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390B1 -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390B1
KR100941390B1 KR1020080006410A KR20080006410A KR100941390B1 KR 100941390 B1 KR100941390 B1 KR 100941390B1 KR 1020080006410 A KR1020080006410 A KR 1020080006410A KR 20080006410 A KR20080006410 A KR 20080006410A KR 100941390 B1 KR100941390 B1 KR 10094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block
error
measurement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579A (ko
Inventor
허희영
양진혁
원석희
박중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3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세팅창을 이용하여 통합 검사결과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은 선체 블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 형식의 설계정규값을 블록 이미지에 결합하여 작성한 통합 검사기준 문서 관리용 통합 검사기준 문서DB와, 상기 설계정규값에 대응되는 계측위치별 계측값 관리용 계측값DB를 활용하되, 상기 검사기준 문서DB 및 계측값DB를 가져오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 연결되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연산장치; 상기 연산장치에 연결되고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알고리즘 및 관련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저장한 메모리; 상기 알고리즘에 대응한 처리 상황을 상기 GUI를 통해 보여주는 표시장치; 상기 연산장치에 연결된 출력장치; 상기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작성된 통합 검사결과서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검사기준 문서DB 및 계측값DB가 기록 저장된 운영 시스템과의 연결 및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장치를 포함한다.
선체 블록, 치수품질, 스마트 세팅창, 정합, 좌표변환

Description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OF DIMENSIONAL ACCURACY CHECK SHEET FOR BLOCK IN SHIP PRODUCTION}
본 발명은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단위 블록들을 서로 쌓거나 연결하는 블록 조립 방식을 통해 생산된다.
단위 블록과 같은 소형블록에서부터 중간제품 및 대형블록에 대한 치수 정확도는 대단히 중요한 품질 관리 대상이다.
선체 블록의 치수품질 불량은 블록의 탑재 공정에서 많은 수정작업과 대기공정을 유발하여 선박 제조의 생산성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생산 작업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블록의 치수품질 관리에 대하여 간단히 정리하자면, 대형 구조물용 정밀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을 계측 또는 측정하되, 핵심 관리 부재나 항목에 대해서, 정규 설계에 따른 설계정규값과 블록 측정에 따른 계측값(예 : 블록 계측데이터, 측정값 등)을 비교 또는 매칭(matching) 한 후, 공간상 3축(예 : x축, y축, z축) 방향의 오차값 또는 오차량을 계산 또는 산출, 분 석하여 관리 기준을 벗어난 경우에는 후공정에 해당하는 블록 이관 전에 해당 부위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선체 블록의 치수품질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선체 블록의 치수품질 관리에서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기준 문서(이하, '종래 검사기준 문서'라 약칭함)를 이용한다.
종래 검사기준 문서는 일반적인 문서작성기,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 또는 유사 문서 작성 시스템(예 : MS워드, 아래아한글 등)을 이용하여 작성되어서, 개별 문서로서 이해될 뿐 데이터로서 활용되기 어렵다.
이런 종래 검사기준 문서는 설계 선박의 블록 분할 기획이 마무리될 경우 블록의 치수품질을 담당하는 부서에서 각 공정별 검사 블록을 선정하고 전반적인 일정을 기획하여 계측 대상의 블록을 선정한 후, 선정된 블록에 대해서 계측자가 계측해야 하는 위치와 좌표값을 그림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블록 이미지 또는 형상, 블록 이미지 내 계측위치의 도식도, 3차원 좌표값에 해당하는 설계정규값, 기타 지시사항 등을 기록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종래 검사기준 문서는 아래의 블록 치수품질 관리 순서를 통해서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로서 완성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 1과 같은 블록 치수품질 관리 순서에 따라 치수품질 관리를 수행하였다.
블록 치수품질 관리 순서에서는 종래 검사기준 문서를 지참한 후 블록 이동 단계(S10), 종래 검사기준 문서의 블록 이미지에 계측위치 표시단계(S20),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의 좌표계 일치단계(S30), 공간상 3축에 대해 오차값 계산단계(S40), 블록 수정부위 판단단계(S50), 블록 미세 좌표변환단계(S51), 치수불량부 수정 지시단계(S52), 블록 재계측(S53), 검사결과서 작성(S60), 후공정에 블록 품질 정보 전달단계(S70)가 수행된다.
단계별로 이를 살펴보면, 상기 블록 이동단계(S10)에서는 작업자가 앞서 언급한 종래 검사기준 문서를 지참한 상태에서 해당 블록쪽으로 이동한다. 검사기준 문서에는 호선, 블록 이름, 블록 형상 정보 또는 블록 이미지, 설계정규값 등의 정보가 기록 내지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서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 대상 블록 또는 계측 대상 블록에 대한 형상 정보를 쉽게 파악하게 한다.
작업자는 해당 블록의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을 비교하기 위해서, 계측값 좌표계와 설계정규값 좌표계를 일치시켜 동일한 지점에서 두 값을 비교해야 한다. 하지만, 계측값은 설계정규값에서 어떤 위치를 계측한 것인지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 검사기준 문서의 블록 이미지에 계측위치 표시단계(S20)에서는 대형 구조물용 정밀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해당 블록을 계측한 후, 계측위치를 블록 이미지 상에 수작업에 의해 표시한다.
