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168B1 -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하는 장치에서의 분무 헤드 - Google Patents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하는 장치에서의 분무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168B1
KR100940168B1 KR1020057009412A KR20057009412A KR100940168B1 KR 100940168 B1 KR100940168 B1 KR 100940168B1 KR 1020057009412 A KR1020057009412 A KR 1020057009412A KR 20057009412 A KR20057009412 A KR 20057009412A KR 100940168 B1 KR100940168 B1 KR 10094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pray head
control body
flow control
slo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811A (ko
Inventor
패트릭 레이제르
크리스티안 코르티나
기 케르쉔메이어
Original Assignee
풀 부르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 부르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풀 부르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8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0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dividing the liquid material into drops, e.g. by spraying, and solidifying th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flat form, e.g. fan-like, sheet-like
    • B05B1/044Slits, i.e. narrow openings defined by two straight and parallel lips; Elongated outlets for producing very wide discharges, e.g. fluid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 B05B1/32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in which a valve member forms part of the outlet opening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B22F9/08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 B22F2009/088Fluid nozzles, e.g. angle,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B22F9/08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 B22F2009/088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casting construction of the melt process, apparatus, intermediate reservoir, e.g. tundish, devices for temperature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C21B2400/024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with the direct use of steam or liquid coolants, e.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5Apparatus features
    • C21B2400/052Apparatus features including rotating parts
    • C21B2400/054Disc-shaped or conical parts for cooling, dispersing or atomising of molten slag rotating along vertic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5Apparatus features
    • C21B2400/062Jet nozzles or pressurised fluids for cooling, fragmenting or atomising sla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 Ink Jet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입상화 설비에 사용되는 분무 헤드는 중심축을 가진 타원형의 단면의 실린더형 유동 제어몸체(36)를 구비한 슬롯형 노즐(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 제어몸체(36)는 노즐 채널(26)의 바닥면(28)과 상면(30) 사이의 대략적인 중간부분에 배치되며, 자신의 중심축(38)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상부는 물론 하부에는 노즐 슬롯(42, 44)이 형성되며, 상기 타원-실린더형의 유동 제어몸체(36)가 자신의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노즐 슬롯(42, 4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입상화 설비, 분무 헤드, 타원-실린더형 유동 제어몸체, 노즐 슬롯

Description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하는 장치에서의 분무 헤드 {Spray Head for a Granulating System}
본 발명은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분부 헤드에 관한 것이다.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Granulating)하는 과정에서 분무 헤드(Spraying Head)를 이용하여 슬래그 채널(Slag Channel)로부터 입상화 수용기(Basin) 안으로 낙하하는 액상의 슬래그 유동 위로 냉각수를 분무하게 된다. 이러한 액상의 슬래그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냉각되고 고형화되어 입자(Granulate)를 형성하게 된다.
