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889B1 -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 Google Patents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889B1
KR101902889B1 KR1020180030261A KR20180030261A KR101902889B1 KR 101902889 B1 KR101902889 B1 KR 101902889B1 KR 1020180030261 A KR1020180030261 A KR 1020180030261A KR 20180030261 A KR20180030261 A KR 20180030261A KR 101902889 B1 KR101902889 B1 KR 101902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anhole
floor
wate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철
Original Assignee
장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철 filed Critical 장성철
Priority to KR1020180030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를 설치하는 위치에서 조적을 배제하고 다양한 배관의 상황에 따라 밸브의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대비하고 철개로 이루어진 맨홀을 시공하기 전에 맨홀 받침대를 사용하여 보호통에 직접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겨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쪽으로 상수도관이 연결되는 밸브가 설치되며 본체의 상측으로 입상관이 연결되고, 중앙의 구멍 외측으로 금속 맨홀이 결합하는 바닥받침의 선단을 따라 외경 가이드턱이 더 돌출되어 금속 맨홀의 하중을 지지하는 맨홀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거치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사각형의 관 연결체 양쪽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수도관이 관통되고 개구부에 제1, 2 절단부가 더 형성되어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거치판에서 관로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중앙에 절단부를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절단됨으로써 연결구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절단부의 반대편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후 거치판의 선단을 따라서 개방부를 제외한 위치와 절단부의 깊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연결 개방부를 두어 양쪽 선단에 돌출 가이드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안쪽으로 한번 더 절곡되도록 걸림 테두리가 돌출되고 바닥의 전체면이 바둑판 형태를 갖도록 바닥 보강대가 돌출되어 보강되도록 형성되는 바닥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A water pipe valve guard}
본 발명은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를 설치하는 위치에서 조적을 배제하고 다양한 배관의 상황에 따라 밸브의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대비하고 철개로 이루어진 맨홀을 시공하기 전에 맨홀 받침대를 사용하여 보호통에 직접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겨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따라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에는 각종 보수를 비롯하여 물의 공급을 관리할 목적으로 구간을 정하여 밸브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밸브는 필요에 따라 지상으로부터 쉽게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므로 설치된 밸브가 흙에 묻히거나 물에 침수되지 않도록 공간을 두어 보호하는 보호통을 설치하는 동시에 지상에서의 접근과 개폐가 용이하도록 맨홀이 설치된다.
종래에는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의 밸브 보호를 위해 밸브의 위치보다 더 깊고 넓게 굴삭한 다음 받침판을 설치하고, 받침판 위에 벽돌을 축조하여 보호벽을 구축 후 보호통을 설치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몰탈로 성형된 원통형의 콘크리트관을 매설하는 방법으로 보호통을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 전자의 경우는 굴삭된 구덩이 속에서 벽돌을 쌓아 올리는 시간을 비롯하여 벽돌을 쌓은 후에도 벽돌 사이의 시멘트가 굳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 등 많은 시간의 소요와 좁은 공간에서의 벽돌 쌓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벽돌로 축조된 보호벽의 양측에 상수도관이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수도관을 삽입한 후 시멘트 몰탈 등으로 마무리하는 까다로운 작업으로 인해 시공 시간이 더욱 길어졌으며 벽면이나 바닥으로 수분이 투과하여 밸브의 침수 내지는 부식의 위험성이 있었다.
