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577B1 - 자전거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577B1
KR100935577B1 KR1020090032420A KR20090032420A KR100935577B1 KR 100935577 B1 KR100935577 B1 KR 100935577B1 KR 1020090032420 A KR1020090032420 A KR 1020090032420A KR 20090032420 A KR20090032420 A KR 20090032420A KR 100935577 B1 KR100935577 B1 KR 100935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lifting device
driver
scaffold support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미숙
Original Assignee
임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미숙 filed Critical 임미숙
Priority to KR102009003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577B1/ko
Priority