1톤의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시키기 위하여는 4 내지 12 ㎥의 냉각수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대형 용광로의 경우에 분무 헤드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수는 시간당 1000 내지 4000㎥에 이른다. 입상화된 입자의 품질을 위하여는 상기 냉각수의 양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액상의 슬래그 유동에 충돌하는 냉각수 제트의 충격량과 형상을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인자들의 많은 부분은 분무 헤드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슬래그의 처리량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경제적인 입상화 작업과 입상화된 입자의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는,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하는 가운데 상기 슬래그 처리량에 적합하도록 냉각수의 양이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일특허 DE 4032518 C1에서는 다수의 홀타입 노즐을 구비한 평판(Field of Hole Type Nozzles)과 제어가능한 슬롯형 노즐(Slotted Nozzle)을 구비한 분무 헤드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제어가능한 슬롯형 노즐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피봇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노즐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개의 플랩 날개(Flap Wing)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랩 날개 각각의 세로방향의 일단부(Edge)는 파형으로 설계되어 있고 실린더형 베어링의 홈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각각의 플랩 날개는 냉각수 유동방향을 가로질러서 직사각형 노즐 채널(Nozzle Channel)의 상부판과 하부판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플랩 날개의 타단부는 각각 노즐 채널(Nozzle Channel)의 노즐 슬롯(Nozzle Slot)에 하부립(Loer Lip)과 상부립(Upper Lip)을 형성한다. 서로 반대방향으로 편심 고정된 두 개의 플랩 날개를 피봇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부립과 상부립 사이의 거리는 변화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노즐 슬롯의 높이가 감소하거나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두 개의 플랩 날개는 상기 노즐 채널(Nozzle Channel)의 외부에서 전기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역회전 기어에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독일특허 DE 4032518 C1에 기재되어 있는 분무 헤드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플랩 날개에 상당한 모멘트를 가하는 냉각수의 흐름으로 인하여, 상기 역회전 기어와 전기적 구동부는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져야 한다. 더욱이 상기 발명에 도입된 슬롯형 노즐의 내마모성에 대하여는 좀 더 요구되는 부분이 남아있다. 대부분의 입상화 설비들은 실제로 폐회로상에서 운반되는 상당한 양의 슬래그 입자(Slag Sand)를 냉각수에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냉각수-입자 혼합물에 의한 마멸력(Abrasion Force)에 대하여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독일특허 DE 4032518 C1에서의 슬롯형 노즐, 특히 상기 노즐 채널의 하부립(Loer Lip)과 상부립(Upper Lip)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마모되고 노후되기 쉽다. 이러한 마모는 상대적으로 슬롯형 노즐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부정확한 특성에 기인한다. 더불어 미세한 슬래그 입자들은 플랩 날개들의 베어링 틈새에 침투하기 쉬우며, 이러한 입자들은 플랩 날개들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이 용이하며 최소한의 유지 및 보수만이 요구되는 제어가능한 슬롯형 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안정적인 특성의 제어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화 설비에서의 분무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서의 분무 헤드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 헤드는 제어몸체(Control Body)에 구비되며, 타원형의 단면과 중심축을 구비한 실린더형 몸체를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슬롯형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몸체는 대략적으로 노즐 채널의 바닥면과 상면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중심축에 대하여 제어몸체가 노즐 채널이 형성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채널의 높이는 단순히 제어몸체를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어가능한 슬롯형 노즐은 마멸 입자(Abrasive Sand)가 냉각수 내에 포함돠어 있는 경우와 같이 매우 가혹한 조건하에서도 최소한의 유지 및 보수만을 필요로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어 시스템의 뛰어난 특성을 장기간에 걸쳐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냉각수에 마멸 입자가 포함됨으로써 매우 빠른 부식을 야기하는 상황에서도 상기 타원-실린더형(Oval-cylindrical) 제어몸체의 어디에도 취약한 부분이 없다는 점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 더불어, 타원실린더형 제어몸체 주위의 유동은 비교적 층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국부적인 소용돌이 흐름(Swirl)에 의하여도 슬래그 입자에 의한 마멸력은 강화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기의 타원실린더형 제어몸체는 냉각수 내에 마멸 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가혹한 조건하에서도 슬롯형 노즐의 제어 시스템의 특성을 특별히 악화시키지 않으며 장기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노즐 채널의 가운데에 제어몸체를 배치하기 때문에, 어떠한 미세 입자도 홈이나 간극에 쌓이거나 슬롯형 노즐의 운전성을 손상시키지 못한다. 또한, 냉각수 유동에 의한 모멘트가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어몸체에는 작게 작용한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몸체의 각위치(Angular Position) 선정은 결과적으로 작은 회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결국 요구되는 구동력도 작아지게 된다.