더불어, 지하에 매설되는 밸브의 특성상 지면에서 밸브의 접근을 위한 맨홀의 높이를 통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지면의 높이와 일치시키는 작업이 요구되나 이를 앞서 언급한 벽돌의 높이와 규격화된 보호통을 통해 조절하게 되므로 알맞은 높이의 보호통의 선정과 높이 조정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밸브로의 토사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적을 하고 그 위에 밸브 보호통을 결합하는 방식과, 밸브로의 토사유입을 무시하고 매립 후 밸브의 상단 캡만 개폐하도록 FRP 보호통으로 상단만 덮는 방식이 있으나 후자는 밸브를 근본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687359호(2016. 12. 12.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625342호(2016. 05. 23.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223688호(2013. 01. 11. 등록)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84804호(2017. 10. 20.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다양한 위치에서 밸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조적을 배제하고 다양한 배관에 따라 현장에서의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금속 맨홀을 시공하기 전에 맨홀 받침대를 통하여 금속 맨홀의 중량을 분산시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쪽으로 상수도관이 연결되는 밸브가 설치되며 본체의 상측으로 입상관이 연결되고, 중앙의 구멍 외측으로 금속 맨홀이 결합하는 바닥받침의 선단을 따라 외경 가이드턱이 더 돌출되어 금속 맨홀의 하중을 지지하는 맨홀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거치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사각형의 관 연결체 양쪽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수도관이 관통되고 개구부에 제1, 2 절단부가 더 형성되어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거치판에서 관로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중앙에 절단부를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절단됨으로써 연결구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절단부의 반대편에는 개방부가 형성된 후 거치판의 선단을 따라서 개방부를 제외한 위치와 절단부의 깊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연결 개방부를 두어 양쪽 선단에 돌출 가이드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안쪽으로 한번 더 절곡되도록 걸림 테두리가 돌출되고 바닥의 전체면이 바둑판 형태를 갖도록 바닥 보강대가 돌출되어 보강되도록 형성되는 바닥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부단수 할정자관 및 직선구간 또는 신설배관 라인 등 지중에 매설된 다양한 위치의 밸브 설치가 가능하도록 분기구 방향에 홈을 두어 시공 후 지상에서 밸브의 개폐시 밸브의 캡이 보호통 중앙에 위치하여 밸브의 작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 거치대의 테두리를 따라서 걸림 테두리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며, 손이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적을 배제하고 다양한 배관 연결 형태에 따라 현장에서의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며, 입상관을 파이프로 사용하여 높낮이의 조절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전 바닥 다짐 후 금속 맨홀을 시공 하기 전에 맨홀 받침대를 사용함으로써 금속 맨홀의 중량을 분산시켜 내부의 밸브와 밸브 보호통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닥 거치대에 대한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닥 거치대에 대한 저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닥 거치대에 대한 정면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본체에 대한 측면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본체에 대한 정면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본체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맨홀 받침대에 대한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맨홀 받침대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밸브(60)가 중심에 설치되며, 밸브(60)의 양쪽으로 상수도관(63)이 연결되도록 하는 바닥 거치대(10)의 상측으로 양쪽에 개구부(22)가 설치되는 본체(20)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20)의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입상관(30)이 결합된다.
상기 입상관(30)의 상측에는 바닥다짐 후 설치되는 맨홀 받침대(40)에 금속 맨홀(50)이 설치되어 맨홀 뚜껑(50)과 같은 높이로 포장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밸브(60)의 양쪽으로 연결되는 상수도관(63)의 한쪽에 관로(61)가 지나가도록 하며, 상기 관로(61)에서 연결구(62)를 통하여 상수도관(63)이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닥 거치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닥 거치대에 대한 저면도이고 , 도 7은 본 발명의 바닥 거치대에 대한 정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부단수 할정자관 및 직선구간 또는 신설 관로(61), 상수도관(63)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하는 밸브(60)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거치판(11)을 설치하며, 상기 거치판(11)에서 관로(61)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중앙에 절단부(15)를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절단됨으로써 연결구(62)가 위치하도록 하고, 반대편에는 개방부(13)가 형성된 후 거치판(11)의 선단을 따라서 개방부(13)를 제외한 위치와 절단부(15)의 깊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연결 