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800B1 - 지하수 채수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채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800B1
KR102527800B1 KR1020220104856A KR20220104856A KR102527800B1 KR 102527800 B1 KR102527800 B1 KR 102527800B1 KR 1020220104856 A KR1020220104856 A KR 1020220104856A KR 20220104856 A KR20220104856 A KR 20220104856A KR 102527800 B1 KR102527800 B1 KR 10252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ap
groundwater
fixing
pul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명
노훈
김경수
추덕성
Original Assignee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른종합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800B1/ko
Priority to PCT/KR2022/013448 priority patent/WO202404338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6Sampling of ground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내 원하는 목표 심도에서 정확히 해당 지하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채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용수철 및 용수철의 복원력을 제거할 수 있는 2개의 줄을 통해 채수병이 특정 심도에서 열고 닫히는 것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지하수 내 원하는 목표 심도에서 정확히 해당 지하수 시료를 채취할 수 있으며, 채수를 수행한 뒤 회수 과정에서 다른 심도의 지하수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집된 시료의 신뢰도가 우수하다. 또한, 지하수 내 비교적 깊은 심도에 위치한 TCE나 PCE 등 DNAPL 물질을 포함한 지하수의 채수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신속한 수질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비교적 운용이 쉽고 비교적 저렴하게 대량 생산 가능하므로 국가 지하수 관측망이나 민간 지하수 관측정 모니터링 시 도입하기 적합하다. 더 나아가 지하수 내 목적하는 심도를 정확히 타겟하여 신뢰도 높은 시료 채취가 가능하므로, 잘못된 채취로 인한 오염 방지 내지 정화 시설 설치 비용 등을 절감하는 한편, 오염의 확산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수 채수 장치{SAMPLING DEVICE FOR UNDERGROUND WATER}
본 발명은 지하수 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특정 심도에서 지하수에 포함된 DNAPL 등 목표하는 물질을 타겟팅하여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채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질 검사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물을 채취해 해당 성분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DNAPL 존재여부 파악이나 심도별 오염농도 측정을 위해 수행된다. 특히 지하수의 경우 그 위치가 지면 깊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양한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인 지표면의 수질검사의 경우 수집자가 육안으로 보고 직접 채취하는 것으로 해결되나, 지하수의 경우 지표면 깊은 곳에 위치되어 있어 해당 위치까지의 채수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채수 장치가 이동 간에 불필요한 진동이나 마찰로 인해 파손되거나, 목적하지 않은 위치의 지하수를 채집하는 문제 등이 발생한다.
한편, 고밀도비수상액체(Dense Non-Aqueous phase Liquid, 이하 DNAPL)은 대표적인 지하수 오염물질로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아 지하수 내에 오랜 시간 존재해 심각한 환경 문제를 발생시키며, 특히 DNAPL 중 국내 지하수 수질검사 항목 중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TCE)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 PCE)은 비중이 물보다 무겁고 잘 용해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하여 지하수의 바닥면 주변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TCE나 PCE등 DNAPL의 존재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샘플 채취 시 관측정의 바닥면, 즉 지하수의 최하부 근처 심도에서 지하수를 채취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적인 채수 장치의 경우 채수 작업이 대부분 수면 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목적 심도에서의 채수가 불가능하며, 일정 심도에서의 채수가 이루어지는 장치의 경우에도 일정 심도에서의 채수 이후 회수 과정에서 타 심도의 물이 유입되어 정확한 성분 분석이 어려운 문제 등이 발생한다.
국내의 경우 약 10년 전까지는 지하수 채취기구의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범용적인 일반 베일러(Bailer)를 이용하여 지하수를 채취 후 TCE나 PCE 항목을 포함한 수질분석을 해왔으나, 최근 들어 DNAPL 분석을 위해 특정 심도에서만 지하수를 채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 및 해외 기술 도입을 시작하였고, 주로 멤브레인 재질의 투과형 샘플러를 이용하거나 정량 펌프 또는 블래더 펌프를 이용하여 DNAPL 시료채취에 적용하고 있다.
