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667B1 -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 Google Patents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667B1
KR100936667B1 KR1020090057762A KR20090057762A KR100936667B1 KR 100936667 B1 KR100936667 B1 KR 100936667B1 KR 1020090057762 A KR1020090057762 A KR 1020090057762A KR 20090057762 A KR20090057762 A KR 20090057762A KR 100936667 B1 KR100936667 B1 KR 100936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valve
hinge pin
valve body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육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육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육송
Priority to KR102009005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6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4Hydraulic or pneumatic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change of flui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설비나 포소화설비 등의 소화설비의 배관 상에 설치되는 알람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밋스위치의 액추에이터의 유격조절이 가능한 알람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설비용 알람밸브{alarm valve for suppression system}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설비나 포소화설비 등의 소화설비의 배관 상에 설치되는 알람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밋스위치의 액추에이터의 유격조절이 가능한 알람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집합 주택용 스프링클러 설비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합 주택의 각 층의 각 가구마다 복수개의 스프링클러 헤드(40)가 설치되고, 각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각 헤드(40)가 스프링클러 배관(40')을 통해 유수 검지 장치(1)의 이차측에 접속되며, 또한 이 유수 검지 장치(1)의 일차측에 소화수 배관(41)이 접속되고, 각 배관(41)은 집합 주택의 지층에 설치되고, 이 지층에서 가압 송수 펌프(42), 압력 유지 펌프(43)를 통해 저수조(4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관(41)에는 압력 탱크(45) 및 상기 배관(41) 내의 압력 저하를 압력 탱크(45)를 통해 검출할 수 있는 압력 스위치(4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면 부호 47은 옥상에 배치된 소화수의 보조 수조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클러 설비는 경계 동작 중에 있어서 모든 배관 내가 물로 채워지고 상기 압력 유지 펌프(43)에 의해 정압[가압 펌프(42)로부터 가장 먼 곳에서 0.1 MPa 이상]이 인가되고 있으며, 어느 한 가구(P)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스프링클러 헤드(40")의 노즐이 열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포하여 배관(40') 내에 충만되어 있는 소화수가 상기 헤드(40")로부터 방출되며, 이러한 유수 압력에 의해 상기 한 가구(P)에서 상기 유수 검지 장치(1)의 리드 스위치 등이 온되고 이에 의해 화재 경보 등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헤드(40")의 발포에 기초한 관내 압력의 저하를 압력 스위치(46)가 검지하여 온되며, 이온에 기초하여 가압 송수 펌프(42)가 기동되어 배관(41) 내에 저수조(44) 내의 소화수가 가압 송수되어, 계속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40")로부터 소화수가 방수되어 소화 활동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종래 이러한 스프링클러 설비의 알람밸브(1)로서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 694783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9의 영역(P)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이 화재에 의해 특정한 스프링클러 헤드(40")가 발포하면, 배관(40') 내에 충만되어 있는 소화수가 방출되며, 이에 의해 알람밸브(1)의 이차측 압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알람밸브(1)에서 일차측으로부터 이차측으로의 수류(화살표 E방향)가 발생한다(도 20 참조).
그러면, 상기 수류에 의해 밸브 수용체(1a) 내의 크레파(9)가 수류에 의해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하여 간다. 이때,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파(9)의 회동에 동반하여 샤프트(8)도 동일 방향으로 회동하며, 이에 의해 피니언 기어(14)가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피니언 기어(14)의 회동에 동반하여 랙기어(16)가 안내 가이드(17)에 안내되면서, 또한 크레파 개폐 강도 조정용 스프링(20)의 압박력에 대항하면서 화살표 H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간다. 따라서, 상기 크레파(9)는 스프링(20)의 압박력(화살표 I 방향)에 대항하여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하여 간다.
