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803B1 -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803B1
KR100942803B1 KR1020080022194A KR20080022194A KR100942803B1 KR 100942803 B1 KR100942803 B1 KR 100942803B1 KR 1020080022194 A KR1020080022194 A KR 1020080022194A KR 20080022194 A KR20080022194 A KR 20080022194A KR 100942803 B1 KR100942803 B1 KR 10094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peed
pixels
odd
low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045A (ko
Inventor
서성하
안남규
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803B1/ko
Priority to US12/400,414 priority patent/US20090225195A1/en
Publication of KR2009009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4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 H04N25/441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partially reading an SSIS array by reading contiguous pixels from selected rows or columns of the array, e.g. interlaced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4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 H04N23/684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mage sensor readout, e.g. by controlling the integration time b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mages sequentially ta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2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using different resolutions or aspect ratios, e.g. switching between interlaced and non-interlace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3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using interline transf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04N5/145Movement esti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씨씨디(CCD) 또는 씨모스(CMOS)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에서, 저휘도 레벨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저조도(Low illuminance)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2 필드 주기 또는 3 필드 주기의 롱(Long) 셔터 스피드를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Odd)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Even)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으로 독출하여, 피사체의 움직임(Motion) 성분이 존재하는 밝은 피사체 영상이 촬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의 각 픽셀들에 의해 충전되는 전하량을 증가시켜, 피사체 영상을 밝게 촬영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롱 셔터 스피드로 인해 노출 시간이 길어지게 되더라도, 움직임(Motion) 성분이 존재하는 피사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80022194
씨씨디, 씨모스, 저조도 촬영 모드, 롱 셔터 스피드, 인터레이스 방식, 움직임 성분

