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372B1 - 송신기 무선주파수 전력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신기 무선주파수 전력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372B1
KR100943372B1 KR1020047008238A KR20047008238A KR100943372B1 KR 100943372 B1 KR100943372 B1 KR 100943372B1 KR 1020047008238 A KR1020047008238 A KR 1020047008238A KR 20047008238 A KR20047008238 A KR 20047008238A KR 100943372 B1 KR100943372 B1 KR 100943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wer
multiplier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8251A (ko
Inventor
앤드류고던서머스
트래헌스튜어트레이너
Original Assignee
엠스타 세미콘덕터, 인코퍼레이티드
엠스타 세미콘덕터인크
엠스타 소프트웨어 알앤디 (센젠) 리미티드
엠스타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스타 세미콘덕터, 인코퍼레이티드, 엠스타 세미콘덕터인크, 엠스타 소프트웨어 알앤디 (센젠) 리미티드, 엠스타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엠스타 세미콘덕터,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5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03G3/3047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for intermittent signals, e.g. burst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Abstract

전력증폭기(21)로부터의 RF 출력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전자시스템은, 비교기(24)와 적분기(25)를 매개로 전력 증폭기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29)에 공급되는 DC 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출력전력을 그 자신에 곱하는 곱셈기(28)를 이용하여 실현된다.
제어신호와 출력전력간의 전달함수는 제어신호의 동적 변화 중에도 거의 선형적이다. 이 시스템은 넓은 동작범위에 대응 가능하고, 이 범위 전체에 걸쳐 일정한 제어루프 대역폭을 나타낸다. 고정 필터함수가 송신 버스트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레벨화된 출력전력의 넓은 동작범위에서의 TDMA 어플리케이션에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송신기 무선주파수 전력제어 시스템 {TRANSMITTER RF POWER CONTROL}
본 발명은 송신기에서의 무선주파수(RF) 전력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룰러 전화 핸드셋의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많은 무선 송신시스템은 송신하는 RF 전력의 정확한 제어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PA)로부터 표본화(sample)된 출력전력과 기준제어간의 차이가 PA 이득을 제어하는 에러신호를 도출하는 피드백 제어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허용가능한 한계범위 내에서 PA 출력전력을 유지하는 것보다 공급전압과 온도변화에 따라 정확한 전력측정을 실행하는 것이 훨씬 쉬운 일반적인 기술이다. 더욱이, 많은 무선 송신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에 있어서, 출력전력은 어떤 동작범위 전체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다수의 전력레벨 중 하나로 정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TDMA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송신된 신호 버스트(burst)가 엄격한 전력대 시간 템플릿(template)을 고수하도록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PA에서의 가열효과 때문에, 이득 및/또는 효율 등의 PA 파라미터는 버스트를 통해 감소한다. 물론, 제어루프 대역폭과 전력출력능력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으면 피드백 제어시스템은 송신된 버스트를 자동적으로 레벨화(level: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많은 TDMA 시스템은 평균 버스트 전력으로 및 평균 버스트 전력으로부터 평탄하게 변화되어야 하는 핸드셋의 송신된 전력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전력 램프펄스에 의해 야기되는 인접한 채널간섭의 양을 줄이거나 또는 인접한 시간슬롯으로 송신되는 전력을 제한하기 위해 송신전력이 특정되어 있다.
