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647B1 - 타이어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타이어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647B1
KR100946647B1 KR1020070071822A KR20070071822A KR100946647B1 KR 100946647 B1 KR100946647 B1 KR 100946647B1 KR 1020070071822 A KR1020070071822 A KR 1020070071822A KR 20070071822 A KR20070071822 A KR 20070071822A KR 100946647 B1 KR100946647 B1 KR 100946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drive
displacement
piston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283A (ko
Inventor
박계정
Original Assignee
박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정 filed Critical 박계정
Publication of KR2008000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46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wheels or associated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69Linear generators; sectional generators
    • H02K7/1876Linear generators; sectional 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linearly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6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변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타이어의 변형을 전기에너지로 전환 시키기 위한 발전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는 구동유닛과, 발전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퀴의 타이어의 변형을 직선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기 위하여 바퀴에 장착된 발전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하여 축전지가 스스로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소모됨과 동시에,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기에너지의 공급 없이 장거리 운행을 할 수 있다. 또한, 축전지에 소모된 전기에너지의 양이 적으므로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Figure R1020070071822
전기자동차, 충전, 발전기, 타이어 변형

Description

타이어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GENERATROR ASSEMBLY FOR CHARGING USING DEFORMATION OF TIRE}
본 발명은 타이어변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타이어의 변형을 전기에너지로 전환 시키기 위한 발전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휘발유나 디젤 또는 엘피(LP)가스 등의 연료를 소모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내연기관과는 달리 전기자동차는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축전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의 발생이나 소음, 분진 등과 같은 공해를 유발하지 아니하여 환경친화적 이어서 최근 들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기에너지가 충전된 축전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운행한다. 그리고 상기의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소모되면 운행하기 위하여 축전지를 재충전시켜야 한다.
휘발유나 디젤 또는 엘피가스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의 경우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주유소가 널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 연료가 소모되면 언제든지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는 현재까지 널리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경우 주행중 축전지의 전기에너지가 모두 소모되면 주행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자동차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기자동차는 축전지의 무게 및 부피를 제한할 수밖에 없어서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를 충전할 수 없다.
종래의 전기자동차는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주행할 뿐, 운행 중 발생하는 에너지를 충전하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구비되지 아니하였다. 그리고 축전지에 충전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은 일정한 한도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자동차로는 장거리 운행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내연기관의 자동차는 연료를 충전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아니하여 즉각적인 충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축전지의 경우 축전지에 충전시킬 전기에너지의 양이 많을수록 축전지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매번 운행할 때마다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충전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용화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자동차는 운행시 자동차의 무게에 의하여 타이어의 변형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운행 중 축전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상기 타이어의 변형을 전기에너지로 발생시키는 발전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는 구동유닛과, 발전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퀴의 타이어의 변형을 직선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기 위하여 바퀴에 장착된 발전기를 구비한다.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반경방향의 변형을 상기 변위로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의 일실시예는 피스톤과, 피스톤가이드를 구비한 변위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상기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반경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가이드는 상기 피스톤이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바퀴의 림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변위발생수단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변위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는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리니어발전기인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리니어발전기를 구비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타이어의 외부에서 상기 바퀴의 휠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샤프트가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피스톤스프링과, 샤프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스프링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리니어발전기를 구비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서 상기 바퀴의 림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샤프트가 상기 피스톤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설치된 피스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리니어발전기를 구비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를 증폭시켜서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측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만큼 이동되도록 상 기 피스톤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 보다 더 많이 이동되도록 다른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된 힌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연결된 구동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피스톤스프링과, 샤프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스프링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방향전환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향전환레버는 일단은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구동샤프트를 구동하도록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며, 일측이 상기 바퀴에 힌지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피스톤스프링과, 샤프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스프링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스프링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일단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고정결합된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회전발전기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직선 변위를 회전변위로 전환시키는 변위전환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발전기는 상기 변위전환수단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상기 회전발전기를 구비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를 증폭시켜서 증폭된 변위를 상기 변위전환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전환수단은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웜휠과, 상기 변위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변위로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상기 웜휠로부터 회전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힌지레버와, 제1구동링크와, 제2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힌지레버는 일측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 보다 더 많이 이동되도록 다른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웜과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구동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된다.
상기의 변위전달수단을 구비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된 피스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힌지레버와, 방향전환레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힌지레버는 일측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 보다 더 많이 이동되도록 다른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방향전환레버는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웜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타측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연결된다.
상기의 변위전달수단을 구비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방향전환레버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퀴의 일측과 상기 방향전환레버의 타측에 연결된 레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힌지레버와, 방향전환레버와, 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힌지레버는 일측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 보다 더 많이 이동되도록 다른 일측은 상기 바퀴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레버는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다른 일측이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웜에 연결되며, 상기 웜을 회전시키도록 타단이 상기 방향전환레버의 타측에 연결된다.
상기의 변위전달수단을 구비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된 피스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를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 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가 구동샤프트를 구비한 리니어발전기의 경우, 상기 발전기어셈블리는 상기의 어느 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웃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동수단은 레버지지대와,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레버지지대는 이웃한 발전기의 사이에 위치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이다. 그리고 상기 연동레버는 일측이 상기 레버지지대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이 어느 한 발전기의 구동사프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일단에 연결된 구동샤프트를 이동시기키 위하여 이웃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레버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이다.
또한, 상기의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가 회전발전기의 경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 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복수의 변위전환수단들의 웜휠 들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매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매개수단은 복수의 구동기어부와, 발전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어부는 상기 웜휠과 일체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웜휠과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기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발전기어부는 상기 발전기의 회전샤프트에 결합된 발전축과, 상기 각각의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축에 결합된 복수의 발전기 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는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지만, 상기 발전축은 상기 발전기어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상기 발전기어가 상기 발전축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매개수단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시 상기 발전기어가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발전기어에 결합된 매개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매개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림디스크와,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림디스크는 타이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상기 변위로 발생시켜서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복수개가 상기 림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피스톤과, 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에 접하고 상기 림디스크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다. 그리고 상기 암은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암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발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암의 이동시 상기 암에 접촉하여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기에 결합된 클러치 베어링을 구비 한 회전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은 상기 피스톤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암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암탄성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림디스크에 결합된 피스톤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암의 타단에 결합된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과 상기 림디스크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피스톤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부재를 상기 림디스크의 축방향으로 다단 구비하며, 상기 회전디스크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클러치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는 구동유닛과, 발전유닛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퀴의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변위 로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구동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기 위하여 바퀴에 장착된 발전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의 일실시예는 변위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변위발생수단은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레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힌지레버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변위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리니어발전기인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니어발전기를 구비한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일단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전달링크를 구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힌지레버의 타단은 상기 타이어에 힌지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니어발전기를 구비한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일측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타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증폭 레버를 구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변위발생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타측에 연결된 다른 힌지레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상기 다른 힌지레버의 타단에 연결된 다른 증폭레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증폭레버의 일단과 상기 다른 증폭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레버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니어발전기를 구비한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를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구동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샤프트는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 샤프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발전기어셈블리는 상기의 어느 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웃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연동지지대와,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레버지지대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웃한 발전기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레버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측이 상기 레버지지대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이 어느 한 발전기의 구동사프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일단에 연결된 구동샤프트를 이동시기키 위하여 이웃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리니어발전기 대신 회전발전기인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변위발생수단의 변위를 회전변위로 전환시키는 변위전환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발전기는 상기 발전기전환수단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상기의 회전발전기를 구비한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변위발생수단의 변위를 증폭시켜서 증폭된 변위를 상기 변위전환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전환수단은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웜휠과, 상기 변위전환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변위로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단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전달링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단이 상기 웜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달링크의 타단에 연결된 구동링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측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타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방향전환레버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단이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타단이 상기 방향전환레버의 일단에 힌지결합된 전달링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발전기를 구비한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를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회전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과 상기 바퀴에 연결된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발전기를 구비한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 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복수의 변위전환수단들의 웜휠 들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매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매개수단은 구동기어부와, 발전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구동기어부는 복수이며, 상기 웜휠과 일체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웜휠과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기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발전기어부는 상기 발전기의 회전샤프트에 결합된 발전축과, 상기 각각의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축에 결합된 복수의 발전기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는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지만, 상기 발전축은 상기 발전기어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상기 발전기어가 상기 발전축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매개수단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시 상기 발전기어가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발전기어에 결합된 매개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매개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구동디스크와 디스크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디스크는 상기 바퀴에 장착된다. 상기 디스크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디스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개의 힌지레버와 복수의 구동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레버는 일측은 상기 구동디스크에 힌지결합 되고 일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하여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의 변위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설치된다.
