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804B1 - 나사 이송 기구 및 그것을 갖춘 릴 시트 - Google Patents

나사 이송 기구 및 그것을 갖춘 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804B1
KR100947804B1 KR1020030008857A KR20030008857A KR100947804B1 KR 100947804 B1 KR100947804 B1 KR 100947804B1 KR 1020030008857 A KR1020030008857 A KR 1020030008857A KR 20030008857 A KR20030008857 A KR 20030008857A KR 100947804 B1 KR100947804 B1 KR 10094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rotating member
axial direction
regio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062A (ko
Inventor
하라다다카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30069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이송(移送)의 조작성을 종래에 비교하여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의 홈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숫나사부를 구비한 숫나사부재와, 숫나사부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숫나사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숫나사부는 홈사이의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을 적어도 일부에 구비하고, 상기 홈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홈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계합(係合)되는 계합(係合)수단을 구비하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계합수단이 회전부재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사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는 상기 홈을 가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igure R1020030008857
숫나사부, 회전부재, 계합수단, 소피치 영역, 대피치 영역, 변화 영역

Description

나사 이송 기구 및 그것을 갖춘 릴 시트{Device for transferring Screw and Reel Sheet having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릴 시트에 사용되어 있는 시트 본체의 숫나사부의 외관도.
도3은 릴 시트의 주요부 확대 모식도.
도4는 릴 시트의 숫나사부의 모식도.
도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8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8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릴 시트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P-P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트 본체 2: 고정 후드
3: 가동 후드 4: 이동용 너트(회전부재)
5: 재치면 10: 숫나사부
11: 대피치 영역 12: 소피치 영역
13: 피치 변화 영역 20: 계합 볼(계합 수단)
22: 링 23: 보조 볼(계합 수단)
30: 계합 핀(계합 수단) 30a: 선단부(계합 수단)
40: 계합부재(계합 수단)
본 발명은 나사 이송(移送) 기구 및 그것을 갖춘 릴 시트에 관한 것이다.
릴을 달아 사용되는 낚싯대에는 그 릴의 각부를 고정 하기 위한 릴 부착부를 구성할 수 있는 릴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 릴 시트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낚싯대의 장대 본체의 외측에 끼어서 장착되어, 고착 사용되는 파이프 모양의 릴 시트가 존재한다. 당해 릴 시트는, 릴의 다리부를 릴 시트의 축선방향으로 협지(挾持)하는 것에 따라 릴을 낚싯대에 고정하는 구성이고, 릴의 다리부를 협지하기 위한 후드를 전후 한 벌 갖추고 있다. 한편의 후드는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고정 후드이고, 다른 한편의 후드는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후드이다.
일반적으로 너트식으로 일컬어지는 원통형의 릴 시트에서는, 가동 후드의 축선방향 외측 단부에 이동용 너트(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나사 이송(移送) 기구에 의해 가동 후드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즉, 이동용 너트는, 원통형의 시트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나선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동용 너트를 회전하는 것으로써, 그 나사 이송(移送)에 의해 가동 후드를 축선방향으로 이동 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릴을 결합하는 경우, 릴의 각부의 일단부를 고정 후드내에 삽입하여, 이동용 너트를 회전시켜 고정하는 측(고정측)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가동 후드를 고정 후드에 접근 시켜 가동 후드내에 릴 각부의 타단부를 삽입시켜, 양후드로 릴의 각부를 협지(挾持)한다.
한편, 릴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이동용 너트를 역방향으로 회전 시켜 느슨한 측(개방측)으로 이동시켜, 이동용 너트에 연결되어 있는 가동 후드를 느슨한 측(개방측), 즉 축선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릴의 각부가 양후드로부터 빠져 나올 때까지 가동 후드를 이동시켜 릴을 릴 시트(낚싯대)로부터 떼어낸다.