이동통신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전력제어루프를 첨부도면 도 1에 나타낸다. 이러한 제어루프에 있어서는, 전력 증폭기(11)에 의해 출력되는 송신전력(Ptrans; 전압제어 오실레이터(10)로부터 안테나(16)로 공급되는 것임)은 결합기(coupler; 12)를 통해 표본화되고, 관련된 검출기 전압(Vdet)을 출력하는 검출기(13; 여기에서는 쇼트키 다이오드로 나타냄)에서 검출된 값은 후에 비교기(14)에서 제어가능한 기준전압(R)과 비교된다. 차분 신호는 적분기(15)에서 적분되고, 이 적분된 차분 신호(ΔS)는 피드백되어, 검출기 전압(Vtrans)이 기준전압(R)에 근접하도록 전력 증폭기(11)의 이득을 적절한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것은 대표적인 피드백 기술이고, 이에 따라 제어가능한 기준전압은 전력출력을 설정하며, 그 기준전압은 예컨대 TDMA 시스템 핸드셋에서 필요하게 되는 램프신호(ramp signal)에 영향을 미치도록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이오드 검출기의 전압(Vdet)은 송신된(입력된) 전력(Ptrans)에 대해 제곱관계를 갖고, 게다가 저전력레벨에서 쇼트키 다이오드의 지수특성은 응답을 억제한다.
제어기준에 대한 PA 출력전력 변화에 관하여, 도 1에 나타낸 회로의 전달함수는 검출기의 특성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전력 검출기의 실현은 일반적으로 쇼트키 다이오드(도시함)나 대수 증폭기 중 어느 한쪽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들 솔루션(solution: 해결책)은 비선형 전달함수를 제공하고, 또한 특히 쇼트키 다이오드 검출기의 경우에는 제한된 동작범위를 갖는다. 이것은 비선형으로 되는 그 제어입력에 대한 PA 전력설정과, 장비 제조업자의 제어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PA 전력설정을 초래한다. 전달함수 미분계수(구배)는 전력설정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쇼트키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실현에 있어서 검출기는 일반적으로 전체적인 구배 변화를 억제하여 루프 대역폭 변화를 암묵적으로 억제한다.
게다가, 전력설정에 따른 제어 루프 대역폭의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변화하는 동적응답을 초래한다. TDMA 시스템의 한 형태인 GSM(Global System Mobile) 시스템에 있어서는, 램프 프로파일은 이상적으로는 각각의 전력설정에 따라 일정해야 한다. 비선형 전달함수는 각각의 전력설정에서 고유의 램프 형상의 제공을 초래하고, 이것은 추가적인 메모리를 요구한다. 게다가, 이 시스템은 전력변화(예컨대, 온도나 교정에러에 기인함)뿐만 아니라 유닛-투-유닛(unit-to-unit) 검출기와 PA의 변화에 대해서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핸드셋 PA로부터의 RF 출력전력의 선형 제어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그리고 이것은 피드백 제어시스템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RF 오실레이터와, 전압제어 증폭기의 출력을 제1입력으로서 수신하고, 제어입력을 가지며, 안테나로 향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도출하기 위한 표본화 장치,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신호와 선형적으로 관련되는 출력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그 자신에 곱하는 곱셈기, 곱셈기의 선형 출력성분을 제1입력으로서 수신하고, 제어기준으로서의 가변제어입력과 출력을 가진 가변이득 증폭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을 기준과 비교해서 차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차 신호를 적분하여 전력 증폭기에 제어입력으로서 제공하는 적분기를 갖춘 RF 송신기 전력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예컨대, 루프 대역폭, 위상 여유도 등의 안정되고 예측가능한 전체 루프 전달함수를 제공하는 것을 촉진하는 방법은 루프 내에서 각각의 회로 블록에 대한 선형 전달함수를 정의하는 것이다. 제어루프 대역폭은 블록 전달함수의 미분계수(변화율)와 절대이득의 양쪽에 의해 좌우된다. 선형 전달함수는 일정한 미분계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특히 TDMA 이동통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몇몇의 이점이 얻어진다.
ㆍ표본화된 RF 신호를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 곱셈기의 이용은 송신된 RF 전압과 검출 전압간의 선형관계를 초래한다. 이것은, 쇼트키 다이오드 검출기나 대수 증폭기의 이용과 부딪치는 선형성 문제를 회피한다. 곱셈기 검출기의 동작범위는 단지 그 큰 신호처리와 DC 오프셋이나 저입력 신호전력에서의 열잡음에 의해 제한된다. 이 방법은, '다이렉트 변환 수신기'의 구조와 동일하고, 현존하는 검출기 솔루션보다 현저하게 넓은 동작범위를 포함한다. 게다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에서의 동작을 위해 스위칭을 짜넣거나 주파수 응답의 기울기를 보상해야 할 필요성을 제거하는 광대역 곱셈기 회로를 제조할 수 있다.