한편 투과형 샘플러는 수동식 장비이므로 전동식 장비에 비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구성이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샘플러를 지하수 내 목표심도에 위치시킨 후 농도확산이 충분히 이루어져 농도 평형에 도달한 이후 꺼내야 하므로 지하수 채취시간이 최소 5~7일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표적인 DNAPL용 전동식 샘플러로는 정량 펌프와 블래더 펌프가 있다. 정량 펌프는 샘플을 채취하기 위한 튜브를 목표 심도에 위치시키고 지상의 정량 펌프를 이용해 지하수를 끌어올려 채취하는 원리인데, 지상에서 펌프를 이용해 지하수를 양수하므로 흡입 공정의 특성상 지하 약 6m 내외의 심도까지만 채취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블래더 펌프는 이러한 정량 펌프의 단점을 개선한 장비로 최대 지하 100m 내외의 심도까지 채취가 가능하지만 심도가 깊어질수록 시료 채취 속도가 낮아져 지하수 채취에 수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수백만원에 달하는 고가의 장비에 해당하는 바 경제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수동식 채취 장비인 기존 베일러의 경우 내부의 하단에 체크볼(Check Ball)이 있어 베일러의 상하 방향 움직임에 따라 지하수가 베일러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리인데, 체크볼 타입의 특성상 목표 심도에 베일러를 진입시키는 과정에서 미세하게 지하수가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목표 심도에서 시료 채취를 위해 베일러를 상하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지하수 및 베일러 내에 와류가 발생하므로 TCE나 PCE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의 경우 휘발에 의해 농도가 저감되는 단점이 있어 DNAPL 시료 채취에는 적합하지 않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6721호(2012.01.10. 등록)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6726호(2010.01.06.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지하수 내 원하는 목표 심도에서 정확히 해당 지하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채수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지하수 내 원하는 목표 심도에서 채수를 수행한 뒤 회수 과정에서 다른 심도의 지하수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채수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지하수 내 비교적 깊은 심도에 위치한 TCE나 PCE 등 DNAPL 물질을 포함한 지하수의 채수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채수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내부에 지하수가 수용되는 관 형상의 채수관과 상부캡 및 하부캡이 구비되고, 상기 채수관 내부에 제 1 복원력을 갖는 내부 용수철이 구비되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상부캡 및 상기 하부캡에 연결되어 밀폐되는 채수병; 내부에 상기 채수병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캡과 연결되고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캡과 연결된 하부 케이스로 구획되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 가이드 운동되되,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서로 일 영역 포개어지도록 돌출단이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의 끝단 방향과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의 끝단 방향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복원력보다 큰 제 2 복원력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분리시키는 외부 용수철; 및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부를 결합 상태로 유지시키는 케이스 고정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고정 고리가 제거됨으로써 상기 외부 용수철의 상기 제 2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의 끝단과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의 끝단이 서로 근접됨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분리 운동되어 상기 채수관 내부로 지하수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 용수철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내부 용수철의 상기 제 1 복원력에 의해 상기 채수병이 밀폐되는 채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고정 고리는 힌지 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는 케이스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외부 용수철은 일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의 끝단 방향에 형성된 하부 고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의 끝단 방향에 형성된 상부 고리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고리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되되 외부 용수철 고정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고정핀은 제 1 당김줄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용수철 고정핀은 제 2 당김줄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당김줄 및 상기 제 2 당김줄은 각 끝단이 당김줄부에 연결되되, 당김줄을 당겼을 때 상기 제 1 당김줄이 먼저 당겨진 뒤, 그 다음 상기 제 2 당김줄이 당겨지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캡은 내측에 상기 내부 용수철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캡 고리가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해 고정 체결되는 상부캡 고정단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캡은 내측에 상기 내부 용수철의 타단이 연결되는 하부캡 고리가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면을 관통해 고정 체결되는 하부캡 고정단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캡 고정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견인 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캡 고정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 캡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견인 캡은 견인줄이 더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를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당김줄 및 상기 제 2 당김줄은 상기 견인캡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당김줄부와 연결되고, 상기 견인줄은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당김줄부가 삽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분리 운동 시 상기 채수관으로 지하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 영역이 개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부는 점 대칭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 운동 시,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과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이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은 각각 음각 형성된 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각각의 상기 암 가이드에 대응되는 돌출 형성된 수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어 결합 및 분리 가이드 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캡 고정단 및 상기 견인 캡과, 상기 하부캡 고정단 및 상기 고정캡은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핀을 통해 서로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수 장치는 지하수 내 원하는 목표 심도에서 정확히 해당 지하수 시료를 채취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수 장치는 지하수 내 원하는 목표 심도에서 채수를 수행한 뒤 회수 과정에서 다른 심도의 지하수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집된 시료의 신뢰도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수 장치는 지하수 내 비교적 깊은 심도에 위치한 TCE나 PCE 등 DNAPL 물질을 포함한 지하수의 채수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하고 신속한 수질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수 장치는 비교적 운용이 쉽고 비교적 저렴하게 대량 생산 가능하므로 국가 지하수 관측망이나 민간 지하수 관측정 모니터링 시 도입하기 적합하다.