그리고, 랙기어(16)의 이동 과정에 있어서, 이 랙기어(16)의 작동부(16c)에 리밋 스위치(22)에 있어서의 스위치 조작부(23)의 롤러(23a)가 접촉하고, 랙기어(16)의 추가적인 직진에 동반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부(23)가 랙기어(16)의 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 압박되어, 크레파(9)가 도 22의 위치까지 회동한 시점, 즉 랙기어(16)가 도 22의 위치까지 직선 이동한 위치에서 스위치 조작부(23)에 의해 경보 스위치(22)가 온 된다. 이에 의해, 경보기가 작동하여 경보음이 울려 화재가 발생한 것을 거주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런데, 리밋 스위치(22)는 크레파(9)가 거의 45도 이상 선회하는 경우에만 리밋스위치(22)가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 1개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통상 크레파(9)는 10도 이내로 선회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23b)의 선회에 따른 접점이 이루어지지 않아 경보가 울리지 않게 되는 오류가 생긴다.
또한, 알람밸브(1)의 크레파(9) 교체나 수리 또는 청소를 위한 제어밸브(미도시)가 플랜지(4)에 별도로 장착되는 분리형이기 때문에, 제어밸브(미도시)의 길이만큼 스페이스를 차지한다.
또한, 종래의 제어밸브는 레버타입의 볼 밸브가 사용되어 개폐조작은 간편하지만, 볼의 직경 만큼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밋 스위치의 액추에이터의 유격 조절이 가능하여 크레파의 최소 각도로 선회되더라도 알람이 울려 조기진화의 효율을 높이는 소화설비용 알람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소화설비용 알람밸브는,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를 1차측과 2차측으로 구획하는 크레파; 상기 크레파를 상기 밸브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하는 힌지핀; 상기 밸브본체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한 상기 힌지핀의 타단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힌지핀 레버; 상기 힌지핀 레버의 작동에 의해 액추에이터가 선회되어 접점되는 알람용 리밋 스위치; 상기 리밋 스위치의 액추에이터의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스프링클러 1개가 작동되더라도 크레파의 선회에 의해 알람이 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소화설비용 알람밸브는,
상기 유격조절부재는 상기 힌지핀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리밋 스위치가 지지되는 알람스위치용 브라켓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유격조절부재는 승강용 장공이 형성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서 수직하게 돌출하여 상기 액추에이 터의 자유단을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승강부의 조절 위치를 상기 알람 스위치용 브라켓에 지지시키는 스크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힌지핀 레버의 조립/분해시에도 조절된 액추에이터의 유격이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다시 유격을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소화설비용 알람밸브는,
상기 알람스위치용 브라켓에는 투명한 커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먼지 등을 차단하면서 오작동을 투명한 커버를 통해 바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여 신속한 점검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소화설비용 알람밸브는,
상기 밸브본체의 2차측을 개폐하는 제어밸브가 상기 밸브본체에 더 탑재되되, 상기 제어밸브는 레버 타입의 버터플라이 밸브로 구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버터플라이 밸브의 두께만큼 알람밸브의 전체적인 높이가 줄어들면서, 기어타입이나 핸들타입 보다 레버타입로 인한 간단한 조작과 협소한 공간을 차지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알람밸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크레파의 힌지핀과 연동되는 힌지핀 레버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알람이 울리는 경우로서 크게 알람스위치의 결선에 이 상이 있거나, 이물질에 의한 크레파의 선회라는 사실을 작업자의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오작동의 원인 제거가 쉽다.
또한, 알람용 리밋 스위치의 액추에이터의 최소 접점 유격을 조절함으로써, 적어도 스프링클러 1개가 작동되더라도 크레파의 미소한 선회각도에도 알람이 울려 화재 경보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 진화에도 큰 도움이 된다.
