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316B1 -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316B1
KR100946316B1 KR1020080001816A KR20080001816A KR100946316B1 KR 100946316 B1 KR100946316 B1 KR 100946316B1 KR 1020080001816 A KR1020080001816 A KR 1020080001816A KR 20080001816 A KR20080001816 A KR 20080001816A KR 100946316 B1 KR100946316 B1 KR 10094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plate
transfer device
contai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071A (ko
Inventor
박순달
박양순
하영경
지광용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0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3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15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for storing radioactive sources, e.g. source carriers for irradiation units; Radioisotope contain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8Metals; Alloys; Cermets, i.e. sintered mixtures of ceramics and metals
    • G21F1/085Heavy metals or alloy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7/00Shielded cells or rooms
    • G21F7/04Shielded glove-boxes
    • G21F7/041Glove-box atmosphere, temperature or pressur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tallur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준위 방사성 시료가 내장된 원통형상의 시료 수납용기를 이송하도록 하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대차; 상기 대차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전후좌우 거동을 조절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조절수단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상하 기울기(tilting angle)를 조절하는 틸팅장치; 및 상기 시료 수납용기 하부 지지판 하면에 구비되어 이송장치가 놓여진 지면의 수평도에 따라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자체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밸런싱을 유지하는 밸런싱장치; 및 이송장치와 핫셀의 접속면을 one touch 방식으로 체결하는 클램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방사성 시료에서 발생되는 고에너지의 감마선뿐만 아니라 베타선 및 알파선 차폐가 가능하며, 무게가 약 500kg 이상인 고중량의 시료 수납용기를 안전하게 이동하고 각기 다른 사양인 핫셀의 접속면과의 체결이 용이하고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며, 작업후 제염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고방사성 시료 취급의 용이성 및 그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자의 방사능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염에 따른 폐기물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틸팅장치, 밸런싱장치, 핫셀, 시료 수납용기

Description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Transportation device for highly radioactive specimen}
본 발명은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에너지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사용후핵연료 등 고방사성 시료를 감마차폐된 시료 수납 용기에 수납하여 시료 준비용 핫셀에서 화학측정장치가 설치된 핫셀 혹은 화학측정장치가 설치된 핫셀 간에 안전하게 이송하고, 핫셀에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나 연구용 원자로 등에서 조사된 사용후핵연료봉(spent nuclear fuel rod)이나 조사재(irradiated material)는 장기간 고에너지의 감마선 등 강한 방사선이 방출되므로 이와 같은 고방사성 시료의 화학적 특성규명을 위한 시료 준비작업은 고에너지의 감마선 및 알파선, 베타선 차폐가 가능한 핫셀(hot cell)에서 원격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시료의 분석목적에 맞게 시료의 절단, 채취, 세척, 건조, 무게 측정 및 기타 시료 준비 작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렇게 준비된 사용후핵연료나 조사재(irradiated material) 등의 고방사성 시료는 그 화학적 특성규명을 위해 고성능화학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차폐형 글러브박스나 다른 시험시설 등 핫셀 외부로 안전하게 이송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고준위 방사성물질인 시료를 핫셀 외부로 반출하거나 내부로 반입하거나, 시설 내부 또는 외부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취급 작업 및 이송이 용이해야 하며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사용후핵연료 시료 등을 핫셀에서 꺼내기 위한 장치는 시료 수납용기 외에도 시료 수납용기와의 접속부분이 시료의 인출 및 반입시에도 방사선 차폐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시료 수납용기 자체의 방사선 차폐뿐만 아니라 핫셀 또는 차폐글러브박스와의 접속부분의 차폐로 인해서 시료 수납용기의 크기가 커지고 형상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속부분의 차폐유지를 위한 구조로 인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시료 수납용기에서는 밀봉유지기능이 없이 차폐만을 유지하거나 밀봉을 함께 유지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구조가 커지고, 크레인 등의 설비를 이용해야만 하거나 접속부분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핫셀용 시료 수납용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핫셀 간의 이송을 위한 장치가 등록특허 제30939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시료 수납용기 본체가 지지대에 올려진 상태에서 핫셀 접속부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핫셀 접속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시료 수납용기가 지지대에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시료 수납용기와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듯이 시료 수납용기(100)가 지지대(80)에 올려진 상태에서 핫셀의 접속부(90)와 체결되는 상태를 알 수 있으며, 지지대(80)는 고정대(81)에 시료 수납용기(100)를 안착시킨 후에 볼트로 고정대 덮개를 체결한 후에 시료 수납용기 회전방지핀을 끼워 시료 수납용기(10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80)는 시료 수납용기(100)를 지탱하는 안착부(81), 프레임부(82), 상하 승강장치(83), 미세조절장치(84), 이동용 바퀴(85) 등으로 구성된다. 프레임부(82)는 이동용 바퀴(85)가 하단부에 부착되는 하측 프레임(82a)과 그 하측 프레임(82a)의 상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측 프레임(82b)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프레임(82b)의 상단부에는 안착부(81)가 미세조절장치(84)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하측 프레임(82a)에 장착된 상하 승강장치(83)에 의해 안착부(81)와 함께 상하 승강된다.