이후,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의 좌표계 일치단계(S30)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설계정규값 좌표계(1a) 및 블록 이미지(1b)와, 도 2b에 도시된 계측값 좌표계(2a) 및 그의 블록 형상 정보(2b)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계측위치 표시단계(S20)를 참고로 하여 선박 제조 필드에서 주지 관용으로서 간단하게 사용되는 좌표변환을 통해 설계정규값 좌표계(1a)와 계측값 좌표계(2a)가 일치되도록 조정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공간상 3축에 대해 오차값 계산단계(S40)에서는 설계정규값에서 나타내는 3축에 대한 오차값[예 : 갭(gap), 미스얼라인(misalign), 단차 등)을 각각 수동으로 계산한다.
블록 수정부위 판단단계(S50)에서는 블록별 치수품질 허용범위가 있으므로, 이를 만족하는지에 대해 판단한다.
블록 미세 좌표변환단계(S51)는 블록이 치수품질 불량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작업이다. 여기서 미세 좌표변환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오차값이 블록별 치수품질 허용범위 이내로 들어올 수 있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블록 미세 좌표변환단계(S51)는 수차례에 걸쳐 수작업에 의해 시행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차값이 블록별 치수품질 허용범위 이내로 들어올 수 없는 경우에 치수불량부 수정 지시단계(S52)가 수행된다.
치수불량부 수정 지시단계(S52)에서는 최소 수정비용이 발생하는 경우를 찾아 수정지시를 해당 작업자 또는 작업장에게 내린다.
작업자 또는 작업장은 수정지시에 따라 해당 치수불량부의 각도를 조정하거나, 치수불량부를 자르거나, 다른 부재를 더 붙이거나, 치수불량부를 분리 후 재결합 또는 재설치 하는 등의 수정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블록 재계측(S53)에서는 수정지시가 있었던 해당 블록에 대하여, 수정작업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재계측을 실시한다.
검사결과서 작성(S60)에서는 오차값, 수정 여부에 대해 일반적인 문서작성기 또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순 문서와 같은 종래 검사결과서가 작성된다. 즉, 종래 검사결과서는 앞서 언급한 종래 검사기준 문서와 별도로 재작성 하여야 한다.
이후, 필요한 부서에서 상기 종래 검사결과서를 활용하도록 운영 시스템의 서버 또는 호스트(host)에서 네트워크 접근 가능하게 저장하는 후공정 블록 품질 정보 전달단계(S70)가 수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블록 치수품질 관리 순서에 따른 공정을 통해서, 단위 블록 조립 단계에서부터 품질 수준이 관리되어 후속 작업에서의 수정작업 시간이 줄어들 수 있고, 또한 블록 간의 조립 공정에서 단위 블록의 품질 상태가 고려된 최적의 조립 세팅 방법이 도출되어, 최소한의 수정작업이 수행되더라도 높은 품질 수준의 대형블록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종래 검사결과서는 단위 블록 조립 공정과 이후 공정에서 원활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검사기준 문서를 이용한 종래 검사결과서의 작성에서는 1차적으로 수작업으로 작성하고, 2차적으로 수작업 작성 결과를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옮겨 작성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업무가 발생되고, 많은 작업 시간을 요구하며, 용이하게 작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1차적으로 수작업으로 작성할 당시, 작업자는 종래 검사기준 문서에 좌표값을 표시하는 계측위치 표시단계(S20)를 비롯하여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의 좌표계 일치단계(S30), 공간상 3축에 대해 오차값 계산단계(S40), 블록 수정부위 판단단계(S50), 블록 미세 좌표변환단계(S51), 치수불량부 수정 지시단계(S52), 블록 재계측(S53) 등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 속에서, 직접 확인하고, 판단하고, 작업하면서 문서 작업까지 병행하여야 했기에, 작업의 연속성이 떨어졌고 반복업무가 지속되었다.
또한, 종래 검사결과서의 작성에서는 블록 이미지 또는 블록 형상이나, 그와 함께 병기된 복수개의 3차원 설계정규값 모두가 단순한 문서 작성을 위한 객체로서 인식될 뿐, 향후 활용 가능한 데이터적 의미 또는 활용 가능한 요소로서의 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검사결과서의 정밀도는 블록 수정 여부를 판단하거나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한 좌표변환 수행 회수와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작성 방법에 의해 수작업으로 종래 검사결과서를 작성할 경우, 작업자별 경험 및 노하우에 따라 문서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달라져서, 검사결과서 작성의 표준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세팅창을 이용하여 통합 검사결과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고, 통합 검사결과서의 정보를 웹사이트에 등록하여 정보 공유뿐만 아니라 치수품질문제의 통계적 분석으로도 활용할 수 있고 전체 블록 정도품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 기반으로 단순 전산 문서상의 문자열 등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스프레드시트 또는 액셀형 데이터, 블록 이미지 등과 같은 객체(object), 태그를 포함하여 데이터로서 활용 가능한 통합 문서 포맷을 갖는 통합 검사기준 문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작성 편의성을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정밀도를 확보하여, 선체 블록의 치수품질을 효율적이고 계통적으로 접근 및 관리할 수 있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선체 블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 형식의 설계정규값을 블록 이미지에 결합하여 작성한 통합 검사기준 문서 관리용 통합 검사기준 문서DB와, 상기 설계정규값 에 대응되는 계측위치별 계측값 관리용 계측값DB를 활용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사기준 문서DB 및 계측값DB를 가져오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 연결되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연산장치; 