제어 시스템의 양호한 특성과 적은 마모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제어몸체의 타원형 단면에서의 단축 대 장축의 비율을 0.50 내지 0.95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노즐 채널의 직사각형 단면의 높이는 상기 타원형 단면에서의 장축보다 수 ㎜ 정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노즐 채널 및/또는 제어몸체가 변형되는 경우에 제어몸체가 노즐 채널을 폐쇄하는 회전위치에 있을지라도 노즐 채널이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제어몸체의 양단에는 노즐 채널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고, 노즐 채널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어링 핀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순한 구조의 크랭크 기어는 리프팅 구동기(Lifting Drive)의 직선운동을 제어몸체의 중심축에 대한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매우 작은 제어 토크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약한 전기적 선형 구동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의하여 매우 단순한 방법으로 제어몸체의 각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몸체는 적어도 일단부에 슬롯형 노즐의 측면벽에 구비된 원형의 구멍에 삽입되는 원형의 밀봉용 플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는 오-링(O-Ring)에 의하여 밀봉된다. 상기 원형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어몸체가 노즐 채널에 축방향으로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원형의 구멍은 충분히 커야하며, 이로써 상기 제어몸체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채널의 바닥면과 상면은 물론 제어몸체의 표면에 플라즈마 코팅을 하여 내마모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몸체의 표면은 단순한 형태의 볼록면이기 때문에, 제어몸체 표면의 코팅은 특히 반영구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 헤드는 슬롯형 노즐이 배치된 전면부에 수조(Water Supply Box)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홀타입 노즐들을 구비한 평판(Field of Hole Type Nozzles)을 상기 슬롯형 노즐 전면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펌핑 세트(Pumping Set)에 의하여 상기 분무 헤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냉각수 압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상기 슬롯형 노즐에 하나의 액츄에이터(Actuator)로서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다르게, 분배 저수조(Distributing Reservoir)에 의하여 상기 분무 헤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냉각수 처리량을 제어하는 장치를 상기 슬롯형 노즐에 하나의 액츄에이터로서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 헤드는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하는 설비와 같이 대용량의 냉각수를 사용하는 입상화 설비에 적용하는 경우에 특히 장점을 가진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 헤드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분무 헤드를 도 3에 2-2 로 표시된 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분무 헤드를 도 2에 3-3 으로 표시된 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헤드의 슬롯형 노즐의 제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분무 헤드(10)는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하기 위한 설비에 사용하고자 발명된 것이다. 상기 분무 헤드(10)의 기능은 액상 슬래그 유동, 예를 들면 슬래그 채널로부터 입상화 수용기 안으로 낙하하는 슬래그 유동 위로 냉 각수를 분무하는 것이다.
도시된 분무 헤드(10)는 가로 방향의 냉각수 공급부(14)와 가로방향의 지지부재(16)을 구비한 수조(Water Supply Box ; 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서 화살표(18)는 냉각수가 배출되는 상기 수조(12)의 전면부를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상기 냉각수의 일부는 상기 수조 전면부(18)의 상반부에 위치한 다수의 홀타입 노즐들을 구비한 평판(Field of Hole Type Nozzles ; 20)을 통하여 배출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수조 전면부(18)의 하반부에 위치한 슬롯형 노즐(Slotted Nozzle ; 22)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슬롯형 노즐(22)은 바닥면(Floor Surface ; 28), 상면(Top Surface ; 30) 및 두 개의 측면(32, 34)에 의하여 각각 상방과 하방 및 측방이 제한되는 직사각형 단면의 유출구를 가진 노즐 채널(Nozzle Channel ; 26)에 위치한 소켓 부재(Socket Piece ; 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모든 면들(28, 30, 32, 34)은 슬래그 입자의 마멸작용에 대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보호되기 위하여 플라즈마 코팅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소켓 부재(24)가 교환가능한 부품으로 설계된 점과 상기 수조(12)에 플랜지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슬롯형 노즐(22)은 상기 노즐 채널(26)의 전길이에 걸쳐 상기 바닥면(28)과 상면(30)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상기 노즐 채널(26)로부터 돌출된 실린더형의 유동 제어몸체(Cylindrical Flow Control Body ; 3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동 제어몸체(36)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타원-실린더형의 유동 제어몸체(Elliptical-Cylindrical Control Body ; 36)는 자신의 중심축(38)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중심축(38)을 포함하는 면과 타원형 단면에서의 단축은 냉각수 유동방향(4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유동 제어몸체(36)가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에 의하여 상기 노즐 채널(26)의 유동단면은 가장 적게 좁아진다. 하부 노즐 슬롯(Lower Nozzle Slot ; 42)은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와 상기 바닥면(28)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부 노즐 슬롯(Upper Nozzle Slot ; 44)은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와 상기 상면(30)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노즐 슬롯(42, 44)을 통하여 상기 소켓 부재(24)로 부터 분출되는 냉각수는 두 개의 평면형태의 제트류를 이룬다.