상기와 같이, 릴을 착탈할 경우에는 가동 후드를 축선방향으로 비교적 긴 거리를 이동 시킬 필요가 있는 한편, 릴을 고정 하기 위한 충분한 결합 고정력을 확보하는 것과 함께 이동용 너트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릴을 재빠르게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리드각을 크게 해 리드, 피치를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릴을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서는 리드, 피치가 작은편이 유리하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릴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드, 피치를 작게하여 결합력을 확보하고 있었지만, 그 만큼 이동용 너트를 회전 시키는 회수도 많아져서 릴 착탈시에 있어서의 조작성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은, 릴 시트에 있어서 특히 현저하지만, 나사 이송(移送)의 스트로크가 비교적 길고, 나사 이송(移送)시 빠른 스피드가 요구되는 영역과 나사 이송(移送)시 느린 스피드가 요구되는 영역이 혼재하는 곳에서 사용되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 전반에 공통된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나사 이송(移送)의 조작성을 종래와 비교하여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는,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의 홈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숫나사부를 가지는 숫나사부재와, 숫나사부의 외주면에 외감(부재의 외측에 끼우는 것)되어 숫나사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숫나사부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소피치 영역보다도 큰 대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을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당해 피치 변화 영역은, 축선 방향 내측을 향한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고, 홈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홈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계합(係合, 얽어 맞추는 것)하는 계합(係合)수단을 구비하고, 계합수단으로서 회전부재의 내주면(內周面)에는 계합 돌기가 일개소 돌설(突設, 튀어나오게 설치하는 것)되어 있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계합수단이 회전부재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內)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는 홈을 가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숫나사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된다」라는 의미는 숫나사부재를 고정하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반대로 회전부재를 고정하여 숫나사부재를 회전시키는 경우도 포함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부재를 숫나사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계합 수단이 홈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피치 변화 영역에 있어서 홈사이의 피치가 변화하고 있어도, 이에 대응해서, 계합 수단이 회전부재와 일체가 되어 축선주위로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피치 변화 영역을 포함하여 숫나사부의 홈을 가이드로 해서 회전부재는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 용도에 따라 피치 변화 영역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나사 이송(移送)의 스피드에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나사 이송(移送)의 전(全) 스트로크(stroke) 중에 상대적으로 빠른 스피드로 나사 이송(移送)을 하고 싶은 영역과 상대적으로 느린 스피드로 나사 이송(移送)을 하고 싶은 영역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숫나사부에 있어서의 홈사이의 피치를 그러한 스피드에 맞추어 설정하는 것에 따라, 각각의 영역에 적절한 스피드로 나사를 이송(移送)할 수가 있다.
또한,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가동(稼動) 후드를 축선방향 안쪽, 즉 릴 고정측(固定側)으로 이동시키면, 피치 변화 영역에 있어서 축선방향 안쪽을 향한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기 때문에, 릴의 고정이 완료되는 릴 고정 위치로부터 멀어진 곳에서는 빠른 스피드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릴 고정 위치에 가까운 곳에서는 느린 스피드로 이동시켜 큰 결합 고정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나아가, 숫나사부의 전(全)영역을 피치 변화 영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대피치 영역과 소피치 영역의 양 영역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피치 변화 영역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대피치 영역과 소피치 영역의 두개 피치 영역을 용도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삭제
또한, 계합 돌기를 1개소 돌설시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확실하게 피치 변화 영역에 대응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관련되는 나사 이송 기구는 청구항 1에 관련되는 나사 이송 기구에 있어서, 선단부(先端部)가 회전부재의 내주면(內周面)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계합 핀을 회전부재에 장착하여, 상기 계합 핀의 선단부(先端部)로부터 상기 계합 돌기를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계합 핀을 별체(別體)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계합 핀을 강도가 큰 부재, 예를 들면 금속제로 구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계합 돌기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릴 시트는, 릴의 다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릴 시트에 있어서,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숫나사부를 가지는 원통상의 시트 본체와, 당해 시트 본체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후드와, 당해 가동 후드의 축선방향 외측에 있어서 시트 본체의 숫나사부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회전 조작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숫나사부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소피치 영역보다도 큰 대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을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당해 피치 변화 영역은, 축선 방향 내측을 향한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고, 홈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홈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계합되는 계합수단이 설치되고, 계합수단으로서 회전부재의 내주면(內周面)에 계합 돌기가 일개소 돌설되어 있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계합수단이 회전부재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는 홈을 가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당해 회전부재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가동 후드가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항상, 릴의 다리부의 측을 축선방향의 내측(內側)으로 하고, 그것과 반대측을 축선방향의 외측(外側)으로 한다. 즉, 릴 고정측(固定側)이 축선방향의 내측(內側), 릴 개방측이 축선방향의 외측(外側)이 된다.
