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617B1 -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 - Google Patents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617B1
KR101648617B1 KR1020137031642A KR20137031642A KR101648617B1 KR 101648617 B1 KR101648617 B1 KR 101648617B1 KR 1020137031642 A KR1020137031642 A KR 1020137031642A KR 20137031642 A KR20137031642 A KR 20137031642A KR 101648617 B1 KR101648617 B1 KR 10164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condensed water
ejector
valve
hollo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412A (ko
Inventor
허버트 쉬렌스커
조하네스 신스테드텐
Original Assignee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2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12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excess or release of pressure
    • F16T1/14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excess or release of pressure involving a piston, diaphragm, or bellows, e.g. displaceable under pressure of incom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21Discriminating outlet for liquid
    • Y10T137/304With fluid responsive valve
    • Y10T137/3052Level respon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21Discriminating outlet for liquid
    • Y10T137/304With fluid responsive valve
    • Y10T137/3052Level responsive
    • Y10T137/3068Float
    • Y10T137/3077Servo-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102With liquid emptying means
    • Y10T137/3105Self-empt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762With leakage or drip collecting
    • Y10T137/5907Collector for waste liquid derived from solid, gas or vap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06Electrical characteristic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수 주입구(23)를 통해서 압축 가스 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응축수 수집통(22)과 밸브 어셈블리(25)를 사용하여 폐쇄할 수 있는 응축수 배출기(24)가 있는 하우징(21), 응축수 수집통(22)에서 응축수 충전 레벨을 파악할 수 있는 최소 하나의 전자식 충전 레벨 측정기(31)를 수용하기 위한 응축수 수집통(22)에서 돌출되어 있는 관상체(32)를 갖는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하우징(21)은 첫 번째 수직 조립 위치와 두 번째 수평 조립 위치에서 조립 가능하며, 관상체(32)의 세로축은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Description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CONDENSATE DISCHARGE DEVICE FOR COMPRESSED GAS SYSTEM}
본 발명은 압축 가스 시스템, 특히 청구항 1의 상위 개념에 의거한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응축수 배출기는 예를 들어 압축 공기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물과 함께 오일 또는 녹을 함유할 수 있는 압축 공기 배관망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응축수는 압축 공기 컴프레서가 빨아 들이는 주변 공기의 습기에서 발생한다. 오일은 기본적으로 이를 윤활제로 사용하는 컴프레서에서 생기며, 반면 녹은 일반적으로 압력 라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한다.
응축수 배출기의 여러 가지 모델이 알려져 있다. 응축수 배출기는 일반적으로 밸브가 열리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밸브가 열림으로써 압축 공기 네트워크에서의 응축수가 입력으로 인해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압축 가스 시스템 가동 시의 경제성을 위해 가스 또는 압축 공기 손실이 가능한 한 적도록 유지해야 한다.
종류에 따른 응축수 배출기는 밸브 조절과 에너지 공급 방식에 따라서 기본적으로 3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소위 부유식 배출기는 수집통에 모아진 습기의 (응축수) 부력으로 인해서 조금 위로 올려지고, 이와 함께 밸브를 작동시키는 속이 빈 물체와 함께 작동한다. 이 밸브는 대부분 서보 조종장치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응축수가 밀려나오는 수집통의 배출 구멍을 열리게 한다. 부유식 배출기인 응축수 배출기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아주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또한 쉽게 고장 난다.
그리고 전기로 작동되며 시간 조절이 되는 자석 밸브가 있는 응축수 배출기가 있다. 이 배출기는 조절 가능한 시간 간격으로 밸브를 열리게 한다. 응축수가 없는 상태에서 밸브를 여는 것은 불리한데, 방출되는 압축 공기로 인해서 높은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전자식 레벨 조절 응축수 배출기라고도 일컫는 전자식 레벨 제어 밸브가 있는 응축수 배출기는 전자 센서를 통해서 모아진 습기 및 응축수 분량을 파악한다. 일정한 분량에 도달하면 밸브가 열리고 정확하게 이 분량이 추가적인 압축 공기 손실 없이 배출된다. 이러한 종류의 응축수 배출기는 제조 비용이 비교적 비싸지만 가동 비용이 아주 저렴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가동 수명기간 동안 비용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유리하다.
