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365B1 -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365B1
KR100946365B1 KR1020090055807A KR20090055807A KR100946365B1 KR 100946365 B1 KR100946365 B1 KR 100946365B1 KR 1020090055807 A KR1020090055807 A KR 1020090055807A KR 20090055807 A KR20090055807 A KR 20090055807A KR 100946365 B1 KR100946365 B1 KR 100946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ignal
control signal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와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와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와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09005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모듈과 영상처리모듈 사이에 영상 전송을 위해 연결된 기존 영상케이블을 통해서 팬틸트 제어신호를 보내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모듈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원격제어모듈 및 영상처리모듈은 하나의 영상케이블로만 상호 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영상신호 모두를 영상케이블 하나를 통해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각 모듈들을 연결하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 및 원가가 절감되고, 카메라 케이블 설치시 기존에 있는 영상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와 고가 제품 및 전문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는 팬틸트 카메라를 대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경제적 이득이 있다. 또한, 기존의 영상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각의 제어신호에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 영상신호와 상호 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모듈 측에 있는 팬틸트 수신부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Pan/Tilt Camera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영상케이블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카메라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영상케이블을 이용한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을 비롯한 도로, 주차장, 백화점, 은행, 전시장 등과 같은 특정의 장소에는 불법행위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통상 감시용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 주차장, 백화점, 은행 및 전시장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사무실 등의 감시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링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는 필요한 경우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VCR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소에 사용되는 감시용 카메라는 일정한 영역만을 감시할 수 있는 고정형 카메라가 있고, 광범위한 영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팬모터 및 틸트모터를 구비한 회전형 카메라 즉, 팬틸트 카메라(Pan/Tilt Camera)가 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는 방향전환이 불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어 있어,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정의 장소가 넓거나 공간이 구획된 곳에서 감시를 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감시영역을 분할하여 다수의 위치에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감시를 행하여야 하므로 설치 및 관리가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회전형 카메라 시스템의 일 예인 스피드 돔 카메라(Speed Dome Camera)는 팬틸트(pan/tilt) 기능에 의해 수평, 수직방향으로 움직여 감시영역을 변경할 수 있 카메라로서, 반구형 또는 구형의 하우징(housing) 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팬 기능은 구비된 팬모터에 의해 카메라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능이며, 틸트 기능은 구비된 틸트모터에 의해 카메라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능로서, 팬틸트 기능에 의해 감시영역은 확장가능하다.
최근에는 상기 회전형 카메라로서 사용자가 원격으로 유선조작을 통하여 촬영방향을 조절하거나 또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소정의 회전범위에 대하여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작동되도록 하여 특정의 장소를 감시할 수 있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카메라를 포함하며, 팬틸트 구동부(14)에 의해 회전되어 감시영역을 촬영하도록 카메라 위치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부(12)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10)과 상기 팬틸트 구동부(1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부(20) 및 상기 카메라부(12)에서 촬영한 영상의 신호를 입력받아 표출하는 영상표출부(30)로 구성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카메라부(12)에서 촬영한 영상신호를 영상표출부(30)로 제공하기 위해 영상표출부(30)와 영상케이블(C1)로 연결되며, 상기 원격제어부(20)의 송신부(22)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기 위해 별도의 제어케이블(C2)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모듈(10)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영상표출부(30)로 송신하도록 연결되는 영상케이블(C1)과 상기 카메라모듈(10)을 동작시키도록 원격제어부(20)의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연결되는 제어케이블(C2)이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의 연결을 단순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최초 설치시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팬틸트 기능이 없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을 팬틸트 카메라 원격제어 시스템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영상케이블 외에 제어케이블을 더 설치해야 하므로 제어케이블이 보이지 않도록 배선하는 것이 어렵고, 제어케이블 배선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경우 외관이 나쁘고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모듈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원격제어모듈 및 영상처리모듈을 기존의 영상케이블로만 상호 연결하되, 영상케이블을 통해 영상신호뿐만 아니라 제어신호까지 동시에 송수신하도록 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고장 및 오작동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 및 구조로 인해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원가 또한 저렴하여 경제적으로도 유용한 팬틸트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단일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수신하여 처리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출력하는 원격제어모듈; 및 상기 원격제어모듈을 통해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상기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신호에 따른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출력된 