이 구성의 릴 시트에 릴을 고정하는 경우, 계합 돌기를 1개소 돌설시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확실하게 피치 변화 영역에 대응시킬 수가 있고,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가동(稼動) 후드를 축선방향 안쪽, 즉 릴 고정측(固定側)으로 이동시키면, 피치 변화 영역에 있어서 축선방향 안쪽을 향한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기 때문에, 릴의 고정이 완료되는 릴 고정 위치로부터 멀어진 곳에서는 빠른 스피드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릴 고정 위치에 가까운 곳에서는 느린 스피드로 이동시켜 큰 결합 고정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관련되는 릴 시트는 청구항 4에 관련되는 릴 시트에 있어서, 숫나사부에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소피치 영역보다도 큰 대피치 영역이 피치 변화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소피치 영역은 축선방향 안쪽에 있고, 대피치 영역은 축선방향 바깥쪽에 있다. 숫나사부의 전(全)영역을 피치 변화 영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대피치 영역과 소피치 영역의 양 피치 영역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피치 변화 영역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낚시꾼은 대피치 영역과 소피치 영역의 두개의 피치 영역의 존재를 명확하게 인식하여 회전부재를 조작할 수 있으며, 대피치 영역에서는 편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고, 소피치 영역에서는 확실하게 릴을 고정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나사 이송 기구는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의 홈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숫나사부를 가지는 숫나사부재와, 숫나사부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숫나사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숫나사부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소피치 영역보다도 큰 대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을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당해 피치 변화 영역은, 축선 방향 내측을 향한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고, 숫나사부재와 회전부재와의 지름 방향의 사이에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전동하는 계합 볼 및 보조 볼이 계합수단으로서 설치되고, 계합 볼은 일개소 설치되고 회전부재에 대한 상대 위치가 불변이며 또한 자전 가능하고, 보조볼은, 홈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회전부재에 대해서 축선방향으로만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계합수단이 회전부재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內)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는 홈을 가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부재를 숫나사부재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계합 수단이 홈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피치 변화 영역에 있어서 홈사이의 피치가 변화하고 있어도, 이에 대응해서, 계합 수단이 회전부재와 일체가 되어 축선주위로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피치 변화 영역을 포함하여 숫나사부의 홈을 가이드로 해서 회전부재는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 용도에 따라 피치 변화 영역을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나사 이송(移送)의 스피드에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나사 이송(移送)의 전(全) 스트로크(stroke) 중에 상대적으로 빠른 스피드로 나사 이송(移送)을 하고 싶은 영역과 상대적으로 느린 스피드로 나사 이송(移送)을 하고 싶은 영역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 숫나사부에 있어서의 홈사이의 피치를 그러한 스피드에 맞추어 설정하는 것에 따라, 각각의 영역에 적절한 스피드로 나사를 이송(移送)할 수가 있다.
나아가, 숫나사부의 전(全)영역을 피치 변화 영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대피치 영역과 소피치 영역의 양 영역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피치 변화 영역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대피치 영역과 소피치 영역의 두개 피치 영역을 용도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항상, 릴의 다리부의 측을 축선방향의 내측(內側)으로 하고, 그것과 반대측을 축선방향의 외측(外側)으로 한다. 즉, 릴 고정측(固定側)이 축선방향의 내측(內側), 릴 개방측이 축선방향의 외측(外側)이 된다.
이 구성의 릴 시트에 릴을 고정하는 경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가동(稼動) 후드를 축선방향 안쪽, 즉 릴 고정측(固定側)으로 이동시키면, 피치 변화 영역에 있어서 축선방향 안쪽을 향한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기 때문에, 릴의 고정이 완료되는 릴 고정 위치로부터 멀어진 곳에서는 빠른 스피드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릴 고정 위치에 가까운 곳에서는 느린 스피드로 이동시켜 큰 결합 고정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숫나사부재와 회전부재와의 지름 방향 사이에 계합 볼을 1개소 개재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를 회전시켰을 때에 계합 볼이 회전부재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전동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회전 부하가 적은 상태로 회전부재를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에 대한 상대 위치가 불변인 하나의 계합 볼에 가세해, 회전부재에 대해서 축선방향으로만 상대 이동이 가능한 보조 볼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와 숫나사부재와의 사이의 반동이 억제되는 것과 함께, 회전부재의 회전 부하도 감소시킬 수가 있어 내구성도 향상된다.
청구항 7에 관련되는 나사 이송 기구는, 청구항 6에 관련되는 나사 이송 기구에 있어서, 계합 볼에 대해서 180도 대향(對向)한 위치에 보조 볼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볼은 계합 볼에 대해서 어느 쪽의 위치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특히 180도 대향(對向)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회전부재의 반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어, 회전부재를 보다 한층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의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청구항 8에 관련되는 나사 이송 기구는,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관련되는 나사 이송 기구에 있어서, 보조 볼이 복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구성, 부드러움, 반동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청구항 9에 관련되는 릴 시트는, 릴의 다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릴 시트에 있어서,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숫나사부를 가지는 원통상의 시트 본체와, 당해 시트 본체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후드와, 당해 가동 후드의 축선방향 외측에 있어서 시트 본체의 숫나사부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회전 조작되는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숫나사부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소피치 영역보다도 큰 대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을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당해 피치 변화 영역은, 축선 방향 내측을 향한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고, 숫나사부재와 회전부재와의 지름 방향의 사이에는,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전동하는 계합 볼 및 보조 볼이 계합수단으로서 설치되고, 계합 볼은 일개소 설치되고 회전부재에 대한 상대 위치가 불변이며 또한 자전 가능하고, 보조볼은, 홈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회전부재에 대해서 축선방향으로만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계합수단이 회전부재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는 홈을 가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당해 회전부재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가동 후드가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항상, 릴의 다리부의 측을 축선방향의 내측(內側)으로 하고, 그것과 반대측을 축선방향의 외측(外側)으로 한다. 즉, 릴 고정측(固定側)이 축선방향의 내측(內側), 릴 개방측이 축선방향의 외측(外側)이 된다.
