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726B1 -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726B1
KR100936726B1 KR1020090061519A KR20090061519A KR100936726B1 KR 100936726 B1 KR100936726 B1 KR 100936726B1 KR 1020090061519 A KR1020090061519 A KR 1020090061519A KR 20090061519 A KR20090061519 A KR 20090061519A KR 100936726 B1 KR100936726 B1 KR 10093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pressure reducing
valve
samp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
정현배
김진성
임광수
Original Assignee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8Obtaining fluid samples or testing fluids, in boreholes or w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채수 시 발생할 수 있는 2차 오염으로부터 시료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지하수 펌핑 시 지하수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시료 채수 시기를 고려하여 채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하수 토출관에 시료 채수 장치의 주 배관을 제1접속구로 연결하여, 수중 펌프에 의하여 토출된 지하수를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주 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의 일측에는 니들밸브를 설치하여 토출 유량을 조절하며, 상기 분기관의 타측에는 감압밸브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압밸브의 후단은 다시 분기하는데 상기 분기관의 일측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하여 지하수가 플로우 셀에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플로우 셀에서 수질 측정기로 지하수의 수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압밸브에서 분기된 다른 분기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on-off하기 위한 Foot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지하수가 글로브 박스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에 연결된 밀폐된 공간인 글로브 박스 안에서 무균 채수병이나 유리병에 지하수 시료를 채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Foot 스위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채수 시에는 상기 Foot 스위치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고, 2차 오염을 차단하기 위하여 밀폐된 공간인 글로브 박스 안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수하는 것이다.
시료, 채수, 모니터링, 제1접속구, 감압밸브, 체크밸브, 플로우 셀, 솔레노이드밸브, Foot 스위치, 2차 오염

Description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Underground Water Sampling Method to prevent Secondary Contamination}
본 발명은 지하수 시료를 채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하수 채수는 채수 지점으로부터 수질 측정소까지의 거리가 상당하므로 이동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료의 물성이 바뀌거나 이송 중의 관로에 의하여 오염의 우려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시료 채수 시에 빗물이나 기타 주변 이물질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하고 상기와 같은 2차 오염으로 수질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시료의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압밸브를 통하여 압력이 떨어진 지하수 시료 수는 체크밸브를 통하여 플로우 셀로 이송되고, 상기 플로우 셀 일측에 삽입된 수질 측정기의 센서에 의하여 플로우 셀의 시료수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시료의 평형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수질의 평형 여부 판단은 현재 국내에서 그 기준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USGS(미국지질조사국)가 발행한 샘플링을 위한 필드 메뉴얼(National Field Manuel for Collection of water Samples)의 Chapter 4의 기준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플로우 셀에서 지하수의 시료 수의 수질 안정이 확인되면, Foot 스위치에 동작시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여 지하수 시료를 밀폐된 글로브 박스 내부로 이송하고, 상기 글로브 박스에서 무균채수병 및 PE병 등에 담아 밀봉하면 시료 채수가 완료되는 것이다.
