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063B1 -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063B1
KR100943063B1 KR1020090081343A KR20090081343A KR100943063B1 KR 100943063 B1 KR100943063 B1 KR 100943063B1 KR 1020090081343 A KR1020090081343 A KR 1020090081343A KR 20090081343 A KR20090081343 A KR 20090081343A KR 100943063 B1 KR100943063 B1 KR 100943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oupling
order
concrete structure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본이엔씨
Priority to KR102009008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6Restraining of under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차도 등에 적용되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측벽과 외측벽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유간에 설치되며, 차수판과 채움부 및 결합부를 형성한 한쌍의 차수부재와, 상기 차수부재의 채움부에 채워지는 채움재와, 상기 차수부재에 형성된 결합부에 조립할 수 있는 조인트필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성요소가 조립이 용이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 및 운임에 따른 비용, 시공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결합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추가로 결합하는 방수재 및 보온재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수를 원천봉쇄할 수 있으며, 특히, 보온재에 의해 온도가 낮을 때에도 유수가 결빙되지 않아 파손율을 최소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수부재의 차수판에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영향을 받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결합플레이트의 내측 중앙에 접힘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신축작용을 하더라도 신축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신축이음, 방수, 보온

Description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Expasnion joint device for water-proof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하차도 등에 적용되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요소가 조립이 용이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 및 운임에 따른 비용, 시공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결합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추가로 결합하는 방수재 및 보온재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수를 원천봉쇄할 수 있으며, 특히, 보온재에 의해 온도가 낮을 때에도 유수가 결빙되지 않아 파손율을 최소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수부재의 차수판에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영향을 받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결합플레이트의 내측 중앙에 접힘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신축작용을 하더라도 신축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보도는 박스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고, 여러 구 간으로 나뉘어 시공된다. 즉, 정해진 길이만큼의 폭과 길이로 거푸집 설치후 콘크리트를 타설해 양생하는 것으로 한 구간이 시공되고, 그 다음 길이방향을 따라 계속 이어지는 식으로 계획된 길이 만큼 구간을 나누어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각 구간의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는 지수판으로 상호 연결되고, 공간부는 경질 완충제로 된 조인트 필터로 채워지며, 상기 조인트 필터 단부측은 수팽창 지수제로 밀봉되어 이음부를 통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상기 수팽창 지수제는 양측방의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물을 흡수하게 되면 자체 부피가 팽창하면서 그 틈새를 밀봉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 수팽창 지수제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점차 경화되기 시작하면서 그 기능, 즉 물을 흡수하면 팽창하면서 틈새를 밀봉시켜 수밀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이 상실됨으로써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이음부 측으로 침투하는 수분과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 그리고 이음부 간의 틈새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누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하여 한국특허등록 제0684209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내용을 살펴보면,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2차단판(101, 102)과 상기 제1,2차단판(101, 102)에 의해 공 간부(10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03)의 양단부측으로는 신축고무(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고무(104))의 양측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되 직각으로 절곡된 제2차수판(105)과, 상기 제1,2차단판(101, 102)의 측면부에 형성한 앵커볼트(106), 제1차수판(120) 및 다웰바(130)와, 제1,2차단판(101, 102) 상,하측으로는 내측면에 상기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한 제2차수판(105)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한 이음플랜지(1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는 제1차수판(120)에 의해 상,하,좌,우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이음플랜지(110)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2차수판(101, 102)의 측면부에 형성한 다웰바(13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간에 발생되는 부등침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200)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시공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C) 타설 후 양생시 제1, 2 차단판(101, 102)에 부착된 제1 차수판(120)이 부하에 의해 변형되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1, 2 차단판(101, 102) 사이의 공간(103)가 콘크리트 구조물(C)의 압축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요소를 더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시공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신축고무(104) 및 제2 차수판(105)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파손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가 낮아지는 겨울철에는 유입수가 결빙되어 신축이음장치(200)의 파손 및 콘크리트 구조물(C)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는 내측벽과 외측벽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형성된 유간에 설치되며, 차수판과 채움부 및 결합부를 형성한 한쌍의 차수부재와, 상기 차수부재의 채움부에 채워지는 채움재와, 상기 차수부재에 형성된 결합부에 조립할 수 있는 조인 트필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에 형성된 차수부재의 결합부와 조인트필러는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에 형성된 차수부재의 결합부와 조인트필러에는 접착부재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차수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내,외측면에는 방수재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에 형성된 차수부재에는 이음플랜지 및 앵커볼트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에 형성된 차수부재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차수부재에 형성된 방수재의 상측으로 보온재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에 형성된 방수재와 보온재는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에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에 형성된 방수재의 상측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온재의 상측으로는 결합볼트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양 