ㆍVGA와 결합된 고정 에러 검출 기준의 이용은 모든 인록(in-lock) RF 출력전력 설정에 대해 동일한 에러 기울기(dV(detected)/dV(transmitted))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것은, PA 제어특성이 선형이면 일정한 제어루프 대역폭을 초래한다. 실제로, 이것은 그러한 경우가 아니지만, 이전의 전형적인 실현에서의 제어루프 대역폭 변화의 주된 원인은 아니다.
ㆍ송신되는 RF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DC에서 동작하는 VGA를 이용함으로써, RF 회로에서 전형적으로 겪는 온도와 전압변화에 의한 계층화된 출력 RF 전력 드리프트(drift)를 회피할 수 있다.
이들의 결과로서, 실제의 실현이 충분한 제어루프 대역폭과 동작범위를 가지면 그 시스템은 폐루프 전달함수와 같은 제어기준 필터를 갖춘 하기의 도 9에 나타낸 이상화된 회로와 기능적으로 같다. 버스트된 TDMA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이것은 송신된 RF 전압에 비례하는 높이를 갖고, 제어 기준 접속에서의 폐루프 전달함수나 부가적인 기본 필터링 함수에 의해 초래되는 고정된 필터링 함수에 의해 펄스정형(pulse shaping)이 실현되는 장방형파를 이용하여, 송신된 RF신호의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제의 이동 핸드셋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이것은 소정의 송신 RF 전력으로 동일한 램프 형상을 달성하기 위해 단일의 램프 형상을 스케일링 증배인자(scaling multiplication factor)와 함께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것은 다른 램프 형상을 이용하거나 복수의 동작 주파수대 사이에서 소정의 감도 절환을 통합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안된 바와 같은 전자회로는 집적회로로서, 또는 다른 적당한 컴포넌트에 의해 매우 높은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전력 증폭을 위해 실현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물론 비TDMA 어플리케이션(non-TDMA applicarion: TDMA 이외의 응용)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 전력 제어루프의 일례는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이동통신에 이용되는 전형적인 전력제어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제어루프의 블록도,
도 3은 제어루프에 이용되는 이상화된 곱셈회로의 상세도,
도 4는 4상한 곱셈을 제공하는 종래의 길버트 셀 타입 혼합기의 회로도,
도 5는 전형적인 4상한 곱셈기의 회로도,
도 6은 도 2와 동일하지만, 신호형상이 아래의 본문에 설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회로도,
도 7은 전형적인 TDMA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어루프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검출기의 국부 오실레이터로서의 전력 증폭기로의 입력에서 RF 오실레이터의 이용을 허용하는 회로도,
도 9는 이상화된 제어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회로에 있어서, 도 1의 컴포넌트와 같은 컴포넌트는 도 1의 참조부호에 10을 가산하여 나타내고 있다. 송신된 신호(Ptrans)는 전형적으로 마이크로스트립을 기초로 한 방향성 결합기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결합기(22)에 의해 표본화되고, 그 후 혼합회로나 곱셈기(28)에서 그 자체에 곱해지며(제곱되며), 곱하는 입력은 RF 제한 증폭기(27)에 의해 표본화 출력으로부터 도출된다. 이 프로세스는 차성분이 표본화된 RF 전압 파형(Ptrans)의 전파정류에 상당하는 DC 전압인 합과 차 주파수 성분의 생성을 초래한다. DC 성분은, 제어기준 입력(Vcontrol)과, 비교기(24) 및 적분기(25)를 매개로 전력 증폭기의 제어입력에 공급되는 출력을 갖는 가변 이득 증폭기(29)에 공급된다.
