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121B1 -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121B1
KR100939121B1 KR1020070040036A KR20070040036A KR100939121B1 KR 100939121 B1 KR100939121 B1 KR 100939121B1 KR 1020070040036 A KR1020070040036 A KR 1020070040036A KR 20070040036 A KR20070040036 A KR 20070040036A KR 100939121 B1 KR100939121 B1 KR 10093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ormwork
pattern
front pla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487A (ko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유)선일건설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일건설,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유)선일건설
Priority to KR102007004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1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3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using gas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은 타설 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표면에 음각과 양각으로 이루어진 문양 형성부를 가진 전면판과,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전면판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 및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측면결합부와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을 구비한다.
사출금형, 진공, 캐비티, 변형.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panel for concrete structure and mold for injection molding the sam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거푸집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 거푸집의 측면도로서 절고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도 5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에 문양이 형성들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일부절제 정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배면도.
본 발명은 거푸집과 이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표면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건물의 벽체나 바닥은 규격화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거푸집은 통상적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규격화 된 거푸집을 사용하는 경우 거푸집의 높이가 건물의 층고와 부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현재 아파트 층간 소음 방지 또는 기타 목적을 위하여 건물의 층고가 다양하게 변동되고, 또한 벽체가 곡면 또는 각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므로 규격화 된 거푸집 만을 이용하면 위와 같은 다양한 설계사항을 만족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 시 건축물의 외벽에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된 문양의 형성이 일반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거푸집의 다양한 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52667호에는 문양거푸집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양거푸집은 옹벽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배근된 철근의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옹벽거푸집의 일측에 문양거푸집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시공과 동시에 외벽에 돌출 된 조형물을 형성하고,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되면 거푸집 해체와 동시에 해체되고, 표면에 도장 처리하여 마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옹벽거푸집 내부에 문양거푸집을 2중으로 시공함으로서,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0241681호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형처리용 형틀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9-132848호에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용 석적모양형틀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152667호에는 문양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 0229799호에는 무늬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등록 제 0420401호에는 칼라 무늬 필름 문양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 등록 제 0546816호에는 건축용 조립식 문양거푸집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 출원 제 2003-0059717호에는 콘크리트용 문양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콘크리트용 문양 거푸집은 사각박스형태의 형틀체에 소망하는 모양으로 음각을 하기 위한 수지부재를 소정 깊이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형틀체의 내부 바닥에 연결간이 삽입 관통하여 그 외측으로 돌출된 나사부에 고정구가 체결될 수 있게 연결관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형틀체의 후방 양측에 두 형틀체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다수 형성된다.
개시된 콘크리트용 문양 거푸집은 음각 또는 양각된 수지부재를 형틀체에 결합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형틀체에 수지부재의 결합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형틀체의 분리 시 수지부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형틀채에 수재부재의 위치가 어긋나게 부착되는 경우 건축 구조물의 표면에 형성된 문양이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문양의 형성 시 별도의 문양패널을 부착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코너부와 아웃 코너부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콘크리트 성형시 문향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을 위한 타설 시 문양이 형성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문양거푸집을 제공함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은 타설 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표면에 음각과 양각으로 이루어진 문양 형성부를 가진 전면판과,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전면판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 및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측면결합부와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거푸집 성형용 사출금형은 타설 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표면에 음각과 양각으로 이루어진 문양 형성부를 가진 전면판과,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전면판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 및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측면결합부와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보강부재를 구비하여 된 거푸집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의 전면판부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의 일부를 이루는 음각 또는 양각되어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성형부를 가지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형합되어 상기 전면판부의 성형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절곡부와 보강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공간을 구획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거푸집의 전면판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결합부와 상하부 결합부의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을 구획하는 코어들과,
상기 상부금형에 설치되어 상하부 금형의 형분리 시 상기 코어들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어분리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부금형의 절곡부 형성부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돌기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는 수지의 공급 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캐비티에 고압의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공급통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이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형틀의 제조 시 코너부, 규격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영역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성형시 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거푸집(1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타설 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20)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과 양각으로 이루어진 문양 형성부(100)가 형성된 전면판(11)과, 상기 절곡부(20) 이외의 전면판(11)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12)(13) 및 상하부 결합부(14)(15)와, 상기 측면 결합부(12)(13)와, 상기 전면판(11)의 배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17)를 구비한다.
