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682B1 -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 Google Patents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682B1
KR100936682B1 KR1020057002518A KR20057002518A KR100936682B1 KR 100936682 B1 KR100936682 B1 KR 100936682B1 KR 1020057002518 A KR1020057002518 A KR 1020057002518A KR 20057002518 A KR20057002518 A KR 20057002518A KR 100936682 B1 KR100936682 B1 KR 10093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ection
plug
release
releas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618A (ko
Inventor
요셉 브란트
폴커 카민스키
로잘리아 빌스타인
Original Assignee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filed Critical 보스 오토모티브 게임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38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연결 가능한 2개의 커플링 부분(1, 2)들을 구비하는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으로, 상기 각각의 커플링 부분은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협동하는 걸림부(3, 4)들을 구비하며, 상기 커플링 부분(1, 2)들 중 하나는 다른 커플링 부분(2, 1)에 플러그식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단부 유니언 섹션(5)을 구비하며, 상기 커플링 부분(1, 2)들 중 하나는 그것의 걸림부(3)를 갖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부 유지 섹션(6)을 구비하며, 상기 단부 유지 섹션(6)에 의해 상기 하나의 커플링은 상보적인 관계로 협동하는 걸림부(4)들이 형성되어 있는 다른 커플링 부분(2, 1)의 외측 주변 윤곽 위로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플러그-인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플러그-인 커플링의 용이한 조립과 매우 높은 안정성을 갖는 연결을 보장하는 한편 간단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을 얻기 위해, 조립 상태에서는 제1 커플링 부분(1)과 제2 커플링 부분(2) 중 하나 이상에 유지되고, 상기 제1 커플링 부분(1)의 상기 걸림부(3)와 상기 제2 커플링 부분(2)의 상기 걸림부(4) 사이의 로킹 연결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별도의 릴리스 부분(LT)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PLUG-IN COUPLING FOR FLUID SYSTEMS}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연결 가능한 2개의 커플링 부분들을 구비하는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으로, 상기 각각의 커플링 부분은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협동하는 걸림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커플링 부분들 중 하나는 다른 커플링 부분에 플러그식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단부 유니언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커플링 부분들 중 하나는 걸림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부 유지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단부 유지 섹션에 의해 상기 하나의 커플링 부분은 상보적인 관계로 협동하는 걸림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다른 커플링 부분의 외측 주변 윤곽 위로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플러그-인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커플링은 "호스 혹은 파이프의 연결 혹은 부착을 위한 퀵 이음쇠(quick-fit connector)" 라는 명칭의 독일 특허 제38 43 995 C1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지의 커넥팅 구조는 일단부에서 호스, 파이프 혹은 시스템에 견고하게 각각 접속될 수 있는 하우징 부분(제1 커플링 부분)과 코어 부분(제2 커플링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부분과 코어 부분 사이에는 밀봉부가 배치된다. 한편, 하우징 부분에는, 코어 부분 내에 맞물리는 유니언(union)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니언의 외경은 코어 부분의 순수 내경보다 약간 더 작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하우징 부분의 소켓 모양의 섹션(유지 섹션)의 내경은 상기 코어 부분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다. 하우징 부분의 소켓 모양의 섹션의 내측벽의 자유단에는 자유단을 향하는 접촉면 및 이에 대향하는 정지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캠들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정지면은 하우징 부분의 종축에 대해 언더컷(undercut) 형태로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연장하여, 캠들 사이의 순수 거리는 코어 부분의 외경과 거의 일치한다. 상기 하우징 부분은 탄성 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캠들은 2개의 레그(leg)가 마련되어 있는 링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캠들은 하우징 부분을 코어 부분에 로킹(locking)시키기 위한 걸림부를 구성한다. 코어 부분의 자유단을 향하는 접촉면을 지니고, 또 그것에 반대로 향하면서 코어의 종축에 대해 언더컷 형태로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연장하는 정지면을 지닌 링이 코어 부분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링은 코어 부분을 하우징 부분에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캠과 상보적인 관계로 설계된 걸림부를 구성한다. 전술한 공지의 퀵 이음쇠와 관련된 장점 중에는, 관련된 밀봉 링을 지닌 단지 2개의 부품을 포함하며, 조립을 필요로 하면서 분실할 수 있는 어떠한 추가의 부품들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퀵 이음쇠의 부품들을 서로 결합시킨 후, 어떤 용례에 있어서는 장점으로 간주할 수는 없지만 이들 부품을 서로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경사진 갈퀴를 지닌 포크를 하우징 부분 상의 레그와 코어 부분 상의 링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레그들을 반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고 이에 의해 캠이 코어 부분 상의 링의 외경을 지나 들어 올려지게 하여, 2개의 커플링 부분들을 떨어지게 잡아당김으로써 커플링 부분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특수 공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것은 많은 용례에 있어서 장점으로 간주될 수 없다. 그러나, 서로 결합될 2개의 커플링 부분들의 직접적인 로킹(direct locking)은 확실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하는 해주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퀵 이음쇠와 유사한 이음쇠가 또한 독일 실용신안 제87 11 334 U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퀵 이음쇠는 또한 일단부에서 호스, 파이프 혹은 시스템에 견고하게 각각 접속될 수 있는 하우징 부분과 코어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부분과 코어 부분 사이에는 밀봉 링이 배치된다.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자유단을 향하는 접촉면 및 이에 대향하는 정지면을 지닌 링이 코어 부분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내경은 코어 부분의 외경보다 더 크고, 상기 자유단을 향하는 접촉면들 및 이에 대향하는 정지면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캠들이 하우징 부분의 내측벽의 자유단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캠들 사이의 순수 거리는 코어 부분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하우징 부분은 탄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독일 특허 제38 43 995 C1호와는 달리, 하우징 부분은 코어 부분 내에 맞물리는 내부 유니언을 구비되어 있지 않다. 