또한, 지하수 내 목적하는 심도를 정확히 타겟하여 신뢰도 높은 시료 채취가 가능하므로, 잘못된 채취로 인한 오염 방지 내지 정화 시설 설치 비용 등을 절감하는 한편, 오염의 확산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채수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채수 장치의 케이스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채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하수 수집을 위해 투입하기 전 기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채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심도에서 상기 장치가 지하수를 수집하기 위해 분리 운동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채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하수 채수 후 결합 운동을 통해 지하수가 채수된 채수병을 밀폐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채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하수 채수 후 채수병을 케이스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채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른 심도의 지하수를 수집하기 위해 케이스부에서 채수병을 제거한 뒤, 다른 채수병을 체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채수 장치는 채수병(100)과 케이스부(200)를 포함한다. 채수병(100)은 관 형상의 채수관(110)과 채수관(110) 상부,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을 포함하고, 케이스부(200)는 내부에 채수병(100)이 위치되고,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로 구획되어 서로 결합 및 분리 가이드 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제부터 각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채수병(100)은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가 관통된 형상의 채수관(110)이 구비된다. 채수관(110)은 내부에 채집된 지하수(W)(시료)가 수용된다. 채수관(110)은 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관 형상이면 족하고, 다양한 기둥 형상의 관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일례로 원 형의 관 형상일 수 있다. 채수병(100)의 관통된 상부 및 하부는 캡이 구비되어 밀폐된다.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은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은 채수병(100)에 체결되었을 때 내부가 밀폐되도록 패킹 처리될 수 있다. 상부캡(120)은 채수병(100)을 기준으로 외부에 상부캡 고정단(122)이 형성된다. 상부캡 고정단(122)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하는 상부 케이스(210)의 상면을 관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부캡 고정단(122)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 케이스(210)를 관통하고, 후술하는 견인캡(400)에 삽입되어 견인캡(400)에 체결된다. 이때, 견인캡(400)에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부캡 고정단(122)은 관통공(H1)이 형성되고 해당 관통공(H1)에 삽입핀(H2)이 삽입됨으로써 견인캡(400)과 체결된다. 또한, 상부캡(120)은 내측에 상부캡 고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부캡(120)은 채수병(100) 내측에 내부 용수철(140)이 연결되는 상부캡 고리(12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캡(130)도 상부캡(120)과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하부캡(130)은 채수병(100)을 기준으로 외부에 하부캡 고정단(132)이 형성된다. 하부캡 고정단(132)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하는 하부 케이스(220)의 저면을 관통해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하부캡 고정단(132)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 케이스(220)를 관통하고, 후술하는 고정캡(410)에 삽입되어 고정캡(410)에 체결된다. 이때, 고정캡(410)에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부캡 고정단(132)은 관통공(H1)이 형성되고 해당 관통공(H1)에 삽입핀(H2)이 삽입됨으로써 고정캡(410)과 체결된다. 또한, 하부캡(130)은 내측에 하부캡 고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하부캡(130)은 채수병(100) 내측에 내부 용수철(140)이 연결되는 하부캡 고리(131)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용수철(140)은 채수관 내부에 위치되어 일단이 상부캡 고리(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캡 고리(131)에 연결된다. 내부 용수철(140)은 제 1 복원력을 갖도록 구비되며, 후술하는 조작 단계에서 채수관(110) 내부에 지하수(W)가 수용된 다음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을 근접시켜 채수관(110)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성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케이스부(200)는 내부에 채수병(100)이 수용된다. 케이스부(200)는 내부에 원통형의 채수병(1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원통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200)는 지하수(W)를 채수관(110) 내부로 수집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지하수(W)가 채수관(11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부(200)는 상부캡(120)과 연결되는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캡(130)과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220)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구획된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 가이드 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가 서로 멀어지는 분리 운동(M2) 시 채수병(100)의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은 서로 이격되어 채수관(110) 내부가 개방되고,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가 서로 근접하는 결합 운동(M1) 시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은 서로 근접되어 채수관(110) 내부가 밀폐되는 구성이다.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는 서로 일 영역 포개어지도록 돌출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점 대칭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부 케이스(210)부(200)와 하부 케이스(220)부(200)의 측면은 지하수(W)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었다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할 때,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는 서로 점 대칭 형상의 "ㄷ"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근접되는 결합 운동(M1) 시 서로 일 영역 포개어질 수 있도록 돌출단이 형성되며, 이러한 돌출단으로 인해 단면을 기준으로 상부 케이스(210)는 "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220)는 "ㄱ"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과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을 형성한 이유는 후술하는 외부 용수철(300)의 제 2 복원력을 통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가 