일례로서, 혼합회로(28)의 출력은 2개의 입력의 곱이다.
Figure 112004022938013-pct00001
cos(a+b)와 cos(a-b)에 대한 삼각함수의 항등식은 주파수 항(ωt)의 합과 차로 상기 곱셈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Figure 112004022938013-pct00002
따라서, 곱셈기 출력은 2배의 입력 주파수 성분과 DC 성분(cos(0) =1)을 갖는다. 2배로 된 주파수 항은 적당한 필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상화된 혼합회로나 곱셈기(28)를 나타내는 도 3은, 입력 중 하나가 제한 증폭기(27)로부터의 출력이기 때문에 PA 출력전력과 독립하고 있는 진폭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DC 성분을 다음과 같이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4022938013-pct00003
이와 같이 해서, 곱셈기 출력은 PA의 출력전력(Ptrans)에 정비례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즉, 전력 검출회로는 선형 전달함수를 갖는다.
비록 RF 출력신호가 각도 변조되어 있다고 해도, 이 분석은 항상 유지된다. 단지 진폭 변조만이 DC로 전송된다.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 집적회로)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곱셈기 소자는 4상한 곱셈을 제공하는 종래의 길버트 셀 타입 혼합기로 실현해도 좋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일반적인 길버트 셀을 도 4에 나타낸다. 선형 차동 RF 전압은 RFA와 RFB에 인가된다. 차동 국부 오실레이터 전압은 LOA와 LOB에 인가된다. 국부 오실레이터의 사인파(정현파)가 포지티브로부터 네거티브로 스윙함에 따라, Q3/Q5와 Q4/Q6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차동증폭기는 전류를 Q1과 Q2로부터 R1이나 R2 중 어느 하나로 향하게 한다. 이것은 국부 오실레이터 주파수와 같은 레이트로 R1과 R2에서 차동적으로 나타나는 RF전압의 위상을 반대로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것은 시간영역에서의 곱셈에 상당하기 때문에, IFA와 IFB에서 차동적으로 나타나는 합과 차의 주파수의 곱을 초래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VGA(29)를 위치시킴으로써, (즉, 종래의 쇼트키 다이오드로 공급되는 RF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VGA를 이용하는) 변형의 도입에 의한 경우보다 회로 복잡도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DC에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혼합 검출기(27, 28)가 종래기술의 다이오드 검출기와 같은 결점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행해질 수 있고, 광범위한 전력레벨에 걸쳐 명확한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VGA 제어 기준(Vcontrol)은 출력전력을 설정하고, 또한 TDMA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요망되는 전력 램프 프로파일을 만드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비교기 기준이 출력전력과 램프 프로파일을 결정하는 전형적인 전력제어루프로부터의 이탈이다. VGA 이득은 전력레벨을 유효하게 설정하고, 송신된 출력전력(Ptrans)은 VGA 이득에 비례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형적인 4상한 곱셈기는 VGA 함수를 실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1968년 12월에 발행된 비. 길버트의 "A precise Four-Quadrant Multiplier with Subnanosecond Response",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VOL SC-3, No.4를 참조. 길버트 셀과의 주요한 차이는 국부 오실레이터 입력이 선형화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입력전압의 곱에 비례하는 출력전류(IO)를 생성한다. 다음의 방정식을 참조하라.
Figure 112004022938013-pct00004
이 예에 있어서, 검출기 출력은 Y입력과 교차하여 접속되고, 전력제어 기준은 X입력과 교차하여 접속된다.
비교기와 적분기의 실현은 그것들의 설계가 종래기술에서 이용되는 것들과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이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전형적인 TDMA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루프의 동작은 도 7에 나타낸 3개의 다른 시간간격으로 분류된다.