상기 연산장치에 연결되고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알고리즘 및 관련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저장한 메모리; 상기 알고리즘에 대응한 처리 상황을 상기 GUI를 통해 보여주는 표시장치; 상기 연산장치에 연결된 출력장치; 상기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작성된 통합 검사결과서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검사기준 문서DB 및 계측값DB가 기록 저장된 운영 시스템과의 연결 및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대해 계측을 실시하여 설계정규값에 대응되는 계측위치별 계측값을 계측값DB에 저장하는 블록 계측단계; 상기 블록에 대응한 DB형식의 설계정규값을 블록 이미지에 결합하여 작성한 통합 검사기준 문서를 검사기준 문서DB로부터 불러오는 통합 검사기준 문서 읽기단계; 상기 계측값DB로부터 상기 블록에 대응한 계측값을 불러오는 계측값 읽기단계; 상기 읽기단계를 실행시키는 스마트 세팅창의 기능에 의해 통합 검사기준 문서의 설계정규값과 상기 계측값을 정합시키고 그 결과를 블록 이미지 상에 오차량과 함께 표시하는 정합 및 표시단계; 상기 설계정규값과 상기 계측값에 대해 미세 좌표변환을 수행하는 미세 좌표변환단계; 상기 미세 좌표변환이 이루어진 통합 검사결과서 상에 수정 지시내용을 기재하여 통합 검사결 과서를 완성하는 수정 지시내용 작성단계; 상기 완성된 통합 검사결과서를 운영 시스템의 웹사이트에 업로딩시켜 등록하는 통합 검사결과서 웹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은 단순한 문서작업의 의미를 벗어나, 블록 치수품질 관리상에서 요구되는 각종 작업들에 대응한 각종 기능을 스마트 세팅창을 통해 사용케 함에 따라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통합 검사결과서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은 컴퓨터 기반으로 사용자 편의성과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반복 문서 작업을 없애 선체 블록의 치수품질을 효율적이고 계통적으로 접근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은 블록 수정부위 판단을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경험에 의존하지 않아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실수 또는 착오에 의한 품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은 설정 또는 부여된 적어도 3개의 매칭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좌표계의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을 매칭(matching) 또는 매핑(mapping)시키는 자동 좌표 매핑 기능(예 : 스마트 세팅창의 최적 세팅)과, 수정부위와 수정량을 고려한 최적 좌표변환 기 능(예 : 스마트 세팅창의 자동 정합)과,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의 매칭점별 오차값을 표시하는 기능(예 : 스마트 세팅창의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 기능 및 오차값 표시 기능)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100)는 네트워크가 가능한 컴퓨터 단말 하드웨어와 후술되는 각종 기능 및 방법들을 실현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된다.
본 실시예(100)에서 언급될 주요 용어에 대해서 정의한다.
설계정규값은 계측후보위치에 대한 설계정규값 좌표계 상의 3축(예 : X축, Y축, Z축)별 좌표값으로 이해되며, 미리 당업자에 의해 데이터베이스(DB)화되어 있다(예 : 설계 DB파일).
계측값은 대형 구조물용 정밀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해당 블록을 계측 또는 측정하여 얻은 계측값 좌표계 상의 3축(예 : X'축, Y'축, Z'축)별 좌표값이다. 이는 운영 시스템(120)의 운영장치(124)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에서 계측값DB로서 관리된다.
통합 검사기준 문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7-0072834호의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기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 제작된 것이다. 이런 통합 검사기준 문서는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 기반으로 단순 전산 문서상의 문자열 등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스프레드시트 또는 액셀형 데이터, 객체(object), 태그를 지원하는 통합 문서 포맷을 갖고 있음에 따라, 입력되는 블록 이미지나 계측위치별 또는 계측후보위치별 설계정규값이 모두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문서 내에 저장되고, 결국 정보 공유, 통계적 분석, 모니터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 검사기준 문서는 체크시트 원도로서 호칭 가능하다. 통합 검사기준 문서는 검사기준 문서DB로서 관리된다.
통합 검사결과서는 상기 통합 검사기준 문서를 기준으로 후술되는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200)[이하 GUI(200)으로 약칭함]를 통해 이루어지는 각종 기능에 의해 완성된 체크시트(check sheet)를 의미하고, 역시 통합 문서 포맷을 갖고, 검사결과서DB로서 관리된다. 통합 검사결과서는 저장 및 관리시 통합 검사기준 문서와 다른 파일 확장자명을 갖고 있어서 양자가 구별된다.
본 실시예(100)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컴퓨터 기반의 작성 시스템(110)과, 이런 작성 시스템(110)에 연동하면서 검사기준 문서DB 및 계측값DB를 관리하고 블록 계측에 관여하는 운영 시스템(120)을 포함한다.
예컨대, 운영 시스템(120)은 선박 제작 작업장에 미리 준비되는 것으로서, 해당 블록을 측정하여 블록 계측데이터 또는 측정값에 해당하는 계측값을 검출하는 대형 구조물용 정밀 계측장비(121)와, 이런 계측장비(121)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계측값을 실시간 전송하는 유무선망 허브(122)와, 이런 유무선망 허브(122)에 접속되어 상기 계측값을 입력받는 계측알고리즘에 의해서 블록 형상 정보를 형성하는 호스트(123)와, 이런 호스트(123)를 위해 전력선통신 또는 이더넷(ethernet) 등의 네트워크망을 운영하거나 호스트(123)에게 상기 검사기준 문서DB 및 계측값DB를 제공하도록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을 운영하는 운영장치(124)와, 상기 네트워크망에 접속되어 있어서 각종 문서의 업로딩, 다운로딩 등을 위한 웹사이트(125)를 포함한다.