시료 수납용기 안착부 프레임(81a)의 상부에는 덮개와 덮개볼트로 운반용기 트러니온(40)의 인양고리를 고정하며, 회전방지핀을 끼워 트러니온(40)의 회전방지용 홈에 결합시켜 시료 수납용기(10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승강장치(83)는 워엄기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핸들(83a)과 그 핸들(83a)에 연동되게 하측 프레임(82a)에 장착되어 상측 프레임(82b)을 승강시키는 기어부(83b)로 구성된다. 이 승강장치(83)는 시료 수납용기(100)가 높이가 각각 다른 핫셀과 차폐 글로브박스의 접속부(90) 모두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시료 수납용기(100)의 운반시에는 전체 높이를 낮추어 운반시에 넘어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미세조절장치(84)는 전후좌우로 4개의 볼트(84a)가 상측 프레임(82b)의 상단면과 결합된 안착부(81)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시료 수납용기(100)가 접속부(90)와 결합될 때 앞뒤 및 좌우의 미세한 위치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는 시료 준비 핫셀로부터 실험 장치가 설치된 다른 핫셀로 이동해야 하며 각 핫셀 접속부(90)의 위치가 서로 달라 시료 수납용기(100)를 접속부(90)에 체결시키기 위해서 높이를 조절해야 하며, 이를 위해 종래의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는 단순히 기어식으로 구성된 승강장치(83)를 구비하고 있어 작업자가 핸들(83a)을 돌려서 높이를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시료 수납용기(100) 자체의 중량이 약 500kg인 점에 비추어 비록 워엄기어를 채용한다고 하더라도 시료 수납용기(100)를 핫셀의 접속부(90)의 높이까지 올리기 위해 핸들(83a)을 돌리는데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각 핫셀의 접속부(90)의 설치 위치가 서로 달라 동일한 핫셀의 접속부(90)에 시료 수납용기(100)를 결합시키더라도 전에 결합된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일일이 작업자가 그 결합위치를 재조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를 핫셀에 체결시 볼트를 이용하여 시료 수납용기(100)와 핫셀 접속부(90)를 연결한 후 다시 너트를 채워 이송장치의 시료 수납용기(90)와 핫셀의 접속부(90)를 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작업하게 되면 반복작업에 의해 핫셀 접속부(90)의 너트가 망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사방 10 mm 두께의 원형 철제 프레임에 70 mm 두께의 납으로 주조하여 감마선을 차폐하도록 되어 있는 고중량의 접속부(90)를 다시 제작해 부착해야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방사성 시료에서 발생되는 고에너지의 감마선 뿐만 아니라 베타선 및 알파선 차폐가 가능하며, 무게가 약 500kg 이상인 고중량의 시료 수납용기를 안전하게 이동하고 각기 다른 사양인 핫셀의 접속면과의 체결이 용이하고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며, 작업후 제염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고방사성 시료 취급의 용이성 및 그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자의 방사능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염에 따른 폐기물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는 고준위 방사성 시료가 내장된 원통형상의 시료 수납용기를 이송하도록 하단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대차; 상기 대차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전후좌우 거동을 조절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조절수단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상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는 이동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하면과, 그 상부에 시료 수납용기 등이 장착되어 있는 상면 및 X자형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시키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부는 상기 대차의 상면과 볼트에 의해 힌지고정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부는 일측이 볼트에 의해 상기 대차의 하면에 고정되나 타측은 상기 대차의 하면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하부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대의 양측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상기 대차의 상면이 상승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대의 양측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대차의 상면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에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대차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 발판이 마련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가압부에 연결된 가압레버와, 단부에 노브가 마련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의 감압부에 연결된 감압봉과, 상기 노브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차의 이동바퀴는 전면에 고정식으로 이루어지고, 후면에 회전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대차의 상면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후방향 조절수단과,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좌우방향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대차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대차의 상면에 체결되는 밸런스 샤프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양측에 쐐기 모양으로 돌출된 안내부를 따라 상기 대차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방향 조절판과,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의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관통공에 결합되는 전후방향 스크류와, 상기 전후방향 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전후방향 핸들과, 상기 핸들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의 이동거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상기 핸들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전후방향 위치표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방향 조절수단은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의 상부면 양측에 쐐기 모양으로 돌출된 안내부를 따라 상기 대차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방향 조절판과, 상기 좌우방향 조절판의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관통공에 결합되는 좌우방향 스크류와, 상기 좌우방향 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좌우방향 핸들과, 상기 핸들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좌우방향 조절판의 이동거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상기 핸들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좌우방향 위치표시판으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원통부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와 함께 틸팅하는 회전축과, 상부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축공이 