구동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제어신호를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카메라모듈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구동제어신호로 복조하는 바이어스 검출부와,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팬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조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른 바이어스 전압 인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틸트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이 조절되도록 카메라부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팬모터와, 상기 카메라부가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틸트모터로 구성되고, 상 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팬모터에 연결되는 팬모터 구동부와, 상기 틸트모터에 연결되는 틸트모터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처리모듈은, 상기 원격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상기 영상신호를 녹화하는 영상 녹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처리모듈은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혼입되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제거하는 신호제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제어모듈은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와 제어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영상처리모듈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영상 복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은; 영상처리모듈과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장치와, 상기 원격제어 모듈과 단일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원격제어모듈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의 팬틸트 카메라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원격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 촬영 방향을 조작을 위한 조작신호 발생 시 상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제어신호를 변조한 제어신호를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로 출력하는 과정과, (2)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단일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팬틸트 카메라 원격제어 방법은; (3) 상기 원격제어모듈이 상기 제 (1) 과정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제어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영상신호만 상기 영상처리모듈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과정은: 조작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조작신호에 따른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신호 변조부로부터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송신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카메라모듈로 출력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과정은: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복조부가상기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구동제어신호를 팬틸트부로 출력하는 과정; 상기 팬틸트부가 상기 복조된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른 바이어스 전압 인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팬틸트 카메라 시스템은 상기 카메라모듈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원격제어모듈 및 영상처리모듈을 하나의 영상케이블로만 상호 연결되어, 제어신호 및 영상신호 모두를 영상케이블 하나를 통해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각 모듈들을 연결하는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원가 또한 저렴하여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유용한 팬틸트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단일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각의 제어신호에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 영상신호와 상호 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모듈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팬틸트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신호 파형 및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은 카메라부(110)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10)의 촬영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모듈(100)과 상기 카메라모듈(100)과 단일영상케이블(C)로 연결되어,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모니터링 장치(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은 영상신호를 입출력하는 일반적인 영상케이블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모듈(100)은 카메라부(110), 팬틸트부(120), 수신부(130) 및 바이어스 검출부(140)로 이루어진다.
일정영역을 촬영하여 그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110)에는 상기 카메라부(11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팬틸트부(120)가 연결구비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40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과 단일영상케이블(C)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0)로 송신하고, 카메라모듈(100)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변조된 영상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원격제어모듈(200)과, 상기 원격제어모듈(200)로부터 출력되는 복조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300)을 포함한다.
원격제어모듈(200)은 조작부(205), 컨트롤러(210), 신호 변조부(220) 및 송신부(230)를 포함한다.
조작부(205)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촬영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스위치들을 구비하고, 관리자의 조작스위치 조작에 의해 조작신호를 출력한다.
컨트롤러(21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팬틸트부(120)를 구동시키기 위해 조작부(205)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신호 변조부(220)는 상기 컨트롤러(210)에서 출력된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구동제어신호의 변조 방식으로는 바이어스 전압 변조 방법 및 저주파 변조 방법 등이 있으나,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시키기 위해 바이어스 전압 변조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 변조 방식은 후술한다.
상기 컨트롤러(210)에서 출력된 구동제어신호는 신호 변조부(220)에 의해 제어신호로 변조되고, 송신부(230)에서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수신부(130)로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수신부(130), 제어신호 검출부(140), 팬/틸트부(120) 및 카메라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130)는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제어신호 및 영상신호)로부터 제어신호만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130)로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에 구비되는 바이어스 검출부(140)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를 구동제어신호로 복조된다.