작성 시스템(110)은 운영 시스템(120)의 호스트(123)에 접속되어 있는 컴퓨터 단말, 휴대형 컴퓨터(handheld PC),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작성 시스템(110)은 호스트(123)를 통해 적어도 검사기준 문서DB 및 계측값DB를 가져오는 입력장치(111)와, 이런 입력장치(111)에 연결되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연산장치(112)와, 연산장치(112)에 연결되고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알고리즘 및 이와 연동하는 GUI(200)가 저장된 메모리(113)와, 상기 알고리즘에 대응한 처리 상황을 GUI(200)를 통해 보여주는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표시장치(114)와, 상기 연산장치(112)에 연결된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115)와, 상기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작성된 통합 검사결과서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16)와, 운영 시스템(120)과의 연결 및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장치(117)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100)의 GUI(200)를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200)는 크게 데이터처리 결과 표시 및 문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작업창(201)과, 상기 작업창(201)에 연동하여 각종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세팅창(202)을 포함한다.
작업창(201)은 편집 화면(201a)의 상부에 구비되거나 그 곳으로부터 그룹으로 분리 가능한 문서편집 도구모음 툴바(201b)를 갖는다.
작업창(201)에서는 제반적인 문서 작성 관련 기능(예 : 파일, 편집, 보기 등), 마우스 등의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마우스 클릭 등과 같은 입력 기능 및 문서 작성 기능이 수행된다.
이런 작업창(201)은 상기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기준 문서 작성 시스템에서 언급된 각종 기능을 지원하거나 호환되는 데이터처리 기능을 실행시키는데 사용되면서, 특히 스마트 세팅창(202)과 연계한 각종 기능에 대한 처리 결과를 보여준다.
스마트 세팅창(202)은 통합 검사기준 문서 상에서 이후 상세히 설명할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통합 검사결과서를 작성케 하는 저작용 툴(tool)에 해당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100) 및 도 4에 도시된 GUI(200)을 이용한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은 블록 계측단계(S100), 통합 검사기준 문서 읽기단계(S200), 계측값 읽기단계(S300), 정합 및 표시단계(S400), 미세 좌표변환단계(S500), 수정 지시내용 작성단계(S600), 통합 검사결과서 웹 등록단계(S700)를 포함한다.
블록 계측단계(S100)는 블록에 대한 계측을 실시하여 설계정규값에 대응되는 계측위치별 계측값을 계측값DB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 작업자가 정밀 계측장비를 포함한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블록에 대한 계측을 실시한다.
본 발명 전(前)과 달리, 각각의 계측값은 종래 검사기준 문서의 설계정규값에 대응하도록 따로 표시되지 않는다. 다만, 각각의 계측값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운영 시스템을 통해 계측값DB로서 관리되고, 스마트 세팅창의 측정값 읽기 기능을 통해 독출되어 사용된다.
통합 검사기준 문서 읽기단계(S200)는 스마트 세팅창을 통해 본 발명 작성 시스템과 결합된 운영 시스템의 검사기준 문서DB로부터 통합 검사기준 문서를 독취하는 단계이다. 통합 검사기준 문서는 그림형태의 블록 형상과, 도면 정보(예 : 도면 이름, 작성일자 등)와, 좌표 형태로서 블록 주요 측정위치별 3차원 설계정규값과, 기타 계측 정보와, 편집 정보와, 각종 작업기호 내지 요령과 지시사항 등의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계측값 읽기단계(S300)는 스마트 세팅창을 통해 본 발명 작성 시스템과 결합된 운영 시스템의 계측값 DB로부터 계측값을 독취하는 단계이다. 계측값은 3차원 정밀 계측작업을 통해 실제 블록 형상 정보를 갖되 아직 상기 설계정규값 좌표계와 일치되지 않은 상태의 계측값 좌표계를 갖는다.
정합 및 표시단계(S400)는 수정여부를 판단하는 허용값을 초기에 설정해 둔 상태에서, 좌표계 변환과 좌표 매핑과 오차값 계산 및 오차값 표시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좌표계 변환은 스마트 세팅창을 통해 설명할 최적 세팅 기능, 자동 정합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설계정규값 좌표계에 대응하게 계측값 좌표계를 변환시키는 과정이다.
좌표 매핑은 좌표계 변환 이후에 각각의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을 매칭점별로 매칭시키는 과정이다.
오차값 계산은 좌표 매핑 이후에 대비되는 설계정규값과 계측값간 오차값을 계산하는 과정이다.
오차값 표시는 각각의 계산 결과를 스프레드시트 형식의 데이터로서 검사결과서DB에 저장 및 관리하되, 스마트 세팅창의 영역 확대 또는 축소를 통해 보여지거나 없어지는 테이블(예 : 테이블 보이기 또는 테이블 숨기기 기능) 상에 실시간 업데이트됨과 동시에, 계측포인트 또는 매칭점 별로 생성되는 오차풍선공에도 그 오차값이 실시간 반영되어 표시되는 과정이다.
미세 좌표변환단계(S500)는 평탄도 또는 레벨(level) 확인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미세 좌표변환을 포함한 각종 변환 방법을 통해 처리된 변환 결과는 세팅 결과 저장 기능을 통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저장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미세 좌표변환단계(S500)는 스마트 세팅창에서 제공되는 미세 좌표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계측값군(group)을 설계정규값군(group)으로 매칭되도록 미세하게 좌표변환을 한다.