관통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수단에 장착되는 리브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축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리브 플레이트의 양측에 체결된 틸팅조절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일측에 돌출된 축부와, 상기 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축부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되'ㄷ'자 형상으로 되며 상기 축부의 반대편에 마련된 고정부와, 상기 플랜지부 및 고정부 하부에 일자 형상으로 돌출된 틸팅조절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 플레이트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의 축부가 결합되도록 상부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 및 시료 수납용기를 지지하도록 삼각형 형상의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축공 하부 양측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틸팅판재가 결합되어 상기 틸팅조절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틸팅각도를 표시하도록 각도 눈금이 새겨진 틸팅각도 눈금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 플레이트의 지지부 상단에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개폐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개폐도어를 안내 및 지지하며 상기 개폐도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일측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리브 플레이트의 지지부 상단에 볼트로 체결되는 장방형의 제1판재와, 상기 제1판재의 상단부에 직교하도록 체결되는 장방형의 제2판재와, 상기 제2판재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된 제3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판재의 상부면에는 인청동 재질의 미끄럼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료 수납용기에 수납된 시료를 핫셀 내부로 반입하거나 핫셀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시료밀대가 구비되며, 상기 시료밀대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봉의 상부와 하부를 평면형상이 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시료밀대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시료밀대투입구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제1시료밀대와, 상기 제1시료밀대의 일단과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시료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시료밀대와 제2시료밀대는 무두볼트(set screw)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료 수납용기는 외부쉘과 내부쉘 사이에 납차폐체가 채워진 원통형상의 용기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고준위 방사성 시료가 수납된 바스켓이 내장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 양측에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시료 수납용기를 개폐시키는 차폐도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핫셀과의 접속면에는 다층으로 된 얇은 시트(sheet)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료 수납용기가 결합되는 핫셀 접속면에는 120도 간격으로 클램 프가 장착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와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고방사성 시료에서 발생되는 고에너지의 감마선 뿐만 아니라 베타선 및 알파선 차폐가 가능하며, 무게가 약 500kg 이상인 고중량의 시료 수납용기를 안전하게 이동하고 각기 다른 사양인 핫셀의 접속면과의 체결이 용이하고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며, 작업후 제염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고방사성 시료 취급의 용이성 및 그에 따른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자의 방사능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염에 따른 폐기물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1)는 고준위 방사성 시료가 내장된 원통형상의 시료 수납용기(2)를 이송하도록 하면에 이동바퀴(21)가 구비된 대차(3)와, 상기 대차(3)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전후좌우 거동을 조절하는 조절수단(4)과, 상기 조절수단(4)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상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틸팅장치(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료 수납용기(2)는 외부쉘과 내부쉘 사이에 납차폐체가 채워진 원통형상의 용기로서, 그 내부에 고준위 방사성 시료가 수납된 바스켓이 내장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 양측에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일측에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2)를 개폐시키는 개폐도어(7)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수납용기(2)를 핫셀의 접속부에 결합시켜 고방사성 시료를 반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접속부가 방사성 물질로 오염될 수 있으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접속부와 핫셀 접속부의 재질이 같은 스틸계열이므로 부착시 실링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료 수납용기(2)의 접속부에 다층으로 된 얇은 시트(sheet)를 부착하여 시료 수납용기(2)를 핫셀에 체결함으로써 시료 수납용기(2)와 핫셀 접속부의 기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 후에 상기 시트를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방사성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시료 수납용기(2)를 핫셀 접속부에 용이하게 접속하기 위하여 도 7과 같이 핫셀 접속부에는 120도 간격으로 클램프(6)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클램프(6)의 일단은 상기 핫셀의 접속부의 외부에 120도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갈고리모양으로 된 후크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후크부를 시료 수납용기(2)의 플랜지부에 구비된 고리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6)에는 손잡이가 달려 있어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를 앞으로 당기면 상기 후크부가 전방으로 이 동하여 상기 갈고리모양의 후크부가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플랜지부에 구비된 고리부에서 이탈되며, 상기 손잡이를 뒤로 밀면 상기 갈고리모양의 후크부가 상기 고리부를 잡아 당겨 상기 시료 수납용기(2)와 핫셀의 접속부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종래의 볼트-너트 체결방식에 비하여 원터치(one touch)방식으로 되어 있어 시료 수납용기(2)를 핫셀 접속부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대차(3)는 이동바퀴(21)가 장착되어 있는 하면(31)과, 그 상부에 시료 수납용기(2) 등이 장착되어 있는 상면(32)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후방에는 작업자가 상기 대차(3)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대략'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봉으로 된 손잡이(33)가 부착되어 있다. 