또한, 유격 조절된 상태의 액추에이터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힌지핀 레버의 조립/분해시에도 조절된 액추에이터의 유격이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다시 유격을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알람스위치용 브라켓에 투명한 커버가 설치됨으로써,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오작동을 투명한 커버를 통해 바로 육안으로 확인하여 신속한 점검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밸브본체의 2차측을 개폐하는 제어밸브가 레버 타입의 버터플라이 밸브로 구현됨으로써, 버터플라이 밸브의 두께만큼 알람밸브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이면서, 기어타입이나 핸들타입보다 레버타입로 인한 간단한 조작과 협소한 공간을 차지하여, 다양한 설비가 들어가는 좁은 방수구함에 설치가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의 좌우측에서 본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6-6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8-8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9-9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10-10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1, 도 12 및 도 13은 크레파가 닫힌 평상시 상태를 도시한 주요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크레파가 열린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주요 도면이고, 도 16은 버터 플라이 밸브가 열린 평상시 상태(록킹되지 않은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스톱핀 세트의 확대도이고, 도 18은 버터 플라이 밸브가 닫힌 유지 보수 등(록킹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설비용 알람밸브는 외형을 이루는 밸브본체(100)와, 밸브본체(100)의 내부 챔버를 1차측(I)과 2차측(II)으로 구획하는 크레파(200)와, 크레파(200)를 밸브본체(100)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하는 힌지핀(300)과, 알람용 리밋 스위치(400)와, 크레파(200)의 선회에 따라 힌지핀(300)과 연동하여 리밋 스위치(400)를 터치하는 힌지핀 레버(500)와, 리밋 스위치(400)의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부재(600)를 포함하여 있다.
밸브본체(100)의 하단 및 상단 플랜지(101)(103)에는 소화수 배관(41)과 스프링클러헤드 배관이 연결된다.
밸브본체(100)의 1차측(I)과 2차측(II)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압력계(110)와 2차 압력계(130)가 설치되어 있다.
1차 압력계(110)와 2차 압력계(130)는 1차측 압력과 2차측 압력이 같은지 체크한 후{크레파(20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함을 판단} 알람용 온/오프 스위치(450)의 오프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킨다.
또한, 밸브본체(100)의 2차측(II)에는 시험배수밸브(150)가 설치되어, 시험배수밸브(150)를 통해 2차측의 물을 배수하면 압력 변화가 생겨 크레파(200)가 잘 작동하는지 시험할 수 있다.
또한, 밸브본체(100)의 2차측(II)에는 외부에서 밸브본체(100)의 내부와 통하는 관통공(105)을 커버하는 커버(107)가 체결되어, 이 관통공(105)을 통해 크레파(200) 등의 조립 분해가 가능하다.
또한, 밸브본체(100)의 1차측(I)과 이차측(II) 경계에는 크레파(200)의 시트면을 형성하는 시트링(109)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파(200)는 1차측(I)과 2차측(II)의 압력이 평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시트링(109)을 폐쇄하고, 평형압력이 깨졌을 때 위로 선회하여 알람을 작동하게 연락하는 역할을 한다.
크레파(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핀(300)과 함께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힌지핀(300)의 선회를 위해 일단과 타단은 각각 힌지핀 부싱(301)(30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핀 부싱(301)(303)은 밸브본체(100)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특히 힌지핀 부싱(303)은 중공 형상으로서 힌지핀(300)의 타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지지되어 구조를 취하고 있다.
힌지핀(300)의 타단에는 캠 형상의 힌지핀 레버(500)가 체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크레파(300)가 선회되면 힌지핀(300)과 힌지핀 레버(500)가 연동하여 같이 선회하게 된다.
힌지핀 레버(500)에는 알람용 리밋 스위치(4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알람용 리밋 스위치는 알람용 온/오프 스위치(450)에 접속되어 있다.
알람용 리밋 스위치(400)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401),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몸체(401)에 설치되는 힌지 레버형 액추에이터(403), 몸체(401)와 액추에이터(403) 사이에 개재되는 복귀스프링(405)으로 구성하여 있다.
물론 몸체(401) 내부에는 은접점, 고정단자, 가동 스프링 등이 탑재되어, 액추에이터(403)의 동작에 의해 접점(on) 시킨다.
