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776B1 - 맨홀 덮개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맨홀 덮개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776B1
KR100936776B1 KR1020080008105A KR20080008105A KR100936776B1 KR 100936776 B1 KR100936776 B1 KR 100936776B1 KR 1020080008105 A KR1020080008105 A KR 1020080008105A KR 20080008105 A KR20080008105 A KR 20080008105A KR 100936776 B1 KR100936776 B1 KR 100936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support
fixing structure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925A (ko
Inventor
한규영
Original Assignee
(주)도우기술협력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우기술협력회 filed Critical (주)도우기술협력회
Priority to KR102008000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7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으로 드러난 맨홀을 덮어 폐구하거나 필요에 따라 다시 개구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덮개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개구되도록 매설된 기초관 상에 축조되는 지지대와, 지지대 상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되면서 기초관을 개폐하는 뚜겅으로 이루어진 맨홀 덮개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초관을 중심으로 둘레부를 따라 다수의 체결구가 지지대에 고정되어서, 상기 덮개의 수평이동을 잡아 지지하되; 상기 체결구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한 본체와, 관통공에 직각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제1체결수단과, 관통공에 삽입 관통하여 말단면이 기초관의 외면에 접하도록 되는 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맨홀 덮개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manhole cover}
본 발명은 지상으로 드러난 맨홀을 덮어 폐구하거나 필요에 따라 다시 개구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덮개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지하공간으로의 출입 또는, 지하에 매설된 수로관이나 전선관과 같은 매설관의 제어 및 관리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맨홀은 노면(路面)에 형성되므로, 맨홀의 개구된 면을 덮어 폐구하고 필요한 경우 쉽게 개구할 수 있는 덮개를 필요로 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은 종래 맨홀 덮개 고정구조에 따라 맨홀에 덮개를 설치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인 바, 맨홀에 설치되는 덮개의 종래 고정구조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하는 덮개의 종래 고정구조가 적용된 맨홀(40)은, 수로관(10; 이하 '매설관')에 설치되는 지수전(또는 제수변)(20; 이하 '장치')을 보호 및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의 지수전이란 상수도에서 물을 막기 위하여 배수관과 급수전 사이에 설치하는 플러그를 뜻한다.
도 1을 참조해 설명하면, 매설관(10)의 일지점에 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일지점에는 장치(20)를 보호 및 관리하기 위한 맨홀(40)이 설치된다.
우선, 맨홀(40)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장치(20)를 중심으로 충분한 깊이와 넓이를 갖는 구덩이를 만들고, 상기 장치(20)를 기초하기 위한 베이스(11)를 장치(20)의 매설관(10) 하방에 배치한다. 상기 베이스(11)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된 판 형상이며, 평평하게 위치하면서 장치(20) 및 매설관(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매설관(10)의 일지점에 완충대(42)를 끼운다. 상기 완충대(42)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1,2기초관(43, 44; 도 2, 도 3 참조)과 직접 맞닿는 매설관(10)의 일지점을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해 설명하면, 장치(20)를 중심으로 제1기초관(43)을 축조한다. 제1기초관(43)은 맨홀(40)을 이루기 위해 상기 구덩이를 구획하는 것으로, 향후 매설되는 토사의 하중과 제2기초관(44)의 하중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기초관(43)은 적벽돌로 구성되고, 이러한 적벽돌을 원형으로 축조하면서 시멘트 몰탈로 접합한다.
도 3을 참조해 설명하면, 앞서 입설된 제1기초관(43)에 제2기초관(44)을 추가로 축조한다. 이때 상기 제2기초관(44)은 일반적인 흄관일 수 있다. 한편, 제2기초관(44)의 추가없이 제1기초관(43) 만으로도 맨홀(40)을 이룰 수 있을 것이나, 상기 장치(20)의 위치가 노면으로부터 깊은 위치에 있다면 상기 제2기초관(44)의 추가 입설도 가능한 것이다.
참고로, 종래 맨홀(40)을 이루는 구성에 있어서, 제1기초관(43)은 적벽돌로 되고, 제2기초관(44)은 흄관으로 되었으나,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되는 흄관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의 기초관 또는 다수의 기초관이 구성될 수도 있고, 각 기초관을 이루는 재질이 적벽돌 또는 흄관 이외에도 합성수지와 금속 등과 같은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제1,2기초관(43, 44)으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기술적 사상을 기재하는 청구범위에는 제1,2기초관(43, 44)을 기초관으로 통합하여 명명합니다. 즉, 기초관은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하는 제1,2기초관(43, 44)은 물론, 이와 유사한 형상 및 재질까지 포함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1,2기초관(43, 44)이 모두 입설되면, 제1,2기초관(43, 44)의 둘레부에 매설토(45)를 타설한 후 다진다.