상기 하우징은 캠의 영역에서 타원 또는 계란형일 수 있고, 이 캠들은 타원의 단축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캠은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타원의 장축의 방향으로 타원 또는 계란형의 하우징을 압박함으로써 걸림 위치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경우에도, 관련된 밀봉 링을 지닌 단지 2개의 부분으로 퀵 이음쇠가 이루어진다는 점은 퀵 이음쇠의 장점들 중 하나로서 언급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독일 특허 제31 43 015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실할 수 있는 추가의 로킹 부품을 이용하는 퀵 이음쇠는 자동 조립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우징에 가해진 외부 압력 그 자체로 결합된 부품의 우발적인 분리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은 단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독일 특허 제31 43 015 A1에서 개시된 것과 유사한 플러그-인 커넥터, 즉 별도의 유지 부분은 있지만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의 직접적인 로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기술적 해결책으로 하고 있는 커넥터가 또한 독일 특허 제43 00 037 C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의 명세서에 개시된 분리 가능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주변의 유지 리브(retaining rib)를 구비하는 관형의 플러그-인 부품(제1 커플링 부분)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우의 플러그-인 커넥터는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을 위해 중앙에 소켓 챔버가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의 소켓 하우징(제2 커플링 부분)과, 탄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별도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요소에는 플러그-인 부품이 일단 밀어 넣어지면 유지 리브 뒤에 걸릴 수 있는 내측으로 만곡되고 신축적으로 확장 가능한 유지용 가장자리들이 마련되어 있다. 조립을 위해서는 플러그-인 부품을 삽입하기 이전에 스프링 요소가 소켓 하우징 내의 측방향 개구를 통해 소켓 챔버 안으로 압입되어야 한다. 상기 스프링 요소가 소켓 챔버 내에서 다시 확장하게 되면, 상기 유지용 가장자리들은 외측벽에 위치한 리세스 내로 들어온 가이드 요소들에 의해 특히 폐쇄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 쪽에서, 상기 유지용 가장자리들은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수렴하는 접촉면들은 구비하며, 상기 접촉면에 의해 유지 가장자리들은 플러그-인 부품의 삽입시 더 떨어지도록 강제된다. 스프링 요소의 유지용 가장자리들과 플러그-인 부품의 유지 리브 사이의 결합을 다시 해제하기 위해, 즉 상기 유지용 가장자리들을 유지 리브로부터 약간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게 압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지용 가장자리들은 이들의 단부에서 V자형으로 수렴하는 스프링 리브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결합부(joint)들은 소켓 하우징의 개구 영역에 정렬되며, 이러한 결합부들은 만곡된 압축 탭에 내측으로 압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한 조립과 매우 안정적인 연결을 보장하면서도 간단한 분리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형태의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다시 말해 특히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의 직접적인 로킹이 이루어지는 형태의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조립된 상태에서 제1 커플링 부분과 제2 커플링 부분 중 하나 이상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커플링 부분의 걸림부들과 제2 커플링 부분의 걸림부들 사이의 로킹 연결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별도의 릴리스 부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릴리스 부분은 그것이 결합, 유지 혹은 구속 부품의 기능을 취하지 않고 커플링 이음쇠에 합체될 수 있는 플러그-인 커플링을 위한 "내장형 릴리스 공구(built-in release tool)"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실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보장해주도록 제1 커플링 부분과 제2 커플링 부분의 상호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 걸림부들만이 상기 커플링 부분들을 서로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별도의 릴리스 부분이 갖는 하나의 장점은 또한 그것을 구성하는 재료를 특히 제1 커플링 부분의 재료뿐만 아니라 제2 커플링 부분의 재료와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상기 걸림부들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데 필요로 하는 힘을 계획적으로 최적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예컨대, 종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측면들을 지닌 소켓 모양의 실린더의 형태와 같은 유지 섹션에 대한 여러 가지의 실시예들이 있을 수 있지만, 걸림부들을 구비하는 제1 커플링 부분의 유지 섹션이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면서 탄력적으로 확장 가능한 유지 아암들로 형성되어 있는 일실시예가 그것의 조립 용이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양호한 변형례로 될 수 있다. 상기 릴리스 부분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유지 아암을 확장시켜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 사이의 로킹 연결을 해제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은 잡아 당겨질 수 있으며, 그러면 유지 아암들은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 경우, 스프링의 힘과 릴리스 힘(유지 아암의 확장 위치)은 유지 아암을 위해 상이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최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릴리스 부분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조작의 용이성과 고도의 기능성 관점에서 릴리스 부분을 사출 성형 등과 같이 단일 부품으로 제조하는 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릴리스 부분은 적어도 몇 개의 섹션들에서 신축적으로 탄성이 있는 재료(작동 시에 일어나는 수동적인 조절력 및 기계적인 응력에 관련이 있음) 혹은 강성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강성 및/또는 신축성 섹션 등의 릴리스 부분의 상이한 섹션들은 필름 힌지 등의 힌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수동 조작을 위한 하나의 작동 섹션, 개방 섹션, 특히 유지 아암의 확장을 위한 개방 섹션, 그리고 각각의 작동 섹션과 개방 섹션들 사이에 배치된 압력 전달 섹션이 릴리스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릴리스 부분은 바람직하기로는 그 기본적인 구조가 실질적으로 링으로 형성되며, 실제 실시예에 따른 릴리스 부분 혹은 그 부분의 있음직한 섹션들은 원형,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전달 섹션들은 작동 섹션들에 의해 흡수된 힘을 개방 섹션으로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압력 전달 섹션은 작동 섹션들과 개방 섹션들 양자 상에서 외측이나 혹은 그 중심에 작동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작동력 및 조절력의 감소는 또한 관절형 부분, 양호하게는 필름 힌지 형태의 관절형 부분을 압력 전달 섹션들의 단부들에 설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압력 전달 섹션들이 힘 플럭스(force flux)의 방향으로 더욱 양호하게 정렬되도록 해준다.
개방 섹션들에 관하여, 이에 대응되게 설계된 가이드 수단은 작동 섹션들이 작동할 때 개방 섹션들이 단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개방 섹션들 상에 그리고 제1 커플링 부분 상에 마련될 수 있다.
1개 혹은 2개의 작동 섹션들이 릴리스 부분 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의 작동 섹션을 지닌 릴리스 부분은 제1 커플링 부분가 전체 공간 혹은 플러그 형상으로 인해 단지 한쪽으로부터 접근 가능하게 되는 곳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스 부분은 또한 작동 섹션과, 이 작동 섹션과 압력 전달 섹션 사이에 각각 배열된 2개의 개방 섹션과, 선택적으로는 개방 섹션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커넥팅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리스 부분은 또한 실질적으로 포크 모양의 기본적인 구조를 지닐 수 있다(커넥팅 섹션을 구비하지 않음).
