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5407A -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5407A
KR20050035407A KR1020030071067A KR20030071067A KR20050035407A KR 20050035407 A KR20050035407 A KR 20050035407A KR 1020030071067 A KR1020030071067 A KR 1020030071067A KR 20030071067 A KR20030071067 A KR 20030071067A KR 20050035407 A KR20050035407 A KR 20050035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nitor
signal
camera contro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2698B1 (ko
Inventor
천두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6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감시 시스템은 단일 케이블을 통해 감시용 카메라와 모니터간의 영상 신호 송수신 및 전원 인가를 수행하며, 입력되는 소정의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소정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 및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촬상되는 영상의 시계(視界)를 제어하는 카메라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감시용 모니터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감시 카메라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감시 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Observation System capable of corolling of camera been far apart useing the monitor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RJ-45 케이블을 통해 감시 모니터 및 카메라간의 전원 인가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모니터 제어용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감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와 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신받은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모니터, 및 모니터를 제어하는 리모콘을 포함한다. 이때, 감시 시스템의 특성상, 감시 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모니터는 한 곳에 모아지거나, 또는 하나의 모니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감시 카메라에서 보내 오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한다.
최근에는, 감시 카메라가 전원을 공급받기 곤란한 위치인 야외 등에 설치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니터와 카메라 간의 영상 신호 송수신 회선을 이용하여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때의 송수신 회선으로는 RJ-45 케이블이 사용된다. 이때, RJ-45 케이블은 8핀 케이블로서, 영상 신호, 음성 신호 송수신 및 전원 인가에 사용되는 회선 외에 여유 회선을 가지게 된다.
한편, 종래의 감시 시스템에서는, 모니터를 통해 감시를 수행 중인 사용자가 카메라의 팬(Pan, 가로 방향 조절), 틸트(Tilt, 세로 방향 조절), 및 줌(Zoom, 영상 확대 조절)(이하 P/T/Z라 한다.) 등을 제어하고자 한다면, 별도의 P/T/Z 제어선을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까지 연결하여야 하며, 또한 P/T/Z 제어기도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송수신 케이블의 여유 회선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P/T/Z 제어기 및 제어선의 추가 없이 원격지에 산발적으로 설치된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의 시계를 감시용 모니터, 또는 감시용 모니터용 리모콘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은, 단일 케이블을 통해 감시용 카메라와 모니터간의 영상 신호 송수신 및 전원 인가를 수행하며, 입력되는 소정의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소정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 및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촬상되는 영상의 시계(視界)를 제어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카메라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신호인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는,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수광부,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소정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 제어부, 상기 송신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가 상기 카메라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니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모니터 인터페이스부에서 처리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송신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과의 접속을 제공하는 모니터 입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 인터페이스부는, RS-485 표준 규격이며, 상기 모니터 입출력 단자는, RJ-45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하는 모니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케이블로 공급된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모니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모니터 전원부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카메라는, 외부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광전변환하는 촬상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카메라 입출력 단자, 상기 수신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는 RS-485 표준 규격이며, 상기 카메라 입출력 단자는 RJ-45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하는 카메라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신호처리된 상기 영상 신호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모니터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을 통해 인가된 전원을 상기 카메라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카메라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케이블은, RJ-45 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은, 단일 케이블을 통해 감시용 카메라와 모니터간의 영상 신호 송수신 및 전원 인가를 수행하는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모니터를 통해 소정의 카메라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는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소정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 제어 단계, 및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촬상되는 영상의 시계(視界)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 상기 모니터 제어 단계는,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소정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에 수신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싱 단계, 및 인터페이싱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싱 단계는, RS-485 표준 규격을 이용하며, 상기 송신 단계는, RJ-45 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 제어 단계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하는 모니터 신호 처리 단계, 및 상기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편, 상기 카메라 제어 단계는, 외부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광전변환하는 촬상 단계,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싱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 단계를 제어하는 카메라 시계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싱 단계는, RS-485 표준 규격을 이용하며, 상기 수신 단계는, RJ-45 모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제어 단계는, 상기 촬상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하는 카메라 신호 처리 단계, 및 신호처리된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모니터로 송신하는 영상 신호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RJ-45 케이블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본 감시 시스템은 리모콘(100), 모니터(200), 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300-1 ∼ 300-4), 및 RJ-45 케이블(400-1 ∼ 400-4)을 포함한다.
리모콘(100)은 원격지에 설치된 카메라(300-1 ∼ 300-4)의 시계, 즉 카메라(300-1 ∼ 300-4)의 Pan/Tilt/Zoom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키를 구비하며, 이 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카메라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이때 카메라 제어 명령은 제어할 카메라(300-1 ∼ 300-4) 정보를 포함한다.
모니터(2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RJ-45 케이블(400-1 ∼ 400-4)을 이용하여 카메라(300-1 ∼ 300-4)로 송신하며, 카메라(300-1 ∼ 300-4)로부터 촬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특히 카메라 제어 명령의 수신에 대응하여,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카메라(300-1 ∼ 300-4)로 송신한다.