영상처리모듈(300)은 상기 카메라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원격제어모듈(200)을 통해 입력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상처리모듈(300)은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처리한 후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부(310) 및/또는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처리한 후 녹화하는 저장하는 영상 녹화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에서 출력되어 영상처리모듈(300)로 입력되는 상기 영상신호는, 현재 전세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상처리방식인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 또는 PAL(Phase Alternate Line)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상기 카메라모듈(100)에는 상기 원격제어모듈(200)이 단일영상케이블(C), 즉 기존의 영상신호를 입출력하는 일반적인 영상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은 영상신호를 입출력하는 일반적인 영상케이블이 적용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카메라부(110)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카메라 시스템이 영상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카메라모듈(100)과 영상처리모듈(300)을 연결하는 영상케이블(C1)과 구동제어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원격제어모듈(200)과 카메라모듈(100)을 연결하는 제어케이블(C2) 각각의 다른 물리적 케이블을 구비하여 역할을 수행하던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케이블 즉, 하나의 전송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해 상기 영상신호 및 구동제어신호가 각각 송,수신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바이어스 전압 변조 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 영상신호는 도 3(a)와 같이, 교류형태의 파형을 이루어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해 카메라부(110)에서 모니터링 장치(400)로 송신된다.
상기 제어신호는 신호 변조부(220)을 통해 직류형태의 바이어스 전압(Vb)으로 변조된 후, 상기 영상신호에 직렬로 가해져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해 상기 영상신호와의 상호 간에 간섭없이 동시에 카메라모듈(100)로 송신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신호는 도 3(b)와 같이 상기 바이어스 전압만큼 클램핑된다.
상기 바이어스 전압(Vb)은 상기 조작신호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신호 변조부(220)를 통해 인가되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조작부(205)의 상방향 조작 스위치가 눌리게 되면, 컨트롤러(210)에서 그에 해당하는 상향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신호 변조부(220)는 상기 상향 구동제어신호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t초)만큼 바이어스 전압(Vb)을 영상신호에 직렬로 인가한다., 일 예로 상향 구동제어신호의 경우, 10 ms로 설정되어 있으면 신호 변조부(220)는 바이어스 전압(Vb)을 10ms만큼 인가한다.
그러면 카메라모듈(100)의 복조부(140)는 바이어스전압(Vb)의 인가여부 및 바이어스 전압(Vb)의 인가된 시간(t)을 감지하여, 기설정에 의해 상향 구동제어신호 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205)의 하방향 조작 스위치가 눌리게 되면, 상기 신호 변조부(220)를 통해 바이어스 전압(Vb)이 15 ms 만큼 인가되고 그에 따라, 복조부(140)에서 하향 구동제어신호 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400)는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한 제어신호 송신 시 영상신호가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클램핑되므로 이를 원래의 영상신호로 복조하여 영상처리모듈(300)로 출력하는 영상 복조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복조부(240)는 교류 파형 형태의 영상신호는 통과시키고, 직류 형태의 바이어스 전압(Vb)을 차단하도록 하여, 상기 영상처리모듈(300)로 영상신호만이 입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상기 영상 복조부(240) 대신 영상처리모듈(300)에 신호제어기(33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제거기(330)에서 상기 단일영상케이블(C)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혼입되어 있는 제어신호가 제거된다.
상기 신호제거기(330) 및 영상 복조부(250)는 영상신호에 혼입되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제거 또는 분리하여 영상처리모듈(300)에서 표시되거나 녹화되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영상 복조부(240) 또는 신호제거기(330)는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직류성분인 제어신호를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바이어스 전압 변조 방식을 이용한 영상케이블을 이용한 제어신호 전송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로 영상신호와 간섭이 적은 저주파수를 이용한 변조 방식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팬틸트부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팬틸트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해 연결되는 모터 구동부(122)와 모터부(125) 및 상기 바이어스 검출부(140)를 통해 복조된 구동제어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모터 구동부(122)를 제어하는 제어부(1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부(125)는 팬모터(126) 및 틸트모터(127)를 갖는다.