2개의 작동 섹션들을 구비하는 릴리스 부분은 전술한 이유로 인해 단지 하나의 작동 섹션을 지닌 릴리스 부분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 곳에 사용되어야 한다. 특히,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작동 섹션들은 릴리스 부분이 더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조립될 수 있게 해주고 힘의 작용을 최적화시키는 대칭이라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릴리스 부분의 현저한 특징은 그 조립의 용이성에 있다. 원칙적으로,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1 커플링 부분의 유지 섹션과 유니언 섹션 사이의 중간 공간을 안으로의 축방향 삽입만을 단지 필요로 한다. 그러나, 상기 릴리스 부분을 제1 커플링 부분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전술한 2개의 부분 상에, 특히 개방 섹션과 유지 아암 상에 적절하게 설계된 걸림부들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있음직한 변형례가 또한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데, 이 변형례에서 릴리스 부분과 제1 커플링 부분은 걸림부와 유지 요소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릴리스 부분은 아래의 순서에 따라 조립된다.
1. 상기 릴리스 부분을 제1 커플링 부분 안으로 축방향으로 삽입하고 및/또는 그 릴리스 부분이 어떠한 축방향 복귀 운동도 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릴리스 부분을 로킹시키며,
2. 상기 릴리스 부분을 제1 커플링 부분에서 접선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복귀 운동을 상기 릴리스 부분이 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릴리스 부분을 로킹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구성상의 특징들은 종속항과 아래의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의 양호한 예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제1 커플링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릴리스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릴리스 부분과 제1 커플링 부분이 예비 조립된 상태로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을 도시하는 도 1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과 릴리스 부분이 조립된 상태(최종 상태)로 있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을 축방향으로 절반을 절취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릴리스 부분의 다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제1 커플링 부분의 부분적인 단면을 도시한 시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에 사용하기 위한 도 11에 도시된 릴리스 부분의 부분적인 단면을 도시한 시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릴리스 부분과 조립된 상태로 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제1 커플링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릴리스 부분에 대한 또 다른 두 실시예를 도시한 도 2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며,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릴리스 부분을 제1 커플링 부분에 조립하기 위한 여러 조립 단계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릴리스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여러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여러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항시 동일한 도면으로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 구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한번에 거쳐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특히 퀵 커넥팅 커플링은, 2개의 상호 연결 가능한 관형의 커플링 부분(1, 2)을 포함하며, 이들 커플링 부분은 커플링 부분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걸림부(3, 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커플링 부분(1)(도 1에 개별적으로 도시)은 한편으로 단부 유니언 섹션(5)을 구비하며, 이 단부 유니언 섹션에 의해 제1 커플링 부분은 도 4(또한 2개의 다른 주요한 도면인 도 5 및 도 6 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플링 부분(2)에 플러그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1 커플링 부분(1)은 적어도 하나의 단부 유지 섹션(6)을 구비하며, 이 단부 유지 섹션은 걸림부(3)을 갖고 있으며 이하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유지 아암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 유지 섹션에 의해 상기 제1 커플링 부분(1)은 제1 커플링 부분(1)의 걸림부(3)와 상보적인 관계로 구성된 걸림부(4)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커플링 부분(2)의 외주 상에 걸리게 된다.
제1 커플링 부분(1)의 걸림부(3)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방식으로(도 1 및 도 4 참조) 제2 커플링 부분(2)의 삽입 방향(도 4, 도 5, 도 12 및 도 17에 도시된 화살표 E)으로 접촉면(3b)의 정방에 배열되어 있는 걸림부 가장자리(3a)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제2 커플링 부분(2)의 상보적인 걸림부(4)는 특히 그 단부에 위치하는 환상의 주변 플랜지 섹션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이하에서는 플랜지 섹션으로 형성된 걸림부에 대한 실시예들만이 실제로 설명될 것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도면 부호 4는 "걸림부"와 "플랜지 섹션" 모두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은 별도의 릴리스 부분(LT)(도 2에 개별적으로 도시)을 더 포함하며, 이 릴리스 부분은 조립된 상태(도 4 참조) 혹은 심지어 예비 조립된 상태(도 3 참조)에서 제1 커플링 부분(1) 및/또는 제2 커플링 부분(2) 상에 유지되며, 제1 커플링 부분(1)의 걸림부(3)와 제2 커플링 부분(2)의 걸림부(4) 사이의 로킹 연결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커플링 부분에서 걸림부(3)를 구비하고 있는 유지 섹션(6)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면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확장 가능한 2개의 유지 아암으로 형성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유지 아암으로 형성된 유지 섹션에 대한 실시예들만이 실제로 설명될 것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도면 부호 6은 "유지 섹션"과 "유지 아암" 모두에 적용된다). 제1 커플링 부분(1)을 제2 커플링 부분(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유지 아암(6)의 가능한 확장 운동은 도 4에서 화살표 "S"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유지 아암(6)은 제1 커플링 부분(1)의 튜브 구간(7)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 상기 튜브 구간의 일단부에는 라인 연결부(8)가 그리고 타단부에는 단부 유니언 섹션(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인 연결부(8)와 단부 유니언 섹션(5)은 동축(도 4에서 삽입 축선 X-X)으로 있으며, 다시 말해서 이들은 서로에 대해 정렬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유니언 섹션(5)은 O형 링 등의 시일을 수용하기 위한 둘레 홈(5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부 유니언 섹션(5)은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커플링 부분(2) 안으로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특히 제2 커플링 부분(2)의 플랜지 섹션(4)과 상호 작용하도록 둘레에 배열된 정지부(5b)를 또한 구비한다.