만일 상기 유동 제어몸체(36)가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자신의 중심축(38)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부 노즐 슬롯(44)은 물론 상기 하부 노즐 슬롯(42)의 높이는 줄어들게 된다. 이를 다른 말로 설명한다면, 상기 노즐 채널(26)의 유동단면이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면적에 따라 줄어든다는 것이다. 상기 중심축(38)을 포함하는 면과 타원형 단면에서의 장축이 냉각수 유동방향(4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면, 즉 다시 말하면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상기 유동 제어몸체(36)가 자신의 중심축(38)에 대하여 90°회전하게 되면, 상기 유동단면은 최소로 된다. 상기 타원형 단면의 장축이 상기 노즐 채널(26)의 높이(H)보다 수 ㎜ 작기 때문에, 상기 유동 제어몸체(36)가 이러한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두 개의 노즐 슬롯(42, 44)은 여전히 조금이라도 개방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열적 및/또는 기계적 영향으로 인하여 소켓 부재(24)가 변형되어도, 상기 슬롯형 노즐(22)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표면에도 플라즈마 코팅이 되어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도 3에서 상기 유동 제어몸체(36)는 양단부 각각에 상기 노즐 채널(26)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54, 56)에 각각 고정되는 베어링 핀(50, 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두 개의 베어링(54, 56)은 상기 소켓 부재(24)의 외측으로부터 나사로 고정되는 부속 플랜지(Attachment Flange ; 58, 60)에 위치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유동 제어몸체(36)는 상기 베어링 핀(50, 52)의 양단부에 상기 소켓 부재(24)의 측벽(26)에 구비된 원형의 구멍에 삽입되고, 오-링에 의하여 밀봉되는 원형의 밀봉 플랜지(Sealing Flange ; 62, 6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 부재(24)의 측벽(26)에 구비된 원형 구멍의 직경이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타원형 단면에서의 장축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두 개의 부속 플랜지(58, 60)를 탈거하면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유동 제어몸체(36)를 상기 노즐 채널(26)로부터 탈거 및 장착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도 3에서 연장 샤프트(70)는 상기 베어링 핀(52)과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장 샤프트(70)는 수조(12)의 외측에서 플랜지(72)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플랜지(72) 외측에 구비된 클랭크(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클랭크(74)는 전기적 선형 구동기(Electric Linear Drive ; 76)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클랭크(74)는 상기 전기적 선형 구동기(76)의 직선운동을 상기 유동 제어몸체(36) 자신의 중심축(38)에 대한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회전각의 증폭량은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잠재된 제어력을 완전히 이용하기 위하여 최소한 90°에 이르러야 한다. 상기 전기적 선형 구동기(76)는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형상과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에 의한 지지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압을 극복하기 위한 제어 토크가 작아도 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 전기적 선형 구동기(76) 대신에 공기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도 당연히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회전 구동기(Rotary Drive)에 의하여도 상기 유동 제어몸체(3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기는, 예를 들면 전기적 스텝핑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전기적 선형 구동기(76)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각위치를 정확히 조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타원형의 단면은 냉각수의 난류에 작은 영향만을 미친다는 점도 강조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분무 헤드(10)에서 냉각수에 대한 전체적인 압력 손실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점 뿐만이 아니라, 냉각수가 흐르는 표면부에서의 슬래그 입자에 의한 마멸 효과가 현저히 감소한다는 점도 의미한다.