측면으로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플레이트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에 형성된 결합플레이트는 내측 중앙으로 접 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결합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홈 중 어느 한 방향의 체결홈은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은 (a)차수부재의 채움부에 채움재를 채우고, 한쌍의 차수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 조인트필러의 양 끝단을 조립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부재에 결합하는 단계와; (b)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측면을 연마수단을 이용해 정리하고 접착부재인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c)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측면에 형성한 프라이머에 방수재를 결합하는 단계와; (d)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측면 중 내측면에 결합한 방수재의 상측으로 보온재를 결합하는 단계와; (e)상기 (d)단계에서 결합한 보온재의 상측으로 접힘부를 내측 중앙에 형성한 결합플레이트를 결합볼트를 이용해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의 (d)단계에서 방수재와 보온재의 결합은 접착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은 구성요소가 조립이 용이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 및 운임에 따른 비용, 시공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결합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추가로 결합하는 방수재 및 보온재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수를 원천봉쇄할 수 있으며, 특히, 보온재에 의해 온도가 낮을 때에도 유수가 결빙되지 않아 파손율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차수부재의 차수판에 결합하는 결합플레이트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영향을 받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결합플레이트의 내측 중앙에 접힘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신축작용을 하더라도 신축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차수부재(10)는 내측면(IC) 및 외측면(OC)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C)들 사이에 형성되며, 일정 각도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는 차수판(11)과 채움부(12) 및 결합부(1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일측으로는 이음플랜지(14)가 형성되고, 상기 이음플랜지(14)와 직각되는 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매립되는 다수의 앵커볼트(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채움재(20)는 상기 차수부재(10)의 채움부(12)에 채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신축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면서 방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 성력이 있는 경질의 고무재질로 구성된다.
한편, 조인트필러(30)는 상기 차수부재(10)에 형성된 결합부(12)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한쌍의 차수부재(10)의 연결 및 방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특히, 압축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경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인트필러(30)는 차수부재(10)의 결합부(12)에 결합시 억지끼워맞춤을 통해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접착부재(B)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방수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차수부재(10)에 형성되어 있는 차수판(10)의 상측으로 방수재(40)를 더 구비하여 프라이머와 같은 접착부재(B)를 이용해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방수재(40)는 탄성력 및 방수기능을 위해 경질의 고무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수재(40)를 구비한 차수부재(10) 중 콘크리크 구조물(C)의 내측벽(IC)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재(40)의 상측으로는 보온재(50)를 더 형성하여,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유수가 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외측면(OC)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재(40) 및 상기 보온재(50)의 상측으로 결합볼트(61)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 체결홈(63)을 내측 양 측면에 형성한 결합플레이트(60)를 형성하여 방수재(40) 및 보온재(50)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방수재(40)와 보온재(50)는 견고한 접착력을 위해 접착부재(B)를 이용해 결합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수부재(10)의 채움부(12)에 경질의 탄성채인 고무재질의 채움재(20)를 채우고, 한쌍의 차수부재(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13)에 조인트필러(30)의 양 끝단을 조립해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부재(C)에 결합한다.(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은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이 조립체의 결합을 완료한 상태에서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차수부재(10)의 결합부(13)와 조인트필러(30)의 결합은 억지끼워맞춤을 통해 결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운임시 각각의 유니트들을 분리한 상태로 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량의 제품을 운송하여 운임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며, 특히, 상기 차수부재(10)의 결합부(13)와 조인트필러(30) 사이에 접착부재(B)를 더 형성함으로써, 차수부재(10)와 조인트필러(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그런 후, (b)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내,외측면(IC, OC)을 그라인더와 같 은 통상의 연마수단을 이용해 면정리를 한 상태에서, 접착부재(B)인 프라이머를 도포(b단계)하고, 상기 접착부재(B)에 방수재(40)를 결합한다.(c단계)
여기서, 상기 방수재(30)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서 발생하는 신축작용에 대응이 가능하면서 방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경질의 고무재질로 형성하되, 콘크리트 구좀루(C)의 내측이 아닌 외측에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수재(40)를 도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구조물(C) 중 내측면(IC)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재(40)의 상측으로 보온재(50)를 결합한다.(d단계)
상기 보온재(50)는 쉽게 구할 수 있는 부직포나 유리섬유, 스폰지 형태 등 보온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관하며, 상기 방수재(40)와 보온재(50) 사이에는 보온재(50)의 접착성을 위해 접착부재(B)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상기 보온재(50)의 상측으로 결합플레이트(60)를 결합하여 시공을 완료한다.(e단계)
상기 결합플레이트(60)는 방수재(40) 및 보온재(50)를 접착부재(B)를 이용하여 결합하더라도 박리 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내측 중앙에 접힘부(62)를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의 신축작용시 이에 대응할 수 있게 구성하도록 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60)는 통상의 결합볼트(61)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C) 또는 차수부재(10)의 차수판(11)의 상측 등 다양한 위치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 및 시공비용,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방수를 위한 부재를 콘크리트 구조물(C) 외측에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C)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파손율 및 방수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을 명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부재와 채움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접착부재 C:콘크리트 구조물 IC:내측면 OC:외측면
10:차수부재 11:차수판 12:채움부 13:결합부 14:이음플랜지
15:앵커볼트
20:채움재 30:조인트필러 40:방수재 50:보온재
60:결합플레이트 61:결합볼트 62:접힘부
80:방수용 신축이음장치