상기 전면판(11)은 규격화 된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양 측면 결합부(12)(13)와 상하부 결합부(14)(15)에는 각각 복수개의 결합구멍(12a)(13a) (14a)(15a)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면 결합부(12)(13) 및 상하부 결합부(14)(15)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0)를 경계로 한 상하부 결합부(14)(15)의 단부 및 보강부(17)의 단부(17a)는 경사지게 설치되어 절곡부(20)의 절곡 시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절곡부(20)는 본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면판(11)을 소정의 각도로 절곡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절곡부(20)는 이를 경계로 하여 양측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절곡부(20)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21)그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0)는 길이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단일의 곡율을 가지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문양형성부(100)는 전면판에 음각 또는 양각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 동물, 격자, 다각뿔, 주름진 형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스트립상으로 음각 또는 양각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문양형성부(10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문양 형성부는 구조적 강도가 약화되지 않은 범위내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문양 형성부가 형성된 거푸집를 용융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의 일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0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출금형(50)은 상부 고정판(51)의 하면에 고정되며 거푸집의 전면판(11)을 형성하기 위한 캐비티의 일부를 이루며 문양성형부(200)를 가지는 상부금형(52)과, 상기 상부금형(52)과 형합되어 상기 전면판(11)의 성형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절곡부(20)와 보강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공간을 구획하며 하부 고정판(53)에 설치되는 하부금형(54)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금형(52)과 하부금형(54)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 하부금형(52)(54)과 같이 상기 거푸집의 전면판(11)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12,13)와 상하부 결합부(14,15)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공간부를 구획하는 코어(55)(56)들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금형에 설치되어 상하부 금형의 형분리 시 상기 코어(55)(56)들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어분리수단(70)을 구비한다.
상기 문양성형부(200)는 전면판(11)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금형(52)의 내면에 음각 또는 양각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문양형성부(1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문양성형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음각 또는 양각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판(51)에는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런너(57)와 연결되는 스프루 부쉬(5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금형(52)과 결합되는 하부 금형(54)은 거푸집의 배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것으로, 상면에 보강부(17)를 형성하기 하기 위한 인입부(59)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절곡부(20)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돌기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55)(56)들은 거푸집의 측면결합부(12)(13)와 상하 결합부(14)(15)에 형성된 관통공(12a)(13a)을 형성하기 위한 관통공 형성돌기(55a)(56a)가 형성되고 측벽결합부(12)(13) 및 상하결합부(14)(15)의 상하 단부측이 돌출된 턱을 형성하기 위한 인입테두리부(미도시)가 상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코어(55)(56)는 하부금형(54)에 대한 상부금형(52)의 형분리 시 코어분리수단(70)에 의해 후퇴되는데, 이 코어분리수단(70)은 상부 금형(52)에 경사지게 지지되며 각각의 코어(55)(56)에 형성된 가이드 홈(71)과 결합되는 분할핀(72)을 구비한다. 상기 형분리수단(70)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부금형(52)과 하부금형(54)의 형분리 시 코어(55)(56)를 후퇴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데,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후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금형(52)과 하부금형(54)의 적어도 일측에는 수지의 공급 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캐비티에 고압의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수단(80)을 더 구비한다.
가스 주입수단(80)은 상기 상,하부 금형(52)(54)의 적어도 일측에 가스 공급통로(81)가 형성되고, 이 가스공급통로(81)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가스의 공급은 압축기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관에는 가스를 공급을 단속 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된다. 도면부호 91은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이젝트 핀이며, 92는 이젝트 핀들이 지지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문양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활면, 내측코너부 또는 외측 코너부에 적용함으로 써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타설시 표면에 소정 형상의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의 문양거푸집은 상기 절곡부(20)를 경계로 하여 전면판(11)을 소정의 각도(코너부가 이루는 각도)로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문양형성부의 형성에 따른 제약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이 별도의 문양형성을 위한 부재를 거푸집에 부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건축 구조물의 문양 형성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을 통하여 문양이 형성되는 상태를 관찰 할 수 있으므로 문양의 형성분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와 같은 이와 같은 문양 거푸집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하부금형(52)(54)을 형합함으로써 상, 하부금형(52)(53)과 코어(55)(56)들에 의해 거푸집을 형성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용융된 수지를 상기 스프루부쉬(57)과 런너(58)를 이용하여 상기 캐비티에 주입하여 거푸집(10)을 성형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부금형에는 문양 성형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성형되는 거푸집에 일체로 문양형성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거푸집의 전면 또는 배면에서 압축기체를 가스공급통로(81)를 통하여 캐비티 측으로 주입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는 동안 주입한다. 