전자식 레벨 조절 응축수 배출기는 EP 0391 250 B1등 에서 공표되었다. EP 문서는 압축 공기 시스템에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응축수 수집통을 갖고 있는 압축 가스 시스템, 예를 들면 압축 공기 시스템과 그와 같은 종류의 시스템에서의 응축수 배출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압축 공기 시스템으로부터 배출 위치, 예를 들면 배관의 가장 낮은 지점에서 응축수 배출기의 수집통에 모아진 응축수가 배출된다. 이 수집통에는 수집통으로 수직으로 뻗어 나가는 관상체에 배열되어 있는 전체 센서 중에서 최소한 한 개의 센서가 돌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응축수의 수위를 파악하는 용량 센서이다. 묘사된 실시예에는 이와 같은 종류의 2 가지 센서가 여러 높이로 관상체에 우선 예정되어 있다. 수집통이 상부 센서의 높이까지 채워져 있는 경우, 작업 과정이 시작된다. 센서와 연결된 전기 장치가 밸브 어셈블리를 연다. 그렇게 함으로써 수집통의 응축수가 이용할 수 있는 응축수 배출기로의 길이 열리게 된다. 밸브 어셈블리는 자석 밸브 형태의 제어 밸브와 이를 통해서 조절되는 맴브레인 밸브 형태의 메인 밸브 및 배출 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력과 전기 장치에 대한 요구 사항이 줄어든다. 메인 밸브의 조절은 공표된 응축수 배출기의 경우, 응축수 배출기의 수집통에서 응축수가 없는 보호 구역을 통해 빠지는 깨끗한 압축 공기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압축 가스 시스템에서 이런 종류의 응축수 배출기 사용 위치는 아주 상이하다. 압축공기 필터 또는 압축 공기 저장 장치의 하부 연결부가 그 예이다. 흔히 응축수 배출기를 위한 설치 공간이 제한되어 있는데 최저 지상고나 응축수 배출기 조작판의 가시 거리등으로 인해서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이전에 알려져 있는 응축수 배출기가 깨끗한 내부 보호 구역이나 센서의 설치 위치 지정등을 통해서 오직 특정한 조립 위치에서만, 예를 들어 오직 수평이나 수직으로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으로 인해서 압축 가스 시스템과의 직접적인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추가적인 어댑터나 길이 연장 및 보조 배관 등으로 임시 변통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은 이전에 알려져 있는 응축수 배출기와 비교할 때 기본적으로 확대된 조립 가능성 및 기본적으로 확대된 사용 및 가동 가능성을 제공하는 압축 가스 시스템,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를 만드는 과제를 내세웠다. 또한 조립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해야 한다.
이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압축 가스 시스템,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를 통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은 다른 특별히 유리한 형태를 보여준다.
청구항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진 특징들이 임의의 기술로 서로 중요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타 형태를 제시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명세서는 추가적으로 도면과의 연관성에서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고 상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압축 가스 시스템,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는 응축수 주입구를 통해서 압축 가스 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응축수 수집통과 밸브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폐쇄 가능한 응축수 배출기를 갖고 있는 하우징과 응축수 수집통의 응축수 충전 레벨을 파악할 수 있는 최소 하나의 충전 레벨 측정기를 수용하기 위해서 응축수 수집통으로 돌출되어 있는 관상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하우징은 최소한 첫 번째 수직 조립 위치와 두 번째 수평 조립 위치에서 조립 가능하다. 관상체의 세로축은 응축수 주입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관상체" 개념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넓게 해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길이가 직경보다 기본적으로 큰 길쭉한 형태의 속이 빈 물체를 묘사한다. 관상체의 횡단면 형태는 "관상체" 개념을 통해서 특별히 정해지거나 제한되지 않는다. 가장 빈번한 적용 예인 원형의 횡단면이 최적의 구조 형태로서 간주되는 경우에도 횡단면은 예를 들면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장방형, 타원형 그리고 기타 형태를 받아들일 수 있다.
응축수 배출기 및 그 하우징의 첫 번째 수직 조립 위치와 두 번째 수평 조립 위치는 기본적으로 임의의 공간 축 둘레에서 약 90도 정도 하우징을 회전시킴으로서 즉, 세로축, 가로축 또는 수직축으로 구분되는 2개의 조립 위치로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응축수 배출기의 수직축 둘레에서의 이러한 회전은 중력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공간축을 응축수 배출기의 수직축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찰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수직축 둘레에서의 회전을 통해서 도달 가능한 2개의 조립 위치는 이러한 경우 응축수 수집통에서의 습기 및 응축수 수위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응축수 배출기의 세로축이나 가로축 둘레에서의 회전 등을 통해서 2개의 조립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와 같이 응축수 수집통에서 습기 및 응축수 수위의 상태가 변하는 조립 위치가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거하여 0도와 (수평) 90도 (수직) 사이에서 모든 임의의 각도가 응축수 배출기에 있어서의 기능 제한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하면 응축수 수집통으로 돌츨되어 있는 관상체의 세로축이 응축수 주입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진행된다. 압축 가스 시스템으로부터 응축수 주입구를 통해서 응축수 수집통으로 주입되는 응축수의 흐름 방향을 응축수 주입 방향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관상체는 응축수 배출기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조립 위치 어디에서도 수직이 아니다. 즉 응축 수집통으로의 중력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으며, 중력 방향과 함께 항상 0도 보다 큰 각도를 포함한다. 여기서 약 +/- 45도가 선호된다. 중력 방향은 예를 들어 줄에 매단 긴 연추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량 및 중력 벡터의 부분적인 방향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관상체와 그 안에 수용된 충전 레벨 측정기의 특별한 정렬을 통해서 응축수 수집통 내와 응축수 배출기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조립 위치에서의 응축수 충전 레벨을 항상 확실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응축수 수집통 내에서의 응축수 충전 레벨 파악은 실실적으로 첫 번째와 두 번째 조립 위치와는 무관하게 확실하게 실행 가능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사용 및 조립 가능성이 기술 현황에 따른 응축수 배출기와 비교할 때, 기본적으로 확대되었다.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는 특히 실제 조립 위치의 선택과 관련하여 응축수 배출기에서 적어도 제조상이나 구조적인 변경과 그와 같은 변경을 시행할 필요 없이 수직과 수평의 조립을 허용한다. 적어도 두 가지 조립 위치에서 관상체의 응축수 수집통으로의 비스듬한 배열로 인해 항상 비스듬한 관상체에 수용된 충전 레벨 측정기를 사용한 응축수 충전 레벨의 정확한 파악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확대된 조립 가능성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조립 작업량이 줄어들고, 조립 시간과 조립 재료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형태는 가동하는 동안 적어도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조립 위치에서 응축수 수집통에서 적어도 차단벽을 사용하여 일정한 응축수 충전 레벨부터 관상체의 응축수 수집통과의 연결 부분에서 응축수가 없는 빈 공간의 형성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응축수 수집통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도 속이 빈 공간이 있기는 하지만, 응축수 수위가 올라갈 때 비로소 폐쇄된 속이 빈 공간을 형성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응축수 수집통 내의 응축수가 일정한 충전 레벨에 도달하면 상승된 응축수 수위가 차단벽에 도달하여 속이 빈 공간이 폐쇄되고, 응축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경우에도 유지되어 응축수가 없는 상태가 지속된다. 따라서 속이 빈 공간은 응축수 수집통에서의 응축수의 실제 충전 상태와 응축수 배출기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조립 위치와는 무관하게 항상 응축수가 없기 때문에 오염으로부터 안전하다.