도 4를 참조해 설명하면, 제2기초관(44)의 상단에 고정틀(46)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틀(46)은 현장에서 철개로 명명하는 덮개(47)를 제2기초관(44) 상단에 잡아 지지하기 위한 고정체로, 폴리에틸렌(PE)을 주재질로 하여 제작된다.
도 6은 종래 맨홀 덮개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 명하면, 제2기초관(44)의 말단에 고정되는 고정틀(46)은 제2기초관(44)의 둘레를 감싸면서 평평한 상면을 이루고, 가장자리에는 덮개(47)와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고정구멍(미 인출함)이 형성된다.
고정틀(46)과 제2기초관(44)과의 체결은 몰탈과 같은 각종 접착제 등을 매개로 이루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볼트 또는 핀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해 설명하면, 고정틀(46)이 결합된 제2기초관(44) 상에 덮개(47)를 덮어 고정한다. 상기 덮개(47)는 지지대(47a; 도 6 참조)와 뚜껑(47b)으로 구성되고, 지지대(47a)의 가장자리에는 고정틀(46)의 고정구멍에 대응하는 고정구멍(미 인출함)이 형성되어서, 볼트 또는 핀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고정틀(46)과 체결된다.
도 7을 참조해 설명하면, 제1,2기초관(43, 44), 고정틀(46) 및 덮개(47)의 설치가 완료되면, 구덩이의 남은 부분을 매설토로 매꾸고 이를 다져서 맨홀(40)을 완성한다.
그런데, 덮개(47)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고정틀(4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기초관(44)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 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밀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제2기초관(44)의 상면에 안착되는 덮개(47)가 흔들림이나 이 탈없이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제2기초관(44)과 고정틀(46)의 높이를 맞추는 작업은 실질현장에서 그리 용이하지 않다. 이는 제2기초관(44)으로 적용되는 흄관(시멘트 몰탈)과 고정틀(46; 폴리에틸렌)이 재질에 차이를 보이면서 상호 간의 긴밀한 결속에 한계가 있고,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하다보니 접착제의 경화 중에 고정틀(46)이 그 하중으로 하방 이동하여 최초에 잡아놓은 위치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렇게 이탈한 고정틀(46)은 제2기초관(44) 상에 놓이는 덮개(47)와의 체결시 상하로 이격되면서 고정성이 저하된다.
결국, 종래 시공방법으로 설치된 덮개(47)는 매설토를 최종적으로 타설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외부 충격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었고, 현장에서는 다소 어긋나게 위치한 덮개(47)를 보정하지 않고 매설토를 매꿔 다진 후 노면을 포장하고 있어서, 덮개(47)가 제1,2기초관(43, 44)의 정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빈번한 실정이다.
이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상의 어려움과, 보정 및 보완작업이 빈번하므로, 공기가 연장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맨홀을 폐구하는 덮개의 설치작업이 수월하면서도 위치를 정확히 잡아 배치할 수 있고, 덮개 설치시 필요한 공정 및 자재를 절감하여 보다 경제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맨홀 덮개 고정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개구되도록 매설된 기초관 상에 축조되는 지지대와, 지지대 상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되면서 기초관을 개폐하는 뚜겅으로 이루어진 맨홀 덮개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초관을 중심으로 둘레부를 따라 다수의 체결구가 지지대에 고정되어서, 상기 덮개의 수평이동을 잡아 지지하되; 상기 체결구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한 본체와, 관통공에 직각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는 제1체결수단과, 관통공에 삽입 관통하여 말단면이 기초관의 외면에 접하도록 되는 스크류로 이루어진 맨홀 덮개 고정구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맨홀을 설치하는 현장에서 덮개의 시공작업이 훨씬 수월해지고,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별다른 보정없이도 정밀한 작업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덮개 고정구조에 따라 맨홀에 덮개를 설치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에 적용된 체결구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덮개 고정구조는 덮개(47)의 설치과정에서 종래와 차이를 가지므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절차는 종래 설치과정과 본 발명의 설치과정에 모두 적용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의 절차는 전술한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해 설명하면, 제1기초관(43) 상에 입설된 제2기초관(44)의 상단면에 덮개(47)를 축조한다. 이때, 상기 덮개(47)의 지지대(47a)에는 체결구(50)가 끼워진다.
