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934B1 -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934B1
KR100942934B1 KR1020030034357A KR20030034357A KR100942934B1 KR 100942934 B1 KR100942934 B1 KR 100942934B1 KR 1020030034357 A KR1020030034357 A KR 1020030034357A KR 20030034357 A KR20030034357 A KR 20030034357A KR 100942934 B1 KR100942934 B1 KR 10094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heater core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759A (ko
Inventor
한성석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934B1/ko
Publication of KR2004010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92Damper doors moved by translation, e.g. curtain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 패널과 차실을 구획하는 인 패널 사이에 설치되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 중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순차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히터코어는 대쉬 패널 측에 위치된 공조케이스의 측벽과 인접하며,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벽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폭을 줄일 수 있어서 그 박형화가 가능하며,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구의 위치 설정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도 1은 종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0,210...공조케이스 110a,210a...공조케이스 바닥벽
110b,210b...공조케이스 측벽 111,211...공기유로
112...유입구 116...슬라이딩 도어
115,215...플로어 개구부 120...증발기
130...히터코어 213...하부통로
214...리어 푸트 개구부 P1...대쉬 패널
P2...인 패널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폭을 줄여 그 박형화가 가능하고,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의 배수홀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킨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차실 내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서, 그 목적에 따라 차실 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장치와, 차실 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냉방장치는 냉매가 증발기로 유입되어 통과하는 동안 냉매의 증발에 필요한 기화잠열을 증발기의 주위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흡수함으로써 냉기를 생산하며, 이렇게 생산된 냉기를 차실 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난방장치는 일반적으로 엔진을 냉각한 고온의 냉각수를 히터코어에 유도하고, 이 히터코어에 유도된 냉각수에 의해 히터코어의 주위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온기를 생산하며, 이렇게 생산된 온기를 차실 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이 공조케이스의 내부유로 중에 순차 배치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생산하는 냉방 및 난방용 열교환기를 구비한다.
도 1에는 종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 패널(dash panel;P1)과 차실을 구획하는 인 패널(in panel;P2)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블로어 유닛(미도시)에 의해 공기 유입구(12)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11)가 내부에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유로(11) 중에 순차 배치된 냉방 및 난방용 열교환기인 증발기(20) 및 히터코어(30)를 구비한다. 한편, 템프도어(16)는 회동하여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형성된 연결통로의 개폐를 조절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mode)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전환도어들의 개폐가 조절되며, 전환도어들의 개폐 조절에 따라 공조된 공기는 디프로스트 개구부(13), 벤트 개구부(14) 또는 플로어 개구부(15)로 취출되어 차실 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서는, 히터코어(3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개구부들(13,14,15) 쪽으로 송풍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코어(30)는 공조케이스(10)의 대략 중앙 부위에 위치되고 히터코어(30)의 후방에는 유동통로를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조케이스의 두께가 커져 차량의 실내쪽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최근 차실 내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박형화 된 공기조화장치를 요구하고 있는 차량 메이커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
또한, 히터코어(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라인이 만곡하게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저항이 증가한다.
더욱이,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의 위치가 증발기(20)와 히터코어(30) 사이에 대응하는 공조케이스(10)의 바닥으로 한정됨으로써, 상기 배수구의 위치 설정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가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폭을 줄임으로써 그 박형화가 가능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라인을 개선하여 유동 저항을 줄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더욱이,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홀의 위치 설정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킨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더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 패널과 차실을 구획하는 인 패널 사이에 설치되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 중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순차 배치되며, 디프로스트 개구부 및 벤트 개구부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히터코어는 상기 디프로스트 개구부에 대향되는 대쉬 패널 측에 위치한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벽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인접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히터코어에 인접하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벽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 기서, 상기 히터코어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10 도 내지 30 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통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구는 상기 인 패널 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증발기는 상기 히터코어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차실 내의 하반부로 토출될 공조공기가 유입되는 플로어 개구부는 상기 대쉬패널 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구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플로어 개구부와 연통된 하부통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통로는 뒷좌석의 하반부로 토출될 공조공기가 유입되는 리어 푸트 개구부와 연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 패널(P1)과 차실을 구획하는 인 패널(P2)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공기조화장치는, 유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유로(111)가 내부에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이 공조케이스(110)의 상기 공기유로(111) 중에 순차 배치된 증발기(120) 및 히터코어(130)를 구비한다. 상기 증발기(120) 또는 증발기(120) 및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공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대응하여 디프로스트 개구부(113), 벤트 개구부(114) 또는 플로어 개구부(115)로 취출된다. 