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021B1 -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021B1
KR100937021B1 KR1020047019222A KR20047019222A KR100937021B1 KR 100937021 B1 KR100937021 B1 KR 100937021B1 KR 1020047019222 A KR1020047019222 A KR 1020047019222A KR 20047019222 A KR20047019222 A KR 20047019222A KR 100937021 B1 KR100937021 B1 KR 10093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knitting
bed
neck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879A (ko
Inventor
카즈요시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0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횡편기를 이용하여 무봉제로, 목둘레깃이 넓은 니트웨어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앞옷길을 앞목둘레깃 형성부분으로부터 전우옷길과 전좌옷길로 나누어 편성하고,
편성을 행하는 전우옷길 또는 전좌옷길의 어느 쪽인가 한쪽을 제외한 앞목둘레 깃을 포함한 편목의 전부를 다른쪽 공침에 눈옮김하고, 침상을 랙킹시켜 가면서 다른쪽 공침에 앞목둘레깃의 증목을 행하는 편성을 하는 제 1단계와, 뒷옷길의 단부의 한쪽과, 제 1단계에 의해 편성된 전우옷길 또는 전좌옷길의 어느 한쪽의 소매둘레 측단부를 대향시킨 상태로 어깨 복목처리로 접합하는 제 2단계와, 어깨 복목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뒷옷길의 단부와, 어깨 복목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앞옷길의 소매둘레 측단부를 대향시켜 어깨 복목처리로 접합하는 제 3단계로 목둘레 깃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니트웨어의 편성방법{Method of knitting knit-wea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소프트웨어의 제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둥그런 머리의 셋트 인 스웨터 개략도.
도 2는 제 1실시형태의 스웨터를 구성하는 각 패스를 횡편기상에서 편성되는 상태도.
도 3은 제 1실시형태의 스웨터의 편성단계에서 단계 1~9를 도시한 그림.
도 4는 제 1실시형태의 스웨터의 편성단계의 단계 10~17을 나타낸 그림.
도 5는 제 1실시형태의 스웨터의 편성단계의 단계 18~25를 나타낸 그림.
도 6은 제 2실시형태의 스웨터를 구성하는 각 패스를 횡편기상에서 편성되는 상태도.
도 7은 종래의 둥근머리 세트 인 스웨터를 나타낸 그림.
도 8은 종래의 둥근머리 세트 인 스웨터를 구성하는 각 패스를 횡편기상에서 편성되는 상태도.
(발명분야)
본 발명은 이음매 없는 통상(筒狀)으로 편성된 편지를 무봉제로 접합하여 형성되는 니트웨어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웨터와 카디건 등 의 니트웨어(knit-wear)에 있어서 넓은 목둘레선 또는 목둘레깃(neck line)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편성방법 및 이에 관련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국제공개번호 WO 01/55491 A1에 명기되고, 또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은, 좌우방향으로 늘이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1쌍의 침상(針床)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racking)가능하고, 전후 침상사이에서 편목(編目), 즉 스팃치(stitch)의 눈옮김(目移)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앞(前) 내려감 상태로 넓은 앞 목둘레깃(310)이 앞옷길(前身頃)(100a)에 형성되는 무봉제(無縫製)의 니트웨어(knit-wear)의 편성방법(編成方法)을 제안한 바 있다.
이 것은 기본적으로는, 옷길100(100a, 100b)과 양소매(兩袖)210(210a, 210b), 220(220a, 220b)를 니트웨어의 옷뒷자락(
Figure 112004055599821-pct00001
)으로부터 겨드랑이밑(脇下)까지 통상으로 편성한 후에, 앞옷길(100a)을 편성할 때, 목둘레선(neck line), 즉 목둘레깃(300)의 형성개시위치(도 8에서 점선 L1) 이후를 목둘레깃(300)을 사이에 끼워지도록 전우옷길(前右身頃)(110a)과 전좌옷길(前左身頃)(120a)로 나누어 편성하므로써 앞옷길(100a)에 앞목둘레깃(front neck line)(310)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목둘레깃을 넓게 형성하기 위해서, 전우옷길(110a)과 전좌옷길(120a)의 편성과정도중(도 8에서 점선 L2 이후)에서, 전우옷길(110a) 또는 전좌옷길(120a)의 모든 편목을 뒷옷길(後身頃)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으로 눈옮김하고, 눈 옮김(目移)한 침상을 랙킹(racking)동작시킨 후, 앞옷길의 모든 편목을 본래의 침상으로 되돌리는 동작을 되풀이하여, 전우옷길(110a) 또는 전좌옷길(120a)의 편목을 옷길중심에 대하여 천천히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편성을 행하므로써 목둘레깃(300)의 주위 가장자리를 따라 앞목둘레깃(310)의 증목(增目), 즉 눈 늘이기를 행한다.
또한, 전우옷길(110a)과 전좌옷길(120a)의 최종코-스의 목둘레깃의 측단부로부터 수목(數目), 즉, 몇개의 눈(도 8의 점 L3)을 목둘레깃 편성에 이용하므로써 또한 앞목둘레깃(310)의 편목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앞목둘레깃(310)을 이와 같이 형성하여 앞목둘레깃(310)의 웰(welt)수가 증가되고, 그 결과 이에 이어 짜지는 깃(衿)(400)은 목둘레깃의 구경이 넓은 것으로 될 뿐 아니라 목둘레깃(300)은 자연스럽게 앞 내려감 상태로 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목둘레깃(300)이 넓게 되도록 편성된 앞옷길(100a)을 사용하여 스웨터를 제조하면 팻션성이 높고, 착용시에는 용이하게 머리를 목둘레깃에 맞출 수 있고, 깃에 의해 조여지는 일도 없으므로 착심지(着心地)도 좋게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상의 편성방법은, 목둘레깃에 증목을 형성하기 위해서, 전우옷길(110a) 또는 전좌옷길(120a)의 편목의 전부를 뒷옷길(後身頃)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에 눈옮김하고, 눈옮김한 침상을 랙킹동작시킨 후 앞옷길의 모든 편목을 본래의 침상으로 돌리는 동작을 되풀이하므로써, 전우옷길(110a) 또는 전좌옷길(120a)의 편목을 옷길중심에 대하여 천천히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편성을 행하기 때문 에, 앞옷길의 편목을 눈옮김할 때, 같은 편목에 대해 증목의 수가 배가 되는 횟수를 가진 눈옮김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같은 편목에 대하여 눈옮김이 몇번이라도 행해지면 실이 손상되기 쉽게 되는 불합리가 생긴다.
또한, 전술한 목둘레깃 편성방법에는, 전우옷길(110a)과 전좌옷길(120a)의 최종코-스의 목둘레선 측단부로부터 수목(數目), 즉 몇개의 눈(도 8의 점 L3)을 목둘레깃 편성에 이용되도록하나, 전우옷길(110a)과 전좌옷길(120a)의 최종코-스의 일부를 목둘레선 편성을 위해 이용하므로, 그 만큼 어깨접합부분의 길이가 짧아지고, 뒷옷길(100b)의 뒷목둘레깃(320)의 길이가 옆으로 길어져 버린다.