제1 커플링 부분(1)과 마찬가지로, 제2 커플링 부분(2)도 역시 그 일단부, 구체적으로 말하면 플랜지 섹션(4)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 마련된 라인 연결부(9)(도 4 및 도 9 참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제1 커플링 부분(1)에 용이하게 끼워지거나 또는 예비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커플링 부분(1)에 있어서 단부 유니언 섹션(5)과, 걸림부(3)를 구비한 유지 섹션(6) 사이의 중간 공간(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음) 안으로 릴리스 부분(LT)을 제2 커플링 부분(도 4 및 도 12의 화살표 E)의 삽입 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단지 밀어 넣기만 하면 된다.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릴리스 부분(LT)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섹션(10)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대향하는 탭 모양의 작동 섹션(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더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릴리스 부분(LT)은 유지 아암(6)의 반경 방향 내면에 접촉하고 유지 아암(6)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개방 섹션(11)을, 바람직하게는 2개의 대향하면서 특히 탭 모양의 개방 섹션(11)을 구비한다. 끝으로, 릴리스 부분(LT)은 적어도 2개의 압력 전달 섹션(12)을, 바람직하게는 작동 섹션(10)과 개방 섹션(11)의 가운데 각각 부착되어 있는 4개의, 특히 바아 모양의 압력 전달 섹션(12)을 구비하는 것을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압력 전달 섹션(12)은 작동 섹션(10)을 개방 섹션(11)과 연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에 따르면, 릴리스 부분(LT)은 실질적으로 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는 또한 릴리스 부분(LT) 혹은 그것의 상기 섹션들이 원형, 타원형 혹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을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조립 상태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의 화살표 P의 방향으로 작동 섹션(10)에 손에 의해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압력은 압력 전달 섹션(12)을 경유하여 개방 섹션(11)에 전달된다. 도면들 중 특히 도 6을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 섹션은 유지 아암(6) 상에 지탱되어 압력의 영향으로 인해 확장 운동을 행하게 되고, 이러한 운동은 유지 아암(6)의 확장(화살표 S 방향)을 또한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커플링 부분(1)과 제2 커플링 부분(2)의 걸림부(3, 4)는 맞물림이 해제되어, 2개의 커플링 부분(1, 2)은 예컨대, 제2 커플링 부분(2)을 제1 커플링 부분(1)으로부터 화살표 E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릴리스 부분(LT)의 재질로는 플라스틱 혹은 금속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일단 작동력을 가하는 것을 그만두면 확장된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되는 장점을 고려하면,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그 전체 혹은 그 일부의 섹션이 탄성 복원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릴리스 부분(LT)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필름 힌지 등의 힌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압력 전달 섹션(12), 작동 섹션(10) 혹은 개방 섹션(11) 등과 같은 강성 및/또는 탄성 복원 섹션들과 같은 릴리스 부분(LT)의 다양한 섹션들을 위해, 특히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거나 유리할 수 있지만, 릴리스 부분(LT)의 다양한 섹션들을 위해 단일의 재료가 이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필름 힌지들은 도 7 및 도 15 내지 도 19에 따른 릴리스 부분(LT)의 실시예들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도면에서 각각 도면 부호 "13"으로 표기되어 있다. 상기 필름 힌지(13)는 가해져야 할 작동력을 줄이고, 또 압력 전달 섹션(12)들이 힘 전달 방향으로 더욱 양호하게 정렬되도록 해준다.
상기 도 7 및 도 15 내지 도 19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릴리스 부분(LT)의 압력 전달 섹션(12)들 각각은 오목한 만곡부를 지닌다. 이것은 또한 힘 전달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 전달 섹션(12)이 삽입 축선(X-X)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힘들이 압력 전달 섹션(12)의 휨(굽힘 포인트)과 관련하여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고 또 제1 커플링 부분(1) 상에 작용할 때 상기 제1 커플링 부분 상에 얹혀 있는 압력 전달 섹션(12)은 효율적으로 미끄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8에는 작동 섹션(10)과, 이 작동 섹션(10)과 압력 전달 섹션(12) 사이에 각각 배치된 2개의 개방 섹션(11)과, 그리고 상기 개방 섹션(11)들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팅 섹션(14)을 포함하는 릴리스 부분(LT)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10 및 도 13과 도 16 내지 도 19에 또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팅 섹션(14)은 작동 섹션(10)을 대체시킨 것이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들에서 릴리스 부분(LT)은 단지 하나의 작동 섹션(10)을 구비한다. 하나의 작동 세션(10)을 지닌 릴리스 부분(LT)은 제1 커플링 부분(1)의 전체의 치수와 형상이 그 필요성을 충족시켜야 하는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해서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다.
도 9 내지 도 11과 도 13 및 도 14에 따른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특징은 도시된 본 발명의 있음직한 변형례에서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들 각각이 보강 요소(15, 16)들을 구비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 요소(15, 16)들은 첫째로 이들의 보강 기능에 추가하여 안내 기능(도 9 및 도 10 참조)을 또한 얻을 수 있는 직각으로 돌출하는 리브(15)와 관련이 있고, 둘째로 조립된 상태 혹은 예비 조립된 상태(도 14 참조)에서 유지 아암(6)의 둘레에 걸리게 되는 환상의 부착구(16)(도 11 및 도 13 참조)와 관련이 있다. 상기 부착구는 유지 아암(6)을 보호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압력이 제1 커플링 부분(1)에 가해질 때 후자를 추가로 보강한다.
도 12 및 도 14, 도 17 내지 도 19에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라인 연결부(8)와 단부 유니언 섹션(5)이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 특히 직각을 이루면서 배열된 제1 커플링 부분(1)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릴리스 부분(LT)의 사용은 제1 커플링 부분(1)의 특별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구조, 특히 유지 아암(6)으로서 유지 섹션(6)의 실시예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또한 유지 섹션(6)이 제2 커플링 부분(2) 상에 위치하고 그리고 플랜지 섹션(4) 등의 걸림부가 제1 커플링 부분(1)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플러그-인 커플링 구조와 함께 조합되어도 좋다.
단지 하나의 작동 섹션(10)을 구비하는 릴리스 부분(LT)의 사용은 특히 제1 커플링 부분이 만곡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해 적절한 것임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경우, 릴리스 부분(LT)은 그 기본 구조가 폐쇄형인 환상의 모양에서 벗어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크 형상을 지닐 수도 있다. 제2의 작동 섹션(10)과 커넥팅 섹션(14)이 생략될 경우에는, 릴리스 부분(LT)의 강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작동력도 감소시킨다.
지금까지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는 모든 도면에 또한 도시되어 있는 동시에 장점을 갖기에 중요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하나의 특징은, 확고하게 상호 맞물린 가이드 요소(17a, 18a, 17b, 18b)들이 한편으로는 릴리스 부분(LT) 상에, 특히 그것의 개방 섹션(11) 상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6), 특히 유지 아암(6) 상에 배열되는 데,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17a, 17b)들은 제1 커플링 부분(1) 상에 배열(도 4, 도 6, 도 14 및 도16 참조)되고 가이드 슬롯(18a, 18b)은 릴리스 부분(LT) 상에 배열(도 2, 도 4, 도 6, 도 7 내지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7 참조)된다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슬롯(18a)은 주로 유지 아암(6) 상에 지지될 개방 섹션(11)의 반경 방향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이에 대응하는 가이드 리브(17a)는 이와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 유지 아암(6)의 반경 방향 내측 지지면 상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 섹션(11)이 유지 아암(6) 둘레에 걸리는 환상의 부착구(16)의 형태로 된 보강 요소들을 구비할 경우, 각각의 가이드 슬롯(18b)은 유지 아암(6) 상에 지지될 환상의 부착구(16)의 반경 방향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이에 대응하는 가이드 슬롯(17b)은 이와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 유지 아암(6)의 반경 방향 내측 지지면 상에 배치된다.