이 구성의 릴 시트에 릴을 고정하는 경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가동(稼動) 후드를 축선방향 안쪽, 즉 릴 고정측(固定側)으로 이동시키면, 피치 변화 영역에 있어서 축선방향 안쪽을 향한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기 때문에, 릴의 고정이 완료되는 릴 고정 위치로부터 멀어진 곳에서는 빠른 스피드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릴 고정 위치에 가까운 곳에서는 느린 스피드로 이동시켜 큰 결합 고정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숫나사부재와 회전부재와의 지름 방향 사이에 계합 볼을 1개소 개재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를 회전시켰을 때에 계합 볼이 회전부재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면서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전동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회전 부하가 적은 상태로 회전부재를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에 대한 상대 위치가 불변인 하나의 계합 볼에 가세해, 회전부재에 대해서 축선방향으로만 상대 이동이 가능한 보조 볼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부재와 숫나사부재와의 사이의 반동이 억제되는 것과 함께, 회전부재의 회전 부하도 감소시킬 수가 있어 내구성도 향상된다.
청구항 10에 관련되는 릴 시트는, 청구항 9에 관련되는 릴 시트에 있어서, 이와 같은 경우, 숫나사부에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 영역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소피치 영역보다도 큰 대피치 영역이 피치 변화 영역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소피치 영역은 축선방향 안쪽에 있고, 대피치 영역은 축선방향 바깥쪽에 있다. 숫나사부의 전(全)영역을 피치 변화 영역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대피치 영역과 소피치 영역의 양 피치 영역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 피치 변화 영역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낚시꾼은 대피치 영역과 소피치 영역의 두개의 피치 영역의 존재를 명확하게 인식하여 회전부재를 조작할 수 있으며, 대피치 영역에서는 편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고, 소피치 영역에서는 확실하게 릴을 고정할 수가 있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를 사용한 릴 시트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릴 시트는 일단측 외주면에 숫나사부(10)을 가지는 파이프 모양(원통형)의 시트 본체(1)(숫나사부재)과 당해 시트 본체(1)의 타단부에 외장되어 고정된 고정 후드(2)와 시트 본체(1)의 일단부측에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장된 가동 후드(3)과 당해 가동 후드(3)의 축선방향 외측에 있어서 숫나사부(10)로 외감되어 회전 조작되는 이동용 너트(4)(회전부재)를 갖추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트 본체(1)과 고정 후드(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이동용 너트(4)는 가동 후드(3)의 축선방향 외측 단부에 감합(嵌合)되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이동용 너트(4)를 회전시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나사 이송(移送)에 의해 이동용 너트(4)와 가동 후드(3)과는 일체가 되어 축선방향의 내외(內外)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양 후드(2, 4)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가 있다. 단, 이동용 너트(4)와 가동 후드(3)을 연결하지 않는 구성이라 하더라도 무방하다. 이런 경우라 해도 이동용 너트(4)를 축선방향 안쪽으로 향해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가동 후드(3)을 고정 후드(2)측에 접근시켜 릴의 다리부를 축선방향으로 협지시킬 수가 있다.
더구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트 본체(1)의 숫나사부(10)에는 축선방향으로 뻗은 직선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어, 당해 가이드 홈에 가동 후드(3)의 돌기부가 계합되는 것에 의해, 당해 가이드 홈을 가이드로서 가동 후드(3)은 시트 본체(1)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회전은 되지 아니한다.
또, 본 실시예의 릴 시트는, 도 1에 이점 쇄선으로 표시한 낚싯대의 장대 본체(100)으로 외측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그 경우 가동 후드(3)이 장대 앞측(간선측)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장대 뒤측(간고측)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낚싯대는, 장대 본체(100)으로 상기 파이프 모양의 릴 시트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낚싯대의 외주면에 숫나사부(10)이 설치되어 릴의 각부를 고정하기 위한 릴 부착부가 이 릴 시트로부터 구성된 것이다.
도 1을 다시 살펴보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숫나사부(10)과 이동용 너트(4)의 구성이 종래와는 상이하다. 우선, 숫나사부(10)은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의 홈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이지만, 종래와 같이 홈사이의 피치(이하, 간단히 “피치”라고 한다)가 일정한 것과는 달리 그 축선방향 중간 부분에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을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와 같이, 숫나사부(10)은 축선방향 외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세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축선방향 일단부에 설치되어 피치가 일정한 대피치 영역(11)과, 릴의 다리부를 재치(載置)하는 재치(載置)면(5)에 인접하여 대피치 영역(11)보다 피치가 작고 또한 일정한 소피치 영역(12)과, 양 피치 영역(11, 12)간에 설치되어 대피치 영역(11)의 피치(P1)로부터 소피치 영역(12)의 피치(P2)까지 연속적이게 피치가 변화한 피치 변화 영역(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피치 변화 영역(13)은 축선방향 안쪽으로 향해 그 피치가 작아지도록 구성 된다.