ㆍ초기화 후의 전력의 램프 모양 변화
ㆍ램프 업(ramp up: 램프 모양 상승)으로부터 안정상태(레벨화된 전력)로의 천이
ㆍ램프 다운(ramp down: 램프 모양 하강)
도 7에 참조된 루프 관측점(A∼F)은 도 2와 거의 동일한 도 6에 나타냈지만, 관측점(A∼F)을 원하는 위치에 나타내기 위해 참조번호를 깨끗하게 제거했다.
초기화 후의 전력의 램프 모양 변화는 회로 내에 다음의 태양을 포함한다.
1. PA 출력은 초기에 제로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검출기 출력전압은 제로이다.
2. 출력전력을 설정하기 위해 전압을 인가한다(A).
3. VGA가 검출기 출력을 반전시키고 증폭시킨다(B). 이 반전은 비교기 입력이 올바르게 감지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4. 네거티브 VGA 신호가 비교기 기준보다 작기 때문에, 비교기의 출력은 포지티브이다(C).
5. 비교기 출력은 적분되고, 얻어진 출력은 램프 신호(스텝 입력의 적분값) 이다(D). 이것이 PA에 대한 제어신호이다.
6. 제어핀의 전압은 PA의 출력전력을 증가시킨다(E).
7. PA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검출기 출력은 증가한다(F).
램프 업(ramp up: 램프 모양 상승)으로부터 안정상태로의 천이는 다음의 태양을 갖는다.
1. (B)에서의 신호는 기준전압과 같아질 때까지 증가한다. 따라서, 비교기의 출력(C)은 제로로 된다.
2. 적분기에 제로가 입력되면 램프 신호(D)가 종결된다.
3. 따라서, PA의 출력전력(E)은 일정하다.
4. 그리고 나서 루프가 클로우즈된다.
어떤 잔류 안정상태 에러는 개방루프 이득에 의해 판정된다. 루프이득이 높으면 에러는 작아질 것이다.
램프 다운(ramp down: 램프 모양 하강) 프로세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1. 전력 설정 기준의 전압이 감소된다(A).
2. 이것은 VGA 출력이 포지티브로 되게 한다(B)(반전이 생김).
3. 비교기의 출력은 네거티브로 된다(C).
4. 이 네거티브 전압은 적분기가 램프 다운되게 한다(D).
5. PA 출력에서의 RF 전력이 교대로 감소한다(E).
6. RF 전력이 감소함에 따라, 검출기로부터의 출력도 감소한다(F).
적당한 제어루프 대역폭이 존재하면, 제어루프는 램프 업 및 램프 다운 프로세스에 적용된 소정의 프로파일에 따를 것이다.
제어루프의 전력검출부의 가장 간단한 실현을 도 2에 나타냈다. 제한 증폭기(27)가 원하는 동작범위 전체에 걸쳐 AM/PM 변환 자체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 하에, 이 실현은 어떠한 검출 전력변화도 회피한다. 실제로, 이러한 실현의 단점은, 제한 증폭기(27)가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서 작동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제한 증폭기의 이득이 검출할 필요가 있는 최소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큰 이득값은 RF 안정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기 수법에 대한 2가지 변형을 이제부터 설명한다.
첫번째 변형은, 표본화된 RF신호를 제곱하기 위해서 종래의 길버트 셀을 기초로 한 혼합기보다는 오히려 아날로그 4상한 곱셈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선형 제어 전달함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얻어진 DC신호가 제곱근을 취하거나 또는 VGA 제어신호를 제곱해야 한다. 따라서, 높은 이득신호 제한을 회피하게 된다.
두번째 변형은, 검출기의 국부 오실레이터로서의 전력 증폭기(21)로의 입력에서 RF 오실레이터(20)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것은, 제한 증폭기 안정성이나 검출 감도(sensitivity)의 결핍과 관련된 문제를 완전히 제거하지만, 시스템이 전력 증폭기(21)에서의 AM/PM 변환에 의한 검출에러를 일으키기 쉬운 상태로 되게 한다. 그러나, 이 문제는 도 8에 나타낸 구조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 회로에 있어서, 송신된 신호의 직교 위상의 DC 성분은 송신 오실레이터로부터 도출되는 2개의 동일한 길버트 셀과 직교 국부 오실레이터에 의해 얻어진다. 순시 DC 성분은 송신된 신호의 데카르트 벡터 표현을 나타낸다. 전력 증폭기에서 소정의 AM/PM 변환은 벡터에 대해 위상편이를 야기시키지만, 벡터길이는 항상 송신전력에 비례한다. 벡터길이는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 계산된다.
