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982B1 -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982B1
KR100424982B1 KR10-2001-0064052A KR20010064052A KR100424982B1 KR 100424982 B1 KR100424982 B1 KR 100424982B1 KR 20010064052 A KR20010064052 A KR 20010064052A KR 100424982 B1 KR100424982 B1 KR 10042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plate
concrete structure
block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768A (ko
Inventor
강명석
고삼석
Original Assignee
강명석
고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석, 고삼석 filed Critical 강명석
Priority to KR10-2001-006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9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9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E01C11/106Joints with only prefabricated packing; Pack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2Packing of metal and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 E01C11/126Joints with only metal and prefabricated packing or f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4Dowel assembly ; Design or construction of reinforcements in the area of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이음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수평창 지수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틈새의 수밀 기능을 갖도록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동일 형상의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이 구비되어 본체(1)를 구성하고, 상기 제1차단판(11)과 제2차단판(12) 사이에는 조인트 필터(14)가 채워지는 충진공간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부(13)의 양단부측은 신축고무(15)로 밀봉되고, 제1차단판(11)과 제2차단판(12)의 측면부에 다수의 앵커볼트(16)가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이음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창 지수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틈새의 수밀 기능을 가짐으로써 기존에 상기 수평창 지수제를 사용함에 따른 누수현상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The joint device of concrete structure for underground road and side way}
본 발명은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차보도의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이음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수평창 지수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틈새의 수밀 기능을 갖도록 하고,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이음부 측으로 침투하는 수분과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 그리고 이음장치 간의 틈새로 침투하는 수분을 모두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밀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보도는 박스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고,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시공된다. 즉, 정해진 길이만큼의 폭과 길이로 거푸집 설치후 콘크리트를 타설해 양생하는 것으로 한 구간이 시공되고, 그 다음 길이방향을 따라 계속 이어지는 식으로 계획된 길이 만큼 구간을 나누어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각 구간의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는 지수판으로 상호 연결되고, 공간부는 경질 완충제로 된 조인트 필터로 채워지며, 상기 조인트 필터 단부측은 수팽창 지수제로 밀봉되어 이음부를 통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상기 수팽창 지수제는 양측방의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물을 흡수하게 되면 자체 부피가 팽창하면서 그 틈새를 밀봉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 수팽창 지수제는 1년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점차 경화되기 시작하면서 그 기능, 즉 물을 흡수하면 팽창하면서 틈새를 밀봉시켜 수밀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이 상실됨으로써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이음부 측으로 침투하는 수분과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 그리고 이음부 간의 틈새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누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이음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수평창 지수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틈새의 수밀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평창 지수제 사용에 따른 누수현상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차수판을 이음부의 중간부와 각 단부측에 형성하고, 이음장치 간에는 실링에 의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이음부 측으로 침투하는 수분과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 그리고 이음장치 간의 틈새로 침투하는 수분을 모두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밀의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동일 형상의 제1차단판 및 제2차단판이 구비되어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 사이에는 조인트 필터가 채워지는 충진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부의 양단부측은 신축고무로 밀봉되고, 제1차단판과 제2차단판의 측면부에 다수의 앵커볼트가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차단판 및 제2차단판은, 각 측면부 중간부 전.후방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제1차수판A 및 제2차수판B가 평행하게 제1차단판 및 제2차단판에 대해서 직교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차수판A 및 제2차수판B의 각 단부측에는 내측 방향의 절곡부A 및 절곡부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차수판A 및 제2차수판B는, 일측 실리콘, 타측 용접부에 의해서 제1차단판 및 제2차단판에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차단판 및 제2차단판은, 단부측 양측방으로 제2차수판을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2차수판의 단부측에는 내향 절곡된 절곡부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차수판은, 제1차단판 및 제2차단판보다 높게 형성하여 그 높이차로 고정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차단판 및 제2차단판은, 측면 상부 전.후방측에 각각 수평방향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는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C"부분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링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본체
11,12:제1,2차단판 11A,11B:지지턱
13:충진공간부 14:조인트 필터
15:신축고무 16:앵커볼트
17,18:제1,2차수판A,B 17A,17A:절곡부A,B
19:실리콘 20:용접부
21:제2차수판 21A:절곡부C
22:플랜지 22A:체결공