도 4는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제어 각도에 대한 상기 슬롯형 노즐(22)에서의 유동량을 도시한 것이다. 제어 각도 0°란 상기 중심축(38)을 포함하는 면과 타원형 단면에서의 장축이 냉각수 유동방향(4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 각도 90°란 상기 중심축(38)을 포함하는 면과 타원형 단면에서의 단축이 냉각수 유동방향(4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도 4는 유동 제어몸체(36)의 타원형 단면에서의 단축에 대한 장축의 비율을 대략 0.76으로 설정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축직경의 비율에 따라 슬롯형 노즐(22)의 제어 시스템의 특성이 결정된다. 이러한 축직경의 비율은 0.50 내지 0.95 사이값으로 해야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제어각도 20°와 70°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제어 각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유동량이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만일 상기 분무 헤드(10)가 펌핑 세트에 의하여 냉각수를 직접 공급받는 경우에는, 수조(12)에서 측정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각위치를 조절하도록 제어 시스템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에 의하면, 상기 수조(12)의 압력을, 예를 들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무 헤드(10)에서의 냉각수의 처리량은 펌핑 세트에 의한 슬러거(Slugger) 처리량의 제어에 의하여 결정된다.
만일 상기 분무 헤드(10)가 일정한 압력으로 냉각수를 공급받는 경우, 예를 들면 분배 저수조(Distributing Reservoir)에 의하는 경우에는, 냉각수 처리량을 제어하는 장치를 상기 슬롯형 노즐에 하나의 액츄에이터(Actuator)로서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아래로는 바닥면(28), 위로는 상면(30) 및 옆으로는 두 개의 측면(32, 34)에 의하여 각각 제한되는 직사각형 단면의 유출구를 가진 노즐 채널(26)을 구비한 슬롯형 노즐(22); 및 노즐 슬롯의 높이를 제한하는 상기 두 개의 측면(32, 3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 채널(26) 내에 위치하며, 상기 노즐 슬롯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세로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장방형의 유동 제어몸체(36);로 이루어지는 입상화 설비에 사용되는 분무 헤드(10)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어몸체(36)는 타원형의 단면과 중심축(38)을 구비한 실린더형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형 몸체를 상기 바닥면(28)과 상면(30)의 중간부분에 배치하고 상기 중심축(38)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노즐 슬롯(42, 4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단면은 단축과 장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축 대 장축의 비율이 0.50 내지 0.95 사이의 값을 갖는 분무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채널(26)은 상기 타원형 단면의 장축보다 큰 높이(H)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두 개의 노즐 슬롯(42, 44)이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분무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양단부에, 상기 노즐 채널(26)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노즐 채널(26)의 외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베어링 핀(50, 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무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베어링 핀(5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클랭크(74); 및
    상기 클랭크(74)와 연결되어 자신의 직선운동을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중심축(38)을 통한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리프팅 구동기(7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무 헤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제어몸체(36)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단부에 상기 슬롯형 노즐(22)의 측벽에 구비된 원형의 구멍으로 삽입되는 원형의 밀봉 플랜지(62, 64)와 이를 밀봉하는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 구멍의 직경이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타원형 단면에서의 장축보다 크도록 이루어져 상기 유동 제어몸체(36)를 상기 원형의 구멍을 통하여 제각기 상기 노즐 채널(26) 안으로 축방향 삽입할 수 있거나 상기 노즐 채널(26)로부터 축방향 탈거할 수 있는 분무 헤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채널(26)의 바닥면(28)과 상면(30)은 물론 상기 유동 제어몸체(36)의 표면이 플라즈마 코팅된 분무 헤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부에 상기 슬롯형 노즐(22)이 배치되는 수조(12)와 상기 슬롯형 노즐(22)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홀타입 노즐들을 구비한 평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헤드에서의 냉각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형 노즐(22)이 액츄에이터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통합된 분무 헤드.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헤드에서의 냉각수 유동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형 노즐(22)이 액츄에이터로서 상기 제어장치에 통합된 분무 헤드.