또한 보호 구역이라고 표현되는 이 속이 빈 공간에는 응축수가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그곳에는 경우에 따라서 응축수에 함께 포함될 수 있는 그 어떤 입자의 침전도 형성될 수 없다. 그래서 충전 레벨 측정기를 수용하고 있는 관상체의 외벽으로부터 응축수 수집통의 내벽을 향해서 계속되는 층이 형성될 수 있는 상황을 피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 수집통에서의 응축수 충전 레벨의 정확한 파악을 상당히 위태롭게 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 측정 시스템상의 장애로부터 충전 레벨 측정기가 보호된다. 이는 특히 충전 레벨 측정기가 적어도 용량 센서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여기서 용량 센서는 관상체에 배열되어 있는 내부 전극과 응축수 수집통이나 응축수 수집통에 배열되어 있는 배관에 의해 형성된 외부 전극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응축수 침전이 충전 레벨 측정기의 내부 전극과 외부 전극 사이에서 측정 시스템 상의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그 결과 속이 빈 공간의 바람직하지 않은 응축수 침전으로 인한 잘못된 측정을 피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유리한 형태에 따르면 속이 빈 공간은 응축수 주입 방향으로 차단 벽에 의해서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되어 있으며, 응축수 배출 방향으로는 열려 있다. 속이 빈 공간이 응축수 주입 방향으로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되어 있는 것은 응축수 수집통 내에서 일정하게 차단 벽에 의해서 정해지는 응축수 수위에서 속이 빈 공간으로 더 이상 공기가 빠져나올 수 없는 것을 방해한다. 왜냐하면 이 상태에서의 응축수 수위는 속이 빈 공간의 응축수 배출기 쪽의 구멍을 폐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응축수 수집통에서 응축수 수위가 계속 상승하면 속이 빈 공간에 더 이상 응축수가 스며들 수 없다. 응축수 배출 방향으로의 속이 빈 공간의 구멍은 관상체 외벽과 응축수 수집통 내벽 사이에 지속적인 응축수 침전이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유리한 형태에 따르면 차단벽이 L자 형태의 횡단면을 제시한다. 여기서 차단벽의 첫 번째 가장자리는 응축수 주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리고 차단벽의 두 번째 가장자리는 응축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응축수 주입구를 통해서 압축 가스 시스템으로부터 응축수 수집통으로 주입되는 응축수의 흐름 방향을 응축수 주입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벽은 단순한 형태에서 첫 번째의 응축수 주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는 가장자리를 사용하여 응축수 주입 방향으로의 속이 빈 공간을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할 수 있다. 반면 두 번째 응축수 주입 방향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가장자리는 응축수 수위가 첫 번째 가장자리에 의해서 둘러싸인 속인 빈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수집통의 응축수 수위가 계속 상승하는 경우, 속이 빈 공간에 응축수가 침투할 수 없는 응축수 수집통의 응축수 충전 레벨을 정한다. 응축수 주입 방향에 평행을 이루는 차단벽의 가장자리가 응축수 수집통의 응축수 주입 방향에 수직으로 진행되는 내벽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경우에 따라서 차단벽의 응축수 주입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장자리를 포기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응축수 수집통 내벽에는 응축수 수집통의 덮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응축수 수집통에 의해서 마련된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그 밖의 유리한 형태는 응축수 주입구에서의 차단벽이 응축수 배출기의 실제 조립 위치와 관련해서 응축수 주입구의 상부에 배열되어 있다고 정하고 있다. 따라서 차단벽 아래에 놓여 있는 응축수 수집통의 부피는 기본적으로 응축수를 받아 모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유리한 형태에 따르면 차단벽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속이 빈 공간은 응축수 수집통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다. 그 결과 전체적인 응축수가 없는 속이 빈 공간 및 전체적인 보호 구역을 포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응축수 수집통에서의 응축수 수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차단벽을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유리한 형태에 있어서는 응축수 배출기의 구멍이 가동 시 응축수가 있는 응축수 수집통의 한쪽에 배열되어 있다. 그래서 응축수 수집통에 받아 모아진 응축수가 실질적으로 적어도 첫 번째와 두 번째 조립 위치와는 무관하게 항상 침전될 수 있도록 보장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유리한 형태에 따르면 밸브 어셈블리가 제어 밸브, 그 중에서도 자석 밸브와 배출 밸브, 특히 멤브레인 밸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밸브로는 제어 밸브와 배출 밸브 사이의 보조 압력을 형성 및 제거할 수 있으며, 속이 빈 공간에서 보조 압력을 위한 압력 매체를 사용 할 수 있다. 속이 빈 공간에서 압력 매체가 압축 가스 시스템의 압력을 통해서 이미 압력 하에 놓여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으로 배출 밸브 조정을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식으로 보조 압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속이 빈 공간을 통해서 항상 응축수가 없는 압력 매체가 마련되기 때문에 응축수 침전 및 응축수에 함유된 단단한 성분에 의해서 제어 밸브가 오염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다음에서는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그 밖의 유리한 세부 사항과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각 도면은 다음 사항을 제시한다:
도면 1 : 첫 번째의 수직의 조립 위치에서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 실시예의 측면단면도
도면 2 : 두 번째의 수평의 조립 위치에서 도면 1에서의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측면단면도
도면 3 : 차단벽 진행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 1에 표시되어 있는 절단선 A-A를 따라서 진행된 단면도
도면 4 : 첫 번째의 수직 조립 위치에서 도면 1에서의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첫 번째 사용 예
도면 5 : 두 번째의 수평 조립 위치에서 도면 1에서의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두 번째 사용 예
여러 가지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항상 동일한 참조 표시를 갖고 있어서 일반적으로 한번만 표시된다.
도면 1은 첫 번째의 수직 조립 위치에서 압축 가스 시스템,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 실시예의 측면 단면도를 제시한다. 응축수 배출기(20)는 응축수 수집통(22)을 갖고 있는 하우징(21)을 포함한다. 응축수 수집통(22)은 응축수 주입구(23)를 통해서 도면 1에 더 이상 제시되어 있지 않은 압축 가스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다. 응축수 주입구(23)을 통해서 압축 가스 시스템으로부터 응축수가 응축수 수집통(22)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응축수 배출기(24)를 통해서 응축수는 다시 응축수 수집통(22)으로부터 흘러 나온다. 응축수 배출기(24)는 밸브 어셈블리(25)를 사용하여 폐쇄시킬 수 있다. 도면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응축수 배출기(24)의 구멍(26)이 응축수 수집통(22)의 좌측 아래쪽 구석에 배열되어 있다. 응축수 수집통(22)에 응축수가 모아지게 되면 바로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의 가동 시 도면 1에 제시되어 있는 첫 번째의 수직의 조립 위치와 구멍(26)에 응축수가 있게 된다. 그래서 밸브 어셈블리(25)가 응축수 배출기(24)를 풀어 놓으면 응축수는 바로 응축수 배출기(24)에 도달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5)는 제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밸브(27), 그 중에서도 특히 자석 밸브와 배출 밸브(28), 그 중에서도 특히 멤브레인 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그와 같은 밸브 어셈블리(25)는 예를 들어 처음에 언급한 EP-문서로부터 그 자체가 잘 알려져 있다. 자석 밸브(27)의 도움으로 도면 1에 제시된 응축수 배출기(20)에 있어서 멤브레인 밸브(28)와 응축수 배출기(24)를 폐쇄하기 위해서 멤브레인 밸브(28)의 밸브막 위에 보조 압력이 형성된다. 멤브레인 밸브(28)를 열어 주고 응축수의 방향을 바꾸도록 하기 위해서 자석 밸브(27)를 통해서 보조 압력이 제거됨으로써 응축수 수집통(22)에서 압력 하에 있는 응축수가 멤브레인 밸브(28)의 밸브막을 열고, 그렇게 함으로써 응축수 배출기(24)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자석 밸브(27)가 전기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도면 1에서 기호로 표시된 전기 제어 장치(29)가 자석 밸브(27)의 조정을 담당한다. 전기 제어 장치(29)는 응축수에 대하여 밀폐되어 있는 하우징(21)의 분리된 공간(30)에 놓여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면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제어 장치(29)와 함께 전기식 충전 레벨 측정기(31)가 전기 연결되어 있다. 충전 레벨 측정기(31)는 관상체(32)에 들어 있으며, 제시된 실시예에서 전기 제어 장치(29)와 마찬가지로 전기 연결되어 있는 용량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전기 제어 장치(29)는 용량 센서를 사용하여 기존의 방식으로 응축수 수집통(22)에 있는 응축수의 충전 레벨을 측정한다. 전기 제어 장치(29)는 도면 1에 제시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기(20)에서 응축수 수집통(22)에서의 응축수 충전 레벨을 지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측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 불연속적인 측정은 거의 지속적인 측정을 실현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100 ms보다 작은 시간 간격으로 실시된다. 또한 전기 제어 장치(29)는 확인된 응축수 충전 레벨에 따라 밸브 장치가 일정한 높이의 충전 레벨에서 응축수 배출기(24)를 열어줌으로써 응축수 수집통(22)으로부터 응축수의 배출 과정을 유도한다. 보다 낮은 충전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응축수 배출기(24)를 다시 폐쇄하는 방식으로 밸브 장치(25)를 조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기 제어 장치(29)는 유리하게 응축수 배출기(20)으로부터 압축 가스가 불필요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응축수 수집통(22)이 완전히 비어지기 전에 응축수 배출기(24)를 폐쇄한다. 