상기의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하우 징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발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접속하여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기에 결합된 클러치 베어링을 구비한 회전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구동바와, 바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바는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슬라이딩하여 일단이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회전시키도록 타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프링은 상기 구동바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바의 타단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회전을 위하여 상기 구동바의 일단에 설치된 작동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힌지레버는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외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바는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상기 회전디스크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환형링과, 타단이 상기 작동베어링과 접촉하여 상기 환형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환형링의 외주면의 일측에 고정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작동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핀은 상기 구동바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작동베어링이 상기 작동핀의 타단의 단부를 가격할 경우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상기 환형링의 외주면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베어링은 상기 작동핀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작동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는 상기 클러치베어링을 축방향으로 1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타측에 설치된 디스크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힌지레버는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디스크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결합된 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피스톤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암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암탄성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구동디스크에 결합된 피스톤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과 상기 구동디스크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피스톤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타측에 설치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디스크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는 타이어의 폭방향의 변형과 반경방향의 변형을 모두 이용한다. 상기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바퀴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구비한 발전유닛과, 발전기구동수단을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구동유닛을 구비한 상기의 일 측면에 충전용 발전기어셈브리에 있어서, 폭방향의 변형을 변위로 발생시켜 상기 폭방향 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다른 발전기를 더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퀴의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한 폭변형구동수단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기 위하여 바퀴에 장착된 다른 발전기를 더 구비한다.
상기의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샤프트를 구비한 리니어 발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은 힌지레버와, 샤프트스프링과, 전달링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레버는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타 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스프링은 상기 힌지레버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링크는 일단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힌지레버의 타단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유닛은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다른 발전기를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림디스크의 축방향으로 다단 설치된 구동부재를 구비한 발전기구동수단과, 축방향으로 복수의 클러치베어링을 구비한 회전디스크를 포함한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폭방향의 변형을 변위로 발생시켜 상기 폭방향 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다른 발전기를 더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퀴의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한 폭변형구동수단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기 위하여 바퀴에 장착된 다른 발전기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은 구동디스크와, 디스크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디스크는 상기 바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디스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된 힌지레버와 구동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레버는 일측은 상기 구동디스크에 힌지결합 되고 일 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하여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일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부재는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의 변위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른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발전기인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접속하여 상기 발전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에 결합된 클러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구동바와, 바스프링과, 작동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바는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슬라이딩하여 일단이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회전시키도록 타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바스프링은 상기 구동바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바의 타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베어링은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회전을 위하여 상기 구동바의 일단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레버는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외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바는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상기 회전디스크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환형링과, 타단이 상기 작동베어링과 접촉하여 상기 환형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환형링의 외주면의 일측에 고정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작동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는 상기 클러치베어링을 축방향으로 1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타측에 설치된 디스크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힌지레버는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는 피스톤과, 암과, 암탄성지지대와, 피스톤가이드와, 복수의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스톤은 일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디스크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암은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암탄성지지대는 상기 암의 회동을 복귀시킨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가이드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구동디스크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스프링은 복수이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과 상기 구동디스크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발전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타측에 설치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디스크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하여 축전지가 스스로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의 축전지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소모됨과 동시에,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기에너지의 공급 없이 장거리 운행을 할 수 있다. 또한, 축전지에 소모된 전기에너지의 양이 적으므로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1은 타이어의 반경방향의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실시예들이다. 그리고 도 22 내지 도 35는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의 실시예들이다. 그리고 도 36 내지 도 39는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과 폭방향 변형 모두를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의 실시예들이다.
도 1은 타이어의 반경방향의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이다. 도 1에 도시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500)는 구동유닛(100)과, 발전유 닛(200)을 구비한다. 구동유닛(100)은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 개의 발전기구동수단(180)을 구비한다. 발전기구동수단(180)은 변위발생수단(110)과, 변위복귀수단(120)을 포함한다. 변위발생수단(110)은 타이어(1)의 반경방향 변형을 변위로 발생시키며, 이를 위하여 변위발생수단(110)은 피스톤(111)과 피스톤가이드(113)를 포함한다. 피스톤(111)은 일단(111a)이 타이어(1)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반경방향으로 설치된다. 피스톤가이드(113)는 상기 피스톤(111)을 바퀴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퀴의 림(3)에 고정된다. 따라서 피스톤(111)은 피스톤가이드(113)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변위복귀수단(120)은 피스톤(111)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변위복귀수단(120)은 피스톤스프링(121) 및 샤프트스프링(123)을 포함한다. 피스톤스프링(121)은 일단은 피스톤(111)에, 타단은 피스톤가이드(113)에 지지된다. 그리고 샤프트스프링(123)은 하술하는 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의 일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피스톤(111)이 반경방향을 따라 바퀴의 내부로 슬라이딩을 하면 피스톤스프링(121) 및 샤프트스프링(123)은 수축을 한다.
발전유닛(200)은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 개의 리니어발전기(210)를 포함한다. 리니어발전기(210)는 상기 피스톤(111)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상기 바퀴에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리니어발전기(210)은 구동샤프트(215)와, 마그네트(211)와, 코일(213)을 구비한다. 구동샤프트(215)는 피스톤(111)의 타단(111b)에 연결된다. 따라서 피스톤(111)이 슬라이딩하면 구동샤프트(215)가 슬라이딩하여 마그네트(211)와, 코일(213)에 의하여 전기가 발생한다.
