * 1997-09-05 2007-05-30 株式会社ティアンドデイ 測定管理装置および測定システム
US6226601B1 (en) * 1998-05-15 2001-05-01 Trimble Navigation Limited Seismic survey system
AUPP686398A0 (en) * 1998-10-30 1998-11-26 Richardson, Donald G. A method of recording the temperature of perishable products in cold chain distribution
JP2000215377A (ja) * 1999-01-26 2000-08-04 T & D:Kk 測定装置
WO2001001366A2 (en) * 1999-06-25 2001-01-04 Telemonitor, Inc. Smart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6714133B2 (en) * 1999-12-15 2004-03-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hort range communication system
US6453687B2 (en) * 2000-01-07 2002-09-24 Robertshaw Controls Company Refrigeration monitor unit
US6518876B1 (en) * 2000-04-25 2003-02-11 Schrader-Bridgeport International, Inc. Determination of wheel sensor position using radio frequency detectors in an automotive remote tire monitor system
US6519529B2 (en) * 2000-04-27 2003-02-11 Terion, Incorporated Intermodal movement status monitoring system
US6356802B1 (en) * 2000-08-04 2002-03-12 Paceco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cargo containers
US6720887B1 (en) * 2000-08-18 2004-04-13 James Michael Zunti Flexible, reconfigurable wireless sensor system
US20020061758A1 (en) * 2000-11-17 2002-05-23 Crosslink, Inc. Mobi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for automating fleet operations
US6441728B1 (en) * 2001-01-02 2002-08-27 Trw Inc. Tire condition sensor communication with tire location provided via vehicle-mounted identification units
WO2002087905A1 (en) * 2001-04-26 2002-11-07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Method of differentiating tires in a vehicle
WO2003063103A1 (en) * 2002-01-18 2003-07-3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onitoring and tracking of assets by utilizing wireless communications
US7015826B1 (en) * 2002-04-02 2006-03-21 Digital Ang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nd transmitting a body characteristic of a host
US6847912B2 (en) * 2002-05-07 2005-01-25 Marconi Intellectual Property (Us) Inc. RFID temperature device and method
US20040113783A1 (en) * 2002-12-11 2004-06-17 Millennium Information Systems, Llc Container integrity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789A (ja) * 1995-10-04 1997-04-15 Denso Corp データ通信装置
JP2000049656A (ja) * 1998-07-17 2000-02-18 Lucent Technol Inc 無線通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202A (ko) 2015-10-20 2017-05-02 주식회사 엔젠소프트 센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25881A1 (ja) 2005-01-06
US6978217B2 (en) 2005-12-20
JP4220899B2 (ja) 2009-02-04
EP1426909A4 (en) 2010-10-06
WO2003025881A1 (fr) 2003-03-27
AU2002328435B2 (en) 2007-12-20
EP1426909A1 (en) 2004-06-09
CN1524253A (zh) 2004-08-25
KR20040030830A (ko) 2004-04-09
US20040243352A1 (en) 2004-12-02
EP1426909B1 (en) 2016-09-07
AU2002328435C1 (en) 2008-08-14
EP1426909A9 (en) 200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930B1 (ko) 데이터 수집방법
EP1427114A1 (en) HIGH−FREQUENCY COMPOSITE SWITCH MODULE
EP2366266B1 (en) Environmental sensing and communication
US7586412B2 (en) Wireless tag, wireless tag reader/writer, wireless tag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wireless tag system
US201801201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food processing and food storage
US20070008119A1 (en) Temperature recording system having user selectable temperature ranges with radio frequency data transfer and G.P.S. based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US20170372260A1 (en) Environmental parameter monitor with machine readable display
MX2007011596A (es) Sistema y metodo para supervisar alimentos.
CN101132332A (zh) 运输管理系统
WO2016100475A1 (en) Environmental parameter monitor with wide area communication
US201101568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refrigerated containers
JP2002267313A (ja) 荷物温度管理装置
JPH0670820B2 (ja) 自動販売機データ収集システム
JP5094503B2 (ja) 貨物搭載用端末、貨物監視システム、および貨物開封検知方法
WO2002007014A1 (en) Data logger for monitoring a consignment of goods
KR101031844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냉동 컨테이너 인디케이터 시스템
CN113632148A (zh) 用于提供运行数据的系统
KR101378834B1 (ko) 물류운영시스템의 배송이력정보 관리장치
CN116897360A (zh) 用于监测易腐产品的载荷的过程和基础设施
CN103369039A (zh) 一种冷藏集装箱用监测系统及方法
KR100939835B1 (ko) Rfid 태그를 부착한 프로브 카드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JPH0724166U (ja) 商品陳列棚
CN110658755A (zh) 一种物流安全监测智能化系统
CN213690676U (zh) 指示装置和指示系统
RU2732678C1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и контроля температуры и влажности при складировании и перевозке скоропортящихся гру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