뒷옷길(100b)의 뒷목둘레깃(320) 길이가 아주 길어지면, 목둘레선 전체가 앞내려감 뿐 아니라, 옆으로 넓어진 상태가 되어버려 모양새가 나빠지게 되어 팻션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불합리가 생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 편성시의 실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팻션성이 우수하며, 또한, 앞내려감 상태가 넓은 목둘레깃을 형성할 수가 있는 니트웨어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늘이고, 또한 전후방향에 걸쳐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1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 이 좌우로 랙킹가능하며, 전후 침상사이에서 편목의 논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니트웨어를 구성하는 옷길이 이음매 없는 연속된 통상으로 되도록 편성하는 니트웨어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옷길을 니트웨어의 옷뒷자락으로부터 겨드랑이 아래까지 편성한 후에, 겨드랑이 아래로부터 어깨에 걸쳐 옷길을 편성할 때, 앞옷길을 앞목둘레깃 형성부분으로부터 전우옷길과 전좌옷길로 나누어 편성하여 옷길에 목둘레깃을 형성할 때 이하의 단계(ste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전우옷길과 전좌옷길의 어느 쪽이든 한쪽을 제외하고 편목 모두를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係止)되는 침상으로 눈옮김(目移)하고,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의 앞옷길이 다른쪽 침상에 계지되는 한쪽 앞옷길로부터 멀지 않은 방향으로, 침상을 증목하는 수에 비례한 핏치수(pitch數)로 침상을 랙킹함과 아울러,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에서의 앞목둘레깃의 다른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측 단부쪽에 랙킹의 핏치수에 대응시킨 증목(增目)을 형성하여 가면서 다른 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을 소정코-스 편성한 후에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어 있는 침상에 눈옮김되어 있는 편목을 본래의 침상으로 눈옮김하는 공정과,
이 소정코-스의 편성이 되어 있지 않은 앞옷길을 제외한 모든 편목을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으로 눈옮김하고,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의 앞옷길이 다른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로부터 멀지 않은 방향으로, 침상을 증목수에 비례한 핏치수로 침상을 랙킹함과 아울러,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에서 앞목둘레깃의 다른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 측단부쪽에 랙킹의 핏치수로 대응시킨 증목을 형성해 가면서 다른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을 소정의 코-스 편성한 후,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으로 눈옮김하는 편목을 본래의 침상으로 눈옮김하는 공정과,
뒷옷길을 소정코-스 편성하는 공정을 가지는 제 1단계;
2) 제 1단계의 종료 후 또는 제 1단계 도중에서 침상의 랙킹동작과 전후 침상의 눈옮김에 따른 편목의 회전돌림동작으로, 제 1단계에 의해 편성된 뒷옷길의 단부의 한쪽과, 제 1단계에 의해 편성된 전우옷길 또는 전좌옷길 중 어느 쪽인가 한쪽의 소매둘레 측단부를 대향시킨 후에, 어깨 복목처리로 뒷옷길과 전우옷길 또는 전좌옷길의 어느 쪽인가 한쪽을 접합하는 제 2단계;
3) 제 1단계 및 제 2단계가 종료된 후, 침상의 랙킹동작 및 전후 침상으로의 눈옮김에 의한 편목의 돌림동작에 의해, 어깨 복목처리(肩伏目處理)가 되어 있지 않은 뒷옷길의 단부와, 어깨복목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전좌옷길 또는 전우옷길의 소매둘레 측단부를 대향시켜 어깨 복목처리로 뒷옷길과 전좌옷길 또는 전우옷길의 한쪽을 접합하는 제 3단계;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니트웨어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전우옷길 및 전좌옷길을 같은 눈금수로 소정 코-스 편성해가면서 앞목둘레깃의 증목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소정 코스수로 뒷옷길을 편성하는 제 1 목둘레깃 증목단계와,
제 1 목둘레깃 증목단계에 따른 앞옷길과 뒷옷길의 편성에 이어서, 전우옷길 및 전좌옷길을, 소매둘레 측단부를 되돌이편(引返編) 처리하여 가면서 소정코-스 편성하여 가면서 앞목둘레깃의 증목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소정코-스로 뒷옷길을 편성하는 제 2 목둘레깃 증목단계로 이루어지고,
제 2 목둘레깃 증목단계에 의한 한쪽 앞옷길의 편성후에 제 2단계 및 제 3단계에 의한 편성을 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편성되는 니트웨어는 셋트인 타입의 스웨터에 적용하는 것이 좋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니트웨어의 편성방법에 대해 그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좌우 방향으로 늘이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전후 1쌍의 침상을 가지고, 후침상이 좌우로 랙킹가능하고, 그러면서도 전후 침상간에 편목의 눈옮김이 가능한 소위 2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니트웨어를 편성한다.
2매 베드의 횡편기는, 통상(筒狀)의 니트웨어를 편성하는 경우, 전후 각 침상에서 각각 1본(本)두기의 침을 이용하여 편성을 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전침상의 홀수번째 침을 주로하여 앞옷길과 소매의 전부(前部) 등의 니트웨어의 전측부분의 편지를 편성하기 위해 이용하고, 후침상의 짝수번 침을 주로하여 후옷길과 소 매의 후부등의 니트웨어의 후측부분을 편성하기 위해 이용한다. 또한, 전후의 침상은 한쪽 침상의 편성용으로 이용되는 침에 대향하는 다른쪽 침상의 침을 공침(空針)으로 해두어, 이 공침을 눈옮김과 리브편(編) 등을 행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공침(空針)을 이용하므로써, 링크스, 가-터, 리브등의 표목(表目)과 이목(裏目)이 혼재한 조직체를 편성하기도 하고, 소매와 옷길의 편목을 코-스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접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2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할 경우, 전후 침상의 한쪽 또는 양쪽의 상위에 트란스퍼잭을 배열설치한 트란스퍼잭 베드를 설치하여 편지를 편성해도 좋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2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니트웨어를 편성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부 전침상, 하부 전침상, 상부 후침상, 하부 후침상으로 이루어지는 4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할 수도 있다.
4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예컨데 하부 전침상에 전측부분을 부속시키고, 하부 후침상에 후측부분을 부속시킴과 아울러, 상부 후침상을 전측부분의 편지를 편성할 때의 공침으로 하여 전측부분의 편지의 눈옮김 등에 이용하고, 상부 전침상을 후측부분의 편지를 편성할 때의 공침으로서 후측부분의 편지의 눈옮김등에 이용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2매 베드의 횡편기를 이용하여, 니트웨어를 구성하는 옷길 및 소매를 이음매 없는 연속된 통상으로 되도록 심레스 니트웨어(seamless knit wear)를 편성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 제 1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 도 5를 토대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성방법으로 편성된 니트웨어로서의 셋트 인 스웨터(1)를 나타낸다. 도 2는 스웨터(1)를 구성하는 옷길과 소매의 형지(型紙, 편목배열)를 나타낸 것으로, 스웨터 착용시 뒷쪽에 나타나는 뒷옷길(2b)과 양소매의 우수후부(右袖後部)(13b) 및 좌수후부(左袖後部)(3b)를 상측에 나타내고, 스웨터 착용시 앞쪽에 나타나는 앞옷길(2a)과 양 소매의 우수전부(右袖前部)(13a) 및 좌수전부(左袖前部)(3a)를 아랫쪽에 나타낸 것이다.
뒷옷길(2b), 우수후부(13b), 좌수후부(3b)는 주로 후침상 BB위의 홀수번째 침을 사용하여 편성하고, 앞옷길(2a), 우수전부(13a), 좌수전부(3a)는 주로 전침상 FB위의 짝수번째 침을 사용하여 편성한다.
본 실시형태로 편성되는 스웨터(1)는 라운드넥크타입이고, 앞옷길(2a)에서의 옷뒷자락에서 어깨에서의 소매와의 접합부까지의 길이(코-스 수)와, 뒷옷길(2b)에서의 옷뒷자락에서 어깨서의 소매와의 접합부까지의 길이(코-스 수)와를 일치시켜서, 어깨라인상에서 앞옷길(2a)과 뒷옷길(2b)이 접합되는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스웨터(1)의 옷길과 소매가 짜지는 편조직(編組織)은 설명의 편의상, 평편(平編)의 무지(無地)로 하고 있으나, 쟈카드와 리브등의 조직체라도 좋다.