지하수 시료 채수에 관한 종래의 방법은 도 1에 공개되어 있다. 상기도 1은 종래의 시료 채수 장치 및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용신안 공보 공고번호 실1981-0001455호에 공개되어 있다. 도 1에서 샘플링 장치 본체(16)는 시료유입관(15)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뚜겅(14)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관(17)은 필터(1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흡입관 선단을 시료유입관(15)의 중간부에 일부 벌려지게 설치하고 있는 흡인구(28)내에 삽입하고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17)에 의해서 홀인된 시료는 측정기기(미도시)에 송수되어 수질측정이 된다. 상기도 1에서 유량 조절 밸브(19)는 시료유입관(15)의 중간부에 설치되며 통상 볼벨브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볼밸브는 수동으로 핸들(2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유로(流路) 중에 위치시키고 있는 구체(球體)(21)를 위치변경시켜, 이 구체(21)에 천설되어 있는 구멍(22)의 유로 중에 있어서의 벌려지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시료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에, 배수관(23)은 시료유입관(15) 및 유량조절벨브(19)를 거쳐 장치 본체(14)내부에 도입된 시료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관로이며 펌프(24)는 수로(25) 중에 배치되어서 시료수를 장치 본체(16)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이고 제어변(26)은 시료 유입관의 관로에 설치하고 있으며, 다른 제어변(29)은 바이패스관(27)에 설치한 제어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채수 장치에서 지하수 시료수를 채수하는 방법은 상기 채수 장치의 시료유입관(15)의 일부에 흡인구(28)를 설치하고 펌프(24)를 구동시키며 상기 흡인구(28)에서 일부의 시료수를 오버플로우 시킴과 동시에 흡인구(28)내에 필터(18)를 장비한 흡인관(17)을 삽입하여 시료수를 흡인하고 채수하며 측정기기로 송수하여 수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지하수를 채수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료 채수 방법은 항상 필터를 통하여 측정기기로 시료수가 송수되므로 필터가 오염되는 경우 정확한 수질을 파악할 수 없으며, 또한 시료 유입관의 중간지점 개구부에 흡입관을 설치하므로 시료수의 오버 플로우가 항상 발생되므로 상기 샘플링장치 본체의 내부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시료 수의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료 채수 방법은 채수 전 실시간으로 지하수 수질의 평형 상태를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지하수의 시료를 채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외부와 개방된 상태에서 시료가 채수 되므로 작업자 부주의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없고, 채수 시 작업자도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은 수중 펌프에 의하여 펌핑한 지하수를 토출관측에 제1접속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지하수 시료 채수 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토출관의 주배관에 니들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니들밸브를 이용하여 토출관의 토출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배관에 니들밸브를 설치한 상태에서 주배관에 분기관을 설치하고, 상기 분기관에는 감압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감압밸브 후단에는 다른 분기관을 설치한 후 상기 다른 분기관의 일측에는 체크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다른 분기관의 타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크 밸브 후단에는 호스를 접속하고, 상기 호스를 플로우 셀에 연결하여 지하수를 이송하고, 상기 플로우 셀로 이송된 지하수 시료를 플로우 셀에 삽입된 수질 측정용 전극봉에 의하여 수질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플로우 셀에서 수질 측정 결과 지하수의 시료의 수질이 평형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압밸브 후단의 분기관 타측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Foot 스위치를 이용하여 개방하여, 지하수 시료가 글로브 박스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지하수 시료는 상기 글로브 박스 내에서 무균 채수병이나 PE병에 담아 밀폐함으로써 채수를 완료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감압밸브 후단에 별도의 분기관을 구성하고 상기 분기관 일측에는 플로우 셀을 구비하여 지하수 시료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지하수 시료 채수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분기관의 타측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에는 밀폐된 글로브 박스를 구비하여 상기 글로브 박스 내에서 지하수 시료를 무균 채수병이나 PE병 등에 안전하게 채취함으로써 지하수 시료의 2차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Foot 스위치를 발로 조작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양손을 이용하여 상기 글로브 박스 내에서 시료 채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은 