아직도 잠재하고 있는 실용상의 단점이 있다.
ㆍ전력제어루프에 대한 부가적인 접속이 필요하다.
ㆍ안테나로의 불필요한 송신 오실레이터 누설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ㆍ제곱 및 제곱근의 기능은 아날로그 회로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이들 단점은 선형 전력응답을 제공하는 능력에 의해 보상되고도 남음이 있다.
전력제어루프의 감도의 향상은 자동적인 DC 오프셋 정정의 도입으로 달성될 수 있다.

Claims (9)

  1. RF 오실레이터와;
    상기 오실레이터의 출력을 제1입력으로서 수신하고, 제어입력을 가지며, 안테나로 향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도출하기 위한 표본화 장치;
    상기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신호와 선형적으로 관련되는 출력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상기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를 그 자신에 곱하는 곱셈기;
    상기 곱셈기의 선형 출력성분을 제1입력으로서 수신하고, 제어기준으로서의 가변제어입력과 출력을 가진 가변이득 증폭기;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을 기준과 비교해서 차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
    상기 차 신호를 적분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제어입력으로서 제공하는 적분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송신기 전력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실레이터가 전압제어 오실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송신기 전력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곱셈기가 아날로그 곱셈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송신기 전력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곱셈기가 길버트 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송신기 전력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곱셈기가 제한 증폭기 입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송신기 전력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오실레이터가 상기 곱셈기를 위해 국부 오실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송신기 전력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가 4상한 곱셈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송신기 전력제어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력제어 시스템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송신기.
  9. 제8항에 따른 RF 송신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전화 핸드셋.
KR1020047008238A 2001-11-28 2002-11-25 송신기 무선주파수 전력제어 시스템 KR100943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309974A EP1317064A1 (en) 2001-11-28 2001-11-28 Transmitter RF power control
EP01309974.2 2001-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251A KR20050058251A (ko) 2005-06-16
KR100943372B1 true KR100943372B1 (ko) 2010-02-18

Family

ID=818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238A KR100943372B1 (ko) 2001-11-28 2002-11-25 송신기 무선주파수 전력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27785B2 (ko)
EP (2) EP1317064A1 (ko)
JP (1) JP2005512384A (ko)
KR (1) KR100943372B1 (ko)
CN (1) CN100433550C (ko)
AU (1) AU2002349118A1 (ko)
WO (1) WO20030492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8114B2 (en) * 2003-05-21 2007-06-05 Harris Stratex Networks Operating Corporation Wide dynamic range power detection scheme
US7546098B2 (en) * 2003-05-29 2009-06-09 Analog Devices, Inc. Control system with selective open-loop operation
US7433658B1 (en) * 2003-09-30 2008-10-07 Marvell International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ue output power of a transmitter
DE60305505T2 (de) * 2003-10-23 2007-04-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Leistungssteuerungsschaltkreis für eine mobile Endgeräteanwendung
EP1508967A1 (en) * 2004-05-28 2005-02-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power amplifier module and a mobile terminal
WO2006010953A2 (en) 2004-07-30 2006-02-02 Andrew Richardson A local network node
US8503342B2 (en) 2004-07-30 2013-08-06 Airvana Llc Signal transmission method from a local network node
EP1782551B1 (en) 2004-07-30 2016-10-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Power control in a local network node (lnn)
JP2008509588A (ja) 2004-08-06 2008-03-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Rf電力検知回路
US7693491B2 (en) 2004-11-30 2010-04-0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er output power compensation
US20060205375A1 (en) * 2005-03-11 2006-09-14 Nokia Corporation Measurement circuit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level of an RF signal, and a transmitter including a measurement circuit