스웨터(1)는 도 2에서와 같이, 겨드랑이 하부가 되는 앞옷길(2a)의 각 점 A, a는 좌수전부(3a) 및 우수전부(13a)의 각 점 P, p와 접합되고, 뒷옷길(2b)의 각 점 H, h는 좌수후부(3b) 및 우수후부(13b)의 각 점 S, s와 접합된다.
그리고, 아암홀(23)을 따라 앞옷길(2a)과 좌수전부(3a) 및 우수전부(13a)가 접합되고, 뒷옷길(2b)과 좌수후부(3b) 및 우수후부(13b)가 접합된다. 앞옷길(2a)은 목둘레깃(4)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점 G, g 이후에 걸쳐 뒷옷길(2b)과 서로 다른 형성을 하고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전좌옷길(21a)과 전우옷길(22a)와로 나뉘어 편성된다.
또한, 목덜미깃(4)의 형성이 개시된 후의 옷길(2a)(2b) 및 소매(3)(13)의 편성은 전좌옷길(21a), 좌수전부(3a), 좌수후부(3b), 뒷옷길(2b), 우수후부(13b), 우수전부(13a), 전우옷길(22a)의 순 또는 그 반대의 순으로 편성하여 가면서, 아암홀(23)을 따라, 전좌옷길(21a)에 좌수전부(3a)를 접합하고, 뒷옷길(2b)에 좌수후부(3b)와 우수후부(13b)를 접합하며, 전우옷길(22a)에 우수전부(13a)를 접합시켜 간다.
앞옷길(2a)과 뒷옷길(2b)은 좌수(3)와 우수(13)의 접합이 종료된 후, 어깨부에서 접합된다.
그리고, 깃(5)은, 선 e-y-f-g-G-F-Y-E-K-e로 형성되는 동그라미를 따라 리브편에 의해 편성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옷길과 소매의 좌우를 나타내는 용어, 예컨데 전우옷길(22a)과, 전좌옷길(21a) 등의 우와 좌라 함은 스웨터(1)를 착용한 착용자를 기준으로 한다.
도 3 ~ 도 5는 스웨터(1)를 옷뒷자락부분에서 어깨로 향하여 편성하여 갈때의 각 단계별 편성을 상세히 나타낸 편성단계도이다.
편성단계도는, 앞옷길(2a)을 굵은 실선으로, 뒷옷길(2b)을 가는 실선으로, 소매(3)(13)를 2중선으로, 그리고 앞옷길(2a)의 앞목둘레깃(41)을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단계(1)는 옷길편성용과 소매편성용으로 각각 준비한 급사구로부터 편사를 전침상 FB의 각 침에 공급한 후, 급사구를 반전시켜 후침상 BB의 각 침으로 편사를 공급하는 편성을 되풀이 하여, 통상체의 옷길의 옷뒷자락부와 좌우의 소매의 소매구멍(袖口)에 고무편부(編部)(61)(62)의 편성을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2는, 옷길(2)의 편성과 동시에, 통직경을 넓혀가면서 좌수(3)와 우수(13)의 편성을 행하고, 겨드랑이 하부(도 2의 점 A, P, a, p, S, H, s, h)의 바로 앞까지 편성이 행해진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3은 겨드랑이 하부에서 옷길(2)과 좌수(3) 및 우수(13)를 통합시켜 하나의 통상체로 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것은 예컨데 옷길편성에 사용하여 온 급사구로부터 편사를 급사하여 편성을 행한다.
단계 4는 앞옷길(2a)의 편성이, 목둘레깃(4)의 형성이 개시되는 G, g의 위치까지 온 때의 침상에서의 각 편지의 계지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부터 앞옷길(2a)은 전우옷길(22a)과 전좌옷길(21a)로 나뉘어진다.
한편, 단계 3으로부터 단계 4에 이르기까지는, 좌수(3)와 우수(13)의 편성을, 옷길(2)과 소매(3)(13)에서 형성되는 통상체(筒狀體)의 옷길부(身頃部)와 소매부의 코-스 편성비율을 예컨데 3:1로 하여 편성하여 가면서 각 소매(3)(13)를 옷길(2)측으로 이동시켜 편사를 겹치는 편성을 되풀이 하므로써 옷길(2)과 소매(3)(13)로 형성되는 통상체의 구경(口徑)을 서서히 감소시켜 간다. 이때 옷길(2)의 편폭( 編幅)도 동시에 감소시킨다.
단계 5는, 전좌옷길(21a)을 도 2에서의 선 B-G의 위치로부터 선 C-F의 위치까지 편성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5에서는, 1코-스 두기에 목둘레깃 측단부를 덕크시키므로써 선 G-F를 따라 목둘레깃(4)의 주위가장자리의 편목을 순차적으로 부작용상태로 놓아 되돌아감편성(引返編成)을 행함과 동시에 좌수전부(3a)와 전좌옷길(21a)의 접합을 행한다.
단계 5에서는, 좌수전부(3a)의 편목전부를 뒷옷길(2b)의 편목이 계지되는 후침상(BB)의 공침으로 눈옮김한다. 전좌옷길(21a)을 목둘레깃측으로부터 1코-스 편성하고 다음 코-스를 편성할 때, 목둘레깃 측단부의 편목을 목둘레깃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편목 G가 계지되는 침)에 덕크시켜 가면서 1코-스 편성한다.
그리고, 후침상(BB)을 도 3에서 좌방향으로 2핏치 랙킹하고, 좌수전부(3a)의 앞옷길 측단부의 편목을 전좌옷길(21a)의 소매측단부의 편목으로 눈옮김하여 겹쳐 합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선 F-C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소정 코-스 반복하므로써 목둘레깃(41)을 형성하여 가면서 좌수전부(3a)와 전좌옷길(21a)의 접합을 하여 가고, 선 F-C의 위치까지 편성하여 끝내면, 후침상(BB)에 계지되어 있는 좌수전부(3a)의 편목을 전침상(FB)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6은, 전우옷길(22a)을 도 2에서의 선 b-g위치로부터 c-f위치까지 편성할 때의 상태도이다. 단계 6에서도 1코-스둠에 목둘레깃(4)의 외부가장자리의 편목을 점차 부작용상태(不作用狀態)로 놓아두고 되돌아감 편성을 행함과 아울러, 우수 전부(13a)와 전우옷길(22a)의 접합을 행한다.
단계 6에서는, 전침상에 계지되어 있는 우수후부(13b)와 우수전부(13a)의 편목전부를 뒷옷길(2b)의 편목의 전부를 뒷옷길(2b)의 편목이 계지되는 후침상(BB)의 공침으로 눈옮김한다.
전우옷길(22a)을 소매둘레측으로부터 1코-스편성하고, 다음 코-스를 편성할 때, 목둘레깃 측단부의 편목을 목둘레깃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편목g가 계지되는 침)에 덕크시켜가면서 1코-스 편성한다.
그리고, 후침상(BB)을, 도 3에서 우방향으로 2핏치 랙킹하고, 우수전부(13a)의 앞옷길 측단부의 편목을 전우옷길(22a)의 소매측단부의 편목에 눈옮김하여 겹쳐 합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선 f-c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소정 코-스 되풀이 하므로써 앞목둘레깃(41)을 형성해 가면서 우수전부(13a)와 전우옷길(22a)의 접합을 할 때, 선 f-c 위치까지 편성하여 끝내면, 후침상(BB)에 계지되어 있는 우수전부(13a)와 우수후부(13b)의 편목의 전부를 전침상(FB)으로 돌린다.
그리고, 단계 5, 6의 편성으로, 선 F-G-g-f에 따라 앞목둘레깃(41)의 최초부분이 형성되고, 단계(7)에 나타난 상태로 된다.