수정 지시내용 작성단계(S600)는 상기 정합 및 표시단계(S400)와 상기 미세 좌표변환단계(S500)를 통해 모든 변환이 완료된 후 품질 수준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수정 지시내용 작성단계(S600)에서는 제반적인 문서작성 기능이 진행되어서, 품질 수준에 따라 합격 또는 불합격 여부가 표시되고, 수정부위에 대해 지시사항이 기재된다.
품질 수준은 앞서 언급한 수정여부를 판단하는 허용값과 같이 미리 설정되어 사용된다.
이렇게 통합 검사결과서가 완성될 경우,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통합 검사결과서 웹 등록단계(S700)는 완성된 통합 검사결과서를 운영 시스템의 웹사이트 또는 중앙집중식 웹시스템에 업로딩시켜 등록하는 단계이다.
등록된 파일은 다양한 작업자에게 열람 및 다운로딩 가능하여 편리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이런 검사결과서는 블록 치수품질을 파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상대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선공정으로의 피드백이나 후공정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치수품질문제의 통계적 분석으로도 활용하고, 체계적인 DB축적을 통해 전체 블록 정도품질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해준다.
이하, 스마트 세팅창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도 6은 GUI(200)의 스마트 세팅창(202) 중 작성된 체크시트 열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세팅창(202)의 작성된 체크시트 열기용 제1버튼(210)은 수정 및 편집, 재저장을 위해 기존 작성된 통합 검사결과서를 여는 수단으로 이해된다.
즉, 작성된 체크시트 열기용 제1버튼(210)을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파일 탐색기와 유사한 열기 메뉴가 팝업(pop-up) 형식으로 실행된다.
그 열기 메뉴에서 사전에 작업해 둔 통합 검사결과서 파일을 찾아 열거나 또는 교육용 샘플 파일을 열 경우, 작업창(201) 화면상에 해당 실행 파일 내용이 표시되어, 수정 및 편집, 재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열린 통합 검사결과서는 작업창(201)의 편집 화면에 표시된다.
도 7은 GUI(200)의 스마트 세팅창(202) 중 체크시트 원도열기 기능과 측정값 읽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세팅창(202)의 체크시트 원도열기용 제2버튼(211)을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역시 파일 탐색기와 유사한 열기 메뉴가 팝업 형식으로 실행된다.
여기서, 체크시트 원도는 통합 검사기준 문서를 의미한다. 그 열기 메뉴에서 사전에 미리 작성된 체크시트 원도, 즉 해당 통합 검사기준 문서를 찾아 열 경우, 작업창(201) 화면상에 해당 통합 검사기준 문서 내용이 표시된다.
또한, 측정값 읽기용 제3버튼(212)은 제2버튼(211) 옆에 배치된다.
측정값 읽기용 제3버튼(212)을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역시 파일 탐색기와 유사한 열기 메뉴가 실행되고, 역시 작업창(201)의 편집 화면 상에 팝업된다.
여기서, 유사 내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열기 메뉴에서 미리 3차원 정밀 계측작업을 통해 실제 블록에 대한 블록 형상 정보인 계측값 또는 계측값군이 담긴 텍스트 파일을 연다.
이렇게 열린 텍스트 파일은 작업창(201) 상에 표시되지 않고, 다만 시스템 내부적으로 독출되어 액세스 가능한 상태로서 존재하고, 통합 검사기준 문서 상의 설계정규값 또는 그의 좌표계와 일치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8은 스마트 세팅창(202) 중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용 제4버튼(213)은 마우스 클릭에 상응하게 테이블 보이기와 테이블 숨기기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
예컨대, 제4버튼(213)의 마우스 클릭에 상응하게, 스마트 세팅창(202)은 확장(w, h)되거나 또는 원래 사이즈로 복원되어서, 결국 테이블(t1, t2)들이 보여지거나 감춰진다.
스마트 세팅창(202)에서 확장(w, h)된 영역은 마우스 드래그 기능(m)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테이블(t1, t2) 중 일측(예 : 좌측) 테이블(t1)은 통합 검사기준 문서에 담긴 계측위치별 또는 계측후보위치별 설계정규값 정보를 포함하되, 매칭하려는 계측값 인덱스(예 : 매칭점)도 같이 표시된다.
테이블(t1, t2) 중 타측(예 : 우측) 테이블(t2)은 상기 열린 텍스트 파일에 의해 시스템상에 로딩된 계측값 정보를 의미한다.
계측값 정보란 설계정규값의 번호에 대응한 정보로서, 예컨대 계측값, 매칭점, 측정점, 산출된 3축의 오차값을 포함한다. 또한, 측정점은 계측위치 또는 계측점을 의미한다.
도 9는 스마트 세팅창(202) 중 미세 좌표변환 기능과 최적 세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그의 명칭을 통해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복수개의 미세 좌표변환용 탭(220)들은 계측값군을 설계정규값군으로 좌표변환할 때 사용하거나, 계측값군을 상황에 따라 미세조정할 때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탭(220)은 평행이동(translation)과 회전이동(rotation)과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좌표변환 기술을 이용하는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스마트 세팅창(202)의 최적 세팅용 탭(221)은 계측값군과 설계정규값군의 데이터들 중에서 3점 이상에 대해 매칭정보를 부여한 후 좌표변환을 수행함에 따라, 부여된 점들간의 거리오차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변환에 필요한 매트릭스(matrix)를 계산한 후 전체 계측값군을 변환하는 기능이다.