한편,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30)의 사이에 설치된 템프도어(116)는 증발기(120)와 히터코어(130)의 사이에 형성된 연결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템프도어(1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를 사용함으로써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히터코어(130)는 대쉬 패널(P1) 측에 위치된 공조케이스의 측벽(110b)과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히터코어(130)가 인접하는 공조케이스의 측벽(110b)은 공조케이스의 바닥면(110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히터코어(130)는 그 설치 각도(θ)가 공조케이스의 측벽(110b)으로부터 내측으로 10 도 내지 30 도가 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히터코어(130)가 인접하는 공조케이스의 측벽(110b)이 공조케이스의 바닥면(110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설치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폭이 줄이면서, 히터코어(130)를 공조케이스의 측벽(110b)으로부터 내측으로 10 도 내지 30 도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히터코어(130)의 후방에는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개구부들(113,114,115) 쪽으로 통과하기 위한 공기유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120)는 히터코어(130)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함으로써,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로(111)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12)는 인 패널(P2) 측에 상기 증발기(120)와 인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공조케이스(110) 내부에서의 공간 이용 효율이 최적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증발기는 히터코어(130)와 공기 유입구(112) 사이에서 공조케이스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 라인이 만곡되지 않고도 개구부들(113,114,115) 쪽으로 연결됨으로써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
더욱이, 증발기(120)에서 응축된 응축수의 배수구(119)의 위치를 인 패널(P2)은 물론 대쉬 패널(P1)측에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배수구(119)의 위치 설정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210)에 있어서, 차실 내의 하반부로 토출될 공조공기가 유입되는 플로어 개구부(215)는 대쉬 패널(P1) 측에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로어 개구부(215)를 대쉬 패널(P1) 측에 형성함으로써, 온기는 플로어 개구부(215)로 취출하고 냉기는 디프로스터 개구부(113)로 취출하는 믹스 모드 등의 경우에 냉기와 온기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각 취출구로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히터코어(130)를 통과한 온기는 그 히터코어(130)와 인접하여 대쉬 패널(P1) 측에 형성된 플로어 개구부(215)로 취출되고, 히터코어(130)를 통과하지 않고 증발기(120)만을 통과한 냉기는 상기 온기와 섞이지 않고 디프로스트 개구부(113)로 취출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2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구(212)와 공조케이스(210)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플로어 개구부(215)와 연통된 하부통로(213)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로어 개구부(215)로 취출된 공조 공기 중 일부는 프런트 플로어 개구부(117)를 통해 앞좌석 상부에서 하반부로 토출되며, 상기 플로어 개구부(215)로 취출된 공조 공기 중 프런트 플로어(front floor) 개구부(117)로 취출되지 않은 나머지 공조 공기는 뒷좌석의 하반부로 토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통로(213)는 뒷좌석의 하반부로 토출될 공조공기가 유입되는 리어 푸트(rear foot) 개구부(214)와 연통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을 줄여 그 박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 메이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둘째,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라인을 개선하여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세째,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의 배수홀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엔진룸을 구획하는 대쉬 패널과 차실을 구획하는 인 패널 사이에 설치되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 중에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순차 배치되며, 디프로스트 개구부 및 벤트 개구부를 포함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코어는 상기 디프로스트 개구부에 대향되는 대쉬 패널 측에 위치한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벽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인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코어에 인접하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벽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코어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10 도 내지 30 도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구는 상기 인 패널 측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히터코어와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실 내의 하반부로 토출될 공조공기가 유입되는 플로어 개구부는 상기 대쉬패널 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구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플로어 개구부와 연통된 하부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로는 뒷좌석의 하반부로 토출될 공조공기가 유입되는 리어 푸트 개구부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20030034357A 2003-05-29 2003-05-29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0942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357A KR100942934B1 (ko) 2003-05-29 2003-05-29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357A KR100942934B1 (ko) 2003-05-29 2003-05-29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759A KR20040102759A (ko) 2004-12-08
KR100942934B1 true KR100942934B1 (ko) 2010-02-22

Family

ID=3737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357A KR100942934B1 (ko) 2003-05-29 2003-05-29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9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144A (ja) * 1993-12-21 1995-07-11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KR20020071173A (ko) * 2001-03-05 2002-09-1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144A (ja) * 1993-12-21 1995-07-11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KR20020071173A (ko) * 2001-03-05 2002-09-1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759A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744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US20050263277A1 (en) HVAC system controlled by a left-and-right independent process for use in an automobile
US7491119B2 (en)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651685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50120156A (ko)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
KR1019981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70158047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S61263822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20100030102A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0942934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172694B1 (ko) 자동차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KR20210094372A (ko) 블로어 유닛이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
JP357791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942933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484713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40102761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70048828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JP2007083774A (ja) 車両後席用空調装置
JPS60183218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070068569A (ko) 차량용 이층류 공조장치
KR10086973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
KR20070066029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KR2022010978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5063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