단계 8은 뒷옷길(2b)을 선 I-i위치로부터 선 Z-z위치까지 좌수후부(3b)와 우수후부(13b)와의 접합을 행해가면서 편성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8에서는 뒷옷길(2b)만을 2코-스 편성한 후 후침상(BB)에 계지되는 뒷옷길(2b)과 좌수후부(3b)의 편목의 전부를 전침상(FB)의 공침으로 눈옮김한다.
그리고, 후침상(BB)을, 좌수후부(3b)측(도 3에서 우방향)으로 2핏치 랙킹한 후, 전침상FB에 계지되는 뒷옷길(2b)의 편목의 전부를 후침상(BB)으로 되돌린다. 이 동작으로, 뒷 옷길(2b)의 단부의 편목과 우수후부(13b)의 단부의 편목이 겹쳐 합쳐져 접합이 이루어진다.
다음, 후침상(BB)을, 도 3에서 우방향으로 또한 2핏치 랙킹하고, 전침상(FB)에 계지되는 좌수후부(3b)의 옷길측단부의 편목을 후침상(BB)으로 눈옮김한다. 이동작으로, 뒷옷길(2b)의 단부의 편목과 좌수후부(3b)의 단부의 편목이 겹쳐 합쳐져 접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침상(FB)에 좌수후부(3b)의 편목을 계지시킨 그대로, 상기와 같은 뒷옷길(2b)의 편성, 후침상(BB)의 랙킹동작, 뒷옷길(2b)의 편목의 눈옮김, 좌수후부(3b)의 옷길측 단부의 편목의 후침상(BB)으로의 눈옮김동작을 되풀이 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소정 코-스로 행하므로써, 좌수후부(3b)와 뒷옷길(2b)의 접합을 하여 간다.
또한, 단계 8에서는 이어서, 전침상(FB)의 공침에 계지되어 있는 좌수후부(3b)의 편목의 전부를 후침상(BB)으로 돌리고, 뒷옷길(2b)만을 2코-스 편성한 후, 후침상(BB)에 계지되는 뒷옷길(2b)과 우수후부(13b)의 편목의 전부를 전침상(FB)의 공침으로 눈옮김한다.
그리고, 후침상(BB)을 우수후부(13b)측(도 3에서 좌방향)으로 2핏치 랙킹한 후, 전침상(FB)에 계지되어 있는 뒷옷길(2b)의 편목의 전부를 후침상(BB)에 돌린다. 이 동작으로, 뒷옷길(2b)의 단부의 편목과 좌수후부(3b)의 단부의 편목이 겹쳐 합쳐서 접합이 이루어진다.
다음, 후침상(BB)을, 도 3에서 좌방향으로 더욱 2핏치 랙킹하고, 전침상(FB)에 계지되어 있는 우수후부(13b)의 옷길측단부의 편목을 후침상(BB)에 눈옮김한다. 이 동작으로, 뒷옷길(2b)의 단부의 편목과 우수후부(13b)의 단부의 편목이 겹쳐 합쳐서 접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침상(FB)에 우수후부(13b)의 편목을 계지시킨 그대로, 상기와 같이 뒷옷길(2b)의 편성, 후침상(BB)의 랙킹동작, 뒷옷길(2b)의 편목을 눈옮김하고, 우수후부(13b)의 옷길측단부의 편목의 후침상(BB)으로의 눈옮김동작을 되풀이 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소정 코-스 행하므로써, 우수후부(13b)와 뒷옷길(2b)의 접합을 하여 간다. 단계 8의 편성으로 단계 9의 상태로 된다.
단계 10~15에서는, 본 발명의 제 1단계 공정에서의 제 1 목둘레깃 증목단계의 공정을 행하는 것으로, 앞목둘레깃(41)의 선 F-G-g-f이후의 앞 목둘레깃(41)의형성을 위한 편성이 행해진다.
단계 10은 전좌옷길(21a)의 코-스 편성을 나타내고, 전좌옷길(21a)의 선 C-F위치로부터 선 D-Y의 위치까지 편성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코-스 편성사이에서 목둘레깃(4)의 좌측부분이 또한 형성된다.
단계 10에서는, 우선, 전침상(FB)에 계지되어 있는 우수전부(13a)와 전우옷길(22a)과 앞목둘레깃(41)(선 F-G-g-f)과 좌수전부(3a)를 후침상(BB)의 공침으로 눈옮김하여 놓는다.
그리고, 후침상(BB)을, 전침상(FB)에 계지되는 전좌옷길(21a)로부터 전우옷길(22a)이 멀지 않은 방향(도 3 및 도 4에서 좌방향)으로 2핏치 랙킹한다.
랙킹후 전좌옷길(21a)을 1 코-스 편성하고, 좌수전부(3a)의 앞옷길 측단부의편목을 전좌옷길(21a)의 소매측단부의 편목으로 눈옮김하여 겹쳐합친 후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전목둘레깃(41)의 편목에서의 전좌옷길(21a)의 단부의 횡의 공침에 1눈증목을 형성하여 가면서 전좌옷길(21a)을 1코-스 편성한다.
또한, 후침상(BB)을, 전침상(FB)에 계지되는 전좌옷길(21a)로부터 전우옷길(22a)이 멀지 않은 방향(도 3 및 도 4에서 좌방향)으로 2핏치 랙킹한다. 랙킹 후 전좌옷길(21a)을 1코-스 편성하고, 좌수전부(3a)의 앞옷길 측단부의 편목을 전좌옷길(21a)의 소매측단부의 편목으로 눈옮김하여 겹쳐 합친후,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앞목둘레깃(41)의 편목에서의 전좌옷길(21a) 단부의 횡의 공침으로 1눈 중목하여 가면서 전좌옷길(21a)을 1코-스 편성한다.
이와 같이, 후침상(BB)을 증목하는 수에 비례한 핏치 수(1눈 증목에 대하여 2핏치)로 랙킹함과 아울러,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앞목둘레깃(41)의 전좌옷길(21a)측단부에 랙킹 핏치수에 대응시킨 증목을 형성하여 가면서 전좌옷길(21a)을 소정 코-스 편성하는 동작을 소정 횟수 되풀이하므로써 앞목둘레깃(41)의 증목을 행하여 가면서, 좌수전부(3a)와 전좌옷길(21a)의 접합을 하여 갈수가 있다.
단계 10의 편성후,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우수전부(13a)와 전우옷길(22a)과 앞목둘레깃(41)(선 Y-F-G-g-f)을 전침상(FB)에 눈옮김하므로써, 단계 11에서의 상태가 되고, 선 F-Y를 따라 앞목둘레깃(41)이 형성됨과 아울러 좌수전부(3a)의 전좌 옷길(21a)에의 접합이 완료된다.
단계 12는 전우옷길(22a)의 코-스 편성을 나타내고, 전우옷길(22a)의 선 c-f의 위치로부터 선 d-y의 위치까지 편성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코-스 편성사이에 목둘레깃(4)의 우측부분이 또한 형성된다.
단계 12에서는, 먼저, 전침상(FB)에 계지되는 전좌옷길(21a)과 앞목둘레깃 41(선 Y-F-G-g-f)과 우수전부(13a)를 후침상(BB)의 공침에 눈옮김해 둔다.
그리고, 후침상(BB)을, 전침상(FB)에 계지되는 전우옷길(22a)로부터 전좌옷길(21a)이 멀지 않은 방향(도 3 및 도 4에서의 우방향)으로 2핏치 랙킹한다. 랙킹한 후, 전우옷길(22a)을 1 코-스 편성하고, 우수전부(13a)의 앞옷길 측단부의 편목을 전우옷길(22a)의 소매측단부의 편목으로 눈옮김하여 겹쳐 중첩시킨 후,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앞목둘레깃(41)의 편목에서의 전우옷길(22a) 단부의 횡의 공침에 1눈 증목을 형성해 가면서 전우옷길(22a)을 1 코-스 편성한다.