23:실링 23A:삽입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호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입설된 한 쌍의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에 의해서 본체(1)가 구성되고, 이들 사이의 공간부에 의해서 조인트 필터(미도시됨)가 채워지는 충진공간부(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단부측, 즉 충진공간부(13)의 양측은 기밀을 위해 신축고무(15)로 밀봉되고,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 각각의 일측면 상에는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이음을 위해 다수의 앵커볼트(16)가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볼트(16)로 상호 연결된 양측방의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누수되는 물이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측벽부 전.후방측에는 제1차수판A(17)와 제1차수판B(18)가 양측방으로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과 직교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차수판A(17) 및 제2차수판(21)의 각 단부측에는 측방의 수분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절곡부A(17A) 및 절곡부B(18A)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함께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양단부 측에는 외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각각 제2차수판(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차수판(21)의 단부측에는 측방의 수분침투 차단을 위해 절곡부C(21A)가 일체로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또다른 이음장치와의 연결을 위해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외측면 상부 전.후방측에 수평방향의 플랜지(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2)에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을 위해 수직방향으로 체결공(22A)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상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다수의 지지턱(11A)(12A)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이음장치 간의 연결시 상기 지지턱(11A)(12A)이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 간의 양측방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토록 구성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의 충진공간부(13)를 중심으로 이의 양측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 외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때 전.후방측에 거푸집이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에 의해서 이음부 측에는 거푸집이 설치되지 않는다.
이렇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면, 그 양생된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은 본체(1)의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양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앵커볼트(16)에 의해서 상호 연결 및 이음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이음이 이루어지면 제1차단판(11)과 제2차단판(12) 사이에 조인트 필터(14)가 채워지고, 이의 양측 제1차단판(11)과 제2차단판(12)의 단부측은 신축고무(15)로 밀봉됨으로써 일련의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양측에 형성되고 체결공(22A)이형성된 플랜지(22)는 본 발명의 이음장치 간의 연결시 사용되는 것으로, 이의 연결은 상기 체결공(22A)을 통한 볼트, 너트의 체결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양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는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의 단부측에 형성된 절곡부A(17A) 및 절곡부B(18A)는 제1차수판A(17) 및 제2차수판(21)의 측방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양단부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차수판(21)은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에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고, 상기 제2차수판(21)의 단부측에 형성된 절곡부C(21A)는 제2차수판(21)의 측방에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도 3은 도 2의 "C"부 확대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는, 일측은 용접부(20)에 의해서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에 고정되고 타측은 실리콘(19) 주사에 의해서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각 측벽부에 고정된다.
이는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에 대해서 접촉면적이 작고 길이가 긴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의 특수성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만약 양측 모두 용접을 행할 경우에는 고온의 열에 의해서 상기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의 휨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는 먼저, 실리콘(19)으로 일측을 주사하여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에 상기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를 고정시킨 후, 타측을 용접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7A는, 절곡부C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음장치를 다수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2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이는 먼저, 각각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을 플랜지(22)의 체결공(22A)이 서로 일치되게 대향 접촉시킨 다음, 상기 체결공(22A)에 볼트(B)를 삽입하여 너트(N)를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판(11)과 제2차단판(12) 사이의 충진공간부(1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인트 필터(14)가 채워지고,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양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앵커볼트(16)에 의해서 상호 이음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차수판(21)은 외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고, 상기 제2차수판(21)의 단부측에 형성된 절곡부C(21A)는 콘크리트 구조물 측방에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링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음장치를 다수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들 사이에 실링(23)이 개재되어 상호 간의 기밀 유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링(23)은 밀폐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하로 삽입홈(23A)이 대칭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실링(23)의 삽입홈(23A)에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의 각 단부측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차수판(21)의 단부측에 형성된 절곡부C(21A)는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 측방에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을 하는 작용을 하고, 상기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에 형성된 앵커볼트(16)에 의해서 상호 간의 이음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앵커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이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수평창 지수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틈새의 수밀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상기 수평창 지수제를 사용함에 따른 누수현상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차수판을 이음부의 중간부와 각 단부측에 형성하고, 이음장치 간에는 실링에 의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이음부 측으로 침투하는 수분과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 그리고 이음장치 간의 틈새로 침투하는 수분을 모두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이로인해 수밀의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인트 필터로 충진된 본체의 제1차단판 및 제2차단판의 사용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을 위한 이음부측의 거푸집 설치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시공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7)