상면(32)과 하면(31)은 X자형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진 지지대(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대(34)의 교차점은 힌지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대차(3)의 하부 전면에는 상대적으로 큰 고정형 바퀴(21a)를 설치하고, 후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형 바퀴(21b)를 설치하여 고중량의 시료 수납용기(2)를 이송하는 이송장치(1)가 작업자의 부주의한 조작에 의해 사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면에 회전형 바퀴(21b)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이송장치(1)의 대차(3)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송작업시 이송장치(1)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1)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는 이동바퀴(21)는 가능한 지름이 작고 폭이 넓은 것을 사용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1)의 대차(3)를 사용하지 않거나 핫셀의 접속부에 접속시켜 시료를 핫셀 내부로 반입 또는 핫셀 외부로 반출시키는 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대차(3)가 움직이지 않도록 도 8과 같이 안전브레이크(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대차(3)의 상면(32)과 연결되는 지지대(34)의 상부는 볼트에 의해 상기 상면(32)에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대차(3)의 하면(31)과 연결되는 지지대(34)의 하부는 일측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나, 타측은 상기 대차(3)의 하면(31)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34)의 하부는 유압실린더(3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35)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대(34)의 양측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상기 대차(3)의 상면(32)이 상승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유압실린더(35)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대(34)의 양측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대차(3)의 상면(32)이 하강한다.
이때 상기 대차(3)의 상면(32)에 놓여있는 시료 수납용기(2) 등의 구조물의 무게가 500kg 이상으로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상기 유압실린더(35)의 압력이 갑자기 해제되면 상기 대차(3)의 상면(32)의 하강속도가 너무 빨라 사고의 위험이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35)의 압력이 천천히 해제되도록 압력조절수단(36)이 구비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36)은 상기 대차(3)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 발판 이 마련되며 상기 유압실린더(35)의 가압부에 연결된 가압레버(36a)와, 단부에 노브(36b)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36b)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35)의 감압부에 연결된 감압봉(36c)과, 상기 노브(36b)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36d)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6d)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36b)가 연결된 감압봉(36c)의 외경부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돌출부(37)와, 상기 대차(3)의 손잡이(33)의 일측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플레이트(38)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감압봉(36c)을 관통하여 상기 돌출부(37)와 연결되도록 하는 볼트(미도시)가 상기 돌출부(37)의 반대측에 체결되어 있다. 즉, 상기 감압봉(36c)의 최대 회전각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를 풀어 상기 돌출부(37)와 플레이트(38) 사이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만큼 조정한 다음 상기 볼트를 조이게 되면 상기 감압봉(36c)의 노브(36b)를 돌리더라도 상기 돌출부(37)가 상기 플레이트(38)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기 않기 때문에 상기 유압실린더(35)의 압력이 해제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시료 수납용기(2)를 핫셀의 접속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가압레버(36a)의 단부에 마련된 발판을 밟게 되면 상기 유압실린더(35)에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대차(3)의 상면(32)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핫셀 내부로 고방사성 시료를 밀어넣은 다음에 상기 대차(3)를 다른 핫셀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대차(3)의 상면(32)을 하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감압봉(36c)의 단부에 마련된 노브(36b)를 돌리게 되면 상기 유압실린더(35)의 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대차(3)의 상면(32)이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36d)에 의해 상기 노브(36b)의 최대 회전각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압실린더(35)의 압력 해제속도가 지연됨으로써 상기 대차(3)의 상면(32)이 천천히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고방사성 시료가 수용된 시료 수납용기(2)를 핫셀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고중량의 시료 수납용기(2)의 지면에서의 높이를 최대한 낮추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시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4)은 상기 대차(3)의 상면(32)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41)(도 10에 도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2)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후방향 조절수단(42)과,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42)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42)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2)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좌우방향 조절수단(4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와 상기 대차(3)의 상면(32) 사이 네 곳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44)이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가 탄성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44)이 장착되는 상기 대차(3)의 상면(32) 네 곳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차(3)의 상면(32)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단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 머리부가 형성된 밸런스 샤프트(45)가 체결된다. 