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275A -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 - Google Patents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275A
KR20170127275A KR1020160057706A KR20160057706A KR20170127275A KR 20170127275 A KR20170127275 A KR 20170127275A KR 1020160057706 A KR1020160057706 A KR 1020160057706A KR 20160057706 A KR20160057706 A KR 20160057706A KR 20170127275 A KR20170127275 A KR 20170127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as
individual
vrh
foam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457B1 (ko
Inventor
어석홍
장동국
Original Assignee
장동국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국,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장동국
Priority to KR102016005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5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8Supports for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by fluid pressure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 e.g. using vacuum,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VRH 주형 내에 투입된 주원료를 상기 주형 내에 주입되는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로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와 점결제가 투입되는 개별 금형; 상기 개별 금형 내로 CO2 가스를 유입하도록 연결되는 가스 주입수단; 및 상기 개별 금형 내를 진공상태로 만들도록 연결되는 진공수단을 포함하여,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된 내부의 경량기포재료와 함께 개별 금형이 최종 완제품이 되도록 한 것이며,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양생 속도, 즉 경화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킴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에 상기 개별 금형과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재로 만든 마감재를 적용할 경우 시공성과 안정성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Rapid hardening installation and method of light-weight foamed material using VRH cast}
본 발명은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주원료로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와 점결제의 배합물이 투입되는 개별 금형 내부를 진공수단에 의해 진공상태로 만들고, CO2 가스 주입수단에 의해 CO2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배합물의 액상으로 된 경량기포재료를 고속경화시켜,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재료를 상기 개별 금형과 함께 또는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재료만으로 최종 완제품을 완성시키도록 한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건축물 화재안전사고에 대해 국토교통부에서는 화재방지 대책의 일환으로 건축물 등의 제반 법령을 강화하고 있다. 상기 법령의 주 내용은 건축물 외벽에 불연 또는 준불연 마감재료를 사용해야 하는 대상 건축물 규모를 30층 이상에서 6층 이상의 건축물로 확대되어 강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법령에 따르면 종교시설, 숙박시설, 요양원 등 거주 인원이 많거나 노약자가 이용하는 건축물은 규모와 관계없이 건축물 내부에 난연성 또는 불연성 마감재료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다른 건축자재 대비 불연성, 가스유해성 방지, 경량성, 경제성을 모두 갖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개발하여 방화문 충진재 및 심체, 선박의 내벽 벽체, 상가 건축물의 피난, 강화 규칙에 최적화된 건축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시공성을 테스트하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는 액상이기 때문에 양생하는 시간, 즉 경화되는 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에 따라 성능 면에서 다양한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축자재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제한적이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515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912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량기포재료인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VRH 주형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로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와 점결제인 물유리가 투입되는 개별 금형과 상기 개별 금형에 CO2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수단 및 상기 개별 금형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수단을 포함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를 이용하여 개별 금형에 삽입되는 가스 주입수단에 의해 CO2 가스를 주입하되, 진공수단에 의해 상기 개별 금형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CO2 가스 주입수단의 가스 주입기를 개별 금형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하면서 CO2 가스를 주입하도록 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는, VRH 주형 내에 투입된 주원료를 상기 주형 내에 주입되는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로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와 점결제가 투입되는 개별 금형; 상기 개별 금형 내로 CO2 가스를 유입하도록 연결되는 가스 주입수단; 및 상기 개별 금형 내를 진공상태로 만들도록 연결되는 진공수단을 포함하여,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된 내부의 경량기포재료와 함께 개별 금형이 최종 완제품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개별 금형은 2분할식으로 구성되어, 내부에서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재료가 최종 완제품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스 주입수단은 이동식으로서, CO2 탱크에 연결되는 다굴절 관과 상기 다굴절 관에 연결되어 개별 금형에 삽입되는 가스 주입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진공수단은 이동식의 진공 컴프레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주원료인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와 점결제가 배합물로 저장되는 배합원료 저장소를 더 포함하여, 개별 금형의 진공수단이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되는 상기 배합원료 저장소를 통해 배합물이 상기 개별 금형 내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액상의 경량기포재료는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이고, 상기 점결제는 물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방법은, VRH 주형 내에 투입된 주원료를 상기 주형 내에 주입되는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완성하고자 하는 제품 형상의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개별 금형에 주원료로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와 점결제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개별 금형과 연결되는 진공수단에 의해 개별 금형 내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개별 금형과 연결되는 가스 주입수단에 의해 개별 금형 내에 CO2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경량기포재료를 고속경화시켜, 상기 개별 금형과 함께 최종 완제품을 완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개별 금형을 2분할식으로 구성하여, 