타이어(1)는 자동차의 무게 때문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수축한다. 타이어(1)가 수축하면, 타이어(1)의 상기 부분에 접촉한 피스톤(111)은 반경방향을 따라 바퀴의 내부로 슬라이딩을 한다. 상기 타이어(1)가 계속 회전을 하면 지면에 접촉했던 부분은 지면과 떨어지게 되고, 타이어의 다른 부분이 지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지면과 떨어진 부분은 팽창하여 원래의 모양으로 복귀하고, 피스톤(111)은 피스톤스프링(123)에 의하여 반경방향을 따라 바퀴의 외부로 슬라이딩을 한다. 피스톤(111)이 반경방향을 따라 바퀴의 내부 또는 외부로 슬라이딩을 하면 리니어발전기(210)는 구동을 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상기 리니어발전기(210) 및 발전기구동수단(180)은 바퀴의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므로, 바퀴가 1회전을 하더라도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도 2는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실시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10)는 도 1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00)와 달리 리니어발전기(210)가 타이어(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림(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는 피스톤(111)과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변위복귀수단(120)은 피스톤스프링(121)을 구비하며, 샤프트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샤프트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3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발전기구동수단(180)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위전달수단(130)을 더 구비한다.
변위전달수단(130)은 피스톤(111)에서 발생된 변위를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에 전달시키며, 이를 위하여 힌지레버지지대(131)와, 힌지레버(133)를 구비한다. 힌지레버지지대(131)는 힌지레버(133)의 일측(133c)을 지지하기 위하여 림(3)의 일측에 고정된다. 힌지레버(133)는 일단(133a)이 피스톤(111)의 타단(111b)에 접촉되며, 타단(133b)이 구동샤프트(125)에 접촉된다. 그리고 힌지레버(133)의 일측(133c)은 힌지레버지지대(131)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111)이 반경방향을 따라 내부로 슬라이딩을 하면, 힌지레버(133)의 일단(133a) 및 타단(133b)은 일측(133c)을 중심으로 회동을 한다.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는 힌지레버(133)의 타단(133b)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을 한다. 또한, 힌지레버(133)는 일단(133a)과 일측(133c) 사이의 간격보다 타단(133b)과 일측(133c) 사이의 간격이 더 넓도록 힌지레버지지대(131)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힌지레버(133)는 피스톤(111)에 의하여 발생되는 변위보다 더 큰 변위를 구동샤프트(215)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타이어의 동일한 변형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보다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도 6은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4실시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30)는 변위전달수단(130)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향레버지지대(141) 및 방향전환레버(135)를 더 구비한다.
방향레버지지대(141)는 방향전환레버(135)의 일측(135c)을 지지하기 위하여 바퀴에 고정된다. 방향전환레버(135)는 일단(135a)이 힌지레버(133b)의 타단(133b)에 접촉되며, 타단(135b)이 구동샤프트(125)에 접촉된다. 그리고 방향전환레 버(135)의 일측(135c)은 방향레버지지대(141)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111)이 반경방향을 따라 내부로 슬라이딩을 하면, 힌지레버(133)의 타단(133b)은 일측(133c)을 중심으로 회동을 한다. 그리고 힌지레버(133)의 타단(133b)의 회동에 의하여 방향전환레버(135)의 타단(135b)이 일측(135c)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여 구동샤프트(125)를 슬라이딩시킨다. 또한 방향전환레버(135)의 일단(135a)과 일측(135c)의 길이보다 타단(135b)과 일측(135c)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힌지레버(133)에 의하여 전달되는 변위를 증폭시켜 구동샤프트(125)에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20)는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가 바퀴의 반경방향으로 설치되었으나, 도 6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30)는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가 바퀴의 축방향으로 설치되었다. 따라서 설계사양에 따라 리니어발전기(210)의 설치방향을 바꿀 수 있다.
도 7은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5실시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40)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스톤스프링 대신 피스톤(111)의 일단(111a)이 타이어(1)의 내주면에 힌지결합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6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50)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위복귀수단을 구비하고 있지아니한다. 대신 발전기어셈블리(550)는 구동유닛(100)과 발전유닛(200) 이외에 연동수단(300)을 더 구비한다.
연동수단(300)은 리니어발전기(210)와 동일한 개수의 레버지지대(301) 및 연동레버(303)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동레버(303)는 일단(303a)이 어느 한 리니어발 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에 연결되고, 타단(303b)이 이웃한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연동레버(303)는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에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어느 한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는 어느 한 연동레버(303)의 일단(303a)과 상기 어느 한 연동레버(303)와 이웃한 연동레버(303)의 타단(303b)에 연결된다.
각각의 레버지지대(301)는 각각의 연동레버(303)의 일단(303a)과 타단(303b)의 중심에서 연동레버(303)에 힌지결합되어 연동레버(303)를 지지한다.
임의의 위치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첫번째 위치의 연동레버(303)의 일단(303a)에 연결된 첫번째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가 타이어의 변형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하면, 상기 첫번째 연동레버(303)는 첫번째 레버지지대(301)를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그러면 상기 첫번째 연동레버(303)의 타단(303b)에 연결된 두번째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는 상기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한다. 또한 두번째 연동레버(303)의 일단(303a)은 두번째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두번째 연동레버(303)는 두번째 레버지지대(301)를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그러면 세번째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는 첫번째 구동샤프트(215)와 동일한 방향을 슬라이딩을 한다. 결국 어느 한 리니어발전기의 구동샤프트가 슬라이딩을 하면 모든 리니어발전기의 구동샤프트가 슬라이딩을 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0은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7실시 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60)는 도 6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30)과는 달리 발전기구동수단(180)은 변위전환수단(150)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변위전달수단(130)은 힌지레버(133)와 제1구동링크(137)와 제2구동링크(139)를 포함하며, 변위복귀수단(120)은 피스톤스프링(121) 만 구비한다. 또한 발전유닛(200)은 리니어발전기(210) 대신 회전발전기(260)를 구비한다.
변위전달수단(130)은 변위전환수단(150)에 피스톤(111)의 변위를 전달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1구동링크(137)는 일단(137a)이 힌지레버(133)의 타단(133b)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제2구동링크(139)는 일단(139a)이 제1구동링크(137)의 타단(137b)에 힌지결합된다.
변위전환수단(150)은 변위전달수단(130)에서 전달된 변위를 회전변위로 변환시키며, 이를 위하여 웜(151)과 웜휠(153)을 구비한다. 웜(151)은 웜축이 제2구동링크(139)의 타단(139b)에 결합된다. 웜휠(153)은 웜휠축이 하술하는 회전발전기(260)의 회전샤프트(265)에 결합된다. 그리고 웜(151)과 웜휠(153)은 각각의 축이 수직이며, 기어결합되어 있다.
회전발전기(260)은 마그네트(261)와, 코일(263)과, 회전샤프트(265)를 구비하며, 회전샤프트(265)가 회전을 하면 마그네트(261)와 코일(263)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회전샤프트(265)는 웜휠(153)에 결합된다.
피스톤(111)이 타이어(1)의 변형에 의하여 슬라이딩을 하면 힌지레버(133)의 타단(133b)이 힌지레버(133)의 일측(133c)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여 제1구동링크(137)를 회동시킨다. 따라서 제1구동링크(137)에 힌지결합된 제2구동링크(139)가 웜(151)의 웜축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여 웜(151)을 회전시킨다. 웜(151)이 회전되면 웜(151)과 기어결합된 웜휠(153)이 회전을 하여 회전샤프트(265)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발전기(260)가 구동되어 전기가 생산된다.
도 11 및 도 12는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8실시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70)는 도 10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60)과는 달리 변위전달수단(130)은 힌지레버(133)와 방향전환레버(135)를 구비한다. 그리고 변위복귀수단(120)은 레버스프링(125)을 구비한다.