Description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low illuminance of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씨씨디(CCD: 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에는, 씨씨디(CCD) 또는 씨모스(CMOS)와 같은 촬상 소자(Photographing Device)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에서는, 고휘도 레벨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되는 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아이리스(IRIS)의 오픈 량을 자동으로 감소시키거나, 상기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아날로그 게인(Gain) 값을 자동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는, 상기와 같이 아이리스 오픈 량과 아날로그 게인 값을 자동으로 감소시킨 상태에서도, 적정 휘도 레벨의 피사체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촬상 소자의 각 픽셀(Pixel)들에 의해 충전되는 전하(Charge) 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Shutter Speed)를, 쇼트(Short) 셔터 스피드로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에서는, 저휘도 레벨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촬상 소자에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아이리스(IRIS)의 오픈 량을 자동으로 증가시키거나, 상기 촬상 소자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아날로그 게인(Gain) 값을 자동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에서는, 상기와 같이 아이리스 오픈 량과 아날로그 게인 값을 자동으로 증가시킨 상태에서도, 적정 휘도 레벨의 피사체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촬상 소자의 각 픽셀(Pixel)들에 의해 충전되는 전하(Charge)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Shutter Speed)를, 롱(Long) 셔터 스피드로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에서는, 고휘도 레벨의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또는 저휘도 레벨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아이리스 오픈 량과, 아날로그 게인 값, 그리고 셔터 스피드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적정 레벨의 피사체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카메라에서는, 상기와 같이 저휘도 레벨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저조도(Low illuminance)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예를 들어 1 필드 주기의 셔 터 스피드를, 2 필드 주기 또는 3 필드 주기의 롱(Long) 셔터 스피드로 조절하기 때문에, 촬상 소자의 각 픽셀들에 의해 충전되는 전하량을 증가시켜, 피사체 영상을 밝게 촬영할 수 있게 되지만, 롱 셔터 스피드로 인해 노출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피사체의 움직임(Motion) 성분이 없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씨씨디(CCD) 또는 씨모스(CMOS)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에서, 저조도(Low illuminance) 촬영 모드시, 2 필드 주기 또는 3 필드 주기의 롱(Long) 셔터 스피드를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Odd)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Even)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으로 독출하여, 피사체의 움직임(Motion) 성분이 존재하는 밝은 피사체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기 위한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방법은,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되는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피사체 움직임 성분을 추정 및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독출하는 단계는,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2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독출하는 단계는,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독출하는 단계는,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2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롱 셔터 스피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피사체의 움직임 성분량에 따라, 2 필드 주기 또는 3 필드 주기로 가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는,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독출수단; 및 상기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되는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피사체 움직임 성분을 추정 및 보정하는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독출수단은,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2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독출수단은,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독출수단은,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2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롱 셔터 스피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피사체의 움직임 성분량에 따라, 2 필드 주기 또는 3 필드 주기로 가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씨씨디(CCD) 또는 씨모스(CMOS)의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에서, 저휘도 레벨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저조도(Low illuminance)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2 필드 주기 또는 3 필드 주기의 롱(Long) 셔터 스피드를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Odd)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Even)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으로 독출하여, 피사체의 움직임(Motion) 성분이 존재하는 밝은 피사체 영상이 촬영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촬상 소자의 각 픽셀들에 의해 충전되는 전하량을 증가시켜, 피사체 영상을 밝게 촬영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롱 셔터 스피드로 인해 노출 시간이 길어지게 되더라도, 움직임(Motion) 성분이 존재하는 피사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에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범용 씨씨디(CCD) 또는 씨모스(CMOS)의 촬상 소자가 구비된 감시용 카메라(Monitoring Camera)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카메라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카메라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 어, 상기 카메라에는, 줌 렌즈(10), 포커스 렌즈(11), 아이리스(12), 촬상 소자(13),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AFE: Analog Front End)(14), 디지털 신호 처리부(15), 드라이버(16), 타이밍 클럭 발생부(17), 저조도 검출부(18), 메모리(19), 그리고 마이컴(20) 등이 포함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촬상 소자(13)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수(Odd) 번째 라인의 픽셀들에 의해 충전된 전하(Charge)를 독출하기 위한 제1 시프트 레지스터(131)와, 짝수(Even) 번째 라인의 픽셀들에 의해 충전된 전하(Charge)를 독출하기 위한 제2 시프트 레지스터(132)가 포함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4)에는, 상기 제1 시프트 레지스터(131)를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1 자동 이득 조절기(140)와 제1 A/D 컨버터(141)가 포함 구성되며, 상기 제2 시프트 레지스터(132)를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 자동 이득 조절기(142)와 제2 A/D 컨버터(143)가 포함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5)에는, 상기 제1 A/D 컨버터(141)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디지털 게인(Digital Gain) 값을 적용하여 증폭한 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제1 디지털 게인 조절기(150)와 제1 메모리(151)가 포함 구성되고, 상기 제2 A/D 컨버터(143)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디지털 게인 값을 적용하여 증폭한 후 임시 저장하기 위한 제2 디지털 게인 조절기(152)와 제2 메모리(153)가 포함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5)에는, 상기 제1 메모리(151)와 제2 메모리(153)에 임시 저장된 각 이미지의 픽셀들 간에 움직임 성분을 추정 및 보정하기 위한 픽셀 모션 추정기(Pixel Motion Estimator)(154)가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저조도 검출부(18)에서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5)에 의해 신호 처리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저조도 촬영 상태 여부를 검출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저휘도 레벨의 피사체 촬영으로 인해, 아이리스 오픈 량을 증가시키고, 아날로그 게인 값을 증가시킨 상태에서도, 피사체 촬영 이미지의 평균 밝기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 되지 않으면, 셔터 스피드의 조절이 필요한 저조도 촬영 상태라고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20)에서는, 상기 저조도 검출부(18)에서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따라, 저조도 촬영 모드를 설정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저조도 검출부(18)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5) 또는 마이컴(20) 내에, 소프트웨어 등으로 포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20)에서는, 상기와 같이 저조도 촬영 모드를 설정하게 되면, 상기 타이밍 클럭 발생부(17)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드라이버(16)에 인가되는 타이밍 클럭 펄스(Timing Clock Pulse)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드라이버(16)에 의해 구동되는 촬상 소자(13)의 셔터 스피드(Shutter Speed)를, 1 필드 주기의 노멀(Normal) 셔터 스피드에서, 2 필드 또는 3 필드 주기의 롱(Long) 셔터 스피드로 가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20)에서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필드 주기의 롱(Long) 셔터 스피드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Odd)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Even)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으로 각각 독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되는 홀수(Odd) 번째 라인의 이미지는,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시프트 레지스터(131), 제1 자동 이득 조절기(140), 제1 A/D 컨버터(141), 제1 디지털 게인 조절기(150)를 거쳐, 제1 메모리(151)에 임시 저장되고, 상기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되는 짝수(Even) 번째 라인의 이미지는, 제2 시프트 레지스터(132), 제2 자동 이득 조절기(142), 제2 A/D 컨버터(143), 제2 디지털 게인 조절기(152)를 거쳐, 제2 메모리(153)에 임시 저장된다.
또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5)에 포함된 픽셀 모션 추정기(154)에서는, 상기 제1 메모리(151)와 제2 메모리(153)에 각각 임시 저장된 이미지들을, 서로 인접된 픽셀(Pixel) 단위로 비교하여, 피사체 움직임 성분을 추정 및 보정한 후, 상기 움직임 성분이 보정된 합성 프레임 이미지를 출력하는 일련의 움직임 보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카메라에서는, 저조도 촬영 모드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를 적용함으로써, 밝은 피사체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며, 또한,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에 대해 각각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노출 시간이 서로 공통되는 부분에서 피사체의 움직임 성분을 추정 및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20)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피사체 움직임 성분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 보다 적게 검출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를,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할 수도 있는 데, 이 경우, 2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를 적용할 때보다, 노출 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므로, 저휘도 레벨의 피사체 영상을 보다 밝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20)에서는,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를 적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요청 등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에 대해,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을 적용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에 대해, 2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카메라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카메라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방법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줌 렌즈 11 : 포커스 렌즈
12 : 아이리스 13 : 촬상 소자
14 :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15 : 디지털 신호 처리부
16 : 드라이버 17 : 타이밍 클럭 발생부
18 : 저조도 검출부 19 : 메모리
20 : 마이컴 131,132 : 시프트 레지스터
140,142 : 자동 이득 조절기 141,143 : A/D 컨버터
150,152 : 디지털 게인 조절기 151,153 : 메모리
154 : 픽셀 모션 추정기