몸체(401)는 알람용 온/오프 스위치(450)가 전선에 의해 접속되고, 온/오프 스위치(450)는 화재경보기에 전선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몸체(401)에는 시간을 지연하는 지연타이머(460)가 전선에 의해 접속되어 접점이 이루어지더라도 작동을 지연시켜서 오보를 방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힌지 레버형 리밋 스위치(400), 온/오프 스위치(450), 지연타이 머(460)는 알람 스위치용 브라켓(420)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알람 스위치용 브라켓(420)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밋 스위치(400)와 지연타이머(460)가 장착되는 제1브라켓(421)과, 제1브라켓(421)에서 절곡된 제2브라켓(423)으로 구성하여 있다.
제1브라켓(421)은 힌지핀 부싱(303)과 힌지핀 레버(500) 사이의 힌지핀(300)에 끼워져 지지된 채 힌지핀 부싱(303)에 체결 지지되어 있다.
제2브라켓(423)에는 온/오프 스위치(450)가 장착되는 스위치장착공(423)과, 전선이 인출되는 전선인출공(4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알람 스위치용 브라켓(420)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 침입을 차단하는 커버(4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430)은 투명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한 커버(430)는 오작동(전선 이상 또는 이물질에 의한 크레파 선회)을 작업자가 커버를 열지 않고 육안으로 바로 확인하여 점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403)의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부재(600)가 제1브라켓(421)에 설치되어 있다.
즉, 유격조절부재(60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용 장공(620)이 형성된 승강부(610)와, 승강부(610)에서 수직하게 돌출하여 액추에이터(403)의 자유단을 받치는 받침부(630)와, 승강부(610)의 조절 위치를 알람 스위치용 브라켓(420)의 제1브라켓(421)에 체결 지지시키는 스크류(650)로 구성되어 있다.
유격이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3)의 자유위치로부터 동 작(접점)위치까지의 최소이동거리(T)(또는 이동각도)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액추에이터(403)가 자유단 위치에 동작위치까지 이동하기 전에는 접점이 행해지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유격 거리로 인해, 스프링클러 헤드 1개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크레파(200)가 미소하게 선회(예컨대 8.5°)되기 때문에 힌지핀 레버(500)가 액추에이터(403)를 동작위치까지 이동시키기 못해 화재 경보를 울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가 1~2개 작동하여도 리밋스위치(400)가 접점하여 알람을 울리기 위해, 유격 조절이 필요한 것이다. (현재에는 크레파가 30도 이상이 열려야 접점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스프링클러가 다수개 작동해야 한다)
즉, 스프링클러 헤드 1개가 작동한 경우를 대비하여, 받침부(6630)에 받친 액추에이터(403)의 자유단을 승강부(610)를 위로 승강시켜 조절위치(t)에서 스크류(650)을 조여서 정지시킨다.
이 조절위치(t)에 세팅된 액추에이터(403)는 스프링클러 1개가 작동하여도 힌지핀 레버(500)가 t위치에서 T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확실한 화재경보를 울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기 진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초기 조절위치(t)가 조절된 상태는 힌지핀 레버(500)나 크레파(200)의 조립 분해시에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어 다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앤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밸브본체(100)의 1차측(I)에 제어밸브(700)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제어밸브는 평상시에는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다가 알람 밸브의 점검이나 시험 등을 위해 1차측의 수로를 차단하는 게이트 밸브로서만 역할을 행한다.
제어밸브(700)가 밸브본체(100)에 일체로 장착됨으로써, 플랜지(101)와 배관(41) 사이에 제어밸브가 장착된 별도의 배관을 생략시켜 설치공간의 제약을 현저히 줄인다.
또한, 제어밸브(700)는 레버 타입의 볼 밸브 또는 레버 타입의 버터플라이 밸브로 구현 가능하나, 본 발명의 제어밸브는 레버 타입의 버터플라이 밸브(700)가 바람직한 실시예로 구현되어 있다.