방향전환레버(135)는 일단(135a)이 힌지레버(133b)의 타단(133b)에 접촉되며, 타단(135b)이 웜(151)의 웜축(152)에 결합된다. 그리고 방향전환레버(135)의 일측(135c)은 방향레버지지대(141)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피스톤(111)이 피스톤가이드(113)를 따라 슬라이딩을 하면 방향전환레버(135)의 타단(135b)이 일측(135c)를 중심으로 회동을 하여 웜(151)을 회전시킨다.
레버스프링(125)은 일단(125a)이 림(3)에 고정되고, 타단(125b)이 방향전환레버(135)의 타단(135b)에 결합된다. 따라서 타이어(1)의 지면과 접촉한 부분이 지면에서 떨어져 팽창하면 피스톤(111)을 복귀시킬 수 있다.
도 13은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9실시예이다. 도 13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80)는 도 10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60)와는 달리 변위전달수단(130)은 힌지레버(133)와 방향전환레버(135)와 제1구동링크(137)를 구비한다.
도 14 및 도 15는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의 제10실시예이다. 도 14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90)는 도 11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70)과 발전유닛(200)에서 차이가 있다. 발전기어셈블리(590)의 발전유닛(200)은 구동매개수단(220)과, 회전발전기(260)를 구비한다.
구동매개수단(220)은 복수의 구동기어부(221)와, 발전기어부(225)와, 복수의 매개기어부(229)를 포함한다.
발전기어부(225)는 발전축(226)과 복수의 발전기어(227)를 구비한다. 발전축(226)은 회전발전기(260)의 회전샤프트(265)에 결합된다. 그리고 발전기어(227)는 발전축(226)에 축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고정된다. 이때 발전기어(227)는 일방향베어링으로 발전축(226)에 결합되어 발전축(226)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발전기어(227)는 각각의 구동기어부(221)에 의하여 회전되기 위하여 변위전환수단(150)과 동일한 개수로 발전축(226)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기어부(221)는 구동축(222)과 구동기어(223)를 구비한다. 각각의 구동축(222)은 각각의 변위전환수단(150)의 웜휠축(154)에 연결된다. 웜휠축(154)는 바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있으므로, 구동축(222)도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223)은 구동축(222)에 고정된다. 각각의 구동기어(223)는 각각의 발전기어(227)를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구동기어(223)는 축방향으로 각각의 발전기어(227)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구동축(222)에 결합되어야 한다.
매개기어부(229)는 매개축(230)과 매개기어(231)를 구비한다. 매개기어부(229)는 구동기어(223)의 회전에 의하여 발전기어(227)가 회전하기 위하여 구동 기어(223)와 발전기어(227)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매개축(230)은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존재하며, 매개기어(231)는 구동기어(223)의 회전에 의하여 발전기어(227)가 회전하도록 매개축(23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매개기어부(229)는 반경방향으로 2단으로 존재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1단 또는 복수의 단으로 존재할 수 있다.
타이어(1)의 지면에 접촉된 부분이 변형을 하면, 상기 부분에 접촉된 피스톤(111)이 슬라이딩을 한다. 상기 피스톤(111)에 의하여 웜휠(153)이 회전을 하게되고, 상기 웜휠(153)에 연결된 구동기어(223)가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223)가 회전을 하면 상기 구동기어(223)와 연결된 발전기어(227)가 회전을 하여 발전축(226)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타이어(1)가 굴러가면서 원주방향의 각각의 피스톤(111)을 연속적으로 슬라이딩시키므로 발전축(226)은 연속적으로 회전을 하여 회전발전기(260)를 구동시킨다.
도 16 내지 도 21은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1실시예이다. 도 16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00)는 발전기구동수단(181)과 발전유닛을 구비한다.
발전기구동수단(181)은 림디스크(160)와, 구동부재(170)를 구비한다.
림디스크(160)는 바퀴에 장착되어 타이어(1)의 림 역할을 한다.
구동부재(170)는 타이어의 반경반향 변형을 이용하여 하술하는 발전기(26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구동부재(170)는 피스톤(171)과, 피스톤가이드(173)와, 암(175)과, 암탄성지지대(177)와, 피스톤스프링(179)과, 베어 링(172)을 포함한다.
피스톤가이드(173)는 두께를 관통하여 반경방향으로 림디스크(160)에 삽입된다. 피스톤(171)은 일단(171a)이 타이어(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바퀴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피스톤가이드(173)에 장착된다. 암(175)은 피스톤(171)이 슬라이딩할 경우 타단(175b)으로 하술하는 클러치베어링(251)을 가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단(175a)이 피스톤(171)의 타단(171b)에 결합된다. 이때 암(175)은 피스톤(171)의 타단(171b)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171)의 타단(171b)에 경사져서 결합된다. 베어링(172)은 암(175)의 타단(175b)에 결합된다. 따라서 클러치베어링(251)을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다. 암탄성지지대(177)는 암(17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피스톤(171)의 타단(171b)에 고정되며, 타측은 암(175)에 접촉된다. 피스톤스프링(179)은 피스톤(171)이 슬라이딩한 경우 복귀할 수 있도록 일단은 피스톤가이드(173)에 지지되며, 타단은 피스톤(171)의 일측에 지지된다. 상기 구동부재(170)는 림디스크(16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장착되며, 축방향으로 다단으로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재(170)는 축방향으로 3단으로 장착되었다.
발전유닛(200)은 발전기(260)와, 회전디스크(250)를 구비한다. 회전디스크(250)는 발전기(260)에 고정되며, 축방향으로 다단의 클러치베어링(251)을 구비한다. 클러치베어링(251)은 발전기(2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발전기(260)에 고정된다. 그리고 클러치베어링(251)은 상기 구동부재(170)에 의하여 회전된다. 클러치베어링(251)은 구동부재(170)에 의하여 회전되기 위하여 외주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부(25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돌기부(251a)는 구동부재(170)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재(170)가 슬라이딩하여 베어링(172)이 돌기부(251a)를 가격하면 원주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하여 클러치베어링(251)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클러치베어링(251)은 구동부재(170)의 축방향의 단수와 동일한 개수로 발전기(260)에 고정된다.
타이어(1)의 일부가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일부에 위치한 피스톤(171)은 피스톤가이드(173)를 따라 슬라이딩을 한다. 피스톤(171)이 타이어(1)의 내부로 슬라이딩을 하면 암(175)의 타단(175b)에 결합된 베어링(172)이 클러치베어링(251)의 돌기부(251a)를 가격하여 클러치베어링(251)을 회전시킨다. 이때 피스톤(171)이 과도하게 슬라이딩하여 베어링(172)이 클러치베어링(251)의 몸체부(251b)를 가격하면, 암(175)에 암탄성지지대(177)가 지지하는 한도 이상의 과도한 하중이 작용한다. 이때 암(175)이 피스톤(171)의 타단(171b)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클러치베어링(251) 및 암(175)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170)는 림디스크(160)의 원주를 따라 복수개가 장착되며, 그리고 다단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타이어(1)가 회전하면 상기 각각의 구동부재(170)가 작동을 하므로 회전디스크(250)에 결합된 발전기(210)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4는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2실시예이다. 도 22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10)는 구동유닛(100)과 발전유닛(200)을 구비한다. 발전유닛(200)은 도 6의 발전기어셈블리(530)의 그것과 동일하다.