또, 상기 숫나사부(10)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회전 조작되는 이동용 너트(4)는, 전체로서 원통형이며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없고, 평활한 내주면으로 되어 있어 내경은 숫나사부(1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숫나사부(10)의 외주면과 이동용 너트(4)의 내주면과는 접동(摺動,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하는 관계에 있다. 그리고 이동용 너트(4)는 계합 수단을 개입시켜 숫나사부(10)의 홈의 길이 방향의 일부와 계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용 너트(4)와 숫나사부(10)과의 지름 방향의 사이에 계합 수단으로서의 계합 볼(얽어 맞추는 공 형상의 것, 20)이 하나 개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과 같이 이동용 너트(4)에는 내주면으로 개구(開口)하듯이 환공(丸孔)(21)이 1개소 설치되어 있다. 당해 환공(丸孔)(21)은 이동용 너트(4)의 외주면에도 개구(開口)하고 있으며, 외주면과 내주면과의 사이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당해 환공(丸孔)(21)으로 계합 볼(20)이 삽입되어 그 일부가 내주면으로부터 돌출(突出)되어 있고 그 돌출(突出) 부분이 숫나사부(10)의 홈에 계합되어 있다. 계합 볼(20)은 환공(丸孔)(21)에 흔들거림 없는 상태로, 즉 상대 위치 불변으로 삽입되어 있고 자전 가능하다. 또, 이동용 너트(4)에는 링(22)가 외감되어 있고 당해 링(22)에 의해 환공(21)의 외측(外側)이 가려져 있어서, 따라서 계합 볼(20)의 내주면에의 돌출량은 일정하게 되어 환공(21)으로부터의 계합볼(20)의 발출(拔出)도 방지된다.
상기 도 3의 상태로부터 이동용 너트(4)를 회전시키면, 이동용 너트(4)와 계합 볼(20)은 일체가 되어 축선주위로 회전하지만, 계합 볼(20)은 홈사이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전동하고, 이동용 너트(4)의 내주면은 숫나사부(10)의 외주면과 접동(摺動)한다. 그리고 이동용 너트(4)는 홈을 가이드로 하여 축선방향으로 나사 이송(移送)에 의해 이동하지만, 대피치 영역(11)으로부터 소피치 영역(12)로 이동하는 이동 도중에 있어서의 피치 변화 영역(13)에 있어서도, 1개소의 계합 볼(20)만이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피치의 변화에 대응할 수가 있어 순조롭게 소피치 영역(12)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릴 고정 위치(R)로부터 떨어진 곳에 있어서 결합 고정력이 필요하지 않는 대피치 영역(11)에서는 적은 회전수로 큰 이동량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빠른 스피드로 축선방향 안쪽을 향하여 이동용 너트(4), 나아가서는 가동 후드(3)을 이동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릴 고정 위치(R)에 가까워지면, 피치 변화 영역(13)을 개입시켜 소피치 영역(12)로 이행하여, 느린 스피드로 가동 후드(3)을 이동시키면서, 고정 후드(2)와 함께 릴의 각부를 축선방향에 단단히 조일 수가 있다. 이때, 소피치 영역(12)에 있어서는 피치(P2)가 작으며 리드각이 작기 때문에 큰 결합 고정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 릴을 확실히 고정할 수가 있으며, 게다가 리드각이 작기 때문에 이동용 너트(4)의 자연 발생하는 복귀현상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릴을 릴 시트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반대의 조작을 하지만, 그 경우에도 대피치 영역(11)에 있어서, 이동용 너트(4)를 신속히 축선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릴을 신속하게 떼어낼 수가 있다.