삽입 축선(X-X)에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 요소(17a, 17b, 18a, 18b)는, 작동 섹션(10)이 작동할 때(화살표 P 방향으로), 개방 섹션(11)이 단지 반경 방향 외측(화살표 S 방향으로)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 접선 방향으로 변위할 수 없도록 보장해주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요소(17a, 17b, 18a, 18b)는 또한 이들이 릴리스 부분(LT)과 제1 커플링 부분(1)의 서로에 대한 어떠한 회전도 방지하지만 삽입 축선(X-X)에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상대 변위를 허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은 또한 별도의 릴리스 부분(LT)이 심지어 예비 조립 상태에서 어떻게 제1 커플링 부분(1) 상에서 유지될 수 있는가에 대한 상세 내용을 보여줄 것이다(도 3, 도 14, 도 19 참조). 이러한 상세 내용은, 상보적인 관계로 협동하는 정지부(19, 20), 특히 조립 상태 혹은 예비 조립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릴리스 부분(LT)의 지탱 가장자리(19)(도 2, 도 4, 도 7 내지 도 11, 도 13 및 도 15 내지 도17 참조) 및 제1 커플링 부분(1)의 지탱 가장자리(20)(도 1, 도 4 및 도 12 참조)는 한편으로는 릴리스 부분(LT) 상에, 특히 그것의 개방 섹션(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열되어 있다는 것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지 섹션(6) 상에, 특히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아암(6)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열된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상기 가장자리(19, 20)들은 릴리스 부분(LT)이 제1 커플링 부분(1) 속으로(E로 표시된 방향으로) 지나치게 삽입되지 못하도록 해준다(운동 제한). 그러나, 삽입 방향(E)으로 소망하는 위치까지 릴리스 부분(LT)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촉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사면(19a)은 릴리스 부분(LT)의 전술한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경우에서 릴리스 부분(LT)의 각각의 지탱 가장자리(19)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4(우측편)에는 심지에 예비 조립된 상태에서 제1 커플링 부분(1) 상에 별도의 릴리스 부분(LT)은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데에 유리한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수단과 함께, 상보적인 관계로 협동하는 걸림 요소(21, 22), 특히 조립 상태 혹은 예비 조립 상태에서 서로에 걸리는 릴리스 부분(LT)의 걸림부 가장자리(21)(도 13 참조) 및 제1 커플링 부분(1)의 걸림부 가장자리(22)(도 12 참조)는 한편으로는 릴리스 부분(LT) 상에, 특히 그것의 개방 섹션(11)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열되어 있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지 섹션(6) 상에, 특히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아암(6)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열되어 있다.
제1 커플링 부분(1)의 걸림부 가장자리(22)는 제2 커플링 부분(2) 안으로의 제1 커플링 부분(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단부 유니언 섹션(5) 상에 주변을 따라 배열된 정지부(5b)의 단부면, 즉 삽입 방향(E)으로 향하는 그것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요소(21, 22)들이 일단 작동하면, 이들은 제1 커플링 부분(1)에 대한 릴리스 부분(LT)의 축방향으로 평행한 어떠한 후방 변위(E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도 방지한다. 상기 제1 커플링 부분(1)을 제2 커플링 부분(2)에 로킹시키기 위한 제1 커플링 부분(1)의 걸림 요소(3)의 경우와 같이, 접촉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사면(21a)이 도 4 및 도 13에 릴리스 부분(LT)의 전술한 실시예들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릴리스 부분(LT)의 각각의 걸림부 가장자리(21)의 정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의 상기 릴리스 부분(LT)과 제1 커플링 부분(1)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방향으로의 이들의 상대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방법으로 서로에 로킹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첫번째로 도 17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7에 도시된 화살표 E의 방향(제2 커플링 부분의 삽입 방향을 또한 표시함)으로 릴리스 부분(LT)을 제1 커플링 부분(1) 안으로 삽입하고, 이어서 필요할 경우 릴리스 부분(LT)의 어떠한 축방향 후방으로의 운동도 방지하기 위해 로킹시킴으로써 초기의 예비 조립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다. 그 다음, 릴리스 부분(LT)은 도 18에 도시된 위치를 취한다. 이러한 제1 단계 후에, 제1 커플링 부분(1)에서 릴리스 부분(LT)의 접선 방향으로의 변위(도 18에 화살표 T로 표시)로 이루어지고 역방향(후방) 운동을 방지하도록 릴리스 부분(LT)을 고정시키는 로킹 작용을 초래하는 제2의 예비 조립 단계가 행해진다. 이러한 상태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릴리스 부분(LT)의 접선 방향으로의 변위(T)를 위한 가이드[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정지부(5b), 가이드 정지부(5c)]가 제1 커플링 부분(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전술한 예비 조립 방법을 위한 릴리스 부분(LT)으로서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삽입 축선(X-X)에 수직으로 뻗어면서 전술한 바와 같은 걸림부 가장자리(21, 22)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커플링 부분(1, 2) 상의 상보적인 관계로 협동하는 걸림 요소들은 축방향 로킹에 적절할 수 있다. 접선 방향의 로킹에 있어서,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요소(17a, 18a)의 형태로 삽입 축선(X-X)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 걸림부 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선 방향의 삽입 방향(T)으로 경사지게 뻗는 대응하는 접촉면(23a, 23b)은 또한 특히 릴리스 부분(LT)의 걸림부 요소들의 정면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팅 섹션(14)이 생략되어 있을 경우,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또한 접선 방향으로의 변위(도 18의 화살표 T)에 의해 커플링 부분(1, 2)과 간단하게 조립되어 서로에 로킹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도 20은 사시도, 도 21은 정면도, 도 22는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플링을 위한 릴리스 부분(LT)의 또 다른 실시예들은 그 기본적인 구성에서 있어서 도 15에 따른 실시예에 상응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심에 배열된 노치(24), 특히 완전 자동 조립에서 릴리스 부분(LT)을 위한 위치 표시기 역할을 하는 특히 반구형 단면을 갖는 노치가 릴리스 부분(LT)의 작동 섹션(10)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도 15에 따른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압력 전달 섹션(12)은 필름 힌지(13)에 의해 단부 상에 작용하지 않고 개방 섹션(11)의 내측 상에서 대략 중심에서 작용한다. 