구동유닛(100)은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 개의 발전기구동수단(80)을 구비한다. 발전기구동수단(80)은 변위발생수단(10)과, 변위복귀수단과, 변위전달수단(30)을 포함한다.
변위발생수단(10)은 타이어(1)의 폭방향 변형을 변위로 발생시키며, 이를 위하여 변위발생수단(10)은 힌지레버(11)와 레버지지대(13)를 포함한다. 레버지지대(13)는 바퀴의 일측에 고정된다. 힌지레버(11)는 일단(11a)이 폭방향으로 타이어(1)의 일측에 접촉되며, 일측(11c)이 레버지지대(13)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힌지레버(11)의 일단(11a) 및 타단(11b)은 일측(11c)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변위전달수단(30)은 제1구동링크(33)를 포함한다. 제1구동링크(33)는 일단(33a)이 레버지지대(13)의 일단(13a)에 힌지결합되고, 일측(33c)이 힌지레버(11)의 타단(11b)에 연결된다. 그리고 타단(33b)이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에 연결된다. 따라서 힌지레버(11)의 타단(11b)이 일측(11c)를 중심으로 회동하면 제1구동링크(33)의 타단(33b)이 일단(33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리니어발전기(210)가 구동된다.
변위복귀수단은 샤프트스프링(23)을 구비하며, 샤프트스프링(23)은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에 설치된다.
타이어(1)가 일부분이 지면에 접촉하면 상기 일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수축하는 한편 폭방향으로 팽창한다. 따라서 상기 일부분의 폭방향에 접촉된 힌지레버(11)는 회동하게 되며, 발전기를 구동시킨다.
도 25는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3실시예이다. 도 25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20)는 도 22의 발전기어셈블리(610)에서 힌지레버(11)의 일단(11a)이 타이어(1)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도 26은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4실시예이다.
도 26의 발전기어셈블리(630)은 구동유닛(100)과, 발전유닛(200)과, 연동수단(300)을 구비한다. 발전유닛(100) 및 연동수단(300)은 도 8의 발전기어셈블리(550)와 동일하다.
구동유닛(100)은 변위발생수단(10)과, 변위전달수단(30)을 구비한다. 변위발생수단(10)은 힌지레버(11)를 구비하며, 변위전달수단(30)은 방향전환레버(35)를 구비한다. 방향전환레버(35)는 일단(35a)이 힌지레버(11)의 타단(11b)에 연결되며, 일측(35c)이 방향레버지지대(14)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타단(35b)이 리니어발전기(210)의 구동샤프트(215)에 연결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힌지레버(11)가 회동하면, 연동된 모든 발전기가 구동된다.
도 27은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5실시예이다.
도 27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40)는 구동유닛과 발전유닛을 구비한다. 발전유닛은 도 10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60)의 발전유닛과 동일하다.
구동유닛은 변위발생수단(10)과, 변위복귀수단(20)과, 변위전달수단(30)과, 변위전환수단(150)을 구비한 복수의 발전기구동수단(80)을 포함한다. 변위전환수단(150)은 도 10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60)의 변위전환수단과 동일하다.
변위발생수단(10)은 힌지레버(11)를 구비한다. 변위전달수단(30)은 제1구동링크(33) 및 제2구동링크(37)를 구비한다. 제2구동링크(37)는 일단(37a)이 제1구동링크(33)의 타단(33b)에 연결되며, 타단(37b)이 웜(151)에 결합된다.
그리고 변위복귀수단은 레버스프링(25)을 구비한다. 레버스프링(25)은 힌지레버(11)의 타단(11b)과, 레버지지대(13)에 연결된다.
따라서 타이어(1)가 회전하면, 힌지레버(11)에 의하여 회전발전기(260)가 구동된다.
도 28은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6실시예이다.
도 28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50)는 구동유닛과 발전유닛을 구비한다. 발전유닛은 도 14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90)의 발전유닛과 동일하다.
구동유닛에서 변위전달수단(30)은 방향전환레버(35)와 제1구동링크(33)을 구비한다. 방향전환레버(35)는 일단(35a)이 힌지레버(11)의 타단(11b)에 연결되고, 일측(35c)이 레버지지대(13)에 힌지결합된다. 제1구동링크(33)는 일단(33a)이 방향전환레버(35)의 타단(35b)에 힌지결합되며, 타단(37b)이 웜(151)에 결합된다.
도 29는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7실시예이다.
도 29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60)는 도 28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50) 에 있어서, 힌지레버(11)와 방향전환레버(35)와 레버스프링(25)과 제1구동링크(33)가 타이어(1)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발전기구동수단(80)은 일단이 타이어(1)의 일측에 위치한 제1구동링크(33)의 일단(33a)에 연결되며, 타단이 타이어(1)의 타측에 위치한 제1구동링크(33)의 타단(33b)에 연결된 레버연동부재(47)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타이어(1)의 폭방향의 양측의 변위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30 내지 도32는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8실시예이다.
도 30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70)는 발전기구동수단(81)과, 발전유닛(200)을 구비한다.
발전기구동수단(81)은 구동디스크(60)와 디스크구동수단(70)을 구비한다.
구동디스크(60)는 바퀴의 일측면에서 타이어(1)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디스크구동수단(70)은 힌지레버(71)와, 구동부재(73)를 구비한다. 구동부재(73)는 구동바(74)와, 베어링(77)과, 바스프링(75)을 구비한다. 구동바(74)는 일단(74a)이 바퀴의 외부에 위치하고, 타단(74b)이 바퀴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축방향으로 구동디스크(60)의 가장자리부에 두께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또한 구동바(74)는 구동디스크(6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힌지레버(71)는 일단(71a)이 타이어(1)의 폭방향의 일측에 접촉하며, 일측(71c)이 구동디스크(6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타단(71b)이 구동바(74)의 일단(74a)에 연결된다. 따라서 힌 지레버(71)가 일측(71c)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구동바(74)는 구동디스크(6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한다. 베어링(77)은 구동바(74)의 타단(74b)에 결합된다. 상기의 디스크구동수단(70)은 구동디스크(60)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된다. 바스프링(75)은 힌지레버(71)가 회동하여 구동바(74)가 슬라이딩한 경우 상기 구동바(74)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구동바(74)의 일단에 설치된다.