특히, 피치 변화 영역(13)을 개입시켜 대, 소 양피치 영역(11, 12)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피치의 차이를 인식하기 쉽고, 이동용 너트(4)를 회전 조작해 릴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계합 수단으로서 계합 볼(20)을 개재(介在)시켜 계합 볼(20)이 홈사이를 전동하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이동용 너트(4)를 순조롭게 회전 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숫나사부(10)의 홈은 도 2와 같이 “コ”자 모양(모퉁이 나사형 또는 사다리꼴 나사형)으로 형성되도 무방하며, 도 4와 같이 계합 볼(20)에 맞추어 원호상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더욱이, 도 5와 같이 계합 수단으로서 그 위에 이동용 너트(4)와 숫나사부(10)과의 지름 방향 사이에 보조 볼(23)을 개재시켜도 무방하다. 나아가 도 5a는 이동용 너트(4)의 일부 외관을 링(22)를 제외한 상태에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환공(丸孔)(21)의 180도 대향(對向)한 위치에 축선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24)를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상술한 링(22)에 의해 이 긴 구멍(24)도 덮어지도록 한다. 당해 긴 구멍(24)로 보조 볼(23)이 축선방향으로만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자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그 일부가 이동용 너트(4)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突出)되어 홈에 계합해 그 길이 방향으로 전동한다. 홈사이에서 보조 볼(23)이 전동할 때, 보조 볼(23)이 긴 구멍(24)안을 축선방향 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피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더구나 긴 구멍(24)의 축선방향의 길이는 피치의 변화량보다도 크다. 이와 같이, 계합 볼(20)의 대향(對向)한 위치에 보조 볼(23)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숫나사부(10)과 이동용 너트(4)와의 축선을 맞춘 상태로 이동용 너트(4)를 회전 시킬 수가 있어 숫나사부(10)의 외주면과 이동용 너트(4)의 내주면과의 접동(摺動) 손실이 적게 되며, 이동용 너트(4)를 순조롭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보조 볼(23)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특히 그것을 대향(對向)한 위치에 설치한 것에 의해, 계합 볼(20)의 부담도 경감되어 계합 볼(20) 자체의 내구성도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릴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가 있다. 나아가, 보조 볼(23)을 복수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그 경우, 복수의 보조 볼(23)을 서로 둘레 방향으로 이간(離間)시켜 배치하거나 축선방향으로 이간(離間)시켜 배치하거나 할 수가 있다.
또, 볼을 개재시키는 구성에 대신해, 이동용 너트(4)의 내주면에 계합 돌기를 1개소 돌설시켜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이동용 너트(4)를 합성 수지로부터 사출(射出) 성형에 의해 형성하여 계합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6과 같이, 이동용 너트(4)의 내주면에서 선단부(先端部)(30a)가 돌출하도록, 이동용 너트(4)로 계합 핀(30)을 대략 지름 방향으로 장착해, 그 계합 핀(30)의 선단부(先端部)(30a)로부터 계합돌기를 구성해도 무방하다. 계합 핀(30)의 선단부(先端部)(30a)는, 홈에 계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계합 핀(30)의 선단부(先端部)(30a)를 구면(球面)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더구나, 계합 핀(30)을 이동용 너트(4)로 나착(螺着, 나사식으로 끼워넣어 장착하는 것)한다면, 선단부(先端部)(30a)의 돌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어느 쪽으로도 계합 핀(30)으로부터 계합 돌기를 구성하면, 계합 핀(30)을 금속제로 하는 등, 용이하게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기 때문에, 내구성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계합 돌기를 설치하는 구성에서는 계합 볼(20)을 이용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조립이 용이해진다.
더구나, 계합 핀(30)의 선단부(先端部)(30a)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형(角形)이라 하더라도 무방하다. 단면이 각형(角形)인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대피치 영역(11)과 소피치 영역(12)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홈에 감입될 수 있는 큰 단면 형상이다.
또, 계합 수단에의 부담을 경감하는 구성으로서 리드각의 변화에 대응해 요동(搖動)하는 계합부재를 계합 수단으로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에 따르면, 둘레 방향으로 뻗은 대략 장방형(長方形)의 계합부재(40)을 이동용 너트(4)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설치한 요(凹)부(41)내에 설치한다. 당해 계합부재(40)의 외면에는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회동(回動) 지점으로서의 지축(支軸)(42)가 돌설(突設) 되고 당해 지축(支軸)에서 이동용 너트(4)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軸支)되어 있다. 한편, 계합부재(40)의 내면에는 볼(43)이 길이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복수 자전 가능하게 감입되어 있어, 그 볼(43)의 일부가 이동용 너트(4)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突出)되어 숫나사부(10)의 홈사이에 계합된다. 그리고 이동용 너트(4)를 회전시키면서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계합부재(40)이 지축(支軸)(42)를 지점으로서 요동(搖動)하여 피치의 변화에 의한 리드각의 변화에 대응한다. 나아가, 홈의 계합량은 중앙의 볼(43)은 크고, 양단부의 두개의 볼(43)은 작다. 더 나아가, 볼(43)이 홈에 계합하는 구성에 대신하여, 계합부재(40)의 내면이 부분적으로 홈에 계합하도록 돌출(突出)된 구성이라 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에서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를 채용한 릴 시트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나사 이송(移送) 기구는 릴 시트 외에도 예를 들면 밑 뚜겅이나 탑 홀더등 , 여러 가지 부분에 활용 가능하다.