개방부(12)를 두어 양쪽 선단에 돌출 가이드(14)가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거치판(11)의 테두리를 따라서 안쪽으로 한번 더 절곡되도록 걸림 테두리(16)가 돌출되어 작업을 할 때 쉽게 들어올리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바닥의 전체면이 바둑판 형태를 갖도록 바닥 보강대(17)가 돌출되어 보강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본체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본체에 대한 정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본체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바닥 거치대(10)의 상측에 위치하는 본체(20)는 사각형의 관 연결체(21) 양쪽으로 상수도관(63)이 관통되도록 사각형 또는 아치형으로 개구부(22)가 형성되는 관 연결체(21)를 구비하고, 상기 관 연결체(21)의 상측에서 원형으로 돌출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구경이 작아지는 돌출부(26)를 형성한 후 상기 돌출부(26)의 상측에는 입상관(30)이 결합되는 연결부(27)가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22)는 제1 절단부(23)와 제2 절단부(24)를 연속해서 더 크게 형성하여 필요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기를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맨홀 받침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맨홀 받침대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20) 상측으로 설치한 입상관(30)의 상측 일부가 노출되도록 바닥 다짐을 실시한 후 입상관(30)의 상측에 결합하도록 구멍(4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바닥 받침(42)이 형성되어 금속 맨홀(50)의 바닥이 결합되도록 하며, 외측 선단을 따라서 외경 가이드턱(43)이 돌출되어 금속 맨홀(50)을 단속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메인 관로(61)가 지나가는 위치에서 연결구(62)를 통하여 상수도관(63)을 분기하는 위치 또는 상수도관(63)의 어느 한 부분에 단수를 제어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밸브(60)가 위치하도록 바닥을 정리한 후 바닥 거치대(1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 거치대(10)는 거치판(11)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측면에 걸림 테두리(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중량물의 이동 및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작업 중에 손을 다치지 않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바닥면에 바닥판 모양의 바닥 보강대(17)가 형성되어 흙으로 이루어진 바닥에 안정된 설치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벽돌로 조적하지 않고서 빠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거치판(11)의 상측에는 밸브(60)가 위치하게 되며, 밸브(60)의 양쪽으로 상수도관(63)이 연결되도록 하되;
부단수 할정자관 및 직선구간 도는 신설 배관 라인 등 지하에 매설된 다양한 위치에 밸브(60)가 연결되며, 밸브(60)가 거치판(11)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본체(20)의 관 연결체(21)를 거치판(11)의 상측에 결합할 때, 양쪽의 개구부(22)로 상수도관(63)이 관통되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22)는 가장 작은 상태로 제공되며, 상수도관(63)의 규격에 따라 더 큰 개구부(22)를 필요로 하는 경우, 제1 절단부(23)가 단이 지도록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절단부(23)를 따라 절단 제거함으로써 더 크게 늘릴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2 절단부(24)를 따라 절단 제거함으로써 개구부(22)의 크기를 작업 현장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의 관 연결체(21)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거치판(11)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 가이드(14)를 통하여 이탈하지 않고 내부에서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개방부(13)와 연결 개방부(12)에 돌출부분이 없어서 상수도관(63)의 걸림이 없이 안정되게 연결되도록 하고, 절단부(15)에는 관로(61)가 지나가는 부분에 연결구(62)가 위치하게 되므로 연결구(62)가 바닥 거치대(10)에 걸리지 않고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관로(61)가 연결 개방부(12)의 상측에서 연결되도록 하는 동시에 밸브(60)가 바닥 거치대(1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금속맨홀(50)을 통한 밸브(60)의 작동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20)를 설치한 후에는 돌출부(26)의 상측으로 형성한 연결부(27)에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입상관(30)을 절단하여 연결시키므로 현장에서 가공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을 포장하기 이전에 입상관(30)의 외주연을 다짐한 후 맨홀 받침대(40)를 입상관(30)의 상측에 결합한 후, 맨홀 받침대(40)의 바닥받침(42) 상측에 금속맨홀(50)을 결합하면 맨홀 받침대(40)의 바닥받침(42)에서 금속 맨홀(50)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하며 외경 가이드턱(43)이 기준 이상의 움직임 및 이탈을 방지하면서 설치위치를 안정되게 고수하는 동시에 금속 맨홀(50)의 중량이 입상관(30)과 본체(20)에 전달되지 않도하는 중량 분산효과를 제공 함으로써 주변의 설치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 거치대를 통하여 상수도관이나 관로의 연결시에 밸브가 항상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며 안정된 상태로 바닥에 위치하도록 하고, 작업 현장에서 신속하고 빠르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금속맨홀이 입상관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맨홀 받침대의 상측에 설치되어 밸브 보호통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바닥 거치대 11 : 거치판