따라서 상하부 금형(52)(54)의 내면에 냉각을 위해 설치된 워터 자켓(미도시)에 의해 수지가 냉각되는 동안 그 형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냉각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이 완료되면 상하부 금형(52)(54)이 형분리되고, 이잭트핀(91)이 지지된 플레이트(92)가 상승함으로써 제품이 추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표면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를 거푸집의 표면에 부착함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형분리 시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가 손상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박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문양 거푸집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 시 문양이 형성되는 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어 문양이 왜곡되거나 불량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거푸집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은 문양 거푸집을 대량 생산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문양 거푸집의 단가를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타설 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길이 방향으로 배면에 하나 이상의 그루부를 가진 절곡부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과 양각으로 이루어진 문양 형성부를 가진 전면판과,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전면판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부 및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측면결합부와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보강부재를 구비하여 된 거푸집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의 전면판부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의 일부를 이루는 음각 또는 양각되어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성형부를 가지는 상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형합되어 상기 전면판부의 성형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절곡부와 보강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공간을 구획하는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거푸집의 전면판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측면결합부와 상하부 결합부의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을 구획하는 코어들과,
    상기 상부금형에 설치되어 상하부 금형의 형분리 시 상기 코어들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어분리수단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어 수지의 공급 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캐비티에 고압의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 주입수단은 상기 상하부 금형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가스 공급통로와, 상기 가스공급통로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압축기, 및 상기 연결관에 마련되어 가스를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거푸집용 사출금형.
KR1020070040036A 2007-04-24 2007-04-24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 KR100939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036A KR100939121B1 (ko) 2007-04-24 2007-04-24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036A KR100939121B1 (ko) 2007-04-24 2007-04-24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487A KR20080095487A (ko) 2008-10-29
KR100939121B1 true KR100939121B1 (ko) 2010-01-28

Family

ID=4015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036A KR100939121B1 (ko) 2007-04-24 2007-04-24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275A (ko) 2016-05-11 2017-11-21 장동국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404Y1 (ko) * 2003-04-22 2003-07-31 박병태 복수의 보강테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건축용 거푸집
KR100668373B1 (ko) * 2006-02-08 2007-01-12 (유)선일건설 유로폼
KR100685682B1 (ko) * 2006-01-09 2007-02-26 주식회사 대구프라스틱 농산물박스 사출금형용 탈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404Y1 (ko) * 2003-04-22 2003-07-31 박병태 복수의 보강테를 갖는 합성수지제의 건축용 거푸집
KR100685682B1 (ko) * 2006-01-09 2007-02-26 주식회사 대구프라스틱 농산물박스 사출금형용 탈형장치
KR100668373B1 (ko) * 2006-02-08 2007-01-12 (유)선일건설 유로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7275A (ko) 2016-05-11 2017-11-21 장동국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487A (ko)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2817A (en) Form liner and method for forming concrete panels with artistic relief patterns
CN101417484A (zh) 一种砼填充芯模用成型模具
KR20080006425U (ko) 콘크리트 패널 성형장치
KR10093912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
KR10073515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거푸집 및이의 사출금형
KR101856451B1 (ko) 케이슨 구축용 내벽 거푸집 장치
KR102341776B1 (ko) 옹벽용 pc패널유닛 제작을 위한 건식콘크리트를 진동에 의해 자동화생산이 가능한 개량형 거푸집 구조
KR1009391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KR20100037342A (ko) 건물 저층 외벽용 문양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CN214419115U (zh) 一种用于制作空心楼板中活动芯肋的模具
WO2014049069A1 (en) Shrinkable core for forming hollow precast load bearing wall panels
KR102630162B1 (ko) 박육 주조품 설계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박육 주조품
CN114232475B (zh) 桥梁道路中间混凝土栏杆立柱
CN216031502U (zh) 一种榫槽造型模、公模组件及模具
CN219522471U (zh) 一种可循环的装配式建筑定型工具
CN220080776U (zh) 一种墙垛结构门垛浇筑模板
CN218970848U (zh) 一种转角用围墙立柱结构
JP2007261124A (ja) コンクリート成型品用の型枠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型枠装置
JPH04348907A (ja) コンクリート成型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型枠
CN215702631U (zh) 一种内卡固建筑用烟道浇筑成型模具
CN215471900U (zh) 一种围护桩成型模具
CN112388808A (zh) 一种用于制作空心楼板中活动芯肋的模具及其应用
JPH086950Y2 (ja) コンクリート面成形材
US6247222B1 (en) Process for casting a plastic die
JPH04191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