서로 분리 운동(M2)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은 서로 결합 운동(M1) 또는 분리 운동(M2)될 때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 및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은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 음각 형성된 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는 암 가이드에 대응되는 돌출 형성된 수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어 가이드 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에는 상부 암 가이드부(G2)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220)는 상부 암 가이드부(G2)에 대응되어 삽입될 수 있는 하부 수 가이드부(G3)가 형성된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에는 하부 암 가이드부(G4)가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210)는 하부 암 가이드부(G4)에 대응되어 삽입될 수 있는 상부 수 가이드부(G1)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 가이드부 및 암 가이드부를 통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는 서로 결합 운동(M1) 및 분리 운동(M2) 시 서로 가이드 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로만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외부 용수철(300)은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에 각각 연결되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를 분리 운동(M2)시키는 구성이다. 용수철의 특성상 복원력을 갖는데, 이러한 복원력을 통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를 서로 이격시키는 분리 운동(M2)을 시키기 위해서는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과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에 외부 용수철(300)이 연결되어야 한다. 즉, 서로 포개어진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과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에 외부 용수철(300)이 연결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용수철(300)의 일단은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의 끝단 방향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의 끝단 방향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 및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은 서로 결합 운동(M1) 시 서로를 지나쳐 포개어지는데, 외부 용수철(300)의 복원력을 통해 결합된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를 서로 이격시키는 분리 운동(M2)을 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 용수철(300)은 내부 용수철(140)이 갖는 제 1 복원력보다 큰 복원력을 갖는 제 2 복원력을 갖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여기서 외부 용수철(300)은 직선상으로 구비된 내부 용수철(140)과 달리 사선으로 위치되는데, 사선으로 위치된 외부 용수철(300)의 제 2 복원력 작용 방향이 사선인 것을 감안하여 제 2 복원력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용수철(140)로 인해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이 서로 결합 운동(M1)되는데, 외부 용수철(300)이 제 1 복원력보다 큰 제 2 복원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 1 복원력을 상쇄하여 근접 운동 되지 않고 분리 운동(M2)되도록 제 2 복원력은 제 1 복원력보다 큰 복원력으로 구비한다.
위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제 2 복원력으로 인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는 서로 분리 운동(M2)된 상태로 유지된다. 특정 심도까지 채수 장치를 위치시킬 때까지 지하수(W)가 채수병(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결합 운동(M1)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케이스 고정 고리(211)가 더 구비된다. 케이스 고정 고리(211)는 상부 케이스(210) 또는 하부 케이스(220) 등 다양한 곳에 구비될 수 있으나, 견인 방향을 고려하여 상부 케이스(2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고정 고리(211)는 상부 케이스(210)에 구비되어 결합 운동(M1)된 하부 케이스(22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힌지 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고정 고리(211)는 하부 케이스(220)에 형성된 단턱(221)에 체결되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가 서로 결합 운동(M1)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고정 고리(211)는 토션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 고정 고리(211)를 통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는 결합 운동(M1)된 상태를 유지해 특정 심도에 있는 지하수(W)까지 채수 장치를 밀폐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스 고정 고리(211)는 케이스 고정핀(212)에 의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케이스 고정핀(212)이 제거되는 경우 케이스 고정 고리(211)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힌지 운동되어 상부 케이스(210)와 하부 케이스(220)가 서로 분리된다. 상세하게, 상부 케이스(210)에 위치된 케이스 고정 고리(211)는 끝단이 하부 케이스(220)에 형성된 단턱(221)에 걸림으로써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가 서로 결합 운동(M1)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케이스 고정핀(212)이 제거됨으로써 케이스 고정 고리(211)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 힌지 운동되어 케이스 고정 고리(211)의 끝단이 하부 케이스(220)의 단턱(22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외부 용수철(300)의 제 2 복원력으로 인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는 서로 이격되는 분리 운동(M2)이 진행된다. 이러한 케이스 고정핀(212)은 제 1 당김줄(610)에 체결되고, 제 1 당김줄(610)을 제 1 당김(D1)으로써 케이스 고정 고리(211)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케이스 고정핀(212)이 케이스 고정 고리(211)에 체결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케이스 고정핀(212)이 체결 및 이탈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 고정핀(212)은 상부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제 1 가이드 이동(213M)될 수 있도록 제 1 가이드(213)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특정 심도에서 제 1 당김줄(610)을 잡아당김(D1)으로써 특정 심도에 위치한 지하수(W)를 채수병(100)으로 수집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수집된 지하수(W)를 다른 심도의 지하수(W)의 유입이나 오염물 유입 없이 지상으로 다시 회수하기 위해서 채수병(100)을 다시 밀폐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밀폐를 위해서 제 1 복원력을 갖는 내부 용수철(140)을 이용하게 된다. 다만, 제 1 복원력보다 큰 제 2 복원력을 갖는 외부 용수철(300)로 인해 제 1 복원력을 갖는 내부 용수철(140)이 동작하지 않는데, 제 2 복원력을 제거함으로써 내부 용수철(140)로 채수병(100)을 다시 밀폐시킬 수 있다.