12 : 연결 개방부 13 : 개방부
14 : 돌출 가이드 15 : 절단부
16 : 걸림 테두리 17 : 바닥 보강대
20 : 본체 21 : 관 연결체
22 : 개구부 23 : 제1 절단부
24 : 제2 절단부 30 : 입상관
40 : 맨홀 받침대 41 : 구멍
42 : 바닥받침 43 : 외경 가이드턱
50 : 금속 맨홀 51 : 맨홀뚜껑
60 : 밸브 62 : 연결구
63 : 상수도관

Claims (5)

  1. 양쪽으로 상수도관(63)이 연결되는 밸브(60)가 설치되며 본체의 상측으로 입상관(30)이 연결되고, 중앙의 구멍(41) 외측으로 금속 맨홀(50)이 결합하는 바닥받침(42)의 선단을 따라 외경 가이드턱(63)이 더 돌출되어 금속 맨홀(50)의 하중을 지지하는 맨홀 받침대(40)로 이루어지며, 거치판(11)의 상측에 위치하는 사각형의 관 연결체(21) 양쪽으로 개구부(22)가 형성되어 상수도관(63)이 관통되고 개구부(22)에 제1, 2 절단부(23, 24)가 더 형성되어 개구부(22)의 크기를 조절하는 본체(20)로 이루어지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밸브(60)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거치판(11)에서 관로(61)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중앙에 절단부(15)를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절단됨으로써 연결구(62)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절단부(15)의 반대편에는 개방부(13)가 형성된 후 거치판(11)의 선단을 따라서 개방부(13)를 제외한 위치와 절단부(15)의 깊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연결 개방부(12)를 두어 양쪽 선단에 돌출 가이드(14)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판(11)의 테두리를 따라서 안쪽으로 한번 더 절곡되도록 걸림 테두리(16)가 돌출되고 바닥의 전체면이 바둑판 형태를 갖도록 바닥 보강대(17)가 돌출되어 보강되도록 형성되는 바닥 거치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30261A 2018-03-15 2018-03-15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KR101902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261A KR101902889B1 (ko) 2018-03-15 2018-03-15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261A KR101902889B1 (ko) 2018-03-15 2018-03-15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889B1 true KR101902889B1 (ko) 2018-11-22

Family

ID=6455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261A KR101902889B1 (ko) 2018-03-15 2018-03-15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461A (ko) 2019-03-28 2020-10-07 서우실업 주식회사 밸브 덮개 설치형 제수 밸브 보호통
KR20210117462A (ko) 2020-03-19 2021-09-29 장성철 토사 침투 방지구조를 갖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842A (ja) * 2001-10-12 2003-04-23 Yoshitsugu Hirano 地中弁室下部筺
KR101279888B1 (ko) * 2012-06-11 2013-06-28 김태형 상수도관 보호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687359B1 (ko) * 2015-09-22 2016-12-28 서우실업 주식회사 벽돌 대체형 제수 밸브 보호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842A (ja) * 2001-10-12 2003-04-23 Yoshitsugu Hirano 地中弁室下部筺
KR101279888B1 (ko) * 2012-06-11 2013-06-28 김태형 상수도관 보호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1687359B1 (ko) * 2015-09-22 2016-12-28 서우실업 주식회사 벽돌 대체형 제수 밸브 보호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461A (ko) 2019-03-28 2020-10-07 서우실업 주식회사 밸브 덮개 설치형 제수 밸브 보호통
KR20210117462A (ko) 2020-03-19 2021-09-29 장성철 토사 침투 방지구조를 갖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889B1 (ko)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KR100604083B1 (ko) 공동주택내의 지중선로의 보호장치
CN109695247B (zh) 深基坑临边临时管线综合排布系统及施工方法
KR20140074667A (ko) 밸브개폐용 철개가 구비된 밸브실
US3156490A (en) Pipe connector construction
US2006009619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ng exposed pipe ends during construction
KR20100121206A (ko) 맨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KR102221209B1 (ko) 맨홀연결관 가변연결이 용이한 제수밸브 보호장치
KR102325687B1 (ko) 토사 침투 방지구조를 갖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KR102085018B1 (ko) 제수밸브 보호통
KR102085019B1 (ko) 흙막이판이 구비된 제수밸브 보호통
JP3166082U (ja) 埋設ボックス
KR20100134232A (ko) 이중구조 방수맨홀뚜껑
US5299596A (en) Sewer chimney system
US20100104378A1 (en) Temporary safety box for assistance in excavation of foundation
KR102177466B1 (ko) 밸브 덮개 설치형 제수 밸브 보호통
US11181221B1 (en) Pull off pipe cap
JP2020159529A (ja) 分岐管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19710377U (zh) 一种用于分布式光伏项目的箱变基础
KR100936776B1 (ko) 맨홀 덮개 고정구조
US4836595A (en) Pipe handling apparatus
JP7437830B2 (ja) 吊り部材、及び吊り部材による蓋部材の開放方法
KR10119058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 뚜껑 조립체
KR20120086059A (ko) 개구부 덮개용 유공판
JPH0742186A (ja) マンホール回りの防水コンクリート打設装置及びマンホール回りの防水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