매칭정보가 부여된 점들은 각 블록별 주요 관리 위치에 해당하여 일종의 고정점으로 사용가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반복된 좌표변환의 수고로움을 줄여주고, 빠르고 쉽고 간략하게 블록 품질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스마트 세팅창(202)의 자동 정합용 탭(222)은 수정부위와 수정량을 고려한 최적 좌표변환 기능을 위한 것으로서 도 10을 통해 설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자동 정합 기능은 앞서 언급한 최적 세팅 기능과 달리 어떤 매칭정보도 부여하지 않고도, 컴퓨터 연산에 의거하여 최적의 좌표변환 매트릭스를 계산하고, 각 계측점(d1, d2)에 상응하는 설계정규값을 가장 근접하게 매칭하여 전체 계측값군을 변환하고, 그 오차값(dx1, dy1, dz1, dx2, dy2, dz2)을 산출한다. 이런 자동 정합 기능은 반복 최근점(Iterative Closest Point, ICP)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프로그램되어 있다.
도 9를 재참조하면, 계측값조정용 탭(223)은 도 8에 도시된 타측 테이블(t2)에서 수작업에 의해 해당 계측값의 수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미세 좌표변환 기능, 최적 세팅 기능, 자동 정합 기능, 계측값조정 기능과 같은 각종 변환 방법에 의해서 처리된 계측값군의 정보는 타측 테이블(t2)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
이와 동시에 계측값군의 정보는 도 11과 같이 해당 오차풍선공(230)에도 실시간으로 반영된다.
도 11은 도 8에 관련된 테이블 정보 업데이트에 따라 연동되는 매칭점별 오차값 표시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11에서, 수정여부를 판단하는 허용값, 즉 설정 오차를 기준으로 3축 방향 오차값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설정 오차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가 있다.
즉, 설정 오차를 만족하지 못하는 오차풍선공(231) 및 수치는 미리 설정한 색상(예 : 붉은색)을 통해 그래픽적으로 상기 설정 오차를 만족하는 오차풍선공(232)의 미리 설정한 색상(예 : 옅은 하늘색 등)과 다르게 표시되어 비교적 용이하고 직관적인 식별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2는 스마트 세팅창(202)의 세팅 결과 저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 세팅창(202)의 세팅 결과 저장용 제5버튼(214)은 작업자에 의해 진행될 당시 다양하게 변환된 계측값군 정보를 변환 결과별로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이는 세팅 저장, 세팅 실행, 삭제, 닫기 등의 기능을 갖는 세팅 결과보기창(203)을 통해 수행된다.
도 13과 병행 참조하면, 작업자는 도 12의 스마트 세팅창(202)의 세팅 결과 저장용 제5버튼(214)을 클릭하여, 결국 각종 변환 결과를 임시 저장 또는 실행(예 : 재생)하여 최소 수정비용 발생 유무를 기준으로 비교 선택할 수 있고, 언제든지 필요할 때마다 세팅 저장을 삭제하여 되돌리거나, 또는 여러 개의 저장된 변환 결과 중에서 최선의 변환 방법을 용이하게 찾아볼 수 있다.
도 14는 스마트 세팅창(202) 중 자동 오차 보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마트 세팅창(202)의 자동 오차 보정용 제6버튼(215)은 타측 테이블(t2)의 데이터를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블록의 3차원 정밀 계측작업 중 간섭물이나 기타의 요인으로 불가피 하게 약속된 계측위치를 정확하게 계측하기 어려운 경우, 계측위치에서 단위 간격 위치(예 : 100미리, 200미리, 300미리 등과 같이 100단위로 떨어진 위치)를 계측하게 된다.
이렇게 단위 간격 위치별로 계측된 계측값은 다른 계측값에 비해 과도하게 차이가 나서 오차값 계산시 다른 값에 비해 크기 때문에 논리적 구분이 가능하다.
이런 연유로, 자동 오차 보정은 본 발명의 작성 시스템이 계측값군에서 오차값이 상대적으로 월등히 커 논리적 구분이 가능한 해당 계측값을 찾고, 그 찾은 값에 대해 단위 간격 위치를 고려하여 원래 계측하고자 하는 위치의 오차값으로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능이다.
예컨대, 도 14에서 상단쪽 캡쳐도는 자동 오차 보정 전이고, 도 14의 하단쪽 캡쳐도는 자동 오차 보정 후를 보여준다.
도 12를 재참조 하면, 스마트 세팅창(202)의 메모갱신용 제7버튼(216)은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에 대응한 해당 테이블에서 데이터값을 수정한 후 사용한다.
제7버튼(216)이 눌러지면, 해당 테이블의 데이터값이 특정 좌표값을 포함하도록 갱신되고, 이와 연동하여 매칭정보가 변경되거나 오차값 계산이 진행된다.
스마트 세팅창(202)의 정규치추가용 제8버튼(217)은 설계정규값군에서 빠진 데이터를 새로이 입력하여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도 15는 스마트 세팅창 중 오차값 표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작업자는 도 12의 스마트 세팅창(202)의 오차량 표시 영역(240)을 통해 오차값 표시 기능을 사용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 15에 도시된 블록 이미지 상에 그 결 과가 표시된다.