카메라(300-1 ∼ 300-4)는, 감시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RJ-45 케이블(400-1 ∼ 400-4)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을 시작하고, 촬상된 영상 신호를 모니터(200)로 송신한다. 그리고 특히, 카메라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촬상 되는 영상의 시계, 즉 P/T/Z를 제어한다.
RJ-45 케이블(400-1 ∼ 400-4)은 8핀 케이블로서, 영상 신호,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전원의 송수신 회선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모니터(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니터(200)는 전원부(240), 모니터 회로부(210), 및 모니터 입출력 단자(250-1 ∼ 250-4)를 포함하며, 모니터 회로부(210)는 수광부(220), 모니터 제어부(230), 모니터 인터페이스부(260), 모니터 신호 처리부(270), 및 디스플레이(280)을 포함한다.
전원부(2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모니터 회로부(210)에 전원을 인가하며, 또한 모니터 입출력 단자(250-1 ∼ 250-4)를 통해 외부로 전원을 인가한다.
수광부(200)는 리모콘(100)으로부터 적외선 신호 형태의 카메라 제어 명령을 수신받는다. 카메라 제어 명령은 카메라(300)의 P/T/Z 제어를 위한 명령이다.
모니터 제어부(230)는 모니터 인터페이스(260), 모니터 신호처리부(270), 및 디스플레이(280)을 제어하며, 모니터(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300-1 ∼ 300-4)를 스캐닝하여, 연결된 카메라(300)의 대 수 및 P/T/Z 제어 가능 여부를 소정의 메모리(미도시)에 기록하여 둔다. 그리고 카메라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카메라(300)가 P/T/Z 제어 가능한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니터 인터페이스부(230)로 송신한다.
모니터 인터페이스부(260)는 모니터(200)와 카메라(300)가 RJ-45 케이블(400)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는 RS-485 표준 규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페이싱된 카메라 제어 신호는 카메라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카메라(300)와 연결된 모니터 입출력 단자(250)로 송신된다.
모니터 입출력 단자(250-1 ∼ 250-4)는 RJ-45 단자(Connector)로서, RJ-45 케이블(400)과 연결되어 모니터(2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RJ-45 케이블(400)로 출력하며, 카메라(3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다.
모니터 신호 처리부(270)는 모니터 입출력 단자(300-1 ∼ 300-4)를 통해 수신되어 모니터가 인식가능하도록 인터페이싱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가 표시 가능한 영상 신호로 처리한다. 디스플레이(280)는 모니터 신호 처리부(27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300)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카메라(300)는 카메라 입출력 단자(320), 카메라 전원부(330), 및 카메라 회로부(310)를 포함하며, 카메라 회로부(310)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40), 카메라 제어부(350), 촬상부(360), 카메라 신호처리부(370)를 포함한다.
카메라 입출력 단자(320)는 RJ-45 케이블(400)을 통해 모니터(200)로부터 송신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40)로 송신하며, 전원을 인가받는다.
전원부(330)는 인가된 전원을 카메라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카메라 회로부에 인가하며, 카메라 회로부(310)는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한다.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40)는 모니터(200)와 카메라(200)가 RJ-45 케이블(400)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인터페이스는 RS-485 표준 규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제어부(350)는 카메라 제어부(350)가 인식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싱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에 대응하여, 촬상부(360)의 시계, 즉 P/T/Z를 제어한다.
한편, 촬상부(360)는 외부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광전변환한다. 그리고 카메라 신호처리부(370)는 상기 촬상부(360)에서 촬상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340)로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리모콘(100)으로 부터 카메라 제어 명령이 송신된다(S500). 모니터(200)는 카메라 제어 명령 수신에 대응하여, RJ-45 케이블(400)을 통해 카메라(300)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S600).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 받은 카메라(300)는 카메라 제어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촬상부의 P/T/Z를 제어한다(S700).
도 5은 도 4의 카메라 제어 신호 송신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연결된 카메라(300)의 수 및 타입을 스캐닝한다(S610). 그리고 이때 제어할 카메라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S630), 제어할 카메라(300)가 P/T/Z 제어 가능한 카메라인가 확인한다(S650). P/T/Z 제어 기능이 없는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종료하며, P/T/Z 제어 기능이 있는 카메라일 경우, 카메라 제어부(350)에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670). 그리고 생성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카메라가 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한 후(S680), RJ-45 케이블을 통해 송신한다(S690).