발전유닛(200)은 발전기(260)와 회전디스크(250)를 구비한다. 회전디스크(250)는 축방향클러치베어링(253)을 구비한다. 도 38을 참조하면, 축방향클러치베어링(253)은 환형링(254)과, 작동핀(255)과, 작동스프링(256)을 구비한다. 환형링(254)은 발전기(260)에 결합된다. 이때 환형링(254)은 발전기(26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발전기(260)에 결합된다. 작동핀(255)은 환형링(254)의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고정된다. 이때 작동핀(255)은 구동바(74)가 슬라이딩하여 베어링(77)이 작동핀(255)의 일측(255c)을 가격할 수 있도록 환형링(254)에 고정된다. 그리고 베어링(77)이 작동핀(255)의 일측(255c)을 가격할 때 환형링(254)은 회전을 하여 발전기(260)를 구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작동핀(255)의 일측(255c)은 구동바(74)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야 한다. 즉 작동핀(255)의 일측(255c)이 경사져 있으면 구동바(74)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작동핀(255)을 가격할 경우 일측(255c)에서 원주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환형링(254)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베어링(77)이 작동핀(255)의 일측(255c)의 단부(255b)를 가격하면 힘이 원주방향으로 작용하지 아니하고 축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환형링(254)은 회전하 지 못한다. 이때 작동핀(255)이 구동바(74)의 하중을 흡수할 수밖에 없으므로 작동핀(255) 또는 베어링(77)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링(77)이 작동핀(255)의 일측(255c)의 단부(255b)를 가격할 경우 작동핀(255)은 일단(255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즉 베어링(77)이 상기 단부(255b)를 가격하더라도 작동핀(255)이 회동하면 충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동핀(255)은 일단(255a)을 중심으로 환형링(25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여야 하며, 이때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단부(255b)는 일단(255a)의 회동중심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8에서 회전디스크(280)는 반경반향클러치베어링(251) 및 축방향클러치베어링(253)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도 30이 회전디스크(250)은 축방향클러치베어링(253)만 구비되어 있으면 족하다.
타이어(1)가 폭방향으로 변형할 경우 힌지레버(71)가 회동하여 구동바(74)를 슬라이딩시킨다. 구동바(74)가 슬라이딩할 경우 베어링(77)이 작동핀(255)을 가격하여 환형링(254)를 회전시킨다. 즉 축방향클러치베어링(253)이 회전하면 발전기(260)가 회전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도 33은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9실시예이다.
도 33의 발전기어셈블리(680)는 도 32의 발전기어셈블리(670)에 있어서, 발전기구동수단(81)을 바퀴의 폭방향의 양측에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디스크(250)는 축방향클러치베어링(253)을 축방향으로 2단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타이어(1)의 양 측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하여 발전기(26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34는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0실시예이다.
도 34의 발전기어셈블리(690)는 발전기구동수단과 발전유닛을 구비한다. 발전기구동수단는 도 16의 발전기구동수단(181)에 변위발생수단(10')를 더 구비한다. 변위발생수단(10')은 레버지지대(8)와 힌지레버(11')를 구비한다. 레버지지대(8)는 림디스크(16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힌지레버(11')는 일측(11'c)이 레버지지대(8)에 힌지결합되며, 일단(11'a)이 타이어(1)의 폭방향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타단(11'b)이 피스톤(171)의 일단(171a)에 연결된다. 상기 변위발생수단(10')은 림디스크(16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존재하며, 타이어(1)의 폭방향의 양측의 변형을 이용하기 림디스크(160)의 축방향으로 2단 존재한다.
발전유닛은 클러치베어링(251)이 1단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도 16의 발전유닛(200)과 동일하다.
타이어(1)가 폭방향으로 변형될 경우 힌지레버(11')가 레버지지대(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구동부재(170)의 피스톤(171)을 슬라이딩시킨다. 피스톤(171)이 슬라이딩되면 암(175)이 클러치베어링(251)을 회전시켜 발전기를 구동시킨다.
도 35는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1실시예이다.
도 35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700)은 도 34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90)에 있어서, 클러치베어링(251) 및 구동부재(170)을 2단으로 구비하고 있다.
도 36은 타이어의 축방향 변형 및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2실시예이다.
도 36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710)는 도 3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520)와 도 22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10)을 조합하여 구성하였다.
도 37 및 도 38은 타이어의 축방향 변형 및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3실시예이다.
도 37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720)는 도 16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00)와 도 30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70)을 조합하여 구성하였다.
도 39는 타이어의 축방향 변형 및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4실시예이다.
도 39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730)는 도 16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600)와 도 35에 도시된 발전기어셈블리(700)을 조합하여 구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5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5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6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7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8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위전환수단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9실시예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0실시예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동매개수단의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1실시예의 단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동부재의 확대단면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발전기구동수단의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사시도,
도 21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전디스크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2실시예의 단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3실시예의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4실시예의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5실시예의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6실시예의 단면도,
도 29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7실시예의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8실시예의 단면도,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실시예의 발전기구동수단의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발전기구동수단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19실시예의 단면도,
도 34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0실시예의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0실시예의 단면도,
도 36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및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1실시예의 단면도,
도 37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및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 어셈블리의 제22실시예의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및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3실시예의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반경방향 및 폭방향 변형을 이용한 발전기어셈블리의 제2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타이어 3 : 림
5 : 휠 10 : 변위발생수단
11 : 힌지레버 13 : 레버지지대
14 : 방향레버지지대 20 : 변위복귀수단
23 : 샤프트스프링 25 : 레버스프링
30 : 변위전달수단 33 : 제1구동링크
35 : 방향전환레버 37 : 제2구동링크
47 : 레버연동부재 60 : 구동디스크
70 : 디스크구동수단 71 : 힌지레버
73 : 구동부재 74 : 구동바
75 : 바스프링 80, 81 : 발전기구동수단
100 : 구동유닛 110 : 변위발생수단
111 : 피스톤 113 : 피스톤가이드
120 : 변위복귀수단 121 : 피스톤스프링
123 : 샤프트스프링 125 : 레버스프링
130 : 변위전달수단 131 : 힌지레버지지댜
133 : 힌지레버 135 : 방향전환레버
137 : 제1구동링크 139 : 제2구동링크
141 : 방향레버지지대 150 : 변위전환수단
151 : 웜 152 : 웜축
153 : 웜휠 154 : 웜휠축
160 : 림디스크 170 : 구동부재
171 : 피스톤 172 : 베어링
173 : 피스톤가이드 175 : 암
177 : 암탄성지지대 179 : 피스톤스프링
180 : 발전기구동수단 181 : 발전기구동수단
200 : 발전유닛 210 : 리니어발전기
213 : 코일 215 : 구동샤프트
220 : 구동매개수단 221 : 구동기어부
222 : 구동축 223 : 구동기어
225 : 발전기어부 226 : 발전축
227 : 발전기어 229 : 매개기어부
230 : 매개축 231 : 매개기어
250 : 회전디스크 251 : 클러치베어링
253 : 축방향클러치베어링 254 : 환형링
255 : 작동핀 256 : 작동스프링
260 : 회전발전기

Claims (95)

  1. 상기 바퀴의 타이어의 변형을 직선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구동수단을 구비한 구동유닛과,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기 위하여 바퀴에 장착된 발전기를 구비한 발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반경방향의 변형을 상기 변위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상기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반경방향으로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바퀴의 림에 고정된 피스톤가이드를 구비한 변위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변위발생수단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변위복 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리니어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타이어의 외부에서 상기 바퀴의 휠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샤프트가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된 피스톤스프링과,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 샤프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타이어의 내부에서 상기 바퀴의 림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샤프트가 상기 피스톤과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설치된 피스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를 증폭시켜서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측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 보다 더 많이 이동되도록 다른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된 힌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연결된 구동샤프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된 피스톤스프링과,
    상기 구동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 샤프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단은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구동샤프트를 구동하도록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며, 일측이 상기 바퀴에 힌지 결합된 방향전환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된 피스 톤스프링과,
    상기 구동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 샤프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일단은 상기 타이어의 내면에 고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직선 변위를 회전변위로 전환시키는 변위전환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상기 변위전환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를 증폭시켜서 증폭된 변위를 상기 변위전환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환수단은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웜휠과,
    상기 변위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변위로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상기 웜휠로부터 회전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측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 보다 더 많이 이동되도록 다른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된 힌지레버와,
    일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힌지결합된 제1구동링크와,