상기 밸런스 샤프트(45)의 수나사의 외경은 상기 스프링(44)이 상기 수나사의 단부에 안착되도 록 상기 스프링(4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나사의 끝단에는 상기 스프링(44)이 끼워지도록 상기 수나사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스프링가이드부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료 수납용기(2)가 장착된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1)의 대차(3)를 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45)의 머리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스프링(44)이 완전히 압축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와 상기 대차(3)의 상면(32)과의 상대 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2)를 핫셀의 접속부에 접속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밸런스 샤프트(45)의 머리부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스프링(44)의 압축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고중량의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자체 무게에 의해 틸팅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2)와 핫셀의 접속부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42)은 도 11과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상부면 양측에 쐐기 모양으로 돌출된 안내부를 따라 상기 대차(3)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방향 조절판(42a)과,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42a)의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관통공에 결합되는 전후방향 스크류(42b)와, 상기 전후방향 스크류(42b)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전후방향 핸들(42c)과, 상기 핸들(42c)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42a)의 이동거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상기 핸들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전후방향 위치표시판(42d)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작업자가 상기 전후방향 핸들(42c)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전후 방향 핸들(42c)에 결합된 전후방향 스크류(42b)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전후방향 스크류(42b)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42a)이 상기 대차(3)의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42c)에 장착된 전후방향 위치표시판(42d)이 상기 핸들(42c)과 같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42a)의 이동거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상기 좌우방향 조절수단(43)은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42)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42)의 상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42a)의 상부면 양측에 쐐기 모양으로 돌출된 안내부를 따라 상기 대차(3)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방향 조절판(43a)과, 상기 좌우방향 조절판(43a)의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관통공에 결합되는 좌우방향 스크류(43b)와, 상기 좌우방향 스크류(43b)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좌우방향 핸들(43c)과, 상기 핸들(43c)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좌우방향 조절판(43a)의 이동거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상기 핸들(43c)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좌우방향 위치표시판(43d)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작업자가 상기 좌우방향 핸들(43c)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좌우방향 핸들(43c)에 결합된 좌우방향 스크류(43b)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좌우방향 스크류(43b)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좌우방향 조절판(43a)이 상기 대차(3)의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43c)에 장착된 좌우방향 위치표시판(43d)이 상기 핸들(43c)과 같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좌우방향 조절판(43a)의 이동거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42)이 상기 대차(3)의 상면(32)에 장착되며 상기 좌우방향 조절수단(43)이 그 위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42)과 좌우방향 조절수단(43)의 상하 위치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42) 및 좌우방향 조절수단(43)에 구비된 각 위치표시판(42d)(43d)에 의하여 각기 다른 핫셀의 접속부의 위치에 대하여 그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틸팅장치(5)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원통부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2)와 함께 틸팅하는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이 삽입되도록 상부에 축공(52a)이 관통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2)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수단(4)의 좌우방향 조절판(43a)에 장착되는 리브 플레이트(52)와, 상기 회전축(51)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리브 플레이트(52)의 양측에 체결된 틸팅조절볼트(53)로 이루어져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51)은 후술할 리브 플레이트(52)에 형성된 축공(52a)과 결합되도록 일측에 돌출된 축부(51a)와, 상기 축부(51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축부(51a)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플랜지부(51b)와, 상기 플랜지부(51b)로부터 연장되되'ㄷ'자 형상으로 되며 상기 축부(51a)의 반대편에 마련된 고정부(51c)와, 상기 플랜지부(51b) 및 고정부(51c) 하부에 일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틸팅조절볼트(53)에 의해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틸팅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틸팅조절판(51d)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ㄷ'자 형상의 고정부(51c)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일자형 돌출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회전축(51)이 상기 시료 수납용기(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한다.
또한, 도 14와 같이 상기 축부(51a)에는 디스크 형상으로 되어 그 표면에 각도 눈금이 새겨진 틸팅각도 눈금판(51e)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틸팅각도 눈금판(51e)은 상기 시료 수납용기(2)가 상하 방향으로 틸팅할 때 상기 회전축(51)과 함께 틸팅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틸팅각도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이로써 각기 다른 핫셀의 접속부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시료 수납용기(2)가 접속되는 틸팅각도를 작업자가 쉽게 알 수 있어 동일한 핫셀의 접속부에 상기 시료 수납용기(2)를 결합시킬 때 일일이 재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게 된다.