외부 용수철(300)은 일단이 상부 가이드부에 형성된 상부 고리(215)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부 가이드부에 형성된 하부 고리(222)에 연결된다. 상부 고리(215) 및 하부 고리(222)는 선술하였듯이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과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의 각 끝단 방향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부 고리(215) 및 하부 고리(222)는 각각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과 하부 케이스(220)의 돌출단의 각 끝단 방향에 위치된다. 이때, 상부 고리(215)는 상부 가이드의 돌출단 끝단 방향에 위치되는데, 이를 상부 가이드 돌출단 끝단 방향인 하측 방향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 2 가이드(2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가이드(217)는 상부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2 가이드(217)에 상부 고리(215)가 위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제 2 가이드(217M) 이동된다. 초기에 상부 고리(215)는 제 2 가이드(217)부의 하측 방향인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 끝단 방향에 위치되고, 해당 위치에 상부 고리(215)가 고정될 수 있도록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이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은 상부 고리(215)와 마찬가지로 제 2 가이드(21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제 2 가이드 이동(217M)되는 구성이다. 즉, 상부 고리(215)는 제 2 가이드(217)의 하측 방향인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의 끝단 방향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이 개재되어 고정되고,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이 외력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제 2 가이드(217)를 따라 제 2 가이드 이동(217M)이동된다.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이 제거됨으로써 외부 용수철(300)은 복원력의 방향이 상하 방향에서 이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이로 인해 내부 용수철(140)이 갖는 제 1 복원력이 더 크게 작용되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가 서로 결합 운동(M1)된다. 이러한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은 제 2 당김줄(620)에 연결된다. 즉, 제 2 당김줄(620)을 외부에서 제 2 당김(D2)으로써 상부 고리(215)에 개재된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을 제거함으로써 채수병(100)을 밀폐시킬 수 있다.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 외부 용수철(300), 하부 고리(222), 상부 고리(215) 및 제 2 당김줄(620)은 케이스부(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1 당김줄(610) 및 제 2 당김줄(620)은 하나의 당김줄부(6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당김줄(610) 및 제 2 당김줄(620)의 각 끝단은 당김줄부(6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하수(W)의 채집 순서를 위해 제 1 당김줄(610)이 먼저 당겨(D1)져 채수병(100)에 지하수(W)를 수집한 뒤 제 2 당김줄(620)을 당김(D2)으로써 다시 밀폐시키기 위해, 당김줄을 당겼을 때 제 1 당김줄(610)이 먼저 당겨(D1)진 뒤, 그 다음 제 2 당김줄(620)이 당겨(D2)지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당김줄부(600)를 당기게 되면, 제 1 당김줄(610)이 먼저 당겨져 케이스 고정핀(212)이 제거되고, 그 뒤에 당김줄부(600)를 더 당기게 되면 제 2 당김줄(620)이 당겨져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이 당겨져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이 제거된다. 일례로, 당김줄부(600)를 1cm 당겼을 때 제 1 당김줄(610)이 당겨지고, 그 다음 1cm 더 당기면 제 2 당김줄(620)이 당겨지는 길이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최초 셋팅으로부터 당김줄부(600)를 1cm 당기면 케이스 고정핀(212)이 제거되고, 최초 셋팅으로부터 당김줄부(600)를 2cm 당기면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이 제거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210)의 상면 형성되는 견인 캡과 하부 케이스(220)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캡(4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부캡 고정단(122)은 상부 케이스(210) 상면에 형성된 관통구(210b)를 관통하고, 관통된 상부캡 고정단(122)은 견인캡(400)에 삽입되어 견인캡(400)과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견인캡(400)과 상부캡 고정단(122)은 서로 관통되는 관통공(H1)이 형성되고, 관통공(H1)에 삽입핀(H2)이 삽입됨으로써 서로 체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캡 고정단(132)은 하부 케이스(220) 저면을 관통하고, 관통된 하부캡 고정단(132)은 고정캡(410)에 삽입되어 고정캡(410)과 서로 체결되며, 이를 위해 고정캡(410)과 하부캡 고정단(132)은 서로 관통되는 관통공(H1)이 형성되고, 관통공(H1)에 삽입핀(H2)이 삽입됨으로써 서로 체결된다.