개별 금형 내부에서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재료를 최종 완제품으로 완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진공수단은 이동식의 진공 컴프레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CO2 가스의 주입은 CO2 탱크에 연결된 다굴절 관과 상기 다굴절 관에 연결된 가스 주입기로 이루어진 이동식의 가스 주입수단에 의해 상기 가스 주입기를 개별 금형에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CO2 가스의 주입은 개별 금형 내로 삽입된 가스 주입기를 상기 개별 금형의 외부 면까지 인출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액상의 경량기포재료로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상기 점결제로 물유리를 사용하여, 상기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와 물유리가 배합물로 저장되는 배합원료 저장소에 의해 개별 금형 내로 상기 배합물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에 의하면,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양생 속도, 즉 경화속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킴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에 개별 금형과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콘크리트로 만든 마감재를 적용할 경우 시공성과 안정성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 액체 상태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원료 특성을 이용하여 부정형 제품도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난연재 또는 불연재 제품의 발전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 금형 자체를 내부에서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콘크리트와 함께 최종 완제품인 불연성 마감재를 구성함으로써 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에 의한 고속경화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에서 가스 주입수단을 구성하는 가스 주입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고속경화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경량기포재료의 불연성 마감재는 VRH 주형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즉 경량기포재료인 경량기포콘크리트와 점결제인 물유리를 배합한 배합물이 투입된 개별 금형 내에 경화제 역할을 하는 CO2 가스를 주입하여 고속경화시키는 VRH(Vacuum Replacement Hardening) 주형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불연성 마감재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별 금형은 내부에서 고속경화되는 경량기포재료와 함께 불연성 마감재인 최종 완제품이 될 수도 있고, 상기 개별 금형을 분할하여 고속경화된 내부의 경량기포재료만 불연성 마감재인 최종 완제품이 될 수도 있다.
이에 경량기포재료에 의한 불연성 마감재의 제조를 위해 일반적인 VRH 주형과는 다른 고속경화장치를 상기 VRH 주형을 기본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는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인 경량기포콘크리트와 점결제인 물유리가 배합물로 투입되는 개별 금형(1), 상기 개별 금형(1)에 CO2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수단(2) 및 상기 개별 금형(1) 내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수단(3)으로 구성되어,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상기 개별 금형(1) 내에 투입되면, 진공수단(3)인 이동식의 진공 컴프레셔를 상기 개별 금형(1)에 연결하여 내부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진공상태로 만든 후, CO2 탱크(4)에 연결된 가스 주입수단(2)을 상기 개별 금형(1) 내로 삽입하여 CO2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고속으로 양생, 즉 고속경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개별 금형(1)은 주형에 의해 성형하고자 하는 방화문 충진재 및 심체, 선박의 내벽 벽체 등 건축물의 피난, 강화 규칙에 최적화된 건축자재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개별 금형(1)의 소정 부위 한쪽에 가스 주입구(5)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공기 흡입구(6)가 형성되어, 상기 가스 주입구(5)에 이동식의 가스 주입수단(2)이 연결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6)에 진공수단(3)인 이동식의 진공 컴프레셔가 연결된다. 상기 공기 흡입구(6)에는 진공수단(3)이 연결되기 전에 배합원료인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와 물유리가 배합물로 저장되는 배합원료 저장소(7)가 연결되어, 상기 배합원료 저장소(7)로부터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와 물유리의 배합물을 상기 개별 금형(1) 내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개별 금형(1)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을 위해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주입수단(2)은 CO2 탱크(4)에 연결되는 다굴절 관(8)과 상기 다굴절 관(8)에 연결된 장총과 같은 내시경 형태의 가스 주입기(9)로 구성되며, 상기 가스 주입기(9)를 개별 금형(1)에 형성된 가스 주입구(5)에 삽입하여 CO2 가스를 주입하게 된다. 상기 가스 주입기(9)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관(9a)의 한쪽 끝에 손잡이(9b)가 연결되고 방아쇠(9c)가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방아쇠(9c)를 당기면 주입관(9a)의 다른 쪽 끝의 둘레에서 CO2 가스가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스 주입수단(2)의 구성은 하나의 예일 뿐 개별 금형(1)에 CO2 가스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상기 진공수단(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식의 진공 컴프레셔이며, 이러한 진공 컴프레셔에 의해 개별 금형(1) 내의 공기를 완전히 빼내어 진공 상태로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은 진공수단(3)의 구성도 하나의 예일 뿐 개별 금형(1)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에 의해 내부에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재료가 있는 개별 금형(1) 자체가 방화문 등의 최종 완제품이 되어 불연성 마감재로 사용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에 의한 고속경화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별 금형(10)은 금형이 2개로 분할되는 2분할식으로 구성되어 주형에 의해 성형하고자 하는 방화문 충진재 및 심체, 선박의 내벽 벽체 등 건축물의 피난, 강화 규칙에 최적화된 건축자재의 형상을 내부에 음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개별 금형(10)은 내부를 진공 상태로 하기 때문에 2개의 분할된 금형을 결합하여 구성하지만, 분할된 금형이 결합된 개별 금형(10)은 밀실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개별 금형(10)은 2분할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개별 금형(10) 내부에서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재료가 방화문 등의 최종 완제품으로 되고, 이를 불연성 마감재로 사용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VRH 주형을 이용하여 상기 주형 내에 투입된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주형 내에 주입되는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시키는 방법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VRH 주형 내에 투입된 주원료, 즉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와 점결제의 배합물을 상기 주형 내에 주입되는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시키는 방법으로서, 먼저 완성하고자 하는 불연성 마감재 형상으로 된 개별 금형(1)의 내부에 주원료로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인 경량기포콘크리트와 점결제인 물유리의 배합물을 투입하되,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와 물유리의 배합물을 저장해놓은 배합원료 저장소(7)로부터 배합물을 상기 개별 금형(1)에 투입한다.