또한, 후침상(BB)을 전침상(FB)에 계지되는 전우옷길(22a)로부터 전좌옷길(21a)이 멀지 않은 방향(도 3 및 도 4에서 우방향)으로 2핏치 랙킹한다.
랙킹한 후, 전우옷길(22)을 1코-스 편성하고, 우수전부(13a)의 앞옷길 측단부의 편목을 전우옷길(22a)의 소매측단부의 편목에서의 전우옷길(22a) 단부의 횡(橫)의 공침에 1눈 증목을 형성해 가면서 전우옷길(22a)을 1코-스 편성한다.
이와 같이, 후침상(BB)을 증목하는 수에 비례하여서 된 핏치수(1눈금 증목에 대하여 2핏치)로 랙킹함과 아울러,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앞목둘레깃(41)의 전우옷길(22a)측단부에, 랙킹 핏치수로 대응시킨 증목을 형성해가면서 전우옷길(22a)을 소정코-스 편성하는 동작을 소정횟수로 되풀이하므로써, 앞목둘레깃(41)의 증목을 해가면서, 우수전부(13a)와 전우옷길(22a)의 접합을 해 갈수가 있다.
단계 12에서는, 같은 눈수로 전우옷길(22a)의 편성을 8코-스 행함과 아울러, 우수전부(13a)의 전우옷길(22a)에의 접합이 완료된다.
이 때, 전우옷길(22a)의 각 편성 코-스의 목둘레깃 단부측에 후침상(BB)의 공침으로 증목이 형성되고 선 f-y를 따라 앞목둘레깃(41)의 주위가장자리의 편목이 순차적으로 부작용상태로 형성되고, 단계 12에 의해, 앞목둘레깃(41)의 편목이 4눈이 증가된다.
단계 12의 편성후, 후침상(BB)에 계지되어 있는 전좌옷길(21a)과 앞목둘레깃 41(선 Y-F-G-f-y)을 전침상(FB)에 눈옮김하므로써, 단계 13에서와 같은 상태로 나타나고, 선 f-y를 따라 앞목둘레깃(41)이 형성됨과 아울러, 우수전부(13a)의 전우옷길(22a)에의 접합이 완료된다.
단계 14는, 뒷옷길(2b)을 선 Z-z위치로부터 선 J-j위치까지, 좌수후부(3b)와 우수후부(13b)와의 접합을 행해가면서 편성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14에서는 뒷옷길(2b)만을 2코-스 편성한 후, 후침상(BB)에 계지되는 뒷옷길(2b)과 좌수후부(3b)의 편목 전부를 전침상(FB)의 공침으로 눈옮김한다.
그리고, 후침상(BB)을, 좌수후부(3b)측(도 4에서 우방향)으로 2핏치 랙킹시킨 후, 전침상(FB)에 계지되어 있는 뒷옷길(2b)의 편목 전부를 후침상(BB)으로 되돌린다. 이 동작으로, 뒷 옷길(2b)의 단부의 편목과 우수후부(13b)의 단부의 편목이 겹쳐 합쳐져 접합이 이루어진다.
다음, 후침상(BB)을, 도 4에서 우방향으로, 또한 2핏치 랙킹하고, 전 침상(FB)에 계지되는 좌수후부(3b)의 옷길측단부의 편목을 후침상(BB)으로 눈옮김한다. 이 동작으로, 뒷옷길(2b)의 단부의 편목과 좌수후부(3b)의 단부의 편목이 겹쳐 합쳐져 접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 침상(FB)에 좌수후부(3b)의 편목을 계지시킨 그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뒷옷길(2b)의 편성, 후침상(BB)의 랙킹동작, 뒷옷길(2b)의 편목을 눈옮김하고, 좌수후부(3b)의 소정횟수 행하므로써, 좌수후부(3b)와 뒷옷길(2b)의 접합을 하여 간다.
또한, 단계 14에서는, 뒤이어, 전침상(FB)의 공침에 계지되는 좌수후부침상(BB)에 계지되는 뒷옷길(2b)과, 우수후부(13b)의 편목의 전부를 전침상(FB)의 공침으로 눈옮김한다.
그리고, 후침상(BB)을, 우수후부(13b)측(도 4에서 좌방향)으로 2핏치 랙킹한 후, 전침상(FB)에 계지되는 뒷옷길(2b)의 편목의 전부를 후침상(BB)에 되돌린다. 이 동작으로, 뒷옷길(2b)의 단부의 편목과 좌수후부(3b)의 단부의 편목이 겹쳐 합쳐져서 접합이 이루어진다.
다음, 후침상(BB)을, 도 4에서 좌방향으로 또한 2핏치 랙킹하고, 전침상(FB)에 계지되어 있는 우수후부(13b)의 옷길측단부의 편목을 후침상(BB)에 눈옮김한다. 이 동작으로, 뒷옷길(2b)의 단부의 우수후부(13b)의 단부의 편목이 겹쳐 합쳐져서 접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침상(FB)에 우수후부(13b)의 편목을 계지시킨 그대로, 상기와 같 이 뒷옷길(2b)의 편성, 후침상(BB)의 랙킹동작, 뒷옷길(2b)의 편목의 눈옮김, 우수후부(13b)의 옷길측단부의 편목의 후침상(BB)에로 눈옮김 동작을 되풀이 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소정횟수 행하므로써 우수후부(13b)와 뒷옷길(2b)의 접합이 완료된다.
그리고, 후침상(BB)을 우방향으로 랙킹시킴과 아울러, 후침상(BB)의 우단부의 편목을 전침상(FB)에 눈옮김하고, 또한, 전침상(FB)의 좌단부의 편목을 후침상(BB)에 눈옮김하는 동작을 되풀이 하여 돌림동작을 행하여 가면서 단계 15에서와 같이, 전침상(FB)의 침에 걸려져 있는 전좌옷길(21a)의 소매둘레 측단부의 편목과, 후침상(BB)의 침에 걸려있는 뒷옷길(2b)의 소매둘레 측단부의 편목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한다.
단계 16~25는 옷길의 어깨내림을 형성하기 위한 편성을 행해가면서, 앞목둘레깃(41)의 선 y-f-g-G-F-Y 이후의 앞목둘레깃(41)의 편폭을 증가시키기 위한 편성을 하여 목둘레깃(4)의 형성을 완료시키기까지를 나타낸다.
단계 16은, 전좌옷길(21a)에 어깨 내림부를 형성하기 위해 전좌옷길(21a)의 선 D-Y의 위치로부터 선 D-E의 위치까지의 되돌아감 편성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16에서는, 먼저, 전침상(FB)에 계지되는 전우옷길(22a)의 편목과 앞목둘레깃(41)(선 y-f-g-G-F-Y)의 편목을 후침상(BB)의 공침으로 옮겨둔다.
그리고, 후침상(BB)을, 도 4에서 좌방향으로 2핏치 랙킹한다. 랙킹후, 전좌옷길(21a)을 되돌아감편으로 2코-스 편성해가면서,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앞둘레깃(41)의 편목에서의 전좌옷길(21a)단부의 횡으로 된 공침에 1눈 증목을 형성하여 감과 아울러, 전침상(FB)에 계지되는 전좌옷길(21a)의 소매둘레 측단부의 편목을 바깥쪽으로부터 순서대로 후침상(BB)의 공침에 눈옮김하여 돌림동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후침상(BB)을 증목하는 수에 비례하여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앞목둘레깃(41)의 전좌옷길(21a) 측단부에, 랙킹의 핏치수에 대응시킨 증목을 형성해 가면서 전좌옷길(21a)을 소정 코-스 편성하는 동작을 소정횟수 되풀이 하므로써 앞목둘레깃(41)의 증목을 행해가면서 전좌옷길(21a)을 되돌아감 편성을 행하므로써 어깨 내림부를 형성하여 갈 수가 있다.