레버 타입의 볼 밸브는 레버 조작에 의해 개폐가 쉬운 반면에, 볼이 구형이라 그만큼 체적이 커서 알람밸브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반면 버터플라이 밸브(700)는 버터 디스크(710)로서 1차측 수로를 개폐하기 때문에, 버터 디스크(710)의 두께만큼만 높이가 필요하다.
그런데, 통상의 버터플라이 밸브용 버터 디스크(710)의 개폐 조작은 레버가 아니라 핸들이나 기어타입으로 돌리는 것으로 행하고 있다. 이러한 핸들이나 기어타입은 조작이 힘들고 그 부피가 커서 집합건물의 소방함에 설치할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볼 밸브와 버터플라이 밸브의 장점을 살려, 레버 타입의 버터플라이 밸브(700)가 적용되어 있다.
버터플라이 밸브(700)는 밸브본체(100)에 설치되는 버터시트링(720)을 개폐하는 버터 디스크(710), 이 버터 디스크(7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버터스 템(715)(717)과, 버터 디스크(710)의 개폐를 조작하는 버터레버(730)로 구성하여 있다.
버터스템(715)(717)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본체(100)에 설치되는 고정버터스템(715)과 가동버터스템(717)으로 구성하여 있다.
고정버터스템(715)은 버터 디스크(710)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가동버터스템(717)은 버터레버(730)의 선회에 의해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버터 디스크(710)를 회전시킨다.
가동버터스템(710)의 회전력을 버터 디스크(710)에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가동버터스템(710)은 스프라인축(축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으로 하고, 버터 디스크(710)에는 스프라인축이 삽입되는 스프라인(내주면에 돌기가 삽입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터레버(730)의 일단은 가동버터스템(717)의 바깥축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에도 버터레버(730)의 회전력을 가동버터스템(717)에 확실히 전달하기 위해 다각형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터레버(730)과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는 버터 디스크(710)가 열려 있는 정상태로서, 이러한 개방 상황을 알리기 위한 개폐용 리밋스위치(780)가 밸브본체(100)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평상시인데도 불구하고 리밋스위치(780)가 접점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와서 점검을 해야한다.
한편, 알람밸브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해서는 버터 디스크(710)를 폐쇄해야 한다. 즉 버터 레버(730)를 90도 회전시키면 2차측이 폐쇄된다. 그러면, 버터 디스 크(710)는 볼과 달리 판 형태로 수류를 받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버터 디스크(710)가 수류에 의해 임의로 열리게 되는 경우 큰 낭패를 볼 우려가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터 디스크(710)가 닫힌 상태에서 버터 레버(73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록킹하는 록킹부재(7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부재(74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터레버(730)에 체결 고정되는 중공 형상의 스톱핀 부싱(743)과, 이 스톱핀 부싱(743)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스톱핀 스템(741)과, 스톱핀 부싱(743)과 스톱핀 스템(741) 사이에 개재되는 볼(745)과, 밸브본체(100)에 형성된 삽입홈(749)으로 구성하여 있다.
또한, 스톱핀 스템(741)에는 록킹해제홈(741a)과 록킹홈(741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실선의 록킹볼(745)이 록킹해제홈(741a)에 위치할 경우 삽입홈(749)에서 스톱핀 스템(741)이 빠진 상태(도 16 참조)이고, 점선의 록킹볼(745)이 록킹홈(741b)에 위치할 경우 삽입홈(749)에 스톱핀 스템(741)이 삽입된 상태(도 18 참조)이다.
또한, 스톱핀 부싱(743)의 내주측에는 록킹볼(745)의 일부가 수용되는 볼수용홈(743a)이 형성되어, 스톱핀 스템(741)이 좌우로 슬라이딩할 때 록킹볼(745)이 움직이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톱핀 부싱(743)의 외주측에는 고무재질의 링(747)이 배치되어, 스톱핀 스템(741)이 좌우로 슬라이딩할 때 록킹볼(745)의 회전을 어느 정도 저지하여 딸깍하는 느낌을 더 줄 수 있다.