상기 체결구(5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51a)을 갖는 본체(51)와, 관통공(51a)에 직각방향으로 본체(51)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체결수단(52)을 포함하고, 별도로 상기 관통공(51a)에 삽입되는 스크류(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수단(52)은 덮개(47)의 지지대(47a)와 체결구(5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볼트가 적용되었고, 이로 인해 너트에 상응하는 제2체결수단(53)이 추가로 요구된다.
전술한 구조를 이루는 체결구(50)는 본체(51)가 지지대(47a)의 하방에 위치 하도록 고정되고, 다수 개가 지지대(47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해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구(50)가 지지대(47a)에 고정되면, 관통공(51a)에 스크류(54)를 끼워 삽입하되 스크류(54)의 말단면이 제2기초관(44)의 외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스크류(54)는 회전하면서 그 말단이 제2기초관(44)과 긴밀하게 접촉하므로, 덮개(47)의 위치를 스크류(54)를 풀거나 조임으로서 정밀하게 잡을 수 있다. 즉, 제2기초관(44)을 중심으로 둘러싼 체결구(50)들 각각의 스크류(54)를 조이거나 풀어 줌으로서 덮개(47)를 수평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덮개(47)와 제1,2기초관(43, 44)과의 정확한 일렬배치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해 설명하면, 상기 체결구(50)의 고정을 완료하고, 구덩이의 남은 부분을 매설토(45; 도 3 참조)로 매꾼 후 이를 다져서 맨홀(40')을 이룬다.
이때, 상기 체결구(50)는 물론 뚜껑(47b)을 제외한 덮개(47)의 대부분이 매설토에 묻히므로, 체결구(50)는 앞서 배치된 스크류(54)의 조임 정도로 그대로 보존되고, 덮개(47)는 흔들림없이 정확히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50)는 덮개(47)의 위치를 잡아 제2기초관(44)과 일렬로 배치되도록 그 위치를 잡는 것으로, 덮개(47)와 제2기초관(44)의 실질적인 결합은 매설토(45)에 의한다. 또한, 상기 덮개(47)는 하중이 큰 금속재질이므로, 자중으로도 제2기초관(44)에 밀착되면서 고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스크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덮개 고정구조는 고정대(46)를 대신해 상기 체결구(50)는 덮개(47)와 제2기초관(44)을 흔들림없이 잡아주는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덮개(47)의 위치를 정밀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덮개(47)의 이동이 확인되면 각 체결구(50)에 구비된 스크류(54')를 조이거나 풀면서, 덮개(47)의 고정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54')의 말단은 시멘트 몰탈 재질의 흄관인 제2기초관(44)의 외면과 직접 맞닿으므로, 스크류(54')의 말단면이 평평하거나 뾰족할 경우, 스크류(54')가 회전하면서 제2기초관(44)의 외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54')의 말단면은 제2기초관(44)의 외면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기초관(44)이 원통 형상으로 되면서 외면이 일정한 곡률로 만곡된 면을 이룬다면, 스크류(54')의 말단면은 상기 외면에 상응하는 곡률로 만곡된 곡면(54a)을 이루는 것이다. 결국, 스크류(54')의 말단면인 곡면(54a)과 제2기초관(44)의 외면이 긴밀하게 맞물리면서, 제2기초관(44)의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잡아 고정할 수 있게 된다.(도 12(a) 참조)
계속해서, 스크류(54")는 다음과 같이 변형실시될 수도 있다.