KR1020057009412A 2002-11-25 2003-11-20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하는 장치에서의 분무 헤드 KR100940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26157A EP1422299B1 (de) 2002-11-25 2002-11-25 Spritzkopf für eine Granulierungsanlage
EP02026157.4 2002-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811A KR20050086811A (ko) 2005-08-30
KR100940168B1 true KR100940168B1 (ko) 2010-02-03

Family

ID=3218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412A KR100940168B1 (ko) 2002-11-25 2003-11-20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하는 장치에서의 분무 헤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7389953B2 (ko)
EP (1) EP1422299B1 (ko)
JP (1) JP4235616B2 (ko)
KR (1) KR100940168B1 (ko)
CN (1) CN1314493C (ko)
AR (1) AR041241A1 (ko)
AT (1) ATE291642T1 (ko)
AU (1) AU2003300570A1 (ko)
BR (1) BR0314901B1 (ko)
CA (1) CA2502507C (ko)
DE (1) DE50202568D1 (ko)
ES (1) ES2237647T3 (ko)
PL (1) PL202187B1 (ko)
RO (1) RO123180B1 (ko)
RU (1) RU2301268C2 (ko)
TW (1) TWI248835B (ko)
UA (1) UA80172C2 (ko)
WO (1) WO2004048617A1 (ko)
ZA (1) ZA2005029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91626B1 (en) 2009-12-03 2011-06-06 Wurth Paul Sa Installation and method for processing molten material produced by a metallurgical plant, in particular for processing blast furnace slag
LU91765B1 (en) 2010-12-14 2012-06-15 Wurth Paul Sa Steam condensation tower for a granulation installation
LU91766B1 (en) 2010-12-15 2012-06-18 Wurth Paul Sa Granulation of metallurgical slag
JP6189200B2 (ja) * 2013-12-13 2017-08-30 日新製鋼株式会社 吹製装置
LU92891B1 (en) 2015-12-01 2017-06-20 Wurth Paul Sa Steam condensation system for a granulation install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4974A (en) * 1981-10-19 1985-01-22 B.H.F. (Engineering) Ltd. Forehearth for conditioning glass
DE4032518C1 (en) * 1990-10-12 1992-01-30 Heinrich 4130 Moers De Buddenberg Spray head for granulating liq. blast furnace slag - has flat nozzle with slot matching width of slag stream and adjustable in heigh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4142A (en) * 1968-06-05 1971-07-20 Nat Slag Ltd Processes for the pelletization of metallurgical slag
US3630453A (en) * 1970-02-20 1971-12-28 United States Steel Corp Adjustable elongated spray nozzle
US3878991A (en) * 1974-02-14 1975-04-22 Gen Foods Corp Steam nozzle
LU83768A1 (fr) * 1981-11-18 1983-09-01 Wurth Paul Sa Procede et installation de granulation de laitier
AU672698B2 (en) * 1993-06-30 1996-10-10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Apparatus for water-granulating slag
JP3440534B2 (ja) * 1994-03-03 2003-08-25 株式会社デンソー 流体噴射ノズル
US5388285A (en) * 1994-04-18 1995-02-14 Belniak; Alfred J. Swimming pool waterfall
US6000242A (en) * 1996-05-31 1999-12-14 Kennecott Holdings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process of water granulating matte or slag
