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122B1 -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122B1
KR100939122B1 KR1020070136863A KR20070136863A KR100939122B1 KR 100939122 B1 KR100939122 B1 KR 100939122B1 KR 1020070136863 A KR1020070136863 A KR 1020070136863A KR 20070136863 A KR20070136863 A KR 20070136863A KR 100939122 B1 KR100939122 B1 KR 10093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ent
support
support plat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025A (ko
Inventor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유)선일건설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일건설,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유)선일건설
Priority to KR102007013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1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hich are collapsible, foldable, or able to be rolled u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거푸집은 타설 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길이 방향으로 절곡부를 가진 제 1,2지지판부를 가진 본체와,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제 1지지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측면 결합부 및 제1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제 2지지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측면 결합부 및 제2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제1,2지지판의 배면에 각각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는 제1,2보강리브들과, 엇갈리게 형성된 제1,2보강리브에 설치된 상기 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제 1,2지지판부의 절곡상태를 위치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거푸집은 콘트리트 건축물의 건축 시 인코너부에 설치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거푸집, 인코너, 콘크리트 건축물, 절곡,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a mold for constructing in-corner of concrete build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인코너 부위를 성형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정 및 타설 된 콘크리트의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건물의 벽체나 바닥은 규격화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거푸집은 통상적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규격화 된 거푸집을 사용하는 경우 거푸집의 높이가 건물의 층고와 부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현재 아파트 층간 소음 방지 또는 기타 목적을 위하여 건물의 층고가 다양하게 변동되고, 또한 벽체가 곡면 또는 각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므로 규격화 된 거푸집 만을 이용하면 위와 같은 다양한 설계사항을 만족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특히 규격화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건축물의 코너부에 사용하는 경우, 거푸집이 코너부의 양측면에 끼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규격화된 거푸집 자체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거푸집의 해체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원활한 탈형이 이루어지지 않아 거푸집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1999-019569호에는 절곡이 자유로운 합성수지 거푸집 패널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 0175341호에는 거푸집용 패널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동 0408508호에는 거푸집 인코너용 마감재가 개시되어 있으며, 동 0298106호에는 거푸집의 패널 사이를 매우는 스페이서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인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코너부와 평면부에 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을 개량하여 특허출원 제 2007-0040036호로 출원한 바 있다. 그리고 이러한 거푸집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후속출원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 시 건축물의 외벽에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된 문양의 형성이 일반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거푸집의 다양한 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52667호에는 문양거푸집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양거푸집은 옹벽 콘크리트를 타설 하기 전에 배근된 철근의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옹벽거푸집의 일측에 문양거푸집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시공과 동시에 외벽에 돌출 된 조형물을 형성하고,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되면 거푸집 해체와 동시에 해체되고, 표면에 도장 처리하여 마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옹벽거푸집 내부에 문양거푸집을 2중으로 시공함으로서,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0241681호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형처리용 형틀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59-132848호에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진 콘크리트용 모양형틀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152667호에는 문양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 0229799호에는 무늬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등록 제 0420401호에는 칼라 무늬 필름 문양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 등록 제 0546816호에는 건축용 조립식 문양거푸집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양거푸집은 인 코너부의 문향 형성 시 인 코너부 양측에 각각 문양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코너부에 설치된 문양 거푸집은 분리 시 성형된 문양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 코너부의 성형 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양측면이 인 코너부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활면을 성형 시 보강부재에 의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은 타설 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길이 방향으로 절곡부를 가진 제 1,2지지판부를 가진 본체와,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제 1지지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측면 결합부 및 제1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제 2지지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측면 결합부 및 제2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제1,2지지판의 배면에 각각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는 제1,2보강리브들과,