지하수의 시료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수(101) 내에 수중펌프(102)를 설치하고, 상기 수중펌프(102)와 연결된 토출관(113)과 상기 토출관(113) 끝단에 연결 접속되는 제1접속구(103)와, 상기 제1접속구(103)에 접속되는 니들밸브(105)와 상기 니들밸브(105) 후단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107)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접속구(103) 후단과 상기 니들밸브(105)와의 사이에 분기관을 설치하고, 상기 분기관에는 감압밸브(104)가 설치되고, 상기 감압밸브(104)의 후단에는 다른 분기관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른 분기관의 일측에는 체크밸브(108)가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108) 후단에는 다시 플로우 셀(109)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플로우 셀(109)에는 수질 측정용의 전극봉을 상기 플로우 셀(109)에 삽입 설치하여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 측정기(110)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른 분기관의 타측에는 Foot 스위치(114)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11)가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1) 후단에는 지하수 시료를 무균 채수병이나 PE병 등에 채취하기 위한 글로브 박스(112)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하수(101) 내에 설치된 수중 펌프(102)를 동작시키면 지하수가 펌핑되어 토출관(113)을 통하여 지하수가 이송되는데 상기 토출관(113)의 끝단에는 본 발명 지하수 시료 채수 장치(100)를 상기 토출관(113)에 접속하기 위한 제1접속구(103)가 구비되며, 상기 제1접속구(103) 후단에는 상기 지하수의 수위가 급격히 떨이질 경우 펌핑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니들밸브(105)를 설치하고, 상기 니들밸브(105)의 후단의 유량을 체크하기 위하여 유량계(107)를 연결하기 위한 제2접속구(106)을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접속구(103)와 상기 니들밸브(105)와의 사이에 설치된 분기관에는 감압밸브(104)를 설치하여 상기 수중펌프에 의하여 가압된 지하수의 압력을 저하시켜 플로우 셀(109)이나 글로브 박스(112)내로 유입되는 시료수를 감압밸브(104) 전단의 유량과 수압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압밸브(104) 후단에 설치된 분기관은 시료 수를 플로우 셀(109)과 글로브 박스(112)로 동시에 보내기 위한 것이고, 상기 분기관 일측에 설치된 체크 밸브(108)는 플로우 셀(109)로 유입된 시료수가 다시 역류되어 글로브 박스(112)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로우 셀(109)에는 이동용 수질 측정기(110)의 전극봉을 삽입하여 현장에서 수질을 측정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분기관의 타측에는 일정거리에 솔레노이드 밸브(111)가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1)는 Foot 스위치(114)에 의하여 개도 시간이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발(foot)로 작동시켜 개도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1) 후단에 접속되고 외부와 차단된 글로브 박스(112) 내에서 무균 채수병이나 PE병에 지하수 시료를 적절하게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시료 채수는 용기에 빈 공간이 없도록 채취한 후 채수병을 뒤집어서 기포가 발생되는지 확인한 후 기포가 발생되지 않으면 파라핀 실링지로 채수병 틈새를 밀봉하여 채수를 완료하는 것이다.
도 3은 플로우 셀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에서 플로우 셀(109)은 하부에 체크밸브(108)와 호스 연결하는 유입구(150)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를 플로우 셀(109)의 유입구(150) 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의 플로우 셀(109) 측면에는 포터블 수질 측정기(110)의 전극봉을 삽입하기 위한 한쌍의 전극봉 삽입구(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우 셀(109) 상측부에는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유출구(152)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로우 셀(109)은 체크밸브(108)를 통하여 지하수 시료가 상기 플로우 셀(109)의 유입구(150)로 송수되고, 상기와 같이 송수된 지하수 시료는 플로우 셀(109)에 삽입된 전극봉에 의하여 수질이 측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플로우 셀(109)의 수질을 측정한 결과 수질이 평형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Foot 스위치(114)를 눌러서 지하수를 글로브 박스로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지하수는 상기 글로브 박스(112)에서 시료 채수를 시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로우 셀(109)은 지하수 시료수가 하부 유입구(150)에서 유입되어 상측부 유출구(152)로 유출되므로 상기 플로우 셀(109) 내에서 와류 발생을 억제하고 공기방울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4는 글로브 박스(112)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본 발명에 적용된 글로브 박스(112)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는 받침대(165) 위에 설치되는 4각 박스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 