    일단이 상기 웜과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구동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 된 제2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된 피스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 블리.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측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 보다 더 많이 이동되도록 다른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된 힌지레버와,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웜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타측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연결된 방향전환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방향전환레버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퀴의 일측과 상기 방향전환레버의 타측에 연결된 레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측은 상기 피스톤의 변위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일측 보다 더 많이 이동되도록 다른 일측은 상기 바퀴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힌지레버와,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다른 일측이 상기 힌지레버의 타측에 연결된 방향전환레버와,
    일단이 상기 웜에 연결되며, 상기 웜을 회전시키도록 타단이 상기 방향전환레버의 타측에 연결된 구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설치된 피스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를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 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29. 제6항 내지 제10항 또는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를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의 어느 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웃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이웃한 발전기의 사이에 위치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인 레버지지대와,
    일측이 상기 레버지지대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이 어느 한 발전기의 구동사프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일단에 연결된 구동샤프트를 이동시기키 위하여 이웃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인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1.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 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복수의 변위전환수단들의 웜휠 들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매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매개수단은
    상기 웜휠과 일체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웜휠과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구동기어부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샤프트에 결합된 발전축과, 상기 각각의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축에 결합된 복수의 발전기어를 구비한 발전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어는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지만, 상기 발전축은 상기 발전기어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상기 발전기어가 상기 발전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4. 제33항에 있어서,
    구동매개수단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시 상기 발전기어가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발전기어에 결합된 매개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매개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타이어에 장착되기 위한 림디스크와,
    상기 타이어의 반경방향 변형을 상기 변위로 발생시켜서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림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타이어의 내주면에 접하고 상기 림디스크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결합된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암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암의 이동시 상기 암에 접촉하여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기에 결합된 클러치 베어링을 구비한 회전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피스톤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암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암탄성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림디스크에 결합된 피스톤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암의 타단에 결합된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과 상기 림디스크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피스톤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4. 제35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부재를 상기 림디스크의 축방향으로 다단 구비하며,
    상기 회전디스크는 축방향으로 복수의 클러치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5. 상기 바퀴의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구동수단을 구비한 구동유닛과,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기 위하여 바퀴에 장착된 발전기를 구비한 발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레버를 구비한 변위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힌지레버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변위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리니어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일단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전달링크를 구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레버의 타단은 상기 타이어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일측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타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증폭레버를 구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발생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타측에 연결된 다른 힌지레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상기 다른 힌지레버의 타단에 연결된 다른 증폭레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증폭레버의 일단과 상기 다른 증폭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레버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3. 제48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를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구동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샤프트는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 샤프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의 어느 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웃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이웃한 발전기의 사이에 위치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인 레버지지대와,
    일측이 상기 레버지지대에 힌지결합되고, 일단이 어느 한 발전기의 구동사프트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일단에 연결된 구동샤프트를 이동시기키 위하여 이웃한 발전기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인 연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변위발생수단의 변위를 회전변위로 전환시키는 변위전환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전기는 상기 발전기전환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변위발생수단의 변위를 증폭시켜서 증폭된 변위를 상기 변위전환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변위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환수단은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웜휠과,
    상기 변위전환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변위로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기 위한 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1. 제60항에 있어서,
    변위전달수단은 일단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전달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단이 상기 웜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달링크의 타단에 연결된 구동링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3.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측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타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방향전환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수단은 일단이 상기 웜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타단이 상기 방향전환레버의 일단에 힌지결합된 전달링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5. 제58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발전기를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회전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복귀수단은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과 상기 바퀴에 연결된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8. 제58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발전기 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복수의 변위전환수단들의 웜휠 들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매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매개수단은
    상기 웜휠과 일체로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웜휠과 결합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구동기어부와,
    상기 발전기의 회전샤프트에 결합된 발전축과, 상기 각각의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축에 결합된 복수의 발전기어를 구비한 발전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어는 상기 발전축을 회전시키지만, 상기 발전축은 상기 발전기어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상기 발전기어가 상기 발전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1. 제70항에 있어서,
    구동매개수단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시 상기 발전기어가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발전기어에 결합된 매개기어를 구비한 복수의 매개기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바퀴에 장착되기 위한 구동디스크와,
    일측은 상기 구동디스크에 힌지결합 되고 일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하여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구동디스크의 원 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힌지레버와,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의 변위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구동부재를 구비한 디스크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접속하여 상기 발전기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기에 결합된 클러치 베어링을 구비한 회전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슬라이딩하여 일단이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회전시 키도록 타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구동바와,
    상기 구동바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바의 타단에 설치된 바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회전을 위하여 상기 구동바의 일단에 설치된 작동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레버는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외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바는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상기 회전디스크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환형링과, 타단이 상기 작동베어링과 접촉하여 상기 환형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환형링의 외주면의 일측에 고정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작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핀은 상기 구동바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작동베어링이 상기 작동핀의 타단의 단부를 가격할 경우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상기 환형링의 외주면의 일측 에 고정되며,
    상기 클러치베어링은 상기 작동핀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작동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0. 제74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는 상기 클러치베어링을 축방향으로 1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타측에 설치된 디스크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1.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레버는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디스크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결합된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피스톤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암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암탄성지지대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구동디스크에 결합된 피스톤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과 상기 구동디스크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피스톤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5. 제81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6. 제81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타측에 설치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디스크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배 치된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퀴의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한 폭변형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기 위하여 바퀴에 장착된 다른 발전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샤프트를 구비한 리니어 발전기이며,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은 일측은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레버와, 상기 힌지레버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샤프트의 일단에 설치된 샤프트스프링과, 일단이 상기 바퀴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힌지레버의 타단에 연결된 전달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89. 제88항에 있어서,