분리시, 이것은 힘을 더욱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하며, 내측으로 만곡된 압력 전달 섹션(12)은 비교적 더 큰 곡률 반경(R)으로 형성되어 분리시 더 큰 레버 아암과 더 큰 잠재적인 확장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릴리스 부분(LT)은 그 개방 섹션(11)의 내측에 입구 경사(25a)를 지닌 가이드 돌출부(25)를 구비하며, 이 돌출부는 반경 방향 혹은 축방향 조립에 있어서 제1 커플링 부분(1)의 단부 유니언 섹션(5)과 상호 작용하여, 제1 커플링 부분(1)에서, 본 실시예의 경우 플러그에서 릴리스 부분(LT)의 셀프 센터링(self-centering) 기능을 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도 22에서 릴리스 부분(LT)의 평면도에 도시된 경사면(23a)은 각각의 경우 릴리스 부분(LT)의 대응하는 개방 섹션(11)의 반경 방향 외측 가이드 슬롯(18a)의 정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형성된 경사면(23a)은 릴리스 부분(LT)의 접선 방향 삽입 방향(T)으로 수렴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은 특히 도 21에 도시된 정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추가의 경사면(19b)을 구비하다. 이 추가의 경사면은 제2 커플링 부분(2)의 삽입 방향(E)으로 수렴한다는 점에서 그 기능 및 방향에서 있어서 도 15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경사면(19a)에 대응한다. 그러나, 도 15에 따른 실시예의 경사면(19a)과는 달리, 경사면(19b)[도 15에서 경사면 내에 존재하는 가이드 슬롯(18a)에 의한 중단과는 별개로]은 개방 섹션(11)의 외측의 실질적으로 전체 높이(H)에 걸쳐 연장하는 데, 하지만 도 15에 도시된 지탱 가장자리(19)와 동일한 기능을 행하는 리세스(19c)가 개방 섹션(11) 외측의 나머지 높이 섹션(그 일부가 도 21의 바닥에 도시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경사면(19b)은 개방 섹션의 외측의 높이(H)의 85% 이상에 걸쳐 연장하는 반면, 도 15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그 연장 정도는 해당하는 기하학적 비율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25 내지 30% 이하를 구성한다. 경사면(19b)이 비교적 길다는 것은, 릴리스 섹션(10)이 삽입 방향(T)으로 작동할 때 개방 섹션(11)의 힘이 유지 아암(유지 섹션(6)) 상에 작용하고, 지지점(AP)이 2개의 부품 사이에 형성되어 도 15와 도 21에 도시된 것을 비교할 때에 도 21에서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것은 유지 아암 상에 작용하는 레버 아암의 길이를 증가시켜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 릴리스 부분(LT)에 가해져야 하는 조작 힘을 줄이는 데 유리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효과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효과를 구현하는 모든 실시예들, 특히 하나의 커플링 부분 상에 형성되는 단부 유니언 섹션(5)과 이와 관련하여 다른 커플링 부분 상에 형성되는 삽입 개구에 대한 운동학적인 반전(배치 위치의 반전), 다시 말해서 단부 유니언 섹션(5)을 지닌 커플링 부분 혹은 단결 유니언 섹션(5)용 삽입 개구를 지닌 커플링 부분이 유지 섹션(6)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대응하는 걸림부(3, 4)의 구조를 수정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더욱이, 제1 커플링 부분(1)과 릴리스 부분(LT)은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언급한 바가 있다. 하나의 커플링 혹은 양쪽 커플링 부분(1, 2)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시스템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한정된 특징의 조합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시된 개개의 특징들 모두로부터 선택된 특정의 특징들의 다른 임의의 조합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다. 이는 대체로 청구항 1의 실질적으로 어떤 개개의 특징은 생략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명세서 이외에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개개의 특징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청구항 1은 단지 본 발명의 성립을 위한 초기의 시도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커플링 부분
2 : 제2 커플링 부분
3 : 제1 커플링 부분(1)의 걸림부
3a : 제1 커플링 부분(1)의 걸림부 가장자리
3b : 제1 커플링 부분(1)의 걸림부 가장자리(3a)의 전방에 있는 접촉면
4 : 제2 커플링 부분(2)의 걸림부, 플랜지 섹션
5 :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니언 섹션
5a : 제1 커플링 부분의 유니언 섹션(5) 내의 주변의 홈
5b : 제1 커플링 부분의 유니언 섹션(5)의 정지부
5c : 제1 커플링 부분의 유니언 섹션(5)의 가이드 정지부
6 :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 유지 아암
7 :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니언 섹션(5)과 라인 연결부(8) 사이에서 제1 커플링 부분(1)의 소정 길이의 관
8 : 제1 커플링 부분(1)의 라인 연결부
9 : 제2 커플링 부분(2)의 라인 연결부
10 : 릴리스 부분(LT)의 작동 섹션
11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
12 : 릴리스 부분(LT)의 압력 전달 섹션
13 : 릴리스 부분(LT)의 (필름) 힌지
14 : 릴리스 부분(LT)의 커넥팅 섹션
15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 상의 보강 요소, 리브
16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 상의 보강 요소, 환상의 부착구
17a :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6) 상의 가이드 리브, 반경 방향 내측
17b :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6) 상의 가이드 리브, 반경 방향 외측
18a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 내의 가이드 슬롯, 반경 방향 외측
18b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 상의 보강 요소(16) 내의 가이드 슬롯, 반경 방향 내측
19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의 지탱 가장자리
19a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의 지탱 가장자리(19)에 전방에 있는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의 경사면
19b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의 리세스의 전방에 있는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의 경사면
19c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의 리세스
20 :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6)의 지탱 가장자리
21 : 릴리스 부분(LT)의 걸림 요소,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 상의 걸림부 가장자리
21a : 릴리스 부분(LT)의 걸림 요소(21) 전방에 있는 경사면
22 : 제1 커플링 부분의 걸림 요소,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니언 섹션(5) 상의 걸림부 가장자리
23a, 23b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 내의 가이드 슬롯(18a)의 전방에 있는 접촉면
24 : 릴리스 부분(LT)의 작동 섹션(10) 내의 노치
25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 상의 가이드 돌출부
25a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 상의 가이드 돌출부(25)의 입구 경사
AP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6)의 지지점
E : 제2 커플링 부분(2)의 삽입 방향, 릴리스 부분(LT)의 (제1의) 조립 방향
H :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의 측방향 높이
LT : 릴리스 부분
P : 릴리스 부분(LT)의 작동 섹션(10)의 작동 방향
R : 릴리스 부분(LT)의 압력 전달 섹션(12)의 곡률 반경
S :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6), 릴리스 부분(LT)의 개방 섹션(11)의 확장 방향
T : 접선 방향, 릴리스 부분(LT)의 (제2의) 조립 방향
X-X : 제1 커플링 부분(1), 제2 커플링 부분(2)의 삽입 축선

Claims (27)