후면에 구비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호스와 연결되는 호스 주입구(161)와, 작업자들이 채수하는 지하수를 채수병(166)에 담는 작업을 하기 위하여 양손을 투입하는 투입구(162)와, 몸체 일측에 형성되어 지하수 시료가 담긴 채수병(166)을 꺼내기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167)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글로브 박스(112)에서 지하수를 채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플로우 셀(109)에서 지하수가 안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Foot 스위치(114)를 눌러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개방하면서, 동시에 상기 글로브 박스(112)의 투입구(162)로 양손을 삽입하여 글로브 박스(112)에 기 비치하고 있는 PE 병이나 채수병에 지하수를 채수하여 완료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밀폐된 글로브 박스(112) 안에서 채수 작업을 함으로서 채수 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채수 작업은 작업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하고, 상기 Foot 스위치(114)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시 여러 사람이 필요하지 않으며, 또한 적절한 양의 지하수를 글로브 박스(112)에 이송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111)의 조작시간도 마음대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글로브 박스(112)는 박스 하단과 바닥면이 적어도 5 cm 높이의 작업대(165) 위에 설치되도록 하여 바닥면에 고여 있는 물과 격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하수 시료 채수 장치(100)를 이용하여 지하수 시료를 채수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하수의 시료 채수를 하기 위하여 주 작업자와 보조 작업자를 미리 정하여 두는 것이다. 주 작업자는 주로 시료 채수 장치 내부에서 작업하며 직접적인 시료 채수를 담당하고, 무균 채수병이나 유리병, 여과기, 핀셋, PE병 등의 비품을 작업용 탁자 위에 준비하거나 글로브 박스 안에 비치하고 채수 준비를 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지하수 시료 채수 장치(100)를 제1접속구(103)를 통하여 지하수 수중펌프(102)의 토출관(113)과 연결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니들밸브(105)의 후단에 유량계(107)을 설치하여 토출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작업자는 지하수 관정에 수위측정기를 설치하고 수중펌프(102)의 펌핑이 시작되면 단위시간(10분, 5분, 1분)간격으로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수위 측정 결과 수위가 급격히 떨어질 경우 상기 니들밸브(105)를 조작하여 유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보조 작업자는 플로우 셀(109)의 수질 측정기(110)로 측정봉을 삽입하고, 수중펌프(102)를 작동시켜 지하수의 펌핑을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지하수 펌핑이 시작되면 감압밸브(105)를 거쳐 감압된 지하수를 체크 밸브(108)를 통과하여 플로우 셀(109)로 이송한다. 다음에는 유량계(107)의 토출 유량을 확인하고 지하수(101) 수위 및 플로우 셀(109) 내의 시료수 수질 변화를 1분 간격으로 실시간 측정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니터링한 결과 시료수가 평형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 작업자는 Foot 스위치(114)를 작동시켜 솔레노이드 밸브(111)를 개방하여, 시료수를 글로브 박스(112) 안으로 이송시킨다. 다음에 주 작업자는 글로브 박스(112) 안에서 소독된 장갑을 착용하고 시료 채수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다. 시료 채수는 채수 용기에 빈공간이 없도록 채취한 후 채수 병을 뒤집어 기포가 발생하는지 확인한 후 파라핀 씰링지로 채수병 틈새를 밀봉하여 완료하는 것이다. 또한, 중금속에 대한 지하수의 이온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중금속의 필터링 작업을 추가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링 작업은 상기 글로브 박스(112) 안에서 이루어지고, 별도의 필터 홀더(미도시)를 글로브 박스(112) 안에 넣고, 상기 글로브 박스(112)와 공기관(164)에 의하여 연결된 진공 펌프(163)를 작동시키면서 필터링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필터링 작업이 완료되면 채수 용기에 채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플로우 셀에서 지하수의 평형 상태를 확인하고, Foot 스위치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를 개방하며, 밀폐된 글로브 박스 안에서 채수 작업을 진행하는 본 발명은 채수 시에 흔히 발생하는 지하수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수 채수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채수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로우 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글로브 박스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지하수 시료 채수 장치, 102 : 수중 펌프, 103 : 제1접속구,
104 : 감압밸브, 105 : 니들밸브, 108 : 체크밸브
109 : 플로우 셀, 110 : 측정기, 111 : 솔레노이드 밸브,
112 : 글로브 박스, 150 : 유입구, 152 : 유출구, 161 : 솔레노이드 밸브와의 연결 호스, 162 : 손 투입구, 163 : 진공펌프.