YU62099A (sh) * 1997-05-30 2000-12-28 Kennecott Holdings Corporation Uređaj i postupak za granulaciju vodom zgure ili šljake
RU2213627C2 (ru) * 1997-11-14 2003-10-10 Конкаст Штандард Аг Щелевое сопло для орошения охлаждающей жидкостью изделия, полученного способом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CN2420077Y (zh) * 1999-11-23 2001-02-21 宏迎工业股份有限公司 连接轴件的改良成型模具
JP2001220186A (ja) * 2000-02-08 2001-08-14 Nisshin Steel Co Ltd 水砕スラグ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4974A (en) * 1981-10-19 1985-01-22 B.H.F. (Engineering) Ltd. Forehearth for conditioning glass
DE4032518C1 (en) * 1990-10-12 1992-01-30 Heinrich 4130 Moers De Buddenberg Spray head for granulating liq. blast furnace slag - has flat nozzle with slot matching width of slag stream and adjustable in h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91642T1 (de) 2005-04-15
BR0314901B1 (pt) 2011-11-16
US20060060682A1 (en) 2006-03-23
AU2003300570A1 (en) 2004-06-18
AR041241A1 (es) 2005-05-11
RU2005120151A (ru) 2006-02-20
PL375622A1 (en) 2005-12-12
DE50202568D1 (de) 2005-04-28
PL202187B1 (pl) 2009-06-30
TWI248835B (en) 2006-02-11
TW200408454A (en) 2004-06-01
CA2502507C (en) 2011-01-04
ES2237647T3 (es) 2005-08-01
RO123180B1 (ro) 2011-01-28
JP2006507407A (ja) 2006-03-02
CA2502507A1 (en) 2004-06-10
CN1314493C (zh) 2007-05-09
WO2004048617A1 (de) 2004-06-10
UA80172C2 (en) 2007-08-27
US7389953B2 (en) 2008-06-24
EP1422299B1 (de) 2005-03-23
RU2301268C2 (ru) 2007-06-20
BR0314901A (pt) 2005-08-02
KR20050086811A (ko) 2005-08-30
CN1502704A (zh) 2004-06-09
EP1422299A1 (de) 2004-05-26
JP4235616B2 (ja) 2009-03-11
ZA200502984B (en)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4814A (en) Rotary sprinklers
KR100940168B1 (ko) 용광로 슬래그를 입상화하는 장치에서의 분무 헤드
US4609145A (en) Pesticide spraying apparatus
KR20000067895A (ko) 절삭 공구의 절삭 헤드에 의해 생성된 칩을 제거하기 위한
EP2950906B1 (en) Sieve box and adjustable nozzle assembly
ATE407269T1 (de) Fluidspritzvorrichtung
EP0863803B1 (en) Rotary sprinkler without dynamic seals
KR850004183A (ko) 물 분산 장치
KR20060055923A (ko) 비산금속의 제거장치
KR20180082987A (ko) 냉각수 회전분사식 냉각탑
US20040027913A1 (en) Mixing apparatus
JPH0744924U (ja) はんだづけ装置
CN110126470A (zh) 喷头清洗装置及打印机
CN220072130U (zh) 喷头清理机构和保粮微喷机
GB2094181A (en) Rotating sprinkler
KR200213002Y1 (ko) 회전식 냉각수 비산방지 장치가 장착된 냉각탑
KR200188299Y1 (ko) 자동차의와셔액분사노즐
SU1266718A1 (ru) Сопло дл подачи смазочно-охлаждающей жидкости
SU1382500A1 (ru) Ротационный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веерного типа
KR20240036830A (ko) 회전 노즐 모듈
JPH11165792A (ja) 粉粒体貯留槽
JP2000171154A (ja) 縦型攪拌乾燥装置
KR101038920B1 (ko) 수차형 에칭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에칭시스템
CN117884642A (zh) 一种铜粉雾化用喷盘装置
EP0216055B1 (en) Flow deviating device of a static sprink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