제2기초관(44)과 직접 맞닿는 스크류(54")의 말단에 맞물림편(54b)을 연결하고, 이 맞물림편(54b)에는 회전돌기(54c)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돌기(54c)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홈(54d)을 스크류(54")의 말단면에 형성시킨다. 즉, 상기 맞물림편(54b)은 회전돌기(54c) 및 회전홈(54d)을 매개로 스크류(5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제2기초관(44)의 일지점에 맞물림편(54b)이 일단 접촉하면, 작업자가 덮개(47)의 위치를 잡기 위해 스크류(54")를 아무리 회전시켜도 상기 맞물림편(54b)은 상기 회전과는 관계없이 정지된 상태로 제2기초관(44)과 맞물린다. 따라서, 제2기초관(44)은 덮개(47)의 위치를 잡는 과정에서 스크류(54)에 의한 손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스크류(54")의 말단면과 제2기초관(44)과의 마찰이 전혀 없으므로, 작업자의 무리한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은 종래 맨홀 덮개 고정구조에 따라 맨홀에 덮개를 설치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 맨홀 덮개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덮개 고정구조에 따라 맨홀에 덮개를 설치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조에 적용된 체결구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스크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3)

  1. 상하로 개구되도록 매설된 기초관(43, 44); 및 기초관(43, 44)의 상면에 축조되는 지지대(47a)와, 지지대(47a) 상에 탈부착가능하게 안착되면서 기초관(43, 44)을 개폐하는 뚜겅(47b)을 갖춘 덮개(47);로 이루어진 맨홀 덮개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초관(43, 44)과 접하는 지지대(47a)의 하단은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서, 기초관(43, 44)보다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51a)을 갖는 입면체 형상의 본체(51)와, 본체(51)가 기초관(43, 44)의 외면 둘레에 위치하도록 본체(51)를 지지대(47a)의 돌출된 하단에 하방으로 고정하는 제1체결수단(52)과, 관통공(51a)에 삽입 관통하면서 나사산 결합을 통해 본체(51)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말단이 기초관(43, 44)의 외면에 접하는 스크류(54)로 이루어진 체결구(50)를 더 포함하면서;
    다수 개의 상기 체결구(50)가 기초관(43, 44)의 외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기초관(43, 44)의 상면에 축조된 덮개(47)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덮개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말단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맞물림편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덮개 고정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말단면이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덮개 고정구조.
KR1020080008105A 2008-01-25 2008-01-25 맨홀 덮개 고정구조 KR100936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05A KR100936776B1 (ko) 2008-01-25 2008-01-25 맨홀 덮개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05A KR100936776B1 (ko) 2008-01-25 2008-01-25 맨홀 덮개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925A KR20090081925A (ko) 2009-07-29
KR100936776B1 true KR100936776B1 (ko) 2010-01-13

Family

ID=4129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105A KR100936776B1 (ko) 2008-01-25 2008-01-25 맨홀 덮개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870B1 (ko) * 2010-02-18 2012-08-07 주식회사 퍼팩트 현장조립식 상수도 맨홀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944Y1 (ko) * 2005-11-03 2006-01-24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의 침하방지용 맨홀
KR100806134B1 (ko) 2007-11-19 2008-02-22 삼영기술주식회사 밸브실 구조물
KR100834776B1 (ko) 2007-02-21 2008-06-05 이용희 다단식 맨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944Y1 (ko) * 2005-11-03 2006-01-24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의 침하방지용 맨홀
KR100834776B1 (ko) 2007-02-21 2008-06-05 이용희 다단식 맨홀
KR100806134B1 (ko) 2007-11-19 2008-02-22 삼영기술주식회사 밸브실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870B1 (ko) * 2010-02-18 2012-08-07 주식회사 퍼팩트 현장조립식 상수도 맨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925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710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US20090173397A1 (en) Equipment Housing with Access Knockouts
CN102493648B (zh) 带成排管配电箱在砌体墙中前置预埋施工方法及支撑装置
KR101067003B1 (ko) 맨홀의 보수장치
CN106460403A (zh) 扶手套件,扶手系统和安装方法
KR100662002B1 (ko) 자유자재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맨홀, 이 맨홀의시공방법 및 보수방법
KR100936776B1 (ko) 맨홀 덮개 고정구조
KR10094957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덮개장치
KR101625342B1 (ko)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장치 및 설치방법
US5316040A (en) Valve alignment tool
KR102257274B1 (ko) 맨홀보수용 맨홀틀 인상장치
KR101902889B1 (ko)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KR100634186B1 (ko) 도로 배수구 집수맨홀
KR102221209B1 (ko) 맨홀연결관 가변연결이 용이한 제수밸브 보호장치
KR102325687B1 (ko) 토사 침투 방지구조를 갖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KR102180213B1 (ko) 상하수도관 설치용 콘크리트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시공방법
JP6542587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工法
CN204728365U (zh) 一种水管阀门井安装结构
KR100892589B1 (ko) 맨홀과 맨홀커버의 고정 장치
JP4976952B2 (ja) 路面補修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転圧盤並びにガイド部材
KR101425511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JPS63181819A (ja) 地中埋設物における沈下量測定棒の取付方法
EP3047072B1 (en) Installation mean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adjusting a cover of an inspection manhole
KR100820331B1 (ko) 맨홀 보수공법 및 그 맨홀 보수부재
JP6338426B2 (ja) マンホール浮上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