또, 숫나사부에 피치 변화 영역을 복수 위치에 설치해도 무방하며, 또 전( 全)영역을 피치 변화 영역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조 나사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多)조 나사로서도 무방하다. 다조 나사(리드가 피치의 2 이상의 정수배인 나사)의 경우, 계합 수단을 복수로 설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의 안정을 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조마다 1개소씩 계합 볼(20)을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나사의 조수에 대응한 수의 계합 볼(20) 등의 계합 수단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것들을 둘레 방향으로 분산시켜 배치하는 것으로 계합 수단이 홈에서 외부로 분리하기 어려워져 회전부재의 안정을 꾀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에 있어서는, 피치 변화 영역과 그것에 대응한 계합 수단을 갖춘 것에 의해, 나사 이송(移送)의 스피드에 변화를 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부재 혹은 숫나사부재의 조작성을 종래에 비교해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릴 시트 에 있어서는, 축선방향 안쪽으로 향해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는 피치 변화 영역과 거기에 대응한 계합 수단을 구비한 것에 의해, 가동 후드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부재의 조작성을 종래에 비하여 향상시키면서, 충분한 결합 고정력을 확보할 수가 있어 릴의 착탈이 종래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10)

  1.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의 홈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숫나사부(10)를 가지는 숫나사부재(1)와, 상기 숫나사부(10)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상기 숫나사부재(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되는 회전부재(4)를 구비하고,
    상기 숫나사부(10)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영역(12)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상기 소피치영역(12)보다도 큰 대피치영역(11)과, 홈사이의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13)을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상기 피치 변화 영역(13)은 축선방향 안쪽을 향하여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며,
    홈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홈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계합(係合)하는 계합(係合)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계합수단으로서, 상기 회전부재(4)의 내주면에는 계합 돌기가 일개소 돌설(突設)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4)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계합수단이 상기 회전부재(4)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內)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4)는 홈을 가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선단부(先端部)(30a)가 상기 회전부재(4)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계합 핀(30)이 상기 회전부재(4)에 장착되고, 상기 계합 핀(30)의 선단부(先端部)(30a)로부터 상기 계합 돌기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
  4. 릴의 다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릴 시트에 있어서,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숫나사부(10)를 가지는 원통상의 시트 본체(1)와, 상기 시트 본체(1)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후드(3)와, 상기 가동 후드(3)의 축선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1)의 숫나사부(10)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회전 조작되는 회전부재(4)를 구비하고,
    상기 숫나사부(10)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영역(12)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상기 소피치영역(12)보다도 큰 대피치영역(11)과, 홈사이의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13)을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상기 피치 변화 영역(13)은 축선방향 안쪽을 향하여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며,
    홈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홈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계합하는 계합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계합수단으로서, 상기 회전부재(4)의 내주면에는 계합 돌기가 일개소 돌설(突設)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4)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계합수단이 상기 회전부재(4)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4)는 홈을 가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부재(4)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동 후드(3)가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10)에는 상기 소피치영역(12)과 상기 대피치영역(11)이 상기 피치 변화영역(13)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소피치영역(12)은 축선방향 안쪽에 있고, 상기 대피치영역(11)은 축선방향 바깥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6.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의 홈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숫나사부(10)를 가지는 숫나사부재(1)와, 상기 숫나사부(10)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상기 숫나사부재(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조작되는 회전부재(4)를 구비하고,
    상기 숫나사부(10)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영역(12)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상기 소피치영역(12)보다도 큰 대피치영역(11)과, 홈사이의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13)을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상기 피치 변화 영역(13)은 축선방향 안쪽을 향하여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며,
    상기 숫나사부재(1)와 상기 회전부재(4)와의 지름방향 사이에는, 상기 회전부재(4)의 회전에 의해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전동하는 계합 볼(20) 및 보조 볼(23)이 계합수단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계합 볼(20)은, 일개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4)에 대한 상대위치가 불변이며 또한 자전 가능하고,
    상기 보조 볼(23)은 홈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4)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만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4)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계합수단이 상기 회전부재(4)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內)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4)는 홈을 가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볼(20)에 대해서 180도 대향(對向)한 위치에 상기 보조볼(2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볼(23)이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이송(移送) 기구.