Claims (7)

  1. 삭제함
  2. 지하수의 시료를 채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하수의 시료를 수중 펌프로 펌핑하여 토출하는 단계와;
    상기 토출된 지하수를 상기 수중 펌프에 연결된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에 접속된 제1접속구와 상기 제1접속구 후단의 분기관에 연결된 감압밸브로 이송하고 상기 감압밸브에 의하여 상기 지하수의 압력을 줄이는 단계와;
    상기 감압밸브에 의하여 감압된 지하수를 상기 감압밸브 후단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거쳐 플로우 셀로 이송하고 상기 플로우 셀에서 수질 측정기에 의하여 수질을 측정하여 평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플로우 셀에서 지하수가 평형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감압밸브와 체크밸브 사이의 연결관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Foot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도록 하여 상기 지하수를 밀폐된 글로브 박스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밀폐된 글로브 박스 안에서 상기 지하수의 시료를 채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에 의하여 감압된 지하수를 상기 감압밸브 후단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거쳐 플로우 셀로 이송하고 상기 플로우 셀에서 수질 측정기에 의하여 수질을 측정하여 평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지하수 유입을 플로우 셀의 하단에서 유입되도록 하고, 지하수의 유출을 플로우 셀의 상단에서 유출되도록 하면서 지하수 평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은
    지하수의 시료를 수중펌프로 토출하는 단계 다음에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1접속구와 감압밸브 사이에 접속된 니들밸브를 이용하여 지하수 토출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5. 삭제함
  6. 삭제함
  7. 제4항에 있어서,
    지하수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1접속구와 감압밸브 사이에 접속된 니들밸브를 이용하여 지하수 토출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니들밸브 후단에 제2접속구에 의하여 유량계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유량계에 의하여 토출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니들밸브에 의하여 토출 유량을 조절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KR1020090061519A 2009-07-07 2009-07-07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KR10093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19A KR100936726B1 (ko) 2009-07-07 2009-07-07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19A KR100936726B1 (ko) 2009-07-07 2009-07-07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726B1 true KR100936726B1 (ko) 2010-01-14

Family

ID=4180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519A KR100936726B1 (ko) 2009-07-07 2009-07-07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7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8499A (zh) * 2018-06-14 2018-11-13 苏州大族松谷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激光切割机升降台的液压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27800B1 (ko) 2022-08-22 2023-05-02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지하수 채수 장치
KR102623851B1 (ko) 2022-12-21 2024-01-11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기어방식 지하수 채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455Y1 (ko) * 1978-02-09 1981-10-06 호리바 마사오 시료수 샘프링 장치
KR20080075708A (ko) * 2007-02-13 2008-08-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동식 심부 지하수 채취장치
KR100863287B1 (ko) 2007-01-23 2008-10-15 주식회사 케이엔텍 수질 분석용 용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455Y1 (ko) * 1978-02-09 1981-10-06 호리바 마사오 시료수 샘프링 장치
KR100863287B1 (ko) 2007-01-23 2008-10-15 주식회사 케이엔텍 수질 분석용 용기장치
KR20080075708A (ko) * 2007-02-13 2008-08-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동식 심부 지하수 채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8499A (zh) * 2018-06-14 2018-11-13 苏州大族松谷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激光切割机升降台的液压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527800B1 (ko) 2022-08-22 2023-05-02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지하수 채수 장치
KR102623851B1 (ko) 2022-12-21 2024-01-11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기어방식 지하수 채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503B1 (ko) 지하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시료 채수 장치
CN100516804C (zh) 气密性试验件漏气检测装置
CN107271707A (zh) 一种取样装置及使用该装置的进样装置、检测系统
CN101378794A (zh) 抽吸方法和伤口抽吸系统
KR100936726B1 (ko)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WO2013099724A1 (ja) ミスト含有ガス分析装置
KR101648617B1 (ko)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
CN111337310A (zh) 全自动水样采集器
CN112362817A (zh) 变压器瓦斯集气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5004874B (zh) 一种自动进样及剂量计量方法
US6360620B1 (en) Method and sample extractor for the extraction of intact fluid samples
CN219475104U (zh) 一种烟气监测系统的采样装置
RU2009119457A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аналитического контроля жидких проб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CN107462379B (zh) 一种阀门泄漏率的自动测试装置
CA1219147A (en) Liquid flow meter
CN201269831Y (zh) 流动溶液集合取样装置
CN212159201U (zh) 全自动水样采集器
JP2002065843A (ja) 過剰陰圧解除装置を備えた医療用吸引装置
AU2009206170B2 (en) Sampling apparatus and method
CN108535341A (zh) 一种环境空气氟化物浓度连续在线监测设备及方法
CN115436113A (zh) 挥发性有机物采样分析方法及系统
CN209992239U (zh) 利用放射性氪同位素测定海水表观年龄的样品采集装置
CN204439419U (zh) 自动气体取样器
CN207742210U (zh) 一种取样装置及使用该装置的进样装置、检测系统
CN217401671U (zh) 一种电动执行机构油液检查和抽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