그 결과로 그와 같은 방식으로 전기로 레벨 조절이 이루어지는 응축수 배출기(20)는 매우 경제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시된 첫 번째 수직 조립 위치에서 관상체(32)는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진행된다. 특히 관상체(32)는 응축수 수집통(22)의 우측 위쪽 부분으로부터 좌측 아래로 뻗어 있다. 여기서 우측 상부는 응축수 수집통(22)을 갖는 관상체(32)의 연결 부분(35)을 형성한다. 이 연결 부분(35)에서는 응축수 수집통(22)에서 응축수가 없는 속이 빈 공간(36)이 형성되어 있다. 속이 빈 공간(36)은 특히 도면 1에 제시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기(20)의 첫 번째 수직 조립 위치에서 응축수 수집통(22)에서의 실제 응축수 충전 레벨과는 무관하게 항상 응축수가 없기 때문에 오염으로부터 안전하다. 따라서 속이 빈 공간(36)에는 응축수가 전혀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그곳에는 또한 경우에 따라서 응축수에 함유되는 그 어떤 입자의 침전물도 형성될 수 없다. 이로써 충전 레벨 측정기(31)를 수용하고 있는 관상체(32) 외벽으로부터 응축수 수집통(22) 내벽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층이 생기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따라서 특히 응축수 수집통(22)에서의 응축수 충전 레벨의 정확한 파악을 기본적으로 훼손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 측정 시스템상의 장애로부터 충전 레벨 측정기(31)가 보호된다.
또한 도면 1에서 속이 빈 공간(36)을 응축수 주입구(23) 방향으로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하고 응축수 배출기(24) 방향으로 열어주는 차단벽(37)을 알 수 있다. 응축수 주입구(23) 방향으로 속이 빈 공간(36)을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함으로써 차단벽(37)에 의해서 그 높이가 정해져 있는 도면 1에 표시된 응축수 수위(38)에서 속이 빈 공간(36)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을 저지한다. 응축수 수위(38)는 이러한 상태에서 속이 빈 공간(36)의 응축수 배출기 쪽의 구멍을 폐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응축수 수집통(22)에서의 응축수 수위가 응축수 수위(38) 위로 상승하면 응축수가 속이 빈 공간(36)으로 침투할 수 있다. 속이 빈 공간(36)의 응축수 배출기 쪽의 구멍은 관상체(32)의 외벽과 응축수 수집통(22)의 내벽 사이에 지속적인 응축수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도면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의 제시된 실시예에서의 차단벽(37)은 오직 관상체(32)와 연결되어 있다.
계속하여 도면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벽(37)은 L자 형태의 횡단면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차단벽(37)의 첫 번째 가장자리는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리고 차단벽의 두 번째 가장자리는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첫 번째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장자리는 속이 빈 공간을 응축수 주입구(23) 방향으로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에 비하여 두 번째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고 있는 가장자리는 어떤 높이부터 첫 번째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속이 빈 공간(36)이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되어 있는지 응축수 수집통(22)에서의 응축수 수위(38) 높이를 확정한다. 따라서 속이 빈 공간(36)내에서 응축수 수위가 계속 상승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저지한다. L자 형태의 횡단면은 차단벽(37)의 매우 간단하고 효과적인 형태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의 도면 1에 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단벽(37)이 특히 응축수 주입구(23) 우측 상부에 배열되어 있다. 이는 응축수 수집통(22)에 의해 마련된 응축수를 받아 모으기 위한 공간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속이 빈 공간(36)이 차단벽(37)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지 않은 범위에서는 예를 들어 도면 1에서 표시 부분 앞과 뒤에 놓여 있는 차단벽(37)의 측면 영역에서는 속이 빈 공간(36)이 응축수 수집통(22)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응축수 수집통(22)에서 오직 응축수 수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차단벽(37)을 마련하는 것은 충분하지만, 전체적인 응축수가 없는 속이 빈 공간(36)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차단벽(37)과 응축수 수집통(22)은 속이 빈 공간(36)을 전체적으로 폐쇄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끝으로 도면 1에서 제어 밸브(27)를 통해서 마련된 보조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속이 빈 공간(36)에 유리한 방식으로 압력 매체를 끄집어 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조 압력은 매우 효율적인 방식으로 배출 밸브(28)를 조정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속이 빈 공간(36)에서의 압력 매체는 압축 가스 시스템의 압력으로 인해서 이미 압력 하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속이 빈 공간(36)을 통해서 항상 응축수가 없는 압력 매체가 마련되어 응축수 침전물로 인하여 제어 밸브(27)가 더러워지거나 훼손되지 않는다.
