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930B1 - 방폭형 배전함 - Google Patents

방폭형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930B1
KR100938930B1 KR1020080020598A KR20080020598A KR100938930B1 KR 100938930 B1 KR100938930 B1 KR 100938930B1 KR 1020080020598 A KR1020080020598 A KR 1020080020598A KR 20080020598 A KR20080020598 A KR 20080020598A KR 100938930 B1 KR100938930 B1 KR 10093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distribution box
hinge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324A (ko
Inventor
한창용
Original Assignee
삼화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93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을 위해 사용되는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금속형의 본체(10) 상부에 나사 결합된 커버(2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 브라켓(30)의 회전축상에 회전가능케 회전작동구(35)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힌지 마운트(40), 상기 힌지 마운트에 힌지 샤프트(45)의 하단을 힌지축(42)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작동구(35)와 힌지 샤프트(45)의 수직 조립공(46)으로 "ㄱ"자형 커버홀더(50)의 상,하단부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커버홀더의 하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53)으로 힌지 샤프트(45)에 관통 조립되는 축핀(55)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홀더가 커버(20)의 개폐작동에 따라 함께 상하 및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전함 본체를 설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 위치로 간편하게 설치 사용함은 물론 내부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위한 커버의 개폐작업을 종래와 같이 커버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커버를 나사 회전시켜 승하강 및 회전 개폐하여 간편하게 행하므로 작업성, 사용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방폭형, 배전함, 개폐, 커버, 나사, 회전, 커버홀더