  1. 서로에 대해 연결 가능한 2개의 커플링 부분(1, 2)들을 구비하는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으로서, 상기 커플링은 제1 커플링 부분(1) 및 제2 커플링 부분(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1, 2)들 각각은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호 맞물리는 제1 및 제2 걸림부(3, 4)들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1, 2)들 중 하나는 제1 및 제2 커플링 부분(2, 1)들 중 다른 하나에 플러그식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단부 유니언 섹션(union section)(5)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커플링 부분(1)은 제1 걸림부(3)를 갖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부 유지 섹션(유지 아암, 6)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부(3)는 상기 제2 걸림부(4)들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커플링 부분(2)의 주변 윤곽을 붙잡아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커플링 부분(1, 2)들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제1 커플링 부분(1)의 상기 제1 걸림부(3)와 상기 제2 커플링 부분(2)의 상기 제2 걸림부(4) 사이의 연결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별도의 릴리스 부분(release part)(LT)이 구비되며, 수동 압력의 영향 하에서 상기 릴리스 부분(LT)의 제2 부분(작동 섹션, 10)이 내측으로 반경 방향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릴리스 부분(LT)의 제1 부분(개방 섹션, 11)이 외측으로 반경 방향 확장하여 확장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3, 4)들 및 상기 릴리스 부분(LT) 간의 연결이 분리되는 동안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상기 2개의 커플링 부분(1, 2)들 중 하나 이상에 축방향 위치가 고정되어 유지되며,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수동 압력이 가해지는 것이 중지되면 상기 확장된 위치로부터 복귀되도록 신축성 있는 탄성 물질을 구비하는 것인 플러그-인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3)를 갖고 있는 유지 섹션(6)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면서 탄성적으로 확장 가능한 2개의 유지 아암(6)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아암(6)은 제1 커플링 부분(1)의 튜브(7)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 상의 일단부에는 라인 연결부(8)가 그리고 타단부에는 단부 유니언 섹션(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연결부(8)와 상기 단부 유니언 섹션(5)은 서로 동축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연결부(8)와 상기 단부 유니언 섹션(5)은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커플링 부분(1)의 제1 걸림부(3)는 각각 접촉면(3b)이 그 전방에 배열되어 있는 걸림부 가장자리(3a)에 의해 형성되며, 제2 커플링 부분(2)의 제2 걸림부(4)는 단부에 배열된 환상의 플랜지 섹션(4)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플링 부분(2)은 일단부에 라인 연결부(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유니언 섹션(5)은 시일을 수용하기 위한 둘레 홈(5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유니언 섹션(5)은 제2 커플링 부분(2)으로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제2 커플링 부분(2)의 플랜지 섹션(4)과 상호 작용하도록 주변에 배열된 정지부(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2개의 상호 대향하는 판상의 작동 섹션(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유지 아암(6)의 반경 방향 내측면에 접촉하고 유지 아암(6)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2개의 상호 대향하는 개방 섹션(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섹션(11)은 보강 요소(15, 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2개 이상의 압력 전달 섹션(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전달 섹션(12)은 상기 작동 섹션(10) 혹은 개방 섹션(11)의 중앙부 혹은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전달 섹션(12)은 오목한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전달 섹션(12)은 작동 섹션(10)을 개방 섹션(11)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부분(LT)의 전체 또는 일부는 원형,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부분(LT)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질적으로 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작동 섹션(10)과, 이 작동 섹션(10)과 압력 전달 섹션(12) 사이에 각각 배열된 2개의 개방 섹션(11)과, 개방 섹션(11)을 서로 연결시키는 커넥팅 섹션(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2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부분(LT)의 기본적인 구조는 실질적으로 포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21. 삭제
  2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부분(LT)은 전체 또는 일부가 강성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2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전달 섹션(12), 작동 섹션(10), 혹은 개방 섹션(11)을 포함하는 상기 릴리스 부분(LT)의 여러 섹션들은 힌지(1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2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고하게 상호 맞물린 가이드 요소(17a, 18a, 17b, 18b)는 릴리스 부분(LT) 상에 그리고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6)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17a, 17b, 18a, 18b)들은 이들이 릴리스 부분(LT)과 제1 커플링 부분(1)의 서로에 대한 임의의 회전을 방지하지만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평행한 변위를 허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2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태에서 릴리스 부분(LT)과 제1 커플링 부분(1)의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평행한 임의의 변위를 방지하거나 적어도 제한하는 지탱 가장자리(19, 20)와 함께,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에 걸림으로써 상보적인 관계로 협동하는 걸림 요소(21, 22)는, 릴리스 부분(LT) 상에 그리고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6)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2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선 방향으로의 조립 방향(T)에 반대로 상승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면(23a, 23b)이 전방에 배열되어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에 걸림으로써 상보적인 관계로 협동하는 걸림 요소(17a, 18a)는, 릴리스 부분(LT) 상에 그리고 제1 커플링 부분(1)의 유지 섹션(6) 상에 배열되어, 조립 상태에서 릴리스 부분(LT)과 제1 커플링 부분(1)의 서로에 대한 임의의 상대적인 접선 방향으로의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플링.