  1.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동일 형상의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이 구비되어 본체(1)를 구성하고, 상기 제1차단판(11)과 제2차단판(12) 사이에는 조인트 필터(14)가 채워지는 충진공간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충진공간부(13)의 양단부측은 신축고무(15)로 밀봉되고, 제1차단판(11)과 제2차단판(12)의 측면부에 다수의 앵커볼트(16)가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은,
    각 측면부 중간부 전.후방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가 평행하게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에 대해서 직교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의 각 단부측에는 동일방향의 절곡부A(17A) 및 절곡부B(18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수판A(17) 및 제1차수판B(18)는,
    일측 실리콘(19), 타측 용접부(20)에 의해서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에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은,
    단부측 양측방으로 제2차수판(21)을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2차수판(21)의 단부측에는 내향 절곡된 절곡부C(21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은,
    상단부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다수의 지지턱(11A)(12A)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은,
    상단면을 따라 상.하로 삽입홈(23A)이 상호 대칭 형성된 실링(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11) 및 제2차단판(12)은,
    측면 상부 전.후방측에 각각 수평방향의 플랜지(22)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2)에는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공(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KR10-2001-0064052A 2001-10-17 2001-10-17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10042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052A KR100424982B1 (ko) 2001-10-17 2001-10-17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052A KR100424982B1 (ko) 2001-10-17 2001-10-17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323U Division KR200253768Y1 (ko) 2001-07-31 2001-07-31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768A KR20030012768A (ko) 2003-02-12
KR100424982B1 true KR100424982B1 (ko) 2004-03-27

Family

ID=2772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052A KR100424982B1 (ko) 2001-10-17 2001-10-17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9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09B1 (ko) 2006-10-02 2007-02-22 강명석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33086B1 (ko) 2007-01-22 2007-06-28 고삼석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100860107B1 (ko) * 2008-02-28 2008-09-25 주식회사 인본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3063B1 (ko) 2009-08-31 2010-02-17 주식회사 인본이엔씨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37B1 (ko) * 2014-02-17 2014-07-11 (주)드림이앤지 하중 지지용 신축이음장치
CN106436774A (zh) * 2016-12-02 2017-02-22 苏州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地下工程预留变形缝连接接口结构及其制作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209B1 (ko) 2006-10-02 2007-02-22 강명석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33086B1 (ko) 2007-01-22 2007-06-28 고삼석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100860107B1 (ko) * 2008-02-28 2008-09-25 주식회사 인본이엔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3063B1 (ko) 2009-08-31 2010-02-17 주식회사 인본이엔씨 방수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768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960B1 (ko) 꺽쇠 조인트로 결합되는 pc 암거 박스 및 이의 시공 방법
US4661008A (en) Joint structure for channels
RU2008114618A (ru) Блок опалубки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участка изоляционной стены, элемент блока опалубки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в грунте изоляционных стен
KR10068420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24982B1 (ko)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20190050389A (ko) 터널 방음벽의 루프용 방음패널 고정장치
KR101062223B1 (ko)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1604726B1 (ko)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CN214531602U (zh) 预制钢筋混凝土楼梯的拱形抗震连接节点
KR200253768Y1 (ko) 지하차보도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KR101863627B1 (ko) 방수성 및 배수성이 확보된 주열식 H형 PC벽체와 배수시스템이 적용된 JRS(Jointless ribbed slab system) 슬래브를 이용한 탑-다운(TOP-DOWN) PSC공법
KR101814902B1 (ko) 분절형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200377908Y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903210B1 (ko) 방음터널
KR100426992B1 (ko) 벽면패널 및 보강토구조
KR200157898Y1 (ko) 연결이음부가 형성된 조립식 피씨 암거
KR101816013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단부 직선시공방법 및 그 방수장치
KR101886708B1 (ko) 설치가 간편한 신축이음장치
KR20030053637A (ko) T형 보강재가 보강된 파형강판 구조물 및 그 보강방법
KR200167590Y1 (ko)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KR200167591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CN113431214B (zh) 一种建筑的伸缩缝结构
CN212506439U (zh) 一种采用组合式钢边橡胶止水带的防水结构
JP6571354B2 (ja) 嵩上げブロック
KR10073308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