Description

방폭형 배전함{Junction box}
본 발명은 배전을 위해 사용되는 방폭형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배전함 본체를 설치 위치로 간편하게 설치 사용함은 물론 내부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위한 커버의 개폐작업을 커버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간편하게 행하므로 작업성, 사용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방폭형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함은 폐쇄형의 금속상자 형태로 제작되어 전기 및 통신라인의 배선 등을 위한 전력기기를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수용하는 것으로, 내부에 각종 전기 기기를 내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전함은 본체와 본체 상부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를 소정 위치에 설치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전함은 내부 전기 기기의 점검이나 교체 등을 위해 커버를 개폐하며 사용하게 된다.
특히,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이 상존하는 곳에 설치 사용되는 방폭형 구조의 경우에 본체와 커버가 금속상자의 고중량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방폭형 배전함의 경우에, 설치 위치로 운반하여 체결피스 등으로 고정되게 체결하여 설치함이 매우 불편하였다.
더욱이 상기 커버를 본체에서 분리되게 개폐하면서 내부 점검이나 교체 작업 등을 행해야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방폭용 배전함 본체를 설치 위치로 간편하게 설치 사용함은 물론 내부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위한 커버의 개폐작업을 커버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간편하게 행하므로 작업성, 사용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속형의 본체 상부에 나사 결합된 커버의 상부 중앙에 설치된 브라켓의 회전축상에 회전가능케 회전작동구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힌지 마운트, 상기 힌지 마운트에 힌지 샤프트의 하단을 힌지축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작동구와 힌지 샤프트의 수직 조립공으로 "ㄱ"자형 커버홀더의 상,하단부를 연결 설치하되, 상기 커버홀더의 하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으로 힌지 샤프트에 관통 조립되는 축핀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홀더가 커버의 개폐작동에 따라 함께 상하 및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작동구는 전후 직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공으로 커버홀더를 삽입하여 조립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저면 각 코너 부위로 조립공을 형성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조립공을 갖는 설치 브라켓을 체결피스로 체결 설치하되, 상기 설치 브라켓의 다수의 조립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공간에 체결피스로 선택하여 체결 설치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회전작동구는 본체의 좌우측 및 전방에 다수의 결합공을 형성하여 복수의 커버홀더와 연결 지지하므로 고중량 커버의 개폐 작업을 견고하게 제공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폭용 배전함 본체를 다수의 조립공을 갖는 설치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 위치로 간편하게 설치 사용함은 물론 내부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위한 커버의 개폐작업을 커버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커버를 나사 회전시켜 승하강 및 회전 개폐하여 간편하게 행하므로 작업성, 사용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연결을 위한 연결부(11)를 갖는 금속형의 본체(10) 상부에 나사공(12)을 형성하여 커버(20)의 나사부(22)를 나사 결합하며 개폐 사용하는 방폭용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회전축(31)을 형성하는 브라켓(30)을 고정설치여 상기 브라켓의 회전축(31)에 회전작동구(35)의 수직 축공(36)을 회전 가능케 삽입 설치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힌지 마운트(4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힌지 마운트에 상부로 수직 조립공(46)을 형성하는 힌지 샤프트(45)의 하단을 힌지축(42)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작동구(35)와 힌지 샤프트(45)의 수직 조립공(46)으로 "ㄱ"자형 커버홀더(50)의 상,하단부(51)(52)를 수평, 수직으로 연결 설치하되, 상기 커버홀더의 하단부(52)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53)으로 힌지 샤프트(45)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 조립되는 축핀(55)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홀더가 커버(20)의 개폐작동에 따라 함께 상하 및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작동구(35)는 전후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37)을 단독 형성하여 상기 커버홀더(50)의 상단부(51)를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각 코너 부위로 조립공(15)을 형성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조립공(62)을 갖는 설치 브라켓(60)의 조립공(62)과 체결피스(65)로 체결 설치하되, 상기 설치 브라켓(60)의 다수의 조립공(6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공간에 체결피스로 선택하여 체결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38은 회전축(31)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작동구(35)와 커버홀더(50)가 회전축(31)에서 상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볼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폭용 배전함은 설치 장소, 특히 바닥은 물론 벽면상에도 간편하게 설치하게 된다.
이는 배전함 본체(10)의 저면 각 코너 부위로 형성된 조립공(15)으로 설치 브라켓(60)의 조립공(62)을 위치시켜 체결피스(65)로 상호 체결 조립하고, 상기 설치 브라켓(60)의 나머지 조립공이 바닥이나 벽면 상의 설치공에 위치시킨 후 체결피스로 체결하여 고정 설치함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 브라켓(60)의 체결공은 다수로 형성되므로 설치 장소의 설치공 위치에 따라 효과적으로 선택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장소로 설치된 본 발명의 방폭용 배전함은 각종 전기 및 통신라인의 배선 등을 위한 전력기기를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연결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본체 내부의 기기를 점검, 교체하기 위해 본체(10) 상부의 커버(20)를 간단하게 개폐 사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방폭형 배전함의 본체(10) 및 커버(20)는 방폭형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무게가 상당히 무겁게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20)를 단순히 나사 개폐함에 의해 간단하게 개방하므로 개폐 작동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20)의 나사부(22)를 본체(10)의 나사 공(12)에서 나사 회전하여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20) 상부의 브라켓(30)에 결합된 회전작동구(35)는 회전가능하므로 커버(20) 및 브라켓(30)의 회전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나사 회전에 의해 개방하는 과정에서 커버는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ㄱ"자형 커버홀더(50) 하단부(52)에 형성된 장공(53)이 힌지 샤프트(45)의 축핀(55)에 안내되어 커버(20)의 상승과 함께 커버홀더(50)도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본체(10)의 나사공(12)에서 커버(20)를 간단하게 나사 회전시켜 상승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개방된 상기 커버(20)는 본체와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커버(20)를 커버홀더(50), 힌지 샤프트(45)와 함께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커버(20)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커버(20)를 나사 개방하여 회전시키므로 본체(10)를 개방하여 본체 내부의 기기를 점검, 교체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커버(20) 개방의 역순으로 상기 커버(20)를 커버홀더(50), 힌지 샤프트(45)와 함께 힌지축(42)을 중심으로 원위치 회전시킨 상태로 커버(20)를 본체(10)의 나사공(12)에 나사회전시켜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회전작동구(35)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실시 예와 비교하여 볼 때 중앙에 수직 축 공(136)을 갖는 본체(130)의 좌우측에 좌우측 결합공(131)과 전방에 다수의 전방 결합공(132)을 형성하여 좌우측 결합공(131) 또는 전방 결합공(132)으로 다수의 커버홀더(150)를 연결 설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배전함이 대형으로 커버(20)의 무게가 고중량인 경우에 단일의 커버홀더(150)에 의해 지지가 곤란하므로 다수의 커버홀더(150)에 의해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130)의 좌우측 결합공(131)으로 두개의 커버홀더(150)를 연결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본체(130)의 전방에 다수의 전방 결합공(132)으로 다수의 커버홀더(150)를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에 차이를 갖는 것이다.
그 밖에 커버의 개폐 작동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회전작동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나사공
20: 커버 22: 나사부
30; 브라켓 31: 회전축
35: 회전작동구 36: 축공
40: 힌지 마운트 42: 힌지축
45: 힌지 샤프트 50: 커버홀더
53: 장공 55: 축핀
60: 설치 브라켓 62: 조립공
131,132: 결합공 150: 커버홀더

Claims (4)