즉, 오차량 표시 영역(240)에서, 톨(Tol)로 기재된 펼침 목록 메뉴(241)는 허용오차(Tolerance)를 의미한다. 이는 설계정규값군과 계측값군 사이에서 매칭정보를 찾을 때, 매칭을 정의하는 거리오차량의 허용기준을 의미한다. 예컨대, 펼침 목록 메뉴(241)의 허용오차를 숫자 200으로 설정할 경우,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의 거리가 200미리 이하의 값을 시스템 내부에서 매칭된 점으로 인식한다.
오차량 표시 영역(240)에서, 오차±로 기재된 한 줄 글상자(242)는 수정여부를 판단하는 허용값 또는 설정 오차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한 줄 글상자(242)에 기재된 설정 오차 수치가 10일 경우, 도 11 또는 도 15에 보이듯이, 3축 방향으로 10미리 이상의 설정 오차가 발생되는 계측위치의 오차풍선공(231)을 붉은색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그래픽적인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오차량 표시 영역(240)에서, 인덱스 표시로 기재된 확인 상자(243)는 계측값의 인덱스 표시를 온 또는 오프 하는 기능을 보여준다.
오차량 표시 영역(240)에서, 오차 화살표로 기재된 확인 상자(244)는 오차값의 텍스트 표현(도 15의 좌측 그림) 또는 오차 화살표 표현(도 15의 우측 그림)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검사결과서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캡쳐도이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변환과정 이후 작업자는 수정 지시내용(250, 251, 252, 253)을 통합 검사결과서 상에 기재하여 통합 검사결과서의 작 성을 완료한다.
작성 완료된 통합 검사결과서는 중앙집중식 웹시스템에 업로딩 및 등록되어 미리 설정한 주지의 문서 공유 및 이용 절차에 따라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 치수품질 관리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의 좌표계 일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GUI의 스마트 세팅창 중 작성된 체크시트 열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GUI의 스마트 세팅창 중 체크시트 원도열기 기능과 측정값 읽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GUI의 스마트 세팅창 중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GUI의 스마트 세팅창 중 미세 좌표변환 기능과 최적 세팅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GUI의 스마트 세팅창 중 자동 정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8에 관련된 테이블 정보 업데이트에 따라 연동되는 매칭점별 오차값 표시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GUI의 스마트 세팅창 중 세팅 결과 저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미세 좌표변환 실행단계에 각각 대응하여 도 12에 도시된 세팅 결과 저장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GUI의 스마트 세팅창 중 자동 오차 보정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GUI의 스마트 세팅창 중 오차값 표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검사결과서의 예시들을 보여주는 캡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실시예 110 : 작성 시스템
120 : 운영 시스템 200 :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
201 : 작업창 202 : 스마트 세팅창

Claims (8)

  1. 선체 블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 형식의 설계정규값을 블록 이미지에 결합하여 작성한 통합 검사기준 문서 관리용 통합 검사기준 문서DB와, 상기 설계정규값에 대응되는 계측위치별 계측값 관리용 계측값DB를 활용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검사기준 문서DB 및 계측값DB를 가져오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 연결되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연산장치;
    상기 연산장치에 연결되고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알고리즘 및 관련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저장한 메모리;
    상기 알고리즘에 대응한 처리 상황을 상기 GUI를 통해 보여주는 표시장치;
    상기 연산장치에 연결된 출력장치;
    상기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작성된 통합 검사결과서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검사기준 문서DB 및 계측값DB가 기록 저장된 운영 시스템과의 연결 및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데이터처리 결과 표시 및 문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문서편집 도구모음 툴바를 갖는 작업창;
    상기 작업창에 연동하여 상기 알고리즘에 상응한 복수개의 기능을 구현하는 스마트 세팅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세팅창은,
    버튼, 탭, 펼침 목록 메뉴, 한 줄 글상자, 확인 상자를 이용하여, 상기 알고리즘에 정의되고 상기 작업창을 통해 구현되는 기능(여기서, 기능은 적어도 작성된 체크시트 열기, 체크시트 원도열기, 측정값 읽기,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 미세 좌표변환, 최적 세팅, 자동 정합, 계측값조정, 세팅 결과 저장, 자동 오차 보정, 메모갱신, 정규치추가, 오차량표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을 실행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4.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대해 계측을 실시하여 설계정규값에 대응되는 계측위치별 계측값을 계측값DB에 저장하는 블록 계측단계;
    상기 블록에 대응한 DB형식의 설계정규값을 블록 이미지에 결합하여 작성한 통합 검사기준 문서를 검사기준 문서DB로부터 불러오는 통합 검사기준 문서 읽기단계;
    상기 계측값DB로부터 상기 블록에 대응한 계측값을 불러오는 계측값 읽기단계;
    상기 통합 검사기준 문서 읽기단계와 상기 계측값 읽기단계를 실행시키는 스마트 세팅창의 기능에 의해 통합 검사기준 문서의 설계정규값과 상기 계측값을 정합시키고 그 결과를 블록 이미지 상에 오차량과 함께 표시하는 정합 및 표시단계;
    상기 설계정규값과 상기 계측값에 대해 좌표변환을 수행하는 좌표변환단계;
    상기 좌표변환이 이루어진 통합 검사결과서 상에 수정 지시내용을 기재하여 통합 검사결과서를 완성하는 수정 지시내용 작성단계;
    상기 완성된 통합 검사결과서를 운영 시스템의 웹사이트에 업로딩시켜 등록하는 통합 검사결과서 웹 등록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세팅창의 기능은,
    수정 및 편집, 재저장을 위해 기존 작성된 통합 검사결과서를 열어 작업창의 편집 화면에 표시하는 작성된 체크시트 열기;
    상기 통합 검사기준 문서를 열어 작업창의 편집 화면상에 표시하는 체크시트 원도를 열기;
    상기 계측값DB에서 텍스트 파일 형식의 계측값을 독출하는 측정값 읽기;
    상기 독출한 계측값과 상기 통합 검사기준 문서에 구비된 설계정규값 및 양자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오차값을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통해 비교하여 보이거나 숨기는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세팅창의 기능은,