US7486941B2 (en) * 2005-04-04 2009-02-0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gain and phase compensations
JP4935003B2 (ja) * 2005-06-30 2012-05-23 アイコム株式会社 可変利得増幅器及び差動増幅器
US7787570B2 (en) * 2005-07-13 2010-08-31 Skyworks Solutions, Inc. Polar loop radio frequency (RF) transmitter having increased dynamic range amplitude control
WO2007016967A1 (en) * 2005-08-05 2007-02-1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Loop gain equalizer for rf power amplifier
EP1938461A4 (en) * 2005-09-27 2013-09-25 Intel Corp FREQUENCY RECYCLER WITH VARIABLE REINFORCEMENT
US8369906B2 (en) * 2006-03-31 2013-02-05 Silicon Laboratories Inc. Antenna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 in a communications device
US8229377B2 (en) 2006-03-31 2012-07-24 Silicon Laboratories Inc. Dual antenna communications device
US7747228B2 (en) 2006-03-31 2010-06-29 Silicon Laboratories, Inc. Tuning circuitry in a communications device
US7580498B2 (en) * 2006-05-18 2009-08-25 Via Technologies, Inc. Closed loop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changing the loop bandwidth
US7697903B2 (en) * 2006-12-06 2010-04-1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evel detector calibration for accurate transmit power control
US11036262B1 (en) 2008-01-14 2021-06-15 Micro Mobio Corporation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with adjacent channel leakage correction circuit
US9088258B2 (en) * 2008-01-14 2015-07-21 Micro Mobio Corporation RF power amplifier with linearity control
CN103493366B (zh) * 2011-04-25 2016-08-24 西铁城控股株式会社 模拟乘法电路、可变增益放大器、检波电路和物理量传感器
US8624657B2 (en) 2011-07-28 2014-01-07 Mediatek Singapore Pte. Ltd. Squaring circuit, integrated circui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therefor
US10938360B1 (en) 2011-10-26 2021-03-02 Micro Mobio Corporation Multimode multiband wireless device with broadband power amplifier
CN102931914A (zh) * 2012-11-06 2013-02-13 昆山北极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稳定波形发生电路
CN106685461B (zh) * 2017-02-10 2020-04-17 力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对讲终端
US11515617B1 (en) 2019-04-03 2022-11-29 Micro Mobio Corporation Radio frequency active antenna system in a package
JP2020198592A (ja) * 2019-06-05 2020-12-10 三菱電機特機システム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回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7261A (en) * 1997-09-05 1999-05-25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amplitude level
WO2001050632A1 (en) * 1999-12-30 2001-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haracteristic of a radio transmitt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4945A (en) * 1974-11-25 1976-03-16 General Atomic Company Noise generator system having amplitude control
US4484295A (en) * 1981-05-26 1984-11-20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varying the output of a waveform generator to gradually or rapidly vary a control signal from an initial value to a desired value
EP0298959B1 (en) 1986-04-03 1992-08-12 Motorola, Inc. Fm receiver with noise suppression during rayleigh faded received signals
US4683445A (en) * 1986-04-30 1987-07-28 Motorola Inc. Synchronization method for deriving a reference signal from a pilot frequency
US4795965A (en) * 1987-10-14 1989-01-03 Pratt & Whitney Canada Inc. Capacitance to voltage conversion circuit including a capacitive bridge and a capacitive offset
DE3917714A1 (de) * 1989-05-31 1990-12-06 Siemens Ag Multiplizierschaltung
US5054116A (en) * 1989-09-29 1991-10-01 Hewlett-Packard Company Feed-forward automatic level control circuit for a high-frequency source
US4999583A (en) * 1990-02-28 1991-03-12 Hughes Aircraft Company Amplifier drive controller
JPH04103207A (ja) * 1990-08-22 1992-04-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ニア変調波自動電力制御装置
GB9219825D0 (en) * 1992-09-18 1992-10-28 Philips Electronics Uk Ltd Power amplifier and a transmitter including the power amplifier