    구동유닛은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을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다른 발전기를 상기 바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90.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바퀴의 타이어의 폭방향 변형을 변위로 발생시키기 위한 폭변형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기 위하여 바퀴에 장착된 다른 발전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폭변형구동수단은 상기 바퀴에 장착되기 위한 구동디스크와, 일측은 상기 구동디스크에 힌지결합 되고 일단이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하여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구동디스크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힌지레버와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의 변위를 전달받아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디스크의 원주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구동부재를 구비한 디스크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다른 발전기는 마그네트와, 코일과,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 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발전기이며,
    상기 발전유닛은 상기 구동유닛과 접속하여 상기 발전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에 결합된 클러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슬라이딩하여 일단이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회전시키도록 타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된 구동바와, 상기 구동바의 슬라이딩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바의 타단에 설치된 바스프링과, 상기 클러치 베어링의 회전을 위하여 상기 구동바의 일단에 설치된 작동베어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힌지레버는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외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바는 상기 힌지레버에 의하여 상기 회전디스크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클러치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환형링과, 타단이 상기 작동베어링과 접촉하여 상기 환형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환형링의 외주면의 일측에 고정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작동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는 상기 클러치베어링을 축방향으로 1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타측에 설치된 디스크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94.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레버는 타단이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힌지레버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디스크에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타단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피스톤의 타단에 결합된 암과, 상기 암의 회동을 복귀시키기 위한 암탄성지지대와, 상기 타이어의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상기 구동디스크에 결합된 피스톤가이드와,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과 상기 구동디스크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피스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구동수단은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의 내부의 타측에 설치된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디스크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하여 회전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배 치된 상기 클러치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KR1020070071822A 2006-07-18 2007-07-18 타이어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KR100946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6990 2006-07-18
KR20060066999 2006-07-18
KR1020060067004 2006-07-18
KR20060067004 2006-07-18
KR20060066994 2006-07-18
KR1020060066990 2006-07-18
KR1020060066986 2006-07-18
KR1020060066999 2006-07-18
KR1020060066994 2006-07-18
KR20060066986 200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83A KR20080008283A (ko) 2008-01-23
KR100946647B1 true KR100946647B1 (ko) 2010-03-10

Family

ID=3895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822A KR100946647B1 (ko) 2006-07-18 2007-07-18 타이어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6647B1 (ko)
WO (1) WO20080106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723B1 (ko) 2012-04-19 2012-10-11 김경하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332897B1 (ko) * 2012-06-15 2013-11-26 김경하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3568B1 (it) * 2009-01-27 2012-04-27 Cianci Innovativo dispositivo meccanico che per il suo corretto funzionamento utilizza un sistema di leve oscillanti, paticolari valvole e innumerevoli molle vantaggiosamente solidali tra loro
US8624699B2 (en) 2009-11-09 2014-01-07 Nucleus Scientific, Inc. Electric coi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519575B2 (en) 2009-11-09 2013-08-27 Nucleus Scientific, Inc. Linear electric machine with linear-to-rotary converter
US8362660B2 (en) * 2009-11-09 2013-01-29 Nucleus Scientific, Inc. Electric generator
US8585062B2 (en) 2009-11-09 2013-11-19 Nucleus Scientific, Inc. Tunable pneumatic suspension
US8766493B2 (en) 2011-07-01 2014-07-01 Nucleus Scientific, Inc. Magnetic stator assembly
CN102935799B (zh) * 2011-12-11 2016-01-06 汤明德 一种利用轮胎转动自发电方法
KR101431979B1 (ko) * 2013-06-21 2014-08-21 김경하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483747B1 (ko) * 2013-07-09 2015-01-19 박계정 타이어 변형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TR201311206A2 (tr) * 2013-09-24 2015-04-21 Hami Bayrakdar Yenilenebilir enerjili tekerlekli elektrik santrali.
KR101486811B1 (ko) * 2013-11-19 2015-01-29 김경하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WO2015191047A1 (en) * 2014-06-10 2015-12-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chanical amplifier for energy harvester
KR101672612B1 (ko) 2015-01-09 2016-11-03 박계정 타이어 변형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KR101730484B1 (ko) * 2015-04-06 2017-04-26 박계정 스파이크가 결합된 타이어 구조
KR101827743B1 (ko) * 2015-04-06 2018-02-09 박계정 스파이크가 결합된 타이어 구조의 제조방법
KR101730485B1 (ko) * 2015-04-06 2017-04-26 박계정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타이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ITUB20160945A1 (it) * 2016-02-23 2016-05-23 Davide Panigada Alternatore a ruota a doppia rotazione inversa, FUNZIONANTE A PRESSIONE GRAVITAZIONALE
US10483832B2 (en) 2016-09-13 2019-11-19 Indigo Technologies, Inc. Multi-bar linkage electric drive system
KR101980156B1 (ko) * 2017-03-21 2019-05-20 김호남 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및 연료절감장치
WO2018190515A1 (ko) * 2017-04-12 2018-10-18 김호남 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및 연료절감장치
WO2019009444A1 (ko) * 2017-07-05 2019-01-10 박계정 타이어 변형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US11933258B2 (en) * 2022-07-14 2024-03-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enerator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57A (ko) * 1998-03-10 1998-06-05 김영복 전기 자동차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Generating Facillity Utillizing rotary power of wheels in electrical automobile)
JP2000245007A (ja) 1999-02-24 2000-09-08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
KR20020059284A (ko) * 2002-05-30 2002-07-12 김재석 타이어에 가해지는 차체의 하중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JP2005110418A (ja) 2003-09-30 2005-04-21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4761A (en) * 1981-12-28 1985-03-12 Triplett Charles G Vehicular mounted piezoelectric generator
US6725713B2 (en) * 2002-05-10 2004-04-27 Michelin & Recherche Et Technique S.A.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from a rotating tire's mechanical energy using reinforced piezoelectric materials
KR100555659B1 (ko) * 2003-12-22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가발전형 센싱 모듈 및 그것을 사용하는 타이어 공기압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57A (ko) * 1998-03-10 1998-06-05 김영복 전기 자동차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Generating Facillity Utillizing rotary power of wheels in electrical automobile)
JP2000245007A (ja) 1999-02-24 2000-09-08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
KR20020059284A (ko) * 2002-05-30 2002-07-12 김재석 타이어에 가해지는 차체의 하중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JP2005110418A (ja) 2003-09-30 2005-04-21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723B1 (ko) 2012-04-19 2012-10-11 김경하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WO2013157879A1 (ko) * 2012-04-19 2013-10-24 Kim Kyung Ha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332897B1 (ko) * 2012-06-15 2013-11-26 김경하 타이어의 변형을 이용한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83A (ko) 2008-01-23
WO2008010669A1 (en)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647B1 (ko) 타이어 변형을 이용한 충전용 발전기어셈블리
CN101184645B (zh) 混合动力车用驱动装置
CN102713251B (zh) 用于发动机起动系统的具有减振件的单向离合器
CN102906441B (zh) 在毂与带轮之间具有滑动界面的解耦器组件
CN102575744B (zh) 振动衰减装置
US20050279603A1 (en) Torque transmitting unit
US20120305702A1 (en) Device for rotationally coupling a ring with a wheel and aircraft landing gear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10995837B2 (en) CVT drive train
CN102725493A (zh) 用于车辆附件的驱动装置
CN102549286B (zh) 离合器装置
CN113692504A (zh) 马达单元
CN103620209B (zh) 分体式继电器衔铁
CN103683633A (zh) 转子偏心防止结构
JP5141374B2 (ja) 動力伝達装置
KR20100033208A (ko) 댐퍼플라이휠
JP5141376B2 (ja) 動力伝達装置
EP2776729A1 (en) Torque transfer unit for an engine starting system
KR101980156B1 (ko) 자동차용 자가발전장치 및 연료절감장치
CN102340213A (zh) 车辆的发电装置
CN109720189B (zh) 采用行星齿轮机构和双离合器模块的车辆混合动力系统
CN116951088A (zh) 动力传递机构
CN221250583U (zh) 一种用于混合动力拖拉机的传动装置及混合动力拖拉机
CN112297884B (zh) 增程驱动系统及具有其的车辆
RU209821U1 (ru) Аккумулятор механ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с упругими элементами
CN112297885B (zh) 增程驱动系统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