    계측값군(group)을 설계정규값군(group)에 매칭되도록 좌표변환을 하는 좌표변환;
    계측값군과 설계정규값군의 데이터들 중에서 3점 이상에 대해 매칭정보를 부여한 후 좌표변환을 수행함에 따라, 부여된 점들간의 거리오차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도록, 변환에 필요한 매트릭스(matrix)를 계산한 후 전체 계측값군을 변환하는 최적 세팅;
    어떤 매칭정보도 부여하지 않고도, 컴퓨터 연산에 의거하여 최적의 좌표변환 매트릭스를 계산하고, 각 계측점에 상응하는 설계정규값을 가장 근접하게 매칭하여 전체 계측값군을 변환하고, 그 오차량을 산출하는 자동 정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세팅창의 기능은,
    계측값관련 테이블에서 해당 계측값의 수치를 조정하는 계측값조정;
    세팅 저장, 세팅 실행, 삭제, 닫기의 기능을 갖는 세팅 결과보기창을 통해서 다양하게 변환된 계측값군 정보를 변환 결과별로 임시 저장하는 세팅 결과 저장;
    계측값군에서 오차값이 상대적으로 월등히 커 논리적 구분이 가능한 해당 계측값을 찾고, 그 찾은 값에 대해 단위 간격 위치를 고려하여 원래 계측하고자 하는 위치의 오차값으로 산출하여 출력하는 자동 오차 보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세팅창의 기능은,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에 대응한 해당 테이블에서 데이터값을 수정한 것에 대응하게 매칭정보를 변경하거나 오차값 계산을 연동시키는 메모갱신;
    설계정규값군에서 빠진 데이터를 새로이 입력하여 생성하는 정규치추가;
    펼침 목록 메뉴를 통해 거리오차량의 허용기준을 설정하거나, 오차풍선공의 그래픽 구별을 위한 설정 오차를 입력하거나, 계측값의 인덱스 표시를 온 또는 오프하거나, 오차값의 텍스트 표현 또는 오차 화살표 표현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오차값 표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방법.
KR1020080006410A 2008-01-22 2008-01-22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094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10A KR100941390B1 (ko) 2008-01-22 2008-01-22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6410A KR100941390B1 (ko) 2008-01-22 2008-01-22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79A KR20090080579A (ko) 2009-07-27
KR100941390B1 true KR100941390B1 (ko) 2010-02-10

Family

ID=4129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410A KR100941390B1 (ko) 2008-01-22 2008-01-22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3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721B1 (ko) * 2013-12-27 2015-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계측포인트 자동 설정방법 및 정도계측도 문서 작성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519A (ja) * 1995-11-10 1997-05-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3次元形状構造物の検査方法
KR20020037842A (ko) * 2000-11-15 2002-05-23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교량 설계 자동화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3519A (ja) * 1995-11-10 1997-05-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3次元形状構造物の検査方法
KR20020037842A (ko) * 2000-11-15 2002-05-23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교량 설계 자동화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6, 한국CAD/CAM학회 논문집 제11권 제2호, pp.115-127, 노명일외 "선체 블록의 물량 정보 생성 및 블록 탑재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2006.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79A (ko)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7869B2 (en) Computer aided quality assurance software system
US877342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posing resolutions to conflicts in a CAD drawing with reflections
CN101875165B (zh) 一种利用三维工艺加工零件的方法
US68799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a user taking measurements using a coordinate measurement machine
KR100929922B1 (ko) 선체 블록 조립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191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hanges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s
US201100989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US20020113784A1 (en) Portable computer aided design apparatus and method
US108724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 drawing tool
KR100976829B1 (ko) 선박의 설계 디자인 리뷰 방법 및 그 서비스 시스템
KR100982527B1 (ko)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2022928A (ja) Cad作図方法
JP2002083017A (ja) 構造物変状調査支援システム
CN114357596B (zh) 一种bim构件资源快捷设计方法及系统
KR100941390B1 (ko)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N103034917A (zh) 一种物料跟踪系统设计装置及方法
CN109271691B (zh) 一种关键特性的自动提取快速标注方法
KR100886657B1 (ko)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기준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Ambrosius AutoCAD Platform Customization: User Interface, AutoLISP, VBA, and Beyond
JPH05307407A (ja) 作動する機械の動作データを作成する装置
JP7104491B1 (ja) 有限要素法モデルのオートメッシュ用cad作図方法
US20030123724A1 (en) Schematic colorization system
CN118037207A (en) Digital acquisition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length measurement detection data
Eicher et al. Smiling Cartographers: Making GIS More Usable for Cartography
JP2022161411A (ja) 建築物又は土木構造物の管理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