단계 16에서는, 전좌옷길(21a)을 소매둘레측을 되돌아감편(引返編)을 하여 8코-스 편성을 행해가면서, 선 Y-E를 따라 앞목둘레깃(41)의 주위가장자리 편목을 순차적으로 부작용상태(不作用狀態)로 하여 앞목둘레깃(41)의 편목이 또한 4눈(웰트) 증가 된다.
단계 16의 편성을 행한 후, 후침상(BB)에 공침에 계지되는 전우옷길(22a)의 편목과 앞목둘레깃(41)(선 y-f-g-G-F-Y-E)의 편목을 전침상(FB)에 옮기고 후침상(BB)을 우방향으로 랙킹시킴과 아울러, 후침상(BB)의 우단부 편목을 전침상(FB)에 눈옮김하고, 또한, 전침상(FB)의 좌단부의 편목을 후침상(BB)에 눈옮김하는 동작을 되풀이하여 돌림동작을 행해가면서, 단계 17에서와 같이, 전침상(FB)의 침에 걸려 있는 전좌옷길(21a)의 소매둘레 측단부의 편목을, 후침상(BB)의 침에 걸려 있는 뒷옷길(2b)의 소매둘레 측단부의 편목이 대향하는 상태로 한다.
단계 17에 의해 도 2에서와 같이, 선 Y-E를 따라 앞목둘레깃(41)이 형성된다.
단계 18은, 뒷옷길(2b)을 선 J-j위치로부터 선 K-k위치까지, 양단을 되돌아감 편성해가면서 편성상태를 나타낸다. 뒷옷길(2b)을 편성할 때에는, 양단의 편목을 덕크처리 등을 행하여 순차적으로 부작용상태로 되돌아감편을 행해간다.
단계 18의 편성의 종료에 의해, 전침상(FB)의 침에 걸려 있는 전좌옷길(21a)의 소매둘레 측단부와, 후침상(BB)의 침에 걸려 있는 뒷옷길(2b)의 소매둘레 측단부가 대향하고 있으므로, 단계 19에서와 같이, 전좌옷길(21a)을 뒷옷길(2b)에 복목처리로 접합한다. 복목처리로 접합된 개소는 전후 침상의 침으로부터 벗어난다.
그리고 전우옷길(22a)의 편목전체를 전침상(FB)에 옮기기 위해서, 후침상(BB)을 좌방향으로 랙킹시켜가면서 전침상(FB)의 우단부의 편목을 후침상(BB)에 눈옮김하고, 후침상(BB)의 좌단부의 편목을 전침상(FB)에 눈옮김하는 동작을 되풀이 돌림동작을 행하여 단계 20의 상태로 한다.
단계 21에서는, 단계 20의 상태로부터, 전우옷길(22a)에 어깨내림부를 형성하기 위해 전우옷길(22a)의 선 d-y위치로부터 선 d-e의 위치까지 되돌아감 편성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21에서는 먼저, 전침상(FB)에 계지되는 앞목둘레깃(41)(선 y-f-g-G-F-Y-E)의 편목 전부를 후침상(BB)의 공침으로 옮겨둔다.
그리고, 후침상(BB)을, 도 4에서 우방향으로 2핏치 랙킹한다. 랙킹한 후, 전우옷길(22a)을 되돌아감편으로 2코-스 편성해가면서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앞목둘레깃(41)의 편목에서의 전우옷길(22a) 단부(端部)의 횡(橫)의 공침에 증목을 형성하여 감과 아울러, 전우옷길(22a)의 소매둘레 측단부의 편목을 바깥쪽으로부터 순 서적으로 후침상(BB)의 공침으로 눈옮김하여 돌림동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후침상(BB)을, 증목하는 수에 비례한 핏치수(1눈 증목함에 대하여 2핏치)로 랙킹함과 아울러, 후침상(BB)에 계지되는 앞목둘레깃(41)의 전우옷길(22a)측단부에, 랙킹핏치수에 대응시킨 증목을 형성해가면서 전우옷길(22a)을 소정 코-스 편성하는 동작을 소정 횟수 되풀이 하므로써, 앞목둘레깃(41)의 증목을 행해가면서, 전우옷길(22a)을 눈(目) 줄임을 하여 어깨내림부를 형성하여 갈수가 있다.
단계 21에서는, 전우옷길(22a)을 소매 둘레측을 되돌아감편(編)을 하여 8코-스의 편성을 행해가면서, 선 y-e를 따라 앞목둘레깃(41)의 주위 가장자리의 편목을 점차 부작용상태로 하여 앞목둘레깃(41)의 편목이 추가로 4눈(웰트) 증가된다.
단계 21의 편성을 행한 후, 후침상(BB)의 공침에 계지되는 앞목둘레깃(41)(선 e-y-f-g-G-F-Y-E)의 편목을 전침상(F-B)에 옮기고, 후침상(BB)을 좌방향으로 랙킹시킴과 아울러, 후침상(BB)의 좌단부의 편목을 전침상(FB)에 눈옮김하고 또한 전침상(FB)의 우단부의 편목을 후침상(BB)에 눈옮김하는 동작을 되풀이 돌림동작을 행해가면서, 단계 22에서와 같이, 전침상(FB)의 침에 걸려 있는 전우옷길(22a)의 소매둘레 측단부의 편목과, 후침상(BB)의 침에 걸려 있는 뒷옷길(2b)의 소매둘레 측단부의 편목이 대향하는 상태로 한다.
단계 22에 의해 도 2에서와 같이 선 y-e를 따라 앞목둘레깃(41)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계 23에서와 같이, 전우옷길(22a)을 복목처리에 의해 뒷옷길(2b)에 접합한다. 복목처리로 접합된 개소는 침으로부터 벗어나서, 단계 24의 옷둘레깃(41)(42)만큼 전후 침상의 침에 걸려진 상태로 된다.
또한, 목둘레깃(4)에 깃(衿)(5)을 형성하기 위해, 앞옷길(2a)의 앞목둘레깃(41)의 중심과 뒷옷길(2b)의 뒷목둘레깃(4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후침상(BB)의 우방향의 랙킹과 눈옮김을 되풀이해가면서 행하는 돌림동작을 행하고, 단계 25의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앞목둘레깃(41)의 편폭이 증가하고, 뒷목둘레깃(42)의 편폭에 큰 차가 생겨도, 앞옷길(2a)의 앞목둘레깃(41)의 측단의 편목을 후침상(BB)으로 보내도록 하여 전후 침상에 계지되는 편지의 눈수를 바란스 취하므로써 그 경계부의 편목끼리가 이간되지 않고 근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실 끊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통상체를 편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단계 25의 상태로 하여 깃(5)을 편성하여 가므로써 스웨터(1)의 편성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앞목둘레깃(41)의 형성시에, 앞옷길(2a)의 앞목둘레깃(41)만으로 증목을 행하므로써 앞목둘레깃(41)의 편폭은 뒷 목둘레깃(42)의 편폭보다도 넓어지고, 전후에서 그 편폭에 차이를 만들 수가 있다.