다음에 상기 개별 금형(1)과 연결되는 진공수단(3)으로 이동식의 진공 컴프레셔에 의해 개별 금형(1) 내의 공기를 완전히 빼내어 제거함으로써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다.
다음에 상기 개별 금형(1)과 연결되는 가스 주입수단(2)에 의해 개별 금형(1) 내에 CO2 가스를 주입하되, CO2 탱크(4)에 연결된 다굴절 관(8)과 가스 주입기(9)로 구성된 가스 주입수단(2)으로 CO2 가스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가스 주입기(9)의 손잡이(9b)를 잡고 주입관(9a)을 개별 금형(1)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방아쇠(9c)를 당기면서 CO2 가스를 주입하되, 상기 가스 주입기(9)의 주입관(9a)을 개별 금형(1)의 외부 면까지 천천히 인출하면서 CO2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개별 금형(1) 내부의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개별 금형(1) 안쪽의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고속경화시키도록 한다.
다음에 개별 금형(1) 내의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고속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개별 금형(1)이 내부의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콘크리트와 함께 최종 완제품인 방화문 충진재 및 심체, 선박의 내벽 벽체 등의 불연성 마감재로 된다.
한편 도 2의 개별 금형(10)은 금형이 2개로 분할되는 2분할식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개별 금형(10)은 완성하고자 하는 불연성 마감재 형상의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별 금형(10)으로 불연성 마감재를 성형하는 경우 상기 개별 금형(10) 내부에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고속경화시키면, 개별 금형(10)을 해체하여 분리함으로써 고속경화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최종 완제품인 방화문 충진재 및 심체, 선박의 내벽 벽체 등의 불연성 마감재로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고체를 접착하여 고체상태의 접착품을 생산하기 위한 챔버를 이용한 대형 생산시설인 VRH 주형의 제조형태에서 액체를 고체화하는 개별 금형과 틀을 진공 상태로 만들어 CO2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액체를 고속경화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기존 VRH 주형을 이용한 사형주조는 고체→고체로 경화하는 장치 및 방법이나, 본 발명은 상기 VRH 주형 방법을 이용하되 액체→고체로 고속경화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 개별 금형 2 : 가스 주입수단
3 : 진공 수단 4 : CO2 탱크
5 : 가스 주입구 6 : 공기 흡입구
7 : 배합원료 저장소 8 : 다굴절 관
9 : 가스 주입기 9a : 가스 주입관
9b : 손잡이 9c : 방아쇠

Claims (12)

  1. VRH 주형 내에 투입된 주원료를 상기 주형 내에 주입되는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로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와 점결제가 투입되는 개별 금형;
    상기 개별 금형 내로 CO2 가스를 유입하도록 연결되는 가스 주입수단; 및
    상기 개별 금형 내를 진공상태로 만들도록 연결되는 진공수단을 포함하여,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된 내부의 경량기포재료와 함께 개별 금형이 최종 완제품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금형은 2분할식으로 구성되어, 내부에서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재료가 최종 완제품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수단은 이동식으로서, CO2 탱크에 연결되는 다굴절 관과 상기 다굴절 관에 연결되어 개별 금형에 삽입되는 가스 주입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은 이동식의 진공 컴프레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인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와 점결제가 배합물로 저장되는 배합원료 저장소를 더 포함하여, 개별 금형의 진공수단이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되는 상기 배합원료 저장소를 통해 배합물이 상기 개별 금형 내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경량기포재료는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이고, 상기 점결제는 물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7. VRH 주형 내에 투입된 주원료를 상기 주형 내에 주입되는 CO2 가스에 의해 고속경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완성하고자 하는 제품 형상의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는 개별 금형에 주원료로 액상의 경량기포재료와 점결제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개별 금형과 연결되는 진공수단에 의해 개별 금형 내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개별 금형과 연결되는 가스 주입수단에 의해 개별 금형 내에 CO2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경량기포재료를 고속경화시켜, 상기 개별 금형과 함께 최종 완제품을 완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금형을 2분할식으로 구성하여, 개별 금형 내부에서 고속경화된 경량기포재료를 최종 완제품으로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은 이동식의 진공 컴프레셔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O2 가스의 주입은 CO2 탱크에 연결된 다굴절 관과 상기 다굴절 관에 연결된 가스 주입기로 이루어진 이동식의 가스 주입수단에 의해 상기 가스 주입기를 개별 금형에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O2 가스의 주입은 개별 금형 내로 삽입된 가스 주입기를 상기 개별 금형의 외부 면까지 인출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방법.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의 경량기포재료로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상기 점결제로 물유리를 사용하여, 상기 액상의 경량기포콘크리트와 물유리가 배합물로 저장되는 배합원료 저장소에 의해 개별 금형 내로 상기 배합물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방법.