  9. 릴의 다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릴 시트에 있어서,
    외주면에 소정의 일정한 폭이 나선상으로 형성된 숫나사부(10)를 가지는 원통상의 시트 본체(1)와, 상기 시트 본체(1)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후드(3)와, 상기 가동 후드(3)의 축선방향 외측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1)의 숫나사부(10)의 외주면에 외감되어 회전 조작되는 회전부재(4)를 구비하고,
    상기 숫나사부(10)는,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한 소피치영역(12)과, 홈사이의 피치가 일정하고 또한 상기 소피치영역(12)보다도 큰 대피치영역(11)과, 홈사이의 피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피치 변화 영역(13)을 적어도 일부에 가지고,
    상기 피치 변화 영역(13)은 축선방향 안쪽을 향하여 홈사이의 피치가 작아지며,
    상기 시트 본체(1)와 상기 회전부재(4)와의 지름방향 사이에는, 상기 회전부재(4)의 회전에 의해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전동하는 계합 볼(20) 및 보조 볼(23)이 계합수단으로서 설치되고,
    상기 계합 볼(20)은, 일개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4)에 대한 상대위치가 불변이며 또한 자전 가능하고,
    상기 보조볼(23)은 홈사이의 피치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4)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만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4)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계합수단이 상기 회전부재(4)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는 것과 함께 홈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4)는 홈을 가이드로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부재(4)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동 후드(3)가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10)에는 상기 소피치영역(12)과 상기 대피치영역(11)이 상기 피치 변화영역(13)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상기 소피치영역(12)은 축선방향 안쪽에 있고, 상기 대피치영역(11)은 축선방향 바깥쪽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시트.
KR1020030008857A 2002-02-18 2003-02-12 나사 이송 기구 및 그것을 갖춘 릴 시트 KR100947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40229A JP3948978B2 (ja) 2002-02-18 2002-02-18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JP-P-2002-00040229 2002-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062A KR20030069062A (ko) 2003-08-25
KR100947804B1 true KR100947804B1 (ko) 2010-03-15

Family

ID=2778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857A KR100947804B1 (ko) 2002-02-18 2003-02-12 나사 이송 기구 및 그것을 갖춘 릴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48978B2 (ko)
KR (1) KR100947804B1 (ko)
CN (1) CN100446666C (ko)
TW (1) TWI2602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6767B1 (fr) * 2006-10-06 2009-01-16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e reglage motoris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US9728045B2 (en) 2010-05-25 2017-08-08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of gaming, a gaming system and a game controller
JP5781660B2 (ja) * 2014-04-25 2015-09-24 株式会社免制震ディバイス ダンパーと免制震機構
DE202018105683U1 (de) * 2018-10-04 2020-01-08 Igus Gmbh Spindelgetriebe
JP7114070B2 (ja) * 2018-10-12 2022-08-08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釣り機
KR102267866B1 (ko) * 2020-09-21 2021-06-21 김영돈 릴 위치 조절 구조의 낚싯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278U (ko) * 1990-02-14 1991-10-31
JPH05180300A (ja) * 1991-12-27 1993-07-20 Nissei Plastics Ind Co ボールねじ
JPH0614607U (ja) * 1992-07-24 1994-02-25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ボールねじ
JP2000065180A (ja) 1998-08-12 2000-03-03 Ishikawa Seiki:Kk 軸駆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6720B2 (ja) * 1990-12-01 1999-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CN2337771Y (zh) * 1998-04-17 1999-09-15 李宗升 钓竿卷线器安装座新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278U (ko) * 1990-02-14 1991-10-31
JPH05180300A (ja) * 1991-12-27 1993-07-20 Nissei Plastics Ind Co ボールねじ
JPH0614607U (ja) * 1992-07-24 1994-02-25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ボールねじ
JP2000065180A (ja) 1998-08-12 2000-03-03 Ishikawa Seiki:Kk 軸駆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48978B2 (ja) 2007-07-25
TWI260200B (en) 2006-08-21
CN100446666C (zh) 2008-12-31
CN1439258A (zh) 2003-09-03
TW200500002A (en) 2005-01-01
KR20030069062A (ko) 2003-08-25
JP2003235411A (ja) 200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1927B2 (en) Rotating mechanism for LCD monitor
CN100551629C (zh) 深度限制器装置
KR100947804B1 (ko) 나사 이송 기구 및 그것을 갖춘 릴 시트
KR10129317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EP2294908A1 (en) Rotary cutter for mower
KR101690702B1 (ko) 낚시용 릴의 핸들 암 취부 구조
US5088225A (en) Reel locking device
US20130270893A1 (en) Vehicle wheel hub assembly
US20050220527A1 (en) Stick-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JP2010273629A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US6915974B2 (en) Level wind mechanism for a dual bearing reel
KR20220115874A (ko) 낚시용 스피닝 릴
US6626385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EP0838154B1 (en) Fishline guide arrangement for spinning reel
DE102018131064B4 (de) Kugelgewindespindel
KR20040066725A (ko) 스피닝 릴의 핸들 조립체
US6227474B1 (en) Spinning reel with tension roller for preventing fishing line twist
US20210120795A1 (en) Fishing tackle and method of use thereof
DE19507889A1 (de) Angelrolle
US20110188962A1 (en) Self-aligning fastener assembly
US5244166A (en) Handle fixing structure for spinning reel
EP0711500A1 (en) Spinning reel
KR20050077252A (ko) 낚싯대
JP4964709B2 (ja) 魚釣用リール
TWI780085B (zh) 雙軸承捲線器的操作桿安裝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