KR1020057002518A 2002-08-14 2003-08-13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KR100936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12488.6 2002-08-14
DE20212488U DE20212488U1 (de) 2002-08-14 2002-08-14 Steckkupplung für fluidische Syste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618A KR20050038618A (ko) 2005-04-27
KR100936682B1 true KR100936682B1 (ko) 2010-01-13

Family

ID=3001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518A KR100936682B1 (ko) 2002-08-14 2003-08-13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50210B2 (ko)
EP (1) EP1438530B1 (ko)
JP (1) JP4395069B2 (ko)
KR (1) KR100936682B1 (ko)
CN (1) CN100335834C (ko)
AT (1) ATE308009T1 (ko)
AU (1) AU2003255432A1 (ko)
DE (2) DE20212488U1 (ko)
WO (1) WO2004016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2207B3 (de) * 2004-12-23 2005-10-20 Kirchner Fraenk Rohr Verbindungseinrichtung
DE202005015966U1 (de) 2005-10-10 2007-02-15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JP5038152B2 (ja) * 2005-12-06 2012-10-0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チェッカー
DE102006010316A1 (de) * 2006-03-07 2007-09-13 Karl Storz Gmbh & Co. Kg Kupplungsmechanismus
DE102006013899B3 (de) * 2006-03-25 2006-11-30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US7658420B2 (en) * 2006-07-13 2010-02-09 Parker-Hannifin Corporation Quick-connect fitting with unlocking ring
JP2008286349A (ja) 2007-05-21 2008-11-27 Nitta Moore Co クイックコネクタ
JP5343220B2 (ja) * 2008-04-28 2013-11-13 株式会社ニックス 配管継手
DE102010010522B4 (de) * 2010-03-05 2012-10-25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Medienleitungen
DE102010048107A1 (de) * 2010-10-09 2012-04-12 Norma Germany Gmbh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Fluidverbindung
US9440249B1 (en) * 2013-04-30 2016-09-13 Crossford International, Llc Applicator wands for cleaning HVAC coils
CN104019308A (zh) * 2014-06-26 2014-09-03 李婧 一种热水管接头
DE102015000372A1 (de) * 2015-01-20 2016-07-21 Viessmann Werke Gmbh & Co Kg Kupplungsvorrichtung
DE202015101140U1 (de) 2015-03-06 2016-06-08 Woco Industrietechnik Gmbh Verbindungseinrichtung
CN107061904A (zh) * 2017-04-05 2017-08-18 临海市永恒汽配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连接器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DE102018107507A1 (de) * 2018-03-28 2019-10-02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Medienleitung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091A (ja) * 1985-08-29 1987-03-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管継手構造
JPS6417245U (ko) * 1987-07-16 1989-01-27
JP2001032985A (ja) * 1999-07-21 2001-02-06 Tokyo Gas Co Ltd 配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3015C3 (de) 1980-10-29 1999-04-29 Donald Dekle Bartholomew Drehbare Schnellkupplung
DE3843995C2 (de) 1987-08-20 1997-06-05 Inventa Ag Schnellverbindung zum Verbinden einer Schlauch- oder Rohrleitung
DE8711334U1 (de) 1987-08-20 1987-10-22 Ems-Inventa AG, Zürich Schnellverbindung zum Verbinden einer Schlauch- oder Rohrleitung
FR2636713B1 (fr) * 1988-09-20 1990-12-14 Peugeot Dispositif de jonction entre un raccord souple et un embout tubulaire rigide d'un circuit sous pression
JPH0674875B2 (ja) * 1988-12-07 1994-09-21 エムス − インヴエンタ・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迅速断ち継ぎ継手
DE3843015A1 (de) 1988-12-21 1990-06-28 Hoechst Ceram Tec Ag Laserresonator
DE3933591C1 (ko) * 1989-10-07 1991-02-07 Rasmussen Gmbh, 6457 Maintal, De
FR2685434B1 (fr) * 1991-12-18 1994-04-01 Hutchinson Sa Dispositif de raccord rapide pour la liaison etanche entre eux de deux tubes ou tuyaux rigides ou semi-rigides.
JP3104768B2 (ja) * 1992-03-30 2000-10-30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コネクター
DE4214105A1 (de) * 1992-04-29 1993-11-04 Voss Armaturen Steckverbinder fuer schlauch- oder rohrleitungen, insbesondere fuer kraftstoffleitungen von verbrennungsmotoren
US5374084A (en) * 1992-09-25 1994-12-20 Parker Hannifin Corporation Coupling for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DE4300037C1 (de) 1993-01-02 1994-04-21 Raymond A & Cie Lösbare Steckverbindung
US5586792A (en) * 1995-02-21 1996-12-24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JP3938798B2 (ja) * 1996-11-20 2007-06-2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6499772B1 (en) * 1998-08-25 2002-12-31 John T. Minemyer Radial conduit coupl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091A (ja) * 1985-08-29 1987-03-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管継手構造
JPS6417245U (ko) * 1987-07-16 1989-01-27
JP2001032985A (ja) * 1999-07-21 2001-02-06 Tokyo Gas Co Ltd 配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16980A1 (de) 2004-02-26
DE50301479D1 (de) 2005-12-01
JP2005535845A (ja) 2005-11-24
AU2003255432A1 (en) 2004-03-03
CN1688841A (zh) 2005-10-26
EP1438530B1 (de) 2005-10-26
ATE308009T1 (de) 2005-11-15
EP1438530A1 (de) 2004-07-21
KR20050038618A (ko) 2005-04-27
DE20212488U1 (de) 2003-12-24
JP4395069B2 (ja) 2010-01-06
US20050179258A1 (en) 2005-08-18
US7850210B2 (en) 2010-12-14
CN100335834C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682B1 (ko) 유체 시스템용 플러그-인 커플링
EP1653144B1 (en) Snap mount fluid quick connector
KR101708495B1 (ko) 밀봉 조립체 리테이너를 가진 급속 커넥터
US5895078A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tube to a rigid endpiece
US8336919B2 (en) Snap-on coupling for connecting a fluid pipe to a rigid end fitting with a connection indicator and method of inspecting this connection
US3922011A (en) Hose coupling
EP1099895B1 (en) Connector
WO2001023798A1 (fr) Connecteur rapide
JPH08505205A (ja) 滑動カラーの迅速な接続
US5112085A (en) Tube coupling with combination retainer and disassembly tool
KR20150027237A (ko) 연료 라인 커넥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110271515A1 (en) Two part coupling connected by a clip
US11098833B2 (en) Quick connector
SK8422002A3 (en) Hydraulic connectors
JPH04211791A (ja) 入れ子式チューブを結合する継手とその方法
EP1103752A1 (en) Flexible corrugated tube with end fittings for hydraulic systems
EP0785386A1 (en) Pipe joint
US6206435B1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tube to a rigid endpiece
KR19980703387A (ko) 적합한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링을 갖는 신속 커넥터
KR100214781B1 (ko) 관접속구
JPH0925950A (ja) シールされた流体カップリング
GB2249150A (en) A tube connector
JP4335401B2 (ja) 迅速管継手
EP1653143A1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adapter
RU2715948C1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