팬모터(126)는 카메라부(110)가 수평방향(또는 좌우) 즉,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CW)으로 360°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부(110)에 결합된다. 틸트모터(127)는 카메라부(110)가 수직방향(또는 상하)으로 90 내지 180°회전가능하도록 카메라부(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구동부(122)는 팬모터 구동부(123)와 틸트모터 구동부(124)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21)에 의해, 각각 상기 팬모터(126) 및 틸트모터(127)를 구동시키며, 이로써 상기 카메라부(110)의 회전방향 등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팬틸트 카메라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팬틸트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일케이블을 통해 송수신되는 영상신호 파형 및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팬틸트부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카메라모듈 110: 카메라부
120: 팬틸트부 121: 제어부
122: 모터 구동부 125: 모터부
130: 수신부 140: 복조부
200: 원격제어모듈 205: 조작부
210: 컨트롤러 220: 신호 변조부
230: 송신부 250: 영상 복조부
300: 영상처리모듈 310: 영상 디스플레이부
320: 영상 녹화부 400: 모니터링 장치

Claims (15)

  1.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단일영상케이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단일영상케이블로 출력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신호를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수신하여 처리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제어모듈; 및
    상기 원격제어모듈을 통해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상기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신호에 따른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출력된 구동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변조부와,
    상기 변조된 제어신호를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카메라모듈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구동제어신호로 복조하는 바이어스 검출부와,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팬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른 바이어스 전압 인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틸트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이 조절되도록 카메라부를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와,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대응되게 상기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팬모터와, 상기 카메라부가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틸트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팬모터에 연결되는 팬모터 구동부와, 상기 틸트모터에 연결되는 틸트모터 구동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모듈은,
    상기 원격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상기 영상신호를 녹화하는 영상 녹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모듈은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혼입되어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제거하는 신호제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모듈은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와 제어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영상처리모듈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복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11. 영상처리모듈과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장치와, 상기 원격제어 모듈과 단일영상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원격제어모듈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의 팬틸트 카메라 원격제어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원격제어모듈이 상기 카메라모듈의 카메라부 촬영 방향을 조작을 위한 조작신호 발생 시 상기 조작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제어신호를 변조한 제어신호를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로 출력하는 과정과,
    (2)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단일영상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3) 상기 원격제어모듈이 상기 제 (1) 과정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상기 제어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영상신호만 상기 영상처리모듈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조작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조작신호에 따른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신호 변조부로부터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 및
    송신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카메라모듈로 출력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복조부가상기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구동제어신호를 팬틸트부로 출력하는 과정;
    상기 팬틸트부가 상기 복조된 상기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부의 촬영방향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른 바이어스 전압 인가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방법.
KR1020090055807A 2009-06-23 2009-06-23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6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07A KR100946365B1 (ko) 2009-06-23 2009-06-23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807A KR100946365B1 (ko) 2009-06-23 2009-06-23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365B1 true KR100946365B1 (ko) 2010-03-08

Family

ID=4218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807A KR100946365B1 (ko) 2009-06-23 2009-06-23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3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917A (ko) * 2002-12-13 2004-06-19 황병익 방범·방화·방재 장치
KR20050035407A (ko) * 2003-10-13 2005-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917A (ko) * 2002-12-13 2004-06-19 황병익 방범·방화·방재 장치
KR20050035407A (ko) * 2003-10-13 2005-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1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006088A (ja) 監視カメラ装置
JPH11331822A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100129125A (ko) 지능형 광역 감시 카메라, 그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시스템
JP201123287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10114098A (ko) 파노라마 카메라 및 팬틸트줌 카메라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 장치와 이를 채용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
KR20070000643A (ko) 감시카메라와 비상벨 장치가 결합된 방범시스템
KR100946365B1 (ko)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22917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4304847A (ja) 監視カメラ装置及び監視カメラの表示方法
JP2000184363A (ja) 無線画像伝送システム
US6646675B1 (en) Addressable security monitoring system
JP3838881B2 (ja) 監視カメラ装置
JP3196041B2 (ja) 監視カメラによる現場の映像をウインド画面でモニタ表示する機能を備えた防災システム
JP2002077888A (ja) Itvカメラを用いた監視方法および装置
KR100744455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JPH11343080A (ja) エレベータ用情報表示装置
JPH08297793A (ja) 監視装置
KR101614386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JPH08140082A (ja) 集中監視システム
JP2008300965A (ja) 電話機
JP3105904U (ja) セキュリティ監視システム装置
KR101045829B1 (ko) 카메라 팬 틸트 자동 제어장치
KR200270463Y1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비디오폰 자동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