US5448770A (en) * 1993-04-05 1995-09-05 Motorola, Inc. Temperature-coefficient controlled radio frequency signal detecting circuitry
JP2951547B2 (ja) * 1994-10-03 1999-09-2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光波距離計および距離測定方法
US5488379A (en) * 1995-01-05 1996-01-30 Hughes Aircraft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antenna in a remote ground terminal
US5546050A (en) * 1995-03-14 1996-08-13 The Boeing Company Radio frequency bus leveling system
US5901347A (en) * 1996-01-17 1999-05-04 Motorola, Inc. Fast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zero 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s and radiotelephone using same
US5854593A (en) * 1996-07-26 1998-12-29 Prince Corporation Fast scan trainable transmitter
US6259682B1 (en) * 1997-11-25 2001-07-10 Uniden America Corporation Closed loop transmitter with improved stability and accuracy over a wide range of power levels having means for maintaining constant loop gain
US6493543B1 (en) * 1998-10-19 2002-12-10 Powerwave Technologies, Inc. Multichannel amplification system using mask detection
US6034604A (en) * 1999-01-14 2000-03-07 Kaltner; George Deactivation prevention for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s
US6801784B1 (en) * 2000-11-02 2004-10-05 Skyworks Solutions, Inc. Continuous closed-loop power control system including modulation injection in a wireless transceiver power amplif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7261A (en) * 1997-09-05 1999-05-25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ignal amplitude level
WO2001050632A1 (en) * 1999-12-30 2001-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characteristic of a radio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49118A1 (en) 2003-06-17
US20040266371A1 (en) 2004-12-30
EP1451936A2 (en) 2004-09-01
WO2003049299A2 (en) 2003-06-12
JP2005512384A (ja) 2005-04-28
WO2003049299A3 (en) 2004-03-25
EP1451936B1 (en) 2013-10-09
CN100433550C (zh) 2008-11-12
EP1317064A1 (en) 2003-06-04
CN1596505A (zh) 2005-03-16
US7027785B2 (en) 2006-04-11
KR20050058251A (ko) 2005-06-16
AU2002349118A8 (en) 200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372B1 (ko) 송신기 무선주파수 전력제어 시스템
US8879665B2 (en) Controlling a power amplifier based on transmitter output emissions
US75585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ransmitter for polar modulation and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DE602004013126T2 (de) Übertragungseinrichtung und einstellverfahren dafür
US7599448B2 (en) Multi-mode selectable modulation architecture calibration and power contro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US7756491B2 (en) Phase shifter
JP2001068941A (ja) 隣接および次隣接チャネル電力制御を行う電力増幅回路
US7260367B2 (en) Edge power detector/controller
US6745015B2 (en) Method for automatic carrier suppression tun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0489081A4 (en) Gain/phase compensation for linear amplifier feedback loop
TWI539741B (zh) 具有伺服控制迴路之對數均方功率檢測器
EP1026833A2 (en)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transmission unit with power control
US20050078768A1 (en) Adaptive phase controller, method of controlling a phase and transmitter employing the same
EP1235344B1 (en)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 transmitter
US4716579A (en) Phase corrector
US6930563B2 (en) Self-adjusting I-Q modulator system
WO2001056147A1 (en) Transmission feedback system
CN109150231A (zh) 一种本振泄漏校正装置和方法
JPH06152288A (ja) 電力制御装置
US20240056064A1 (en) Frequency matched sub-sample feedforward modulation in amplitute level control loop
US85598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power level control
JP2023145873A (ja) 無線伝送装置
US20120147994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radiofrequency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such a device
Asbeck et al. A polar linearisation system for RF power amplifiers
JPH05315875A (ja) 自動送信電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