상기 리브 플레이트(52)는 도 15와 같이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51)의 축부(51a)가 결합되도록 상부에 축공(5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51) 및 시료 수납용기(2)를 지지하도록 삼각형 형상의 지지부(52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브 플레이트(52)의 축공(52a) 하부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51)의 틸팅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틸팅조절볼트(53)가 체결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틸팅판재(52c)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틸팅판재(52c)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양측단에서 상기 축공(52a)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후술할 틸팅조절볼트(53)가 체결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틸팅조절볼트(53)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틸팅판재(52c)의 볼트공에 결합되며, 상기 틸팅조절볼트(53)의 끝단은 상기 회전축(51)의 틸팅조절판(51d)에 닿게 된다. 즉, 일측의 틸팅조절볼트(53)를 조이고 타측의 틸팅조절볼트(53)를 풀면 상기 회전축(51)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51)에 결합된 상기 시료 수납용기(2)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틸팅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브 플레이트(52)의 지지부(52b) 상단에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개폐도어(7)가 개방될 때 상기 개폐도어(7)를 안내 및 지지하며 상기 개폐도어(7)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플레이트(54)가 결합된다. 상기 개폐도어(7)는 방사능의 차폐를 위하여 두꺼운 철판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의 중량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4)는 도 16과 같이 장방형의 제1판재(54a)의 좌측에 볼트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리브 플레이트(52)의 지지부(52b) 상단에 볼트로 체결하고, 또 다른 장방형의 제2판재(54b)를 상기 제1판재(54a)의 우측 상단부에 서로 직교하도록 볼트로 체결하며, 상기 제1판재(54a)와 제2판재(54b)가 교차하는 위치에 상기 제2판재(54b)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된 제3판재(54c)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1판재(54a)는 상기 리브 플레이트(52)의 지지부(52b)에 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제2판재(54b) 및 제3판재(54c)를 지지하며, 상기 제2판재(54b)는 상기 제1판재(54a)의 우측 상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개폐도어(7)의 개폐작업시 상기 개폐도어(7)를 지지 및 안내하도록 한다. 상기 제3판재(54c)는 상기 제2판재(54b)의 상부면보다 더 높이 돌출되어 상기 개폐도어(7)가 상기 시료 수납용기(2)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판재(54b)의 상부면에는 인청동 재질의 미끄럼판이 부착되어 있다. 이는 상기 개폐도어(7)와 제2판재(54b)가 동일한 스틸재질을 사용할 때에 서로간에 들러붙는 성질이 있으며 또한 상대 미끄럼운동으로 마모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인청동 재질의 미끄럼판(55)을 상기 제2판재(54b)의 상부면에 부착함으로써, 이질적인 재질에 의해 서로 들러붙는 우려가 감소하며, 잦은 개폐도어(7)의 사용으로 인한 마모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인청동 재질의 미끄럼판(55)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1)에는 도 17과 같이 상기 시료 수납용기(2)에 수납된 시료를 핫셀 내부로 반입하거나 핫셀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시료밀대(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일측에는 상기 시료밀대(8)가 삽입되도록 하는 시료밀대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료밀대(8)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봉의 상부와 하부를 평면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상기 시료밀대 투입구도 마찬가지로 상부와 하부는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 부분은 원형으로 되어 있어 상기 시료밀대(8)가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상기 시료밀대 투입구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시료 이송장치(1)를 이용하여 상기 시료 수납용기(2)를 각 실험장치가 설치된 수개의 핫셀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시료밀대(8)가 상기 시료 수납용기(2)에 결합되어 있으면 이송작업이 번거롭게 되는바, 상기 대차(3)를 이동시에는 상기 시료밀대(8)를 상기 시료 수납용기(2)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료밀대(8)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시료밀대 투입구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제1시료밀대(8a)와 상기 제1시료밀대(8a)의 일단과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시료밀대(8b)로 나뉘어져 있다.