그러면서도, 앞목둘레깃(41)의 편폭이 뒷목둘레깃(42)의 편폭보다 넓어져도, 한쪽 어깨의 접합을 복목처리로 행한 후에, 전후 침상에 계지되는 편지를 돌려 다른쪽 어깨의 위치합침을 하여 복목처리에 따른 어깨 접합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앞목둘레깃(41)의 증목 수의 자유도를 넓힐 수가 있으면서, 뒷목둘레깃(42)의 길이가 길어지는 일도 없으므로, 팻션성이 우수한 디자인으로 할 수가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옷길(2a)과 뒷옷길(2b)의 어깨부분에 어깨 내림 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어깨 내림부형성으로, 아암홀(23)의 길이를 일정히 해가면서 앞목둘레깃(41)의 편목을 소망하는 수만큼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러면서도 앞목둘레깃(41)의 양측 편목을 후침상(BB)으로 보내는 것으로, 깃(5)을 편성할 때, 전후 침상의 편폭을 가지런히 하여, 지장없이 깃부분을 통상으로 편성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편성된 스웨터(1)는, 뒷목둘레깃(42)의길이가 길어지는 일 없이, 깃둘레(4)에 앞내림이 형성된 팻션성이 우수한 제품이 되고, 아울러 넓은 구경을 가진 목둘레 깃을 가지므로 착용시 머리를 통하기 쉬워 쉽게 착심지가 양호한 제품을 만들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제 1실시형태에서는, 단계 16~25에서와 같이, 옷길에 어깨내림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도 6에서와 같은 제 2실시형태의 형지도(型紙圖)와 같이, 어깨내림부를 편성하지 않아도 좋다.(도 2에 나타나는 앞옷길(2a)의 D-Y-E 및 d-y-e의 삼각부분도 뒷옷길(2b)의 j-k-K-J의 태형부분(台形部分)을 제외한 것임)
도 6에서 나타나는 제 2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도 2에서와 같은 제 1실시형태의 앞옷길(2a)의 D-Y-E 및 d-y-e의 삼각부분과 뒷옷길(2b)의 j-k-K-J의 태형부분으로 형성되는 편성을 제외하고는, 도 3 ~ 도 5의 편성단계도의 단계 15까지는 같은 형상 및 편성을 행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도 3 ~ 도 5에서의 편성단계도에서, 단계 15의 상태로 전좌옷길(21a)과 뒷옷길(2b)의 어깨부분을 복목처리하여 접합한 후, 전우옷길(22a)의 단부와 뒷옷길(2b)의 단부가 대향하도록 편지를 돌리고, 나머지 어깨부분 을 복목처리로 접합을 행한다.
그리고, 목둘레깃(4)에 깃(5)을 형성하기 위해, 앞옷길(2a)의 앞목둘레깃(41)의 중심과 뒷옷길(2b)의 뒷둘레깃(4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후침상(BB)의 랙킹과 옮김눈을 되돌아가면서 통상편지의 돌림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실시형태와 제 2실시형태로 설명한 바와 같이, 앞목둘레깃(41)의 형성시에, 편성을 행하는 앞옷길을 전침상(FB)에 남기고, 기타 편목을 후침상(BB)의 공침에 옮겨두고, 랙킹해가면서 후침상(BB)에 증목을 형성함과 아울러, 앞옷길의 편성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편목의 눈옮김 횟수를 될 수 있는 한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의 손상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할 수 있으면서, 앞목둘레깃(41)의 증목을 행하는 편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깃(5)은 라운드넥크로서 편성하고 있으나, 스탠드칼라-등 소망하는 디자인의 깃을 편성할 수가 있다. 또한 깃둘레를 U자형으로 형성하는 U넥크와 V자형으로 형성하는 V넥크(V-neck)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옷길과 뒷옷길의 접합부가 어깨라인을 넘어 뒷옷길에 진입하는 디자인의 세트 인 타입의 스웨터로 적용할 수 있고, 스웨터에 한하지 않고, 카디건에도 적용할 수 있고, 소매없는 스웨터, 베스트(vest)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앞목둘레깃의 형성시에 앞옷길의 앞목둘레깃만에 증목을 행하는 것으로 앞목둘레깃의 편폭은 뒷목둘레깃의 편폭보다도 넓어지고, 전후 그 편폭에 차이를 생기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앞목둘레깃 형성시, 편성을 행하는 앞옷길을 편성용 침상에 남기고, 기타 편목을 다른 쪽 침상의 공침에 옮김에 있어서, 랙킹하면서 다른 쪽 침상에 증목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편목의 눈옮김 횟수를 될 수 있는대로 작게 하여 실의 손상을 적게 할 수 있으면서, 앞목둘레깃의 증목을 행하는 편성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그러면서도, 앞목둘레깃의 편폭이 뒷목둘레깃의 편폭보다 넓어져도, 한쪽 어개의 접합을 복목처리로 행한 후에, 전후 침상에 계지되는 편지를 돌려서 다른 쪽 어깨의 위치 합침을 하여 복목처리하여 어깨의 접합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앞목둘레깃의 증목하는 수의 자유도를 넓힐 수가 있다. 아울러 뒷 목둘레깃 길이가 길어지는 일도 없으므로 팻션성 좋은 디자인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앞옷길과 뒷옷길의 어깨부분에 어깨내림부를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어깨내림부의 형성으로, 아암홀의 길이를 일정히 해가면서, 앞목둘레깃의 편목을 소망하는 수 만큼 증가시킬 수가 있다.

Claims (2)

  1. 좌우 방향으로 늘이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1쌍의 침상을 가지고, 전후 침상의 적어도 한쪽이 좌우로 랙킹(racking)가능하고, 전후 침상사이에도 편목(編目)의 눈옮김이 가능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니트웨어를 구성하는 옷길이 이음매 없이 연속된 통상으로 되도록 편성되는 니트웨어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옷길을 니트웨어의 뒷자락(
    Figure 112004055599821-pct00002
    )으로부터 겨드랑이 밑까지 편성한 후에, 겨드랑이 밑에서부터 어깨에 걸쳐서 옷길을 편성할 때 앞옷길을 앞목둘레깃 형성부로부터 전우옷길(前右身頃)과 전좌옷길(前左身頃)로 나누어 편성하여 옷길에 목둘레깃을 형성할 때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1) 전우옷길과 전좌옷길 중 어느쪽인가 한쪽을 제외하고 모든 편목을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에 눈옮김하고,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의 앞옷길이 다른 쪽 침상에 계지되는 한쪽 앞옷길로부터 멀지 않은 방향으로, 침상을 증목(增目)하는 수에 비례한 핏치수로 침상을 랙킹함과 아울러,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에 있어서의 앞목둘레깃의 다른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 측단부측에, 랙킹 핏치수에 대응시킨 증목을 형성해가면서 다른 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을 소정 코-스 편성한 후에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에 눈옮김되어 있는 편목을 본래의 침상으로 눈옮김하는 공정과,
    이 소정 코-스 편성이 되어 있지 않은 앞옷길을 제외한 모든 편목을 뒷옷길 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으로 눈 옮김하고,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에서의 앞옷길이 다른 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로부터 멀지 않은 방향으로, 침상을 증목하는 수에 비례한 핏치수로 침상을 랙킹함과 아울러, 뒷 옷길의 편목이 계지되는 침상에 있어서의 앞목둘레깃의 다른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 측단부측에, 랙킹의 핏치수에 대응시킨 증목을 형성해 가면서 다른쪽 침상에 계지되는 앞옷길을 소정 코-스 편성한 후, 뒷옷길의 편목이 계지되어 있는 침상으로 눈옮김되는 편목을 본래의 침상으로 눈옮김하는 공정과,
    뒷 옷길을 소정 코-스 편성하는 공정을 가지는 제 1단계(step);
    2) 상기 제 1단계의 종료후 또는 제 1단계의 도중에 있어서, 침상의 랙킹동작 및 전후 침상으로의 눈옮김에 의한 편목의 돌림동작으로, 제 1단계에 의해 편성된 뒷옷길의 끝단부의 한쪽과,
    제 1단계에 의해 편성된 전우옷길 또는 전좌옷길 중 어느 한쪽의 소매둘레 측단부를 대향시킨 후,
    어깨 복목처리로 뒷옷길과 전우옷길 또는 전좌옷길의 어느 쪽인가 한쪽을 접합하는 제 2단계;
    3) 제 1단계 및 제 2단계 종료후, 침상의 랙킹동작 및 전후침상으로의 눈옮김에 의한 편목의 돌림동작으로, 어깨복목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뒷옷길의 끝단부와, 어깨 복목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전좌옷길 또는 전우옷길의 소매둘레 측단부를 대향시켜 어깨 복목처리로 뒷옷길과 전좌옷길 또는 전우옷길의 한쪽을 접합하는 제 3단계.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단계는 전우옷길 및 전좌옷길을 같은 눈수(目數)로 소정코-스 편성해가면서 앞목둘레깃의 증목처리를 행함과 아울러, 소정 코-스수로 뒷옷길을 편성하는 제 1 목둘레깃 증목단계와,
    제 1 목둘레깃 증목단계에 의한 앞옷길과 뒷옷길 편성에 이어서, 전우옷길 및 전좌옷길을, 소매둘레 측단부를 되돌아감편(引返編)으로 처리하여 소정코-스 편성해가면서 앞목둘레깃의 증목처리(增目處理)를 행함과 아울러, 소정 코-스 수로 뒷옷길을 편성하는 제 2 목둘레깃 증목단계로 이루어지고,
    제 2 목둘레깃 증목단계에 의한 한쪽 앞옷길의 편성후에, 제 2단계 및 제 3단계에 의한 편성을 행하도록 하는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KR1020047019222A 2002-05-27 2003-05-14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KR100937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2688 2002-05-27