Claims (11)

  1.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2 필드 주기 이상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단계;
    상기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되는 홀수 번째 라인과 짝수 번째 라인의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피사체 움직임 성분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성분이 감소하게 되면, 상기 2 필드 주기 이상의 롱 셔터 스피드를, 적어도 3 필드 주기 이상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하는 단계는,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2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하는 단계는,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하는 단계는,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2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방법.
  5. 삭제
  6.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2 필드 주기 이상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이미지과 짝수 번째 라인의 이미지를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독출수단; 및
    상기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되는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피사체 움직임 성분을 보정하는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독출수단은, 상기 추정된 피사체의 움직임 성분량이 감소하게 되면, 상기 2 필드 주기 이상의 롱 셔터 스피드를, 적어도 3 필드 주기 이상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은,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2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은,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1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수단은,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3 필드 주기의 롱 셔터 스피드로 가변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2 필드 간격의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10. 삭제
  11. 저조도 촬영 모드시, 촬상 소자의 셔터 스피드를, 롱 셔터 스피드로 적용하되, 상기 촬상 소자의 홀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짝수 번째 라인의 픽셀들을,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하는 단계;
    상기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독출되는 홀수 번째 라인과 짝수 번째 라인의 이미지들의 움직임 성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움직임 성분이 감소하는 경우, 노출 시간이 더 긴 셔터 스피드로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방법.
KR1020080022194A 2008-03-10 2008-03-10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94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94A KR100942803B1 (ko) 2008-03-10 2008-03-10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
US12/400,414 US20090225195A1 (en) 2008-03-10 2009-03-0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in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94A KR100942803B1 (ko) 2008-03-10 2008-03-10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045A KR20090097045A (ko) 2009-09-15
KR100942803B1 true KR100942803B1 (ko) 2010-02-18

Family

ID=4105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194A KR100942803B1 (ko) 2008-03-10 2008-03-10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225195A1 (ko)
KR (1) KR1009428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211A (ja) * 1992-02-28 1994-04-15 Sanyo Electric Co Ltd 動きベクトル検出回路
JPH1013731A (ja) 1996-06-21 1998-01-16 Canon Inc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画像振れ補正装置
JPH11110565A (ja) 1997-09-30 1999-04-23 Sharp Corp 動き検出装置
KR20070053536A (ko) * 2005-11-21 2007-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느린 셔터 속도에서 선명한 영상 검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788B1 (ko) * 1992-03-18 2001-02-15 이데이 노부유끼 고체 촬상 장치
US6459455B1 (en) * 1999-08-31 2002-10-01 Intel Corporation Motion adaptive deinterlacing
US7394493B2 (en) * 2002-11-18 2008-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CD camera utilizing an IRI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329657A1 (en) * 2007-04-18 2010-12-30 Opto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a Moving Obje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211A (ja) * 1992-02-28 1994-04-15 Sanyo Electric Co Ltd 動きベクトル検出回路
JPH1013731A (ja) 1996-06-21 1998-01-16 Canon Inc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画像振れ補正装置
JPH11110565A (ja) 1997-09-30 1999-04-23 Sharp Corp 動き検出装置
KR20070053536A (ko) * 2005-11-21 2007-05-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느린 셔터 속도에서 선명한 영상 검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25195A1 (en) 2009-09-10
KR20090097045A (ko)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6655B2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撮像システム
JP4773179B2 (ja) 撮像装置
US20110080494A1 (en) Imaging apparatus detecting foreign object adhering to lens
JP443493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48805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925191B1 (ko) 카메라의 백라이트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06222935A (ja) 電子スチルカメラ及び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9130577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80095084A (ko) 영상 잡음 제거 장치 및 방법
JP4390274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4136841B2 (ja) 撮像装置
JP4761048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816950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electing a flicker control method
KR100942803B1 (ko) 카메라의 저조도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08113237A (ja) 撮像装置におけるフリッカ検出方法と装置
JP2002044495A (ja) 電子カメラ
KR101555056B1 (ko) 카메라의 3차원 디지털 노이즈 제거장치 및 방법
JP2011101208A (ja) 撮像装置
JP5533059B2 (ja) 撮像装置
JP4414289B2 (ja) コントラスト強調撮像装置
JP2692535B2 (ja) ストロボ画像を取り込むための固体撮像装置
JP2006050031A (ja) 撮影装置
KR20090126698A (ko) 카메라의 슬로우 셔터 스피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32216A (ko) 촬상 방법 및 촬상 장치
JP2008103928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