Claims (14)

  1. 내측벽(IC)과 외측벽(OC)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콘크리트 구조물(C) 사이에 설치되며, 차수판(11)과 채움부(12) 및 결합부(13)를 형성한 한쌍의 차수부재(10)와, 상기 차수부재(10)의 채움부(12)에 채워지는 채움재(20)와, 상기 차수부재(10)에 형성된 결합부(13)에 조립할 수 있는 조인트필러(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10)의 결합부(13)와 조인트필러(30)는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10)의 결합부(13)와 조인트필러(30)에는 접착부재(B)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10)에는 이음플랜지(14) 및 앵커볼트(15)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10)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C) 내,외측면(IC, OC)에는 방수재(40)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10) 중 콘크리트 구조물(C)의 내측면(IC)에 형성되어 있는 차수부재(10)에 형성된 방수재(40)의 상측으로 보온재(50)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40)와 보온재(50)는 접착부재(B)를 통해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외측면(OC)에 형성된 방수재(40)의 상측 및 콘크리트 구조물(C)의 내측면(IC)에 형성되어 있는 보온재(50)의 상측으로는 결합볼트(61)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양 측면으로 체결홈(63)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플레이트(60)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플레이트(60)는 내측 중앙으로 접힘부(62)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10. 삭제
  11. (a)차수부재의 채움부에 채움재를 채우고, 한쌍의 차수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 조인트필러의 양 끝단을 조립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부재에 결합하는 단계;
    (b)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측면을 연마수단을 이용해 정리하고 접착부재인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c)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측면에 형성한 프라이머에 방수재를 결합하는 단계;
    (d)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외측면 중 내측면에 결합한 방수재의 상측으로 보온재를 결합하는 단계;
    (e)상기 (d)단계에서 결합한 보온재의 상측으로 접힘부를 내측 중앙에 형성한 결합플레이트를 결합볼트를 이용해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차수부재와 조인트필러는 억지끼워맞춤을 통해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차수부재와 조인트필러에는 접착부재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방수재와 보온재의 결합은 접착부재(B)를 이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방수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20090081343A 2009-08-31 2009-08-31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3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343A KR100943063B1 (ko) 2009-08-31 2009-08-31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343A KR100943063B1 (ko) 2009-08-31 2009-08-31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063B1 true KR100943063B1 (ko) 2010-02-17

Family

ID=4208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343A KR100943063B1 (ko) 2009-08-31 2009-08-31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13B1 (ko) * 2010-10-27 2013-02-21 우성건설 주식회사 신축이음의 방수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683A (ko) * 2002-03-26 2003-10-04 금초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장치 및 설치방법
KR100424982B1 (ko) 2001-10-17 2004-03-27 강명석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200394983Y1 (ko) 2005-06-28 2005-09-06 박순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 누수방지구조
KR100684209B1 (ko) 2006-10-02 2007-02-22 강명석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982B1 (ko) 2001-10-17 2004-03-27 강명석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20030077683A (ko) * 2002-03-26 2003-10-04 금초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장치 및 설치방법
KR200394983Y1 (ko) 2005-06-28 2005-09-06 박순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 누수방지구조
KR100684209B1 (ko) 2006-10-02 2007-02-22 강명석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13B1 (ko) * 2010-10-27 2013-02-21 우성건설 주식회사 신축이음의 방수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2318A (ko)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14025299A (ja) 函体継手部の止水構造
CN106638290B (zh) 一种桥梁型钢伸缩缝的嵌缝装置
KR100943063B1 (ko)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8420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JP2019516889A (ja) 建築部材間の隙間をシールするためのシールテープおよびこのシールテープ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202372B1 (ko) 파형강판용 수밀결합구
KR101195774B1 (ko) 교량용 또는 지하차보도용 신축 이음장치
JP2008045333A (ja) 止水材及び弾性継手の止水構造
KR20150039970A (ko) 교량의 연장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판넬 결합구조
JP4646137B2 (ja) 遊間用止水材および橋梁伸縮装置
KR101734105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봉함재 설치 공법 및 그 구조
KR101385991B1 (ko) 신축이음장치용 신축성 마감부재 유닛, 그 마감부재 유닛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그 신축이음장치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20150007201A (ko) 중앙에 주름부를 갖는 지수판
KR10099506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JP6295303B2 (ja) 函体継手部の止水構造
JP7373639B2 (ja) 布型枠
JP3789412B2 (ja) 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用の埋設継手及び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
JP7436420B2 (ja) 型枠材、止水構造および止水構造の施工方法
KR101532542B1 (ko) 신축이음장치의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JP4611883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継手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14044B1 (ko) 터널 관벽용 세그먼트
KR100403389B1 (ko) 수로 또는 구조물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일체식신축이음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로 또는 구조물의 연속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