한편, 견인캡(400)은 상부 케이스(210)의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플랜지(401)가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401)는 제 1 당김줄(610) 및 제 2 당김줄(620)이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견인캡(400)은 지면으로부터 특정 심도까지 채수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회수할 수 있도록 견인줄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당김줄(610)과 제 2 당김줄(620)은 견인캡(400) 내부에서 당김줄부(6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견인줄은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당김줄부(600)가 삽관될 수 있다. 즉, 제 1 당김줄(610)과 제 2 당김줄(620)은 견인캡(400) 내부에서 당김줄부(600)로 연결되고, 당김줄부(600)는 견인캡(400) 내부를 통해 견인줄 내부로 삽관될 수 있다.
한편, 지하수 채수 장치는 특정 심도까지 견인줄만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채수관(110) 내부는 공기로 차 있어 소정의 부력이 발생할 수 있다. 소정의 부력을 감안하여 지하수 채수 장치는 소정의 부력을 감안하여 지하수(W)의 특정 심도까지 잠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무게를 갖거나, 무게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무게추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캡(4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하수 채수 장치의 동작 순서
먼저 지면에서 지하수(W)의 특정 심도까지 견인줄을 통해 지하수 채수 장치를 이동시킨다.
도 3을 참고하면, 특정 심도까지 지하수 채수 장치가 위치된 다음, 지하수(W) 시료의 수집을 위해 당김줄부(600)를 1cm 제 1 당김(D1)으로써 제 1 당김줄(610)을 당기고, 제 1 당김줄(610)이 제 1 당겨(D1)짐으로써 케이스 고정 고리(211)에 개재된 케이스 고정핀(212)이 제거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케이스 고정핀(212)이 제거됨으로써 케이스 고정 고리(211)가 힌지 운동되어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가 외부 용수철(300)이 갖는 제 2 복원력을 통해 서로 분리 운동(M2)된다.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가 분리 운동(M2)됨으로써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이 채수관(110)으로부터 분리 운동(M2)되고 타겟 심도의 지하수(W)가 채수관(110)으로 유입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지하수(W) 시료의 수집이 완료된 다음, 당김줄부(600)를 1cm 더 제 2 당겨(D2)짐으로써 제 2 당김줄(620)을 당기고, 제 2 당김줄(620)이 제 2 당겨(D2)짐으로써 상부고리에 개재된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이 이탈한다.
그 다음, 도 6을 참고하면,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이 이탈됨으로써 상부 고리(215)는 제 2 가이드(217)를 따라 이동되어 외부 용수철(300)의 제 2 복원력이 상실되고, 제 2 복원력이 상실됨으로써 채수관(110) 내부에 위치된 제 1 복원력을 갖는 내부 용수철(140)이 상부캡(120)과 하부캡(130)을 서로 잡아당김으로써 채수관(110) 내부를 밀폐시킨다.
그 다음 견인줄을 통해 지하수 채수 장치를 회수한다.
도 7을 참고하면, 회수된 지하수 채수 장치의 견인캡(400) 및 고정캡(410)에 삽입된 삽입핀(H2)을 제거해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을 상부 케이스(210) 및 하부 케이스(220)로부터 제거한 뒤, 채수병(100)을 수거한다.