즉, 상기 제1시료밀대(8a)의 단부는 상부의 평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가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시료밀대(8b)의 일단부는 상기 제1시료밀대(8a)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구멍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시료밀대(8b)의 연장부를 상기 제1시료밀대(8a)의 구멍에 삽입한 다음 머리부가 없이 몸통 전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무두볼트(set screw)를 이용하여 상기 제1시료밀대(8a)와 제2시료밀대(8b)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동 중에는 상기 무두볼트를 풀어 제2시료밀대(8b)를 제1시료밀대(8a)와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 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료 수납용기가 지지대에 올려진 상태에서 핫셀 접속부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핫셀 접속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시료 수납용기가 지지대에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료 수납용기와 지지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방사능 시료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방사능 시료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수납용기와 핫셀 접속부와의 체결을 위한 클램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향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방향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각도 눈금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브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료밀대를 나타내는 사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2 : 시료 수납용기
3 : 대차 4 : 조절수단
5 : 틸팅장치 6 : 클램프
7 : 개폐도어 8 : 시료밀대
8a : 제1시료밀대 8b : 제2시료밀대
21 : 이동바퀴 21a : 고정형 바퀴
21b : 회전형 바퀴 22 : 안전브레이크
31: 하면 32 : 상면
33: 손잡이 34 : 지지대
35 : 유압실린더 36 : 압력조절수단
36a : 가압레버 36b : 노브
36c : 감압봉 36d : 스토퍼
36e : 발판 41 : 베이스 플레이트
42 : 전후방향 조절수단 42a : 전후방향 조절판
42b : 전후방향 스크류 42c : 전후방향 핸들
42d: 전후방향 위치표시판 43 : 좌우방향 조절수단
43a : 좌우방향 조절판 43b : 좌우방향 스크류
43c : 좌우방향 핸들 43d: 좌우방향 위치표시판
44: 스프링 45 : 밸런스 샤프트
51 : 회전축 51a : 축부
51b : 플랜지부 51c : 고정부
51d : 틸팅조절판 51e : 틸팅각도 눈금판
52 : 리브 플레이트 52a : 축공
52b : 지지부 52c : 틸팅판재
53 : 틸팅조절볼트 54 : 가이드 플레이트
54a : 제1판재 54b : 제2판재
54c : 제3판재 55 : 미끄럼판

Claims (25)

  1. 고준위 방사성 시료가 내장된 원통형상의 시료 수납용기를 이송하도록
    하면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대차;
    상기 대차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전후좌우 거동을 조절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조절수단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상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틸팅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이동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하면과, 그 상부에 시료 수납용기 등이 장착되어 있는 상면 및 X자형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시키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부는 상기 대차의 상면과 볼트에 의해 힌지고정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부는 일측이 볼트에 의해 상기 대차의 하면에 고정되나 타측은 상기 대 차의 하면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부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대의 양측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면서 상기 대차의 상면이 상승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대의 양측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상기 대차의 상면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대차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 발판이 마련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가압부에 연결된 가압레버와, 단부에 노브가 마련되어 상 기 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의 감압부에 연결된 감압봉과, 상기 노브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이동바퀴는 전면에 고정식으로 이루어지고, 후면에 회전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대차의 상면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후방향 조절수단과,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좌우방향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대차의 상면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대차의 상면에 체결되는 밸런스 샤프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양측에 쐐기 모양으로 돌출된 안내부를 따라 상기 대차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방향 조절판과,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의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관통공에 결합되는 전후방향 스크류와, 상기 전후방향 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전후방향 핸들과, 상기 핸들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의 이동거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상기 핸들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전후방향 위치표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조절수단은 상기 전후방향 조절판의 상부면 양측에 쐐기 모양으로 돌출된 안내부를 따라 상기 대차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방향 조절판 과, 상기 좌우방향 조절판의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관통공에 결합되는 좌우방향 스크류와, 상기 좌우방향 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좌우방향 핸들과, 상기 핸들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좌우방향 조절판의 이동거리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상기 핸들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좌우방향 위치표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원통부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와 함께 틸팅하는 회전축과, 상부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축공이 관통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수단에 장착되는 리브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축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리브 플레이트의 양측에 체결된 틸팅조절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측에 돌출된 축부와, 상기 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축부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되'ㄷ'자 형상으로 되며 상기 축부의 반대편에 마련된 고정부와, 상기 플랜지부 및 고정부 하부에 일자 형상으로 돌출된 