JP2002152688 2002-05-27
PCT/JP2003/006038 WO2003100146A1 (fr) 2002-05-27 2003-05-14 Procede de tricotage de bonnet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879A KR20050004879A (ko) 2005-01-12
KR100937021B1 true KR100937021B1 (ko) 2010-01-15

Family

ID=2956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222A KR100937021B1 (ko) 2002-05-27 2003-05-14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51555B2 (ko)
EP (1) EP1512783B1 (ko)
JP (1) JP4002926B2 (ko)
KR (1) KR100937021B1 (ko)
CN (1) CN100359068C (ko)
AU (1) AU2003234921A1 (ko)
WO (1) WO2003100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8009A1 (en) * 2006-10-02 2008-04-03 Longworth Industries, Inc. Shirt construction
JP5538241B2 (ja) * 2009-01-23 2014-07-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衿ぐり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衿ぐり部を有する筒状編地
JP5567565B2 (ja) * 2009-07-09 2014-08-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03320951A (zh) * 2013-06-25 2013-09-25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一种针织横机的二色绞花编织方法
CN106723567B (zh) * 2016-12-15 2018-08-03 东华大学 基于服装cad纸样技术的可视图形化吓数工艺编制方法
CN110565249B (zh) * 2019-09-06 2021-04-23 惠州学院 一种空针编织翻针结构花型的方法
CN110592791A (zh) * 2019-09-18 2019-12-20 斓帛职业培训学校(桐乡)有限公司 全成型上装防止起吊编织方法
CN114635226B (zh) * 2022-03-29 2023-04-11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增加全成型高领领深的编织方法及针织物
CN115058822B (zh) * 2022-07-01 2023-05-30 福建睿能科技股份有限公司 开领缩针位置的确定方法、针织横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5491A1 (fr) * 2000-01-26 2001-08-02 Shima Seiki Mfg., Ltd. Procede de tricotage de partie col d'un tricot au moyen d'un metier a mailles cueillies, et tricot ainsi obtenu
WO2001063030A1 (fr) * 2000-02-22 2001-08-30 Shima Seiki Mfg., Ltd. Procede de tricotage de l'encolure d'un vetement tricote
WO2002070800A1 (en) 2001-03-02 2002-09-12 Shima Seiki Mfg., Ltd. Knitted fabric having opening portion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WO2002092895A1 (fr) 2001-05-11 2002-11-21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Procede de tricotage sur machine de tricotage rectiligne, et programme de tricotag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4154A (ja) * 1984-03-07 1985-10-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袋編地の編成方法
JPH06100831B2 (ja) 1989-08-17 1994-12-12 三田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DE4228408A1 (de) * 1992-08-26 1994-03-03 Stoll & Co 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gerechten, einstückigen Flachgestricks, für ein mit Ärmeln versehenes Kleidungsstück
JP3075656B2 (ja) * 1993-09-07 2000-08-14 東京瓦斯株式会社 ガスメータ
JP2706760B2 (ja) * 1994-10-07 1998-0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成方法
KR100392480B1 (ko) * 1995-04-10 2003-11-2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를사용한바인딩오프방법과,그방법으로바인딩오프된편성포
IT1290915B1 (it) * 1996-02-09 1998-12-14 Shima Seiki Mfg Metodo di lavorazione a maglia su una macchina rettilinea per maglieria e tessuto a maglia cosi' prodotto.
DE19739136A1 (de) * 1997-09-06 1999-03-11 Stoll & Co H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Gestrickteile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5491A1 (fr) * 2000-01-26 2001-08-02 Shima Seiki Mfg., Ltd. Procede de tricotage de partie col d'un tricot au moyen d'un metier a mailles cueillies, et tricot ainsi obtenu
WO2001063030A1 (fr) * 2000-02-22 2001-08-30 Shima Seiki Mfg., Ltd. Procede de tricotage de l'encolure d'un vetement tricote
WO2002070800A1 (en) 2001-03-02 2002-09-12 Shima Seiki Mfg., Ltd. Knitted fabric having opening portion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WO2002092895A1 (fr) 2001-05-11 2002-11-21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Procede de tricotage sur machine de tricotage rectiligne, et programme de trico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2783A1 (en) 2005-03-09
JP4002926B2 (ja) 2007-11-07
US20050183464A1 (en) 2005-08-25
AU2003234921A1 (en) 2003-12-12
CN100359068C (zh) 2008-01-02
KR20050004879A (ko) 2005-01-12
EP1512783B1 (en) 2012-04-25
WO2003100146A1 (fr) 2003-12-04
CN1656268A (zh) 2005-08-17
JPWO2003100146A1 (ja) 2005-09-22
EP1512783A4 (en) 2010-04-07
US7051555B2 (en)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703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0585275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US7640770B2 (en) Fabric knitting method and knitted product
KR100833521B1 (ko) 곁바대의 형성방법 및 곁바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니트웨어
KR101201238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JP4848374B2 (ja) 衿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の編成方法
KR101232701B1 (ko) 몸통 통모양부에 트임부를 구비하는 니트웨어 및 그편성방법
JPH04153346A (ja) 筒状編地の切込部分の編成方法
KR100706656B1 (ko) 통 모양 편성포 상호간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 편성포
JP4203323B2 (ja) 横編機で編まれた衿付き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1022364B1 (ko) 라글란 소매가 있는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라글란소매가 있는 니트웨어
KR100937021B1 (ko)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12180620A (ja) 筒状部分を有する分割可能なダブルラッシェル編地
KR100937018B1 (ko) 앞깃(前衿)을 가진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앞깃을 가진 니트웨어
KR100992063B1 (ko) 니트웨어 및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KR101081906B1 (ko) 비대칭으로 접합된 의류의 편성방법과 비대칭으로접합된 의류 및 니트 디자인 장치
KR101014193B1 (ko) 칼라 주위에 드레이프를 형성하는 편성방법 및 칼라주위에 드레이프를 구비하는 니트웨어
KR100610750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JP6161666B2 (ja) ニット製衣服、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83572B1 (ko) 다공성 무봉제 니트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니트 의류 원단
JP6701491B2 (ja) 下半身用衣類
KR20220115287A (ko) 연결부가 있는 니트 의류의 편성방법 및 그 패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