스톱핀 스템(741)에는 스톱핀 부싱(743)의 걸림턱(744)에 걸리는 스토퍼(742)가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토퍼(742)는 삽입홈(749)에 걸리는 역할도 하여, 스톱핀 스템(741)의 무리한 좌우 슬라이딩을 억제한다.
한편, 버터레버(730)가 90도 이상 선회되지 않게 하면서 스톱핀 스템(741)이 삽입홈(749)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스토퍼부재(7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재(770)는 밸브본체(100)에 설치되는 스톱핀(771)과, 버터레버(730)에 형성되어 스톱핀(771)에 걸리는 걸림편(77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크레파와 리밋 스위치를 이용한 밸브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람밸브의 좌우측에서 본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우측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6-6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8-8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10-10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1, 도 12 및 도 13은 크레파가 닫힌 평상시 상태를 도시한 주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크레파가 열린 작동시 상태를 도시한 주요 도면.
도 16은 버터 플라이 밸브가 열린 평상시 상태(록킹되지 않은 상태)의 정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스톱핀 세트의 확대도.
도 18은 버터 플라이 밸브가 닫힌 유지 보수 등(록킹상태)의 평단면도.
도 19는 집합 주택에 있어서의 스프링클러 설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종래 소화 설비용 알람밸브의 측면 단면도.
도 21 및 도 22는 도 20의 밸브체 폐쇄 및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밸브본체 101,103 : 플랜지
105 : 관통공 107 : 본체커버
109 : 크레파 시트링 110 : 1차압력계
130 : 2차압력계 150 : 시험배수밸브
200 : 크레파 300 : 힌지핀
301,303 : 힌지핀 부싱 400 : 알람용 리밋 스위치
401 : 몸체 403 : 힌지레버형 액추에이터
405 : 복귀스프링 420 : 알람스위치용 브라켓
421 : 제1브라켓 423 : 제2브라켓
425 : 스위치장착공 427 : 전선인출공
430 : 브라켓 커버 450 : 알람용 온/오프 스위치
460 : 지연타이머 500 : 힌지핀 레버
600 : 유격조절부재 610 : 승강부
620 : 승강용 장공 630 : 받침부
650 : 스크류 700 : 버터플라이밸브(제어밸브)
710 : 버터디스크 715 : 고정버터스템
717 : 가동버터스템 720 : 버터시트링
730 : 버터레버 740 : 록킹부재
741 : 스톱핀스템 741a : 해제홈
741b : 록킹홈 742 : 스토퍼
743 : 스톱핀 부싱 744 : 걸림턱
745 : 록킹볼 747 : 링
748 : 노브 749 : 삽입홈
770 : 스토퍼부재 771 : 스톱핀
773 : 걸림편 780 : 개폐용 리밋스위치

Claims (4)

  1.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를 1차측과 2차측으로 구획하는 크레파;
    상기 크레파를 상기 밸브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하는 힌지핀;
    상기 밸브본체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한 상기 힌지핀의 타단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힌지핀 레버;
    상기 힌지핀 레버의 작동에 의해 액추에이터가 선회되어 접점되는 알람용 리밋 스위치;
    상기 리밋 스위치의 액추에이터의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부재는 상기 힌지핀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리밋 스위치가 지지되는 알람 스위치용 브라켓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유격조절부재는 승강용 장공이 형성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에서 수직하게 돌출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자유단을 받치는 받침부와, 승강부의 조절 위치를 상기 알람 스위치용 브라켓에 지지시키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스위치용 브라켓에는 투명한 커버가 설치되는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의 2차측을 개폐하는 제어밸브가 상기 밸브본체에 더 탑재되되,
    상기 제어밸브는 레버 타입의 버터플라이 밸브인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KR1020090057762A 2009-06-26 2009-06-26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Expired - Fee Related KR10093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762A KR100936667B1 (ko) 2009-06-26 2009-06-26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762A KR100936667B1 (ko) 2009-06-26 2009-06-26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667B1 true KR100936667B1 (ko) 2010-01-13