틸팅조절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플레이트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양측에 결합된 상기 회전축의 축부가 결합되도록 상부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 및 시료 수납용기를 지지하도록 삼각형 형상의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축공 하부 양측에는 볼트공이 형성된 틸팅판재가 결합되어 상기 틸팅조절볼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틸팅각도를 표시하도록 각도 눈금이 새겨진 틸팅각도 눈금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플레이트의 지지부 상단에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개폐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개폐도어를 안내 및 지지하며 상기 개폐도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 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일측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리브 플레이트의 지지부 상단에 볼트로 체결되는 장방형의 제1판재와, 상기 제1판재의 상단부에 직교하도록 체결되는 장방형의 제2판재와, 상기 제2판재보다 상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된 제3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재의 상부면에는 인청동 재질의 미끄럼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수납용기에 수납된 시료를 핫셀 내부로 반입하거나 핫셀 외부로 반출할 수 있는 시료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밀대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봉의 상부와 하부를 평면형상이 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밀대는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시료밀대투입구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제1시료밀대와, 상기 제1시료밀대의 일단과 볼트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시료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료밀대와 제2시료밀대는 무두볼트(set screw)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수납용기는 외부쉘과 내부쉘 사이에 납차폐체가 채워진 원통형상의 용기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고준위 방사성 시료가 수납된 바스켓이 내장되어 있 으며 그 외주면 양측에는 일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일측에 상기 시료 수납용기를 개폐시키는 차폐도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수납용기의 핫셀과의 접속면에는 다층으로 된 얇은 시트(sheet)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수납용기가 결합되는 핫셀 접속면에는 120도 간격으로 클램프가 장착되어 상기 시료 수납용기와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KR1020080001816A 2008-01-07 2008-01-07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KR10094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816A KR100946316B1 (ko) 2008-01-07 2008-01-07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816A KR100946316B1 (ko) 2008-01-07 2008-01-07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071A KR20090076071A (ko) 2009-07-13
KR100946316B1 true KR100946316B1 (ko) 2010-03-08

Family

ID=4133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816A KR100946316B1 (ko) 2008-01-07 2008-01-07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4388B4 (de) * 2009-11-24 2012-05-24 ITM Isotopen Technologien München AG Applikator zum Auftragen einer radioaktiven Schicht auf ein biologisches Gewebe
KR101249905B1 (ko) * 2011-11-07 2013-04-03 한국원자력연구원 핫셀 간 이송 장치
KR101341290B1 (ko) * 2012-06-25 2013-12-12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능 물질 운반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9797A (en) 1989-11-09 1991-10-22 Cogema - Compagnie Generale Des Matieres Nucleaires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ose rate in a transportation flask containing radioactive waste
KR200404987Y1 (ko) 2005-10-19 2006-01-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프로젝터 설치용 스테이지
JP2006175961A (ja) 2004-12-21 2006-07-06 Denso Facilities Corp 円筒状重量物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9797A (en) 1989-11-09 1991-10-22 Cogema - Compagnie Generale Des Matieres Nucleaires Apparatus for measuring the dose rate in a transportation flask containing radioactive waste
JP2006175961A (ja) 2004-12-21 2006-07-06 Denso Facilities Corp 円筒状重量物支持装置
KR200404987Y1 (ko) 2005-10-19 2006-01-1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프로젝터 설치용 스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071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768A (en) Spent nuclear fuel (SNF) dry transfer system
KR100946316B1 (ko) 고방사성 시료 이송장치
US20170345520A1 (en) System for low profile translation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KR101249905B1 (ko) 핫셀 간 이송 장치
US2012030617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low profile translation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containment structure
US20150228366A1 (en) Lift-based up-ender and methods using same to manipulate a shipping container containing unirradiated nuclear fuel
CN115631876A (zh) 一种屏蔽、转移装置及运输车
EP2461331B1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fuel assembly
CN109411105B (zh) 一种放射性样品屏蔽转移装置及使用方法和配套屏蔽容器
JP4177987B2 (ja) 原子炉容器の取扱方法
KR102094839B1 (ko) 방사선 투과 검사용 방사선 차폐 장치
JP6125343B2 (ja) 放射性物質収納容器移送方法、放射性物質収納容器吊装置および放射性物質収納容器
US4664872A (en) Device for disposing of elongated core instrumentation probes from nuclear reactors
JPH0792518B2 (ja) セル壁ポートからの物品の搬出入装置および搬出入方法
CN212364841U (zh) 一种应用于bnct靶体更换的遥控维护系统
JPH0140319B2 (ko)
JP5238412B2 (ja) X線キャリブレーション用ファントム及びx線ct装置
JP7390262B2 (ja) 緩衝体および放射性物質収納容器並びに放射性物質収納容器の縦起こし方法
KR102351442B1 (ko) 중수로 사용후핵연료가 수용된 연료바스켓의 절단장치
JP2015161606A (ja) 放射性物質の処理装置及び方法
JP4812556B2 (ja) 放射性廃棄物搬送容器機構
KR100760273B1 (ko) 감마메트선원 어셈블리의 핀 체결장치
RU2741765C1 (ru) Способ характеризации графитовых блоков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22078597A (ja) 貯蔵架台、姿勢変更装置及び放射性物質収納容器の貯蔵方法
WO2024032357A1 (zh) 射线源机构及静态计算机断层扫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