도 6은 도 4의 카메라 제어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카메라는 카메라 입출력 단자(320)를 통해, RJ-45 케이블(400)로부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받는다(S710). 이 수신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싱하여(S730), 카메라 제어부(350)로 송신하고, 카메라 제어부(350)는 의해 촬상부(360)의 P/T/Z를 제어한다(S760).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원격지에 설치된 카메라(400)의 시계를 모니터(200)를 통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지에 산발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감시용 카메라를 모니터를 이용하여, 직접 이동하는 번거로움 없이, 한 곳에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에 의해, 모니터를 통한 감시 수행중 카메라 시계의 변화가 필요할 경우, 즉시 카메라의 시계 제어가 가능하기때문에 감시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회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회선 증설 비용이 추가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일예,
도 2는 도 1에 따른 모니터의 상세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카메라의 상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
도 5은 도 4의 카메라 제어 신호 송신 단계의 상세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도 4의 카메라 제어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0 : 수광부 230 : 모니터 제어부
260 : 모니터 인터페이스부 340 :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350 : 카메라 제어부 360 : 촬상부

Claims (26)

  1. 단일 케이블을 통해 감시용 카메라와 모니터간의 영상 신호 송수신 및 전원 인가를 수행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소정의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소정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 및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촬상되는 영상의 시계(視界)를 제어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카메라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수광부;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소정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 제어부;
    상기 송신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가 상기 카메라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니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모니터 인터페이스부에서 처리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송신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블과의 접속을 제공하는 모니터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인터페이스부는, RS-485 표준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입출력 단자는, RJ-45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하는 모니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케이블로 공급된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모니터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전원부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외부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광전변환하는 촬상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카메라 입출력 단자;
    상기 수신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는 RS-485 표준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입출력 단자는 RJ-45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하는 카메라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신호처리된 상기 영상 신호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모니터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인가된 전원을 상기 카메라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카메라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RJ-45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6. 단일 케이블을 통해 감시용 카메라와 모니터간의 영상 신호 송수신 및 전원 인가를 수행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를 통해 소정의 카메라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는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소정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모니터 제어 단계; 및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촬상되는 영상의 시계(視界)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팬(Pan), 틸트(Tilt), 줌(Zoom)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제어 단계는,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소정의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가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에 수신되도록 인터페이싱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싱 단계; 및
    인터페이싱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싱 단계는, RS-485 표준 규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RJ-45 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하는 모니터 신호 처리 단계; 및
    상기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 단계는,
    외부 피사체의 광학상을 결상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광전변환하는 촬상 단계;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카메라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카메라 인터페이싱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 단계를 제어하는 카메라 시계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싱 단계는, RS-485 표준 규격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RJ-45 모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된 영상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하여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부로 송신하는 카메라 신호 처리 단계; 및
    신호처리된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모니터로 송신하는 영상 신호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26.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RJ-45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의 카메라 제어 방법.
KR1020030071067A 2003-10-13 2003-10-13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KR10101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067A KR101012698B1 (ko) 2003-10-13 2003-10-13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067A KR101012698B1 (ko) 2003-10-13 2003-10-13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407A true KR20050035407A (ko) 2005-04-18
KR101012698B1 KR101012698B1 (ko) 2011-02-09

Family

ID=3723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067A KR101012698B1 (ko) 2003-10-13 2003-10-13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6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55B1 (ko) * 2005-10-06 2007-08-0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100946365B1 (ko) * 2009-06-23 2010-03-08 주식회사 엑스와이시스템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133B2 (ja) * 1991-12-20 1998-07-30 土井 哲夫 遠隔操作テレビカメラ装置
JPH0662408A (ja) * 1992-08-07 1994-03-04 Hitachi Ltd 監視カメラ装置
KR100227413B1 (ko) * 1997-07-09 1999-11-01 박이규 폐쇄회로 텔레비젼의 다중 송수신장치.
JPH11341480A (ja) 1998-05-26 1999-12-10 Hitachi Denshi Ltd テレビカメラ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55B1 (ko) * 2005-10-06 2007-08-0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네트워크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100946365B1 (ko) * 2009-06-23 2010-03-08 주식회사 엑스와이시스템 팬틸트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698B1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2201B1 (en) Image disp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821550B2 (en) Remote image-pickup system, camera device, and card substrate
US7804523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camera head determination in an image sensing system
EP1781022B1 (en) Monitor camera device, control method for monitor camera device, and program for monitor camera device
EP1032200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KR101012698B1 (ko) 모니터를 통해 원격지의 카메라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
KR100952462B1 (ko) 원격 영상 제어와 로컬 영상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영상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 수행 방법
EP1382205B1 (en) Video node for frame synchronized multi-node video camera array
US20060098091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camera through monitor and method thereof
KR100481520B1 (ko) 설치가 용이한 감시 시스템
JP4240082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0563141B1 (ko) 고화소 줌 카메라 시스템
JP3747609B2 (ja) 電子機器の情報伝送方法
KR20020022946A (ko) 웹 카메라와 전력선을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060085718A (ko)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20040079449A (ko) 메신저를 이용한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234021A (ja) 情報伝送システム及び信号処理ボード
KR100451456B1 (ko)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감시시스템
JP2004320296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H10229511A (ja) 監視カメラ装置
JP3214671B2 (ja) 映像信号伝送装置
KR20060095071A (ko) Pip방식을 이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 및 그 영상 장치
JPH11283162A (ja) 画像伝送装置
US20060098102A1 (en) Surveillance system for controlling camera, monitor and extra device using remote controller
JP200003691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無線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