Family

ID=4180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7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6667B1 (ko) 2009-06-26 2009-06-26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6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2963A (zh) * 2013-07-12 2013-09-25 成都曙创科技有限公司 一种拉丝模具二维微动装置
JP2018187221A (ja) * 2017-05-10 2018-11-29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RU205346U1 (ru) * 2021-02-04 2021-07-12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пецавтоматика" Седло для клапана сигнального с дисковым затвором
KR20210124937A (ko) * 2021-09-27 2021-10-15 권영규 경보발신정지스위치가 포함된 알람밸브의 알람스위치
KR20240070828A (ko) * 2022-11-15 2024-05-22 김국원 충압기능이 불필요하며, 완충 기능이 있는 알람체크밸브를 갖는 옥내소화전 소화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008U (ko) * 2007-09-21 2009-03-25 신영공업 주식회사 알람밸브의 시트링 실링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008U (ko) * 2007-09-21 2009-03-25 신영공업 주식회사 알람밸브의 시트링 실링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2963A (zh) * 2013-07-12 2013-09-25 成都曙创科技有限公司 一种拉丝模具二维微动装置
JP2018187221A (ja) * 2017-05-10 2018-11-29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流水検知装置
RU205346U1 (ru) * 2021-02-04 2021-07-12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пецавтоматика" Седло для клапана сигнального с дисковым затвором
KR20210124937A (ko) * 2021-09-27 2021-10-15 권영규 경보발신정지스위치가 포함된 알람밸브의 알람스위치
KR102624000B1 (ko) * 2021-09-27 2024-01-11 권영규 경보발신정지스위치가 포함된 알람밸브의 알람스위치
KR20240070828A (ko) * 2022-11-15 2024-05-22 김국원 충압기능이 불필요하며, 완충 기능이 있는 알람체크밸브를 갖는 옥내소화전 소화설비
KR102768361B1 (ko) * 2022-11-15 2025-02-13 김국원 충압기능이 불필요하며, 완충 기능이 있는 알람체크밸브를 갖는 옥내소화전 소화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667B1 (ko) 소화설비용 알람밸브
US11826591B2 (en) Modular valve assembly
US9265980B2 (en) Flow control assembly for a fire sprinkler system
KR101453211B1 (ko)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
KR101277477B1 (ko) 소방용 감압 밸브 시스템
KR200447306Y1 (ko) 제어밸브 일체형 알람밸브
KR20190141539A (ko) 동파방지구조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
JP4796897B2 (ja) 流水検知装置
KR101291335B1 (ko)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비한 소방용 감압 밸브
WO2009158706A1 (en) Weeping system for fire hydrant having a protective valve or device
KR20110084465A (ko) 스프링클러
JP3877140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及び流水検知用アッセンブリィ
CN219621882U (zh) 一种室外消火栓
JP2007333087A (ja) 流水検知装置
JP2005114174A (ja) 流水検知装置
KR101592157B1 (ko) 알람밸브
JP3199790U (ja) 予作動式流水検知装置
KR20110075750A (ko) 알람밸브
EP2456944A2 (en) Deflector barrier for smoke and heat vents and a smoke and heat vent provided with said deflector barrier
KR101285294B1 (ko) 소방용 알람밸브의 유수 검지장치
KR101838452B1 (ko) 이중 크래퍼가 구비된 알람밸브
KR20090010276U (ko) 소화설비용 유수감지장치
KR101473370B1 (ko) 스테인레스 물탱크의 소화용수 보존장치
KR20120001245U (ko) 소화 설비용 유수 검지 장치
US12025239B2 (en) Dry pipe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