도면 2는 두 번째 수평의 조립 위치에서 도면 1에서의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측면단면도를 제시한다. 도면 2에 제시되어 있는 수평의 조립 위치는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 가로축 둘레에서 약 90도 즉, 도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축이 회전되어 있다는 사실로 도면 1에 제시되어 있는 수직의 조립 위치와 구분된다. 그 외에는 도면 2에 제시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기(20)는 도면 1에 제시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기(20)와 비교할 때 전혀 변화가 없다.
도면 2에서 차단벽(37)의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첫 번째 가장자리에 의해서 둘러싸인 속이 빈 공간(36)이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되어 있는 응축수 수집통(22)의 응축수 수위(39)를 알 수 있다. 차단벽(37)의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고 있는 두 번째 가장자리는 제시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기(20)의 수평 조립 위치에서 응축수 수위(39) 확정을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지만, 도면 1에 제시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기(20)의 수직 조립 위치에서는 아주 필요하다. 여하튼 속이 빈 공간(36) 내에서 응축수 수위의 계속적인 상승은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의 수평 조립 위치에서 차단벽(37)의 도움으로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L자 형태의 횡단면은 차단벽(37)의 매우 단순하고 효과적인 형성을 허용한다.
이미 도면 1의 설명과의 연관성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의 응축수 수집통(22)에 있어서 응축수 배출기(24) 구멍(26)의 배열은 응축수 배출기(20)가 가동하는 동안 또한 두 번째의 수평 조립 위치에서 응축수가 구멍(26)에 모아질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되었다. 도면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시된 수평 조립 위치에서의 구멍(26)은 가동 시 응축수가 있는 응축수 수집통(22)의 우측 하단에 놓여 있다. 밸브 어셈블리(25)가 응축수 배출기(24)를 풀어 놓으면 곧바로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기(24)에 도달할 수 있다.
도면 3은 응축수 배출기(20)의 단면도를 차단벽의 진행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 1에 표시되어 있는 절단선 A-A를 따라서 제시한다. 도면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응축수 배출기(20)의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벽(37)은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관상체(32)를 에워싸고 있다. 도면 3에서 볼 수 있는 차단벽(37) 내 금을 그어 표시한 라인은 L자 형태 차단벽(37)의 투영면 아래에서 진행되는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평행을 이루며 뻗어나가는 두 번째 가장자리 경계를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상체(32) 또는 충전 레벨 측정기(31)가 응축수 수집통(22)으로 들어가는 부분의 속이 빈 공간(36)의 전체 범위 형성이 보장된다.
도면 4와 5에서는 첫 번째의 수직 조립 위치와 두 번째의 수평 조립 위치에서 도면 1에서의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사용이 제시되어 있다. 도면 4에서는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가 수직의 조립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기호로 표시된 압축 가스 시스템(40), 특히 압력 가스 시스템과 응축수 주입구(23)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도면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응축수 배출기(20)가 유리하게 연결되는 압축 가스 시스템 하부와 바닥(41)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의 수집 조립은 가장 간단한 조립 방법이다.
다른 한편 도면 5는 압축 가스 시스템(40)의 연결부와 바닥(41)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남아 있지 않은 사용 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는 유리하게 수평으로 조립할 수 있어서 사용 가능한 조립 공간을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응축수 배출기(20)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적인 어댑터, 연장 또는 보조 배관은 확대된 조립 가능성으로 인해서 기본적으로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20)의 조립 작업량은 전체적으로 줄어들고, 조립 시간과 조립 재료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는 도면에 제시되어 있는 실시예를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응축수 배출기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 형태에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찬가지로 작용하는 그 밖의 실시 형태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응축수 배출기가 오직 수직과 수평의 조립 위치에서만 제시되었지만 0도와 (수평) 90도 (수직) 사이의 모든 임의의 각도에서 즉, 첫 번째 수직과 두 번째 수평 조립 위치 사이에서의 임의의 조립 위치에서 응축수 배출기를 위한 기능 제한 없이 마찬가지로 조립 가능하다.
선호된 실시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는 압축 가스 시스템, 특히 압축 공기 시스템으로부터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응축수는 우선적으로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거한 응축수 배출기의 전기에 의해 레벨이 조절되는 밸브 장치를 사용하여 배출된다.