상기 엇갈리게 형성된 제1, 2보강리브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제 1,2지지판부의 절곡상태를 위치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제 1,2보강리브의 단부측에 각각 형성된 제 1,2관통공과 제 1,2관통공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제1보강부재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제 2보강부재에 걸림훅이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은 인코너부에 적용 시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뛰어나고, 나아가서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거푸집의 구조적 강도를 높여 분리 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축 구조물을 타설시 평활면의 지지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형틀의 제조 시 인 코너부, 규격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영역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할 때에 인 코너부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1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타설 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1)가 형성되며 이 절곡부(11)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되는 제 1,2지지판부(12)(13)를 가지는 본체(14)를 구비한다. 상기 절곡부(11)는 상기 본체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본체(14)의 제 1,2지지판부(12)(13)가 절곡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곡부(11)는 절곡 시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2지지판부(12)(13)의 걸곡부(11)가 시작되는 가장자리로부터 제1,2지지판부(12)(13)의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속되는 곡율을 갖도록 인입됨으로써 형성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제 1지지판부(12)의 배면에는 상기 절곡부(11) 이외의 제 1지지판부(12)의 수직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측면 결합부(15)와 수평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상하부 결합부(16)(1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제 2지지판부(13)의 배면에는 상기 절곡부(11) 이외의 제 2지지판부(12)의 수직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측면 결합부(18)와 수평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상하부 결합부(19)(21)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측면결합부(15)(18) 및 제 1,2상하부결합부(16)(17),(19)(21)에는 인접하는 거푸집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4)의 제 1,2지지판부(12)(13)의 배면에는 각각 제 1,2보강리브(22)(23)들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1보강리브(22)는 상기 제 1 상하부 결합부(16)(17)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보강리브(23)는 상기 제 2상하 결합부(19)(21)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보강리브(22)(2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에 의한 본체(14)의 절곡 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호 엇갈리게 위치된다.
한편, 상기 엇갈리게 형성된 제1,2보강리브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제 1,2지지판부(12)(13)의 절곡상태를 위치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30)이 구비된다. 이 위치 고정수단(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보강리브(22)(23)의 단부 측에 각각 제 1,2관통공(31)(32)이 형성되고, 이 제 1,2관통공(31)(32)에 결합되어 제 1,2보강리브(22)(23)의 단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33)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재(33)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2보강부재(31)(32)의 단부를 상호 결합하여 제 1,2지지판부(12)(13)의 절곡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제1보강부재(22)에 걸림홈(3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35)과 대응되는 제 2보강부재(23)에 걸림홈(25)에 걸리는 걸림훅(36)이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1상하 결합부(16)(17)와 제 2상하결합부(19)(21) 및 상기 제 제 1,2보강리브(22)(23)들의 단부에는 상기 거푸집(10)의 본체가 절곡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푸집(10)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바 지지부(40)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보강바 지지부(40)는 상기 제 1상하 결합부(16)(17)와 제 2상하결합부(19)(21) 및 상기 제 1,2보강리브(22)(23)들의 단부에 보강바(10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부(41)(42)와, 상기 측면 지지부(41)의 하부으로부터 절곡부(11)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바(100)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하면 지지부(43)를 구비한다. 사기 보강바(100)는 단면이 사각인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보강바가 원형의 파이프인 경우 상기 측면지지부와 하면 지지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2보강리브(22)(23)의 상호 대응되는 가장자리 또는 제 1,2상부결합부 또는 제 1,2하부결합부의 상호 대응되는 가장자리에는 절곡부(11)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는 제 1,2지지판(12)(13)의 절곡 각도를 한정하는 각도 한정부(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각도 한정부(60)는 제 1,2상부 결합부(16)(19)에 각각 형성되어 절곡 시 상호 접촉되어 절곡 각도를 한정하는 제 1,2스토퍼(61)(6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지지판부(12)(13)의 전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 시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 형성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전면판에 음각 또는 양각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꽃, 동물, 격자, 다각 뿔, 주름진 형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스트립 상으로 음각 또는 양각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문양형성부(20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문양 형성부는 구조적 강도가 약화되지 않은 범위내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은 인 코너부 또는 아웃코너부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절곡부(11)를 경계로 하여 절곡하여 제 1,2지지판부(12)(13)가 소정의 각도(코너부가 이루는 각도) 이루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절곡부(11)는 제 1,2지지판부(12)(13)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절곡 시 절곡부(11)를 가열하여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본체(14)를 절절곡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절곡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2보강리브(22)(23)는 엇갈린 상태로 중첩는데, 이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위치고정수단(30)의 제 1,2관통공 (31)(32)에 체결부재(33)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형틀의 제조 시 인 코너부에 설치한다. 