그 다음, 도 8을 참고하면, 다른 심도의 지하수(W)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서 다른 채수병(100`)을 다시 역순으로 결합 뒤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케이스부(200)만으로 비교적 단가가 저렴한 채수병(100)을 여러 개 운용할 수 있어 운용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채수병
110: 채수관
120: 상부캡
121: 상부캡 고리 122: 상부캡 고정단
130: 하부캡
131: 하부캡 고리 132: 하부캡 고정단
140: 내부 용수철
200: 케이스부
210: 상부 케이스 210: 관통구
210a: 상부 케이스 돌출단 211: 케이스 고정 고리
212: 케이스 고정핀 213: 제 1 가이드
213M: 제 1 가이드 이동
215: 상부 고리 216: 외부 용수철 고정핀
217: 제 2 가이드 217M: 제 2 가이드 이동
220: 하부 케이스
220a: 하부 케이스 돌출단 221: 단턱
222: 하부 고리
300: 외부 용수철
G1: 상부 수 가이드부 G2: 상부 암 가이드부
G3: 하부 수 가이드부(G3) G4: 하부 암 가이드부
400: 견인캡 401: 플랜지
410: 고정캡
500: 견인줄부
600: 당김줄부
610: 제 1 당김줄 620: 제 2 당김줄
D1: 제 1 당김 D2: 제 2 당김
H1: 관통공 H2: 삽입핀
M1: 결합 운동 M2: 분리 운동
Z1: 제 1 복원력 Z2: 제 2 복원력
W: 지하수

Claims (10)

  1. 내부에 지하수(W)가 수용되는 관 형상의 채수관(110)과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이 구비되고, 상기 채수관(110) 내부에 제 1 복원력을 갖는 내부 용수철(140)이 구비되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상부캡(120) 및 상기 하부캡(130)에 연결되어 밀폐되는 채수병(100);
    내부에 상기 채수병(100)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캡(120)과 연결되는 상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캡(130)과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220)로 구획되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 가이드 운동되되,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가 서로 일 영역 포개어지도록 돌출단이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부(200);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의 끝단 방향과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의 끝단 방향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복원력보다 큰 제 2 복원력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를 분리시키는 외부 용수철(300); 및
    상기 상부 케이스(210)부(20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부(200)를 결합 상태로 유지시키는 케이스 고정 고리(21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고정 고리(211)가 제거됨으로써 상기 외부 용수철(300)의 상기 제 2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의 끝단과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의 끝단이 서로 근접됨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가 분리 운동(M2)되어 상기 채수관(110) 내부로 지하수(W)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 용수철(300)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내부 용수철(140)의 상기 제 1 복원력에 의해 상기 채수병(100)이 밀폐되며,
    상기 케이스 고정 고리(211)는 힌지 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는 케이스 고정핀(212)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외부 용수철(300)은 일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의 끝단 방향에 형성된 하부 고리(2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의 끝단 방향에 형성된 상부 고리(215)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고리(215)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되되 외부 용수철(300) 고정핀(216)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2. 내부에 지하수(W)가 수용되는 관 형상의 채수관(110)과 상부캡(120) 및 하부캡(130)이 구비되고, 상기 채수관(110) 내부에 제 1 복원력을 갖는 내부 용수철(140)이 구비되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상부캡(120) 및 상기 하부캡(130)에 연결되어 밀폐되는 채수병(100);
    내부에 상기 채수병(100)이 수용되고, 상기 상부캡(120)과 연결되는 상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캡(130)과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220)로 구획되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결합 및 분리 가이드 운동되되,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가 서로 일 영역 포개어지도록 돌출단이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부(200);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의 끝단 방향과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의 끝단 방향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복원력보다 큰 제 2 복원력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를 분리시키는 외부 용수철(300); 및
    상기 상부 케이스(210)부(20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부(200)를 결합 상태로 유지시키는 케이스 고정 고리(21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고정 고리(211)가 제거됨으로써 상기 외부 용수철(300)의 상기 제 2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의 끝단과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의 끝단이 서로 근접됨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가 분리 운동(M2)되어 상기 채수관(110) 내부로 지하수(W)가 수용되고,
    상기 외부 용수철(300)이 이탈됨으로써 상기 내부 용수철(140)의 상기 제 1 복원력에 의해 상기 채수병(100)이 밀폐되며,
    상기 케이스부(200)는 상기 분리 운동(M2) 시 상기 채수관(110)으로 지하수(W)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 영역이 개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고정핀(212)은 제 1 당김줄(610)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 용수철 고정핀(216)은 제 2 당김줄(620)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당김줄(610) 및 상기 제 2 당김줄(620)은 각 끝단이 당김줄부(600)에 연결되되, 당김줄을 당겼을 때 상기 제 1 당김줄(610)이 먼저 당겨(D1)진 뒤, 그 다음 상기 제 2 당김줄(620)이 당겨(D2)지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20)은 내측에 상기 내부 용수철(140)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부캡 고리(121)가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상면을 관통해 고정 체결되는 상부캡 고정단(12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캡(130)은 내측에 상기 내부 용수철(140)의 타단이 연결되는 하부캡 고리(131)가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하면을 관통해 고정 체결되는 하부캡 고정단(132)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캡 고정단(122)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견인 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저면에 위치되어 상기 하부캡 고정단(132)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고정 캡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견인 캡은 견인줄이 더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부(200)를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당김줄(610) 및 상기 제 2 당김줄(620)은 상기 견인캡(40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당김줄부(600)와 연결되고, 상기 견인줄은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당김줄부(600)가 삽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200)는 상기 분리 운동(M2) 시 상기 채수관(110)으로 지하수(W)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 영역이 개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210)부(200)와 상기 하부 케이스(220)부(200)는 점 대칭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 운동(M1) 시,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과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이 서로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돌출단(210a)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돌출단(220a)은 각각 음각 형성된 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2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220)는 각각의 상기 암 가이드에 대응되는 돌출 형성된 수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되어 결합 및 분리 가이드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 고정단(122) 및 상기 견인 캡과, 상기 하부캡 고정단(132) 및 상기 고정캡(410)은 각각 관통공(H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H1)에 삽입되는 삽입핀(H2)을 통해 서로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채수 장치.