KR1020160057706A 2016-05-11 2016-05-11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 KR101881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06A KR101881457B1 (ko) 2016-05-11 2016-05-11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06A KR101881457B1 (ko) 2016-05-11 2016-05-11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275A true KR20170127275A (ko) 2017-11-21
KR101881457B1 KR101881457B1 (ko) 2018-07-25

Family

ID=6080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06A KR101881457B1 (ko) 2016-05-11 2016-05-11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7912A (zh) * 2018-11-07 2019-01-18 广西景典装配式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轻质保温混凝土预制板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56B1 (ko) 2006-11-24 2007-07-03 (유)선일건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거푸집 및이의 사출금형
KR100939121B1 (ko) 2007-04-24 2010-01-28 (유)선일건설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
JP6039087B2 (ja) * 2012-09-28 2016-12-07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セス変数測定ノイズ診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156B1 (ko) 2006-11-24 2007-07-03 (유)선일건설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거푸집 및이의 사출금형
KR100939121B1 (ko) 2007-04-24 2010-01-28 (유)선일건설 콘크리트 구조물용 문양 거푸집 및 이의 사출금형
JP6039087B2 (ja) * 2012-09-28 2016-12-07 ローズマウ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セス変数測定ノイズ診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7912A (zh) * 2018-11-07 2019-01-18 广西景典装配式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轻质保温混凝土预制板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457B1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320B1 (ko) 탄소원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축외장재용 노출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7275A (ko) Vrh 주형을 이용한 경량기포재료의 고속경화 장치 및 고속경화 방법
CN105464013B (zh) 顶进施工法用组合式箱涵及其制作方法与使用的原料
US8911547B2 (en) Decorative products and the production methods therefor
KR20150024517A (ko) 소실모형 주조방법
RU2301207C1 (ru) Стеклофибробетон (варианты)
KR101769561B1 (ko) 건물 내외장용 건축자재
WO2017098409A1 (es) Formulación y método de obtención de concretos de ultra alto desempeño
CN111251519B (zh) 具有两种以上造型的观赏品的高仿真制作方法
US2740162A (en) Molding of a smooth surfaced reinforced cementitious slab
KR20170035308A (ko) 보강섬유를 포함하는 원심력 콘크리트관 및, 그 제조방법
JP5979805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CN203961067U (zh) 一种封堵螺杆洞的外墙结构
US6383426B1 (en) Foaming and forming method for soft and hard type poly products
US2021018870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articles and structures
US20230095170A1 (en) Bonded sand objects
KR100645033B1 (ko) 형틀을 이용한 조형물의 제조방법
ES1093805U (es) Cuerpo constructivo modular de alta resistencia
KR20100004568U (ko) 건축장식용 몰딩부재
KR100671458B1 (ko) 시멘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035050B1 (ko) 친환경 황토 인공암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1148695A (ja) コンクリート製用水路の補修方法
EP2172435A2 (en) A composition based on foamed perlite and magnesia cement for forming constructional thermoinsulating elements, and a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3741867A (zh) 一种硅铝复合材料制成的仿铝板墙体及其制备工艺
JP2013060313A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