이러한 설치는 규격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영역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시공할 때에 형성하고자 하는 인코너부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시공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인 코너부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평활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4)의 제 1,2지지판부(12)(13)가 설치된 상기 보강바를 절곡부(11)가 형성된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한다. 이 때에 상기 보강바(100)는 보강바 지지부(40)의 측면지지부(41)(42)와 하면 지지부(4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보강바(100)가 흔들리거나 거푸집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은 건축구조물의 인 코너부에 사용되는 거푸집의 절곡부 즉, 복수개의 그루부를 가지는 거푸집을 성형함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이고 불량 발생율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하는 모든 건축 구조물의 건축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절곡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위치 고정부의 발췌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거푸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Claims (5)

  1. 타설 된 콘크리트를 지지하며 길이 방향으로 절곡부를 가진 제 1,2지지판부를 가진 본체와,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제 1지지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측면 결합부 및 제1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절곡부 이외의 제 2지지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측면 결합부 및 제2 상하부 결합부와,
    상기 제1,2지지판의 배면에 각각 상호 엇갈리게 형성되는 제1,2보강리브들과,
    상기 엇갈리게 형성된 제1,2보강리브에 설치되고, 상기 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제 1,2지지판부의 절곡상태를 위치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제1보강부재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제 2보강부재에 걸림훅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용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하 결합부와 제 2상하결합부 및 상기 제 1,2보강부재들의 단부에는 상기 거푸집의 본체가 절곡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하는 보강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보강바 지지부는 상기 제 1상하 결합부와 제 2상하결합부 및 상기 제 제 1,2보강부재들의 단부에 형성되어 보강바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의 하부로부터 절곡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강바의 하면부를 지지하는 하면 지지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용 거푸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보강리브, 제 1,2상부결합부, 제1,2하부결합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절곡부에 의해 절곡되는 제 1,2지지판부의 각도를 한정하는 각도 한정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KR1020070136863A 2007-12-24 2007-12-24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KR10093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63A KR100939122B1 (ko) 2007-12-24 2007-12-24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863A KR100939122B1 (ko) 2007-12-24 2007-12-24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025A KR20090069025A (ko) 2009-06-29
KR100939122B1 true KR100939122B1 (ko) 2010-01-28

Family

ID=4099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863A KR100939122B1 (ko) 2007-12-24 2007-12-24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726B1 (ko) * 2018-10-29 2020-04-0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목적 합성수지 거푸집
KR102095725B1 (ko) * 2018-10-25 2020-04-0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목적 합성수지 거푸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4718U (ko) * 1973-11-07 1975-06-30
JPS6427349U (ko) 1987-08-11 1989-02-16
KR100668373B1 (ko) 2006-02-08 2007-01-12 (유)선일건설 유로폼
KR20070043641A (ko) * 2005-10-20 2007-04-25 최인수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4718U (ko) * 1973-11-07 1975-06-30
JPS6427349U (ko) 1987-08-11 1989-02-16
KR20070043641A (ko) * 2005-10-20 2007-04-25 최인수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KR100668373B1 (ko) 2006-02-08 2007-01-12 (유)선일건설 유로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725B1 (ko) * 2018-10-25 2020-04-0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목적 합성수지 거푸집
KR102095726B1 (ko) * 2018-10-29 2020-04-0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목적 합성수지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025A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741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AU2019203357A1 (en) Prefabricated bathroom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installing the same
KR20190112903A (ko)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KR100668373B1 (ko) 유로폼
KR20090003307U (ko) 걸이형 슬라브 거푸집
KR1009391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KR20200120005A (ko)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KR100918042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200222871Y1 (ko)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101204929B1 (ko) 복강판 콘크리트 합성 전단 벽체
KR101111349B1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KR20190018786A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CN210032600U (zh) 一种可拆卸式止水梁模板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JP3211322U (ja) 型枠補強冶具及び型枠補強冶具セット
KR100945266B1 (ko) 슬래브 건조용 통풍패널
EP3249146B1 (en) An installation comprising a fastening device and method
KR20150119829A (ko) 일체형 돔 구조물 및 축조 방법
JP200914438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の付属部材
KR200435772Y1 (ko) 우레탄 문양 거푸집을 가지는 갱폼
KR102654294B1 (ko)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KR20140130808A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1575201B1 (ko) 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강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