KR1020220104856A 2022-08-22 2022-08-22 지하수 채수 장치 KR102527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56A KR102527800B1 (ko) 2022-08-22 2022-08-22 지하수 채수 장치
PCT/KR2022/013448 WO2024043381A1 (ko) 2022-08-22 2022-09-07 지하수 채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56A KR102527800B1 (ko) 2022-08-22 2022-08-22 지하수 채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800B1 true KR102527800B1 (ko) 2023-05-02

Family

ID=8638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856A KR102527800B1 (ko) 2022-08-22 2022-08-22 지하수 채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7800B1 (ko)
WO (1) WO20240433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2137A (zh) * 2023-11-09 2023-12-12 四川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九0九水文地质工程地质队 一种水工环地质工程用地下水采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26B1 (ko) * 2004-11-19 2006-07-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다중 심도 지하수 시료 채수기
KR100936726B1 (ko) 2009-07-07 2010-01-14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KR101106721B1 (ko) 2009-11-23 2012-01-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연속 채수기 및 이를 이용한 채수방법
KR20120014310A (ko) * 2010-08-09 2012-02-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유압 커플러를 이용한 지하수 시료 채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0646B2 (ja) * 1999-11-15 2002-05-13 株式会社西日本地質調査所 大深度対応型サンプラー
KR101635371B1 (ko) * 2015-06-25 2016-07-08 한국원자력연구원 복동 피스톤을 이용한 지하수 채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26B1 (ko) * 2004-11-19 2006-07-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다중 심도 지하수 시료 채수기
KR100936726B1 (ko) 2009-07-07 2010-01-14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지하수 시료의 채수 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수 시료 채수 방법
KR101106721B1 (ko) 2009-11-23 2012-01-1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 연속 채수기 및 이를 이용한 채수방법
KR20120014310A (ko) * 2010-08-09 2012-02-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유압 커플러를 이용한 지하수 시료 채수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2137A (zh) * 2023-11-09 2023-12-12 四川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九0九水文地质工程地质队 一种水工环地质工程用地下水采集装置
CN117212137B (zh) * 2023-11-09 2024-01-26 四川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九0九水文地质工程地质队 一种水工环地质工程用地下水采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381A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800B1 (ko) 지하수 채수 장치
US5804743A (en) Downhole passive water sampler and method of sampling
US588921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liquid and gas from soil
US6272938B1 (en) Monitor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groundwater with an in-situ sampling device
KR101662512B1 (ko) 토양 및 지하수의 유무기오염물 채취를 위한 샘플러
US9410425B2 (en) Method of collecting sample using multi-packer and apparatus thereof
Pitkin et al. Field demonstrations using the Waterloo ground water profiler
US20110126644A1 (en) Sediment sampler for in-situ measurement of soluble contaminant flux rates
US5996423A (en) Passive water sampler and method of sampling
KR20090016071A (ko) 심도별 토양공극수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장치
KR102623851B1 (ko) 기어방식 지하수 채수 장치
JP5691075B2 (ja) 採水器
Vroblesky et al. Mapping zones of contaminated ground‐water discharge using creek‐bottom‐sediment vapor samplers, Aberdeen Proving Ground, Maryland
KR101465019B1 (ko)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방법
CN214066562U (zh) 一种便携式污染场地调查用取样装置
TWM612722U (zh) 用於檢測地表下環境污染物的被動式採樣器
BR112019027035A2 (pt) instalação móvel de análise de um fluido
Siegrist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contaminated soils: the nature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process
CA2642536C (en) Method and system for sampling dissolved gas
US6920780B2 (en) Tensiometer, drive probe for use with environmental testing equipment, and methods of inserting environmental testing equipment into a sample
US6470967B1 (en) Sampling device
Mines et al. Sampling of VOCs with the BAT ground water sampling system
KR101493350B1 (ko)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
KR20000012726U (ko) 토양 중 휘발성 유기오염물질 시료채취 장치
JP2997058B2 (ja) 土壌・ガス採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