  1. 케이블 연결을 위한 연결부(11)를 갖는 금속형의 본체(10) 상부에 나사공(12)을 형성하여 커버(20)의 나사부(22)를 나사 결합하며 개폐 사용하는 방폭용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20)의 상부 중앙에 수직으로 회전축(31)을 형성하는 브라켓(30)을 고정설치여 상기 브라켓의 회전축(31)에 회전작동구(35)의 수직 축공(36)을 회전 가능케 삽입 설치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힌지 마운트(4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힌지 마운트에 상부로 수직 조립공(46)을 형성하는 힌지 샤프트(45)의 하단을 힌지축(42)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 설치하여,
    상기 회전작동구(35)와 힌지 샤프트(45)의 수직 조립공(46)으로 "ㄱ"자형 커버홀더(50)의 상,하단부(51)(52)를 수평, 수직으로 연결 설치하되, 상기 커버홀더의 하단부(52)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53)으로 힌지 샤프트(45)의 직경 방향으로 관통 조립되는 축핀(55)이 삽입되어 상기 커버홀더가 커버(20)의 개폐작동에 따라 함께 상하 및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배전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구(35)는 전후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37)을 단독 형성하여 상기 커버홀더(50)의 상단부(51)를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배전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각 코너 부위로 조립공(15)을 형성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조립공(62)을 갖는 설치 브라켓(60)의 조립공(62)과 체결피스(65)로 체결 설치하되, 상기 설치 브라켓(60)의 다수의 조립공(6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공간에 체결피스로 선택하여 체결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배전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구(35)는 중앙에 수직 축공(136)을 갖는 본체(130)의 좌우측에 좌우측 결합공(131)과 전방에 다수의 전방 결합공(132)을 형성하여 다수의 커버홀더(150)로 연결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배전함.
KR1020080020598A 2008-03-05 2008-03-05 방폭형 배전함 KR10093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98A KR100938930B1 (ko) 2008-03-05 2008-03-05 방폭형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598A KR100938930B1 (ko) 2008-03-05 2008-03-05 방폭형 배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324A KR20090095324A (ko) 2009-09-09
KR100938930B1 true KR100938930B1 (ko) 2010-01-27

Family

ID=4129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598A KR100938930B1 (ko) 2008-03-05 2008-03-05 방폭형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9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339A (ko) 2013-12-13 2015-06-23 (주)뉴그린테크 방폭 배전함
KR20160068456A (ko) 2014-12-05 2016-06-15 삼화기전 주식회사 방폭형 배전함의 침수 확인장치
KR20160068455A (ko) 2014-12-05 2016-06-15 삼화기전 주식회사 내부 확인용 투시창을 갖는 배전함과 그 배전함의 투시창 방폭 접합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612A (ja) * 1992-04-16 1993-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の状態監視装置
KR20020007536A (ko) * 2000-07-15 2002-01-29 최승진 방폭 구조를 갖는 분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612A (ja) * 1992-04-16 1993-11-12 Mitsubishi Electric Corp 配電盤の状態監視装置
KR20020007536A (ko) * 2000-07-15 2002-01-29 최승진 방폭 구조를 갖는 분전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339A (ko) 2013-12-13 2015-06-23 (주)뉴그린테크 방폭 배전함
KR20160068456A (ko) 2014-12-05 2016-06-15 삼화기전 주식회사 방폭형 배전함의 침수 확인장치
KR20160068455A (ko) 2014-12-05 2016-06-15 삼화기전 주식회사 내부 확인용 투시창을 갖는 배전함과 그 배전함의 투시창 방폭 접합 방법
KR101703927B1 (ko) * 2014-12-05 2017-02-08 삼화기전 주식회사 방폭형 배전함의 침수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324A (ko)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930B1 (ko) 방폭형 배전함
US20080011503A1 (en) Universal recessed while-in-use box and cover
JP2010273396A (ja) 電気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KR102273247B1 (ko) 건축용 통신 단자함 도어구조
JP2009240124A (ja) 制御盤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20160148785A (ko)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CN204810761U (zh) 一种控制箱及该控制箱采用的安装板组件
CN107408777B (zh) 一种可伸缩凹入式电插座及数据端口组件
RU63126U1 (ru) Люк для подвода кабелей
KR101597195B1 (ko) 벽면 매입방식 콤팩트 분전반
JP4740044B2 (ja)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JPH08172709A (ja) 端子盤
KR20110111026A (ko) 플로어 유틸리티 박스
JP2008208637A (ja) 建具及びその建具の配線方法
CN206364397U (zh) 一种配电柜仪表安装结构
CN205622014U (zh) 岸电电缆绞车外置式滑环箱
JP2016092151A (ja) 筐体
JP6380926B2 (ja) 床用配線器具
CN220487412U (zh) 一种垂直折叠屏蔽门
JP4877817B2 (ja)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KR102647841B1 (ko) 설치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JP5057953B2 (ja) 分岐接続箱およ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5142384B2 (ja) 住宅用分電盤
RU64444U1 (ru) Люк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JP4877807B2 (ja) 分電盤の内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