20 : 응축수 배출기
21 : 20의 하우징
22 : 응축수 수집통
23 : 응축수 주입구
24 : 응축수 배출구
25 : 밸브 어셈블리
26 : 24의 구멍
27 : 제어 밸브, 자석 밸브
28 : 배출 밸브, 멤브레인 밸브
29 : 전기 조절 장치
30 : 29를 위한 공간
31 : 충전 레벨 측정기
32 : 관상체
34 : 응축수 주입 방향
35 : 22와 32 사이의 연결 부분
36 : 속이 빈 공간
37 : 차단벽
38 : 수직 조립 위치에서의 응축수 수위
39 : 수평 조립 위치에서의 응축수 수위
40 : 압축 가스 시스템
41 : 바닥

Claims (9)

  1. 응축수 주입구(23)를 통해서 압축 가스 시스템에 연결 가능한 응축수 수집통(22)과 밸브 어셈블리(25)를 사용하여 폐쇄할 수 있는 응축수 배출기(24)가 있는 하우징(21), 응축수 수집통(22)에서의 응축수 충전 레벨을 파악할 수 있는 최소 하나의 전자식 충전 레벨 측정기(31)를 수용하기 위한 응축수 수집통(22)에서 돌출되어 있는 관상체(32)를 갖는,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로서, 하우징(21)은 바닥(41)에 대하여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서 조립 가능하며, 관상체(32)의 세로축은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뻗어 있고,
    응축수 배출기는 가동하는 동안 바닥(41)에 대하여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의 조립 위치에서 응축수 수집통(22)에 차단벽(37)을 사용하여 일정한 충전 레벨 이상에서 관상체(32)가 응축수 수집통(22)과 연결된 범위에 응축수가 없는 속이 빈 공간(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응축수 배출기는 하우징(21)이 바닥(41)에 대하여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서 모든 임의의 각도로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응축수 배출기는 속이 빈 공간(36)이 응축수 주입구(23) 방향으로 차단벽(37)에 의해서 공기가 통하지 않게 폐쇄되어 있고 응축수 배출구(24) 방향으로 열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응축수 배출기는 차단벽(37)이 L자 형태의 횡단면 형태를 갖고, 차단벽(37)의 첫 번째 가장자리는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리고 차단벽(37)의 두 번째 가장자리는 응축수 주입 방향(34)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응축수 배출기는 응축수 주입구(23)에 차단벽(37)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응축수 배출기는 속이 빈 공간(36)이 차단벽(37)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지 않은 범위에서 응축수 수집통(22)에 의해서 제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응축수 배출기는 응축수 배출구(24)의 구멍(26)이 응축수 수집통(22)에서 가동 시 응축수가 있는 부분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응축수 배출기는 밸브 어셈블리(25)가 제어 밸브(27)와 배출 밸브(28)를 포함하며, 제어 밸브(27)로 제어 밸브(27)와 배출 밸브(28) 사이의 보조 압력을 형성 및 제거할 수 있고, 속이 빈 공간(36)에서 보조 압력을 위한 압력 매체를 끄집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기.
KR1020137031642A 2011-06-20 2012-06-20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 KR101648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1201.2 2011-06-20
DE102011051201.2A DE102011051201B4 (de) 2011-06-20 2011-06-20 Kondensatableiter für Druckgassysteme
PCT/EP2012/061858 WO2012175565A2 (de) 2011-06-20 2012-06-20 Kondensatableiter für Druckgassyste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412A KR20140024412A (ko) 2014-02-28
KR101648617B1 true KR101648617B1 (ko) 2016-08-16

Family

ID=4639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642A KR101648617B1 (ko) 2011-06-20 2012-06-20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77129B2 (ko)
EP (1) EP2721338B1 (ko)
JP (1) JP5784227B2 (ko)
KR (1) KR101648617B1 (ko)
CN (1) CN104081107B (ko)
BR (1) BR112013030839A2 (ko)
DE (1) DE102011051201B4 (ko)
WO (1) WO201217556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3410A1 (de) * 2011-09-08 2013-03-14 Beko Technologies Gmbh Verbessertes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Ablassen von Kondensat aus einem Druckgassystem
WO2015016298A1 (ja) * 2013-08-02 2015-02-05 株式会社エコファースト ノズル式スチームトラップ
DE102013220646B4 (de) * 2013-10-14 2016-06-30 Schiedel Gmbh Mess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Kondensatfüllstands in einem Schornstein
US10502204B2 (en) * 2015-04-10 2019-12-10 Scot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isture within an air compressor assembly
DE102016107500A1 (de) * 2016-04-22 2017-10-26 Beko Technologies Gmbh Baugruppe für einen Kondensatableiter zum Ableiten eines Druckgaskondensats
DE102017205899B3 (de) * 2017-04-06 2018-05-30 Festo Ag & Co. Kg Kondensatablassventil für ein Druckluftwartungsgerät und Wartungsgerät zur Druckluftaufbereitung
RU2744221C2 (ru) * 2017-05-26 2021-03-0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олгоградгоргаз"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конденсатосборника без снижения давления в газовой сет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3004A1 (de) 1993-07-11 1994-03-24 Tepcon Eng Gmbh Kondensatableite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030A (en) * 1908-11-11 1910-04-26 Herbert G R Bennett Trap.
US2330027A (en) * 1941-07-14 1943-09-21 Russell C Churchman Automatic mechanism for draining water from tanks or the like
US2871874A (en) * 1954-10-15 1959-02-03 Robertshaw Fulton Controls Co Capacity level control with adjustable span control
US2888945A (en) * 1955-12-21 1959-06-02 Robertshaw Fulton Controls Co Capacity level control and improved probe
US2884131A (en) * 1957-07-05 1959-04-28 Zenon R Mocarski Liquid level signaling means
US3131335A (en) * 1960-11-10 1964-04-28 Carl O Berglund Liquid level controller
US3437107A (en) * 1965-11-19 1969-04-08 Texas Instrument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a liquid
US3419034A (en) * 1966-05-02 1968-12-31 Atlee S. Hart Automatic liquid drain mechanism
US3547145A (en) * 1966-05-16 1970-12-15 Walter Holzer Apparatus for sensing levels in containers holding liquids
US3905385A (en) * 1974-04-29 1975-09-16 Edwin Laurence Green Steam trap
US4027172A (en) * 1975-10-02 1977-05-31 Honeywell Inc. Resistive fluid detecting means
US4308889A (en) * 1980-04-30 1982-01-05 Lin Jih Shyan Electric conductive type steam trap
US4336821A (en) * 1980-10-08 1982-06-29 Graham-White Sales Corporation Solenoid-actuated drain valve
JPS5835098U (ja) * 1981-09-01 1983-03-07 トキコ株式会社 ドレン排出装置
US4494692A (en) * 1981-09-18 1985-01-22 Dobias John J Steam trap
DE3149830C2 (de) * 1981-12-16 1985-10-10 Koch, Berthold, 5963 Wenden Vorrichtung zum Ableiten von Kondensat und dergleichen aus Drucksystemen
CA1291804C (en) * 1986-07-24 1991-11-05 Windmacher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detecting basement water
DE9007491U1 (ko) * 1989-04-05 1992-01-30 Koch, Berthold, 4040 Neuss, De
US4937559A (en) * 1989-08-21 1990-06-26 Meacham Huey W Air conditioner drain blockage alarm
US5484522A (en) * 1994-05-16 1996-01-16 Entrekin; James L. Automatic oil spill containment system with thermal dispersion control
US5469879A (en) * 1994-05-23 1995-11-28 Rasmussen; John Condensate trap and drain for systems under pressure
US5548944A (en) * 1994-09-28 1996-08-2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Vacuum operated processing station having a liquid separating system
EP0877897B1 (de) * 1996-01-30 2000-08-02 Berthold Ko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leiten von kondensat aus druckgassystemen
DE19714037A1 (de) * 1997-04-04 1998-10-08 Berthold Koc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leiten von Kondensat aus Druckgassystemen
US6302136B1 (en) * 1997-06-27 2001-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eam valve
DE10053657A1 (de) * 1999-12-17 2001-08-16 Beko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m Ableiten von Kondensat und Kondensatableiter
US20030116191A1 (en) * 2001-12-07 2003-06-26 Dobies Stephen P. Automatic drain for compressed air system
CN101169219A (zh) 2006-10-23 2008-04-30 秦文选 电子式自动报警排水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3004A1 (de) 1993-07-11 1994-03-24 Tepcon Eng Gmbh Kondensatable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51201A1 (de) 2012-12-20
EP2721338B1 (de) 2017-11-22
WO2012175565A9 (de) 2014-03-06
CN104081107B (zh) 2016-11-09
EP2721338A2 (de) 2014-04-23
KR20140024412A (ko) 2014-02-28
US9377129B2 (en) 2016-06-28
US20140130898A1 (en) 2014-05-15
CN104081107A (zh) 2014-10-01
DE102011051201B4 (de) 2015-07-09
JP2014520238A (ja) 2014-08-21
BR112013030839A2 (pt) 2016-11-29
JP5784227B2 (ja) 2015-09-24
WO2012175565A2 (de) 2012-12-27
WO2012175565A3 (de)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617B1 (ko) 압축 가스 시스템을 위한 응축수 배출기
EP2725340A2 (en) Permeameter for in-situ measurement of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EP2682727A2 (en) Leakage Detection Device Using Siphon Principle
CN105228719A (zh) 用于燃料处理器的自动排干
RU2299322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дебита продукции нефтяных скважин в системах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ого сбора
KR100905090B1 (ko) 변수위 투수시험기
CN104897544B (zh) 易于安装和固定的防蒸发型双环入渗仪
AU2008246228A1 (en) Soil moisture sampling device
KR100920503B1 (ko) 지하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시료 채수 장치
CN208366774U (zh) 一种用于油藏岩石润湿性测试的自吸玻璃器具
CN108387292A (zh) 气井三相计量分离控制系统及油水界面计量方法
KR20200128695A (ko) 유방 쉴드 유닛
US20220057351A1 (en) Pump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a substance inside a liquid
CN210370612U (zh) 一种采油井出砂量监测装置
CN208443624U (zh) 一种饱和粗粒土单元试样制作装置
CN208136194U (zh) 气井三相计量分离器
CN105259090A (zh) 土壤入渗仪
CN110736503A (zh) 一种持续测气体的装置
KR102075303B1 (ko) 피측정수 안정화 여부 확인 용기
CN219200984U (zh) 取样系统
CN209446322U (zh) 一种取泥器
CN212133757U (zh) 一种一体式天然气疏水计量阀
CN210278290U (zh) 一种适用于eb601型蒸发桶的稳定溢流装置
CN212158737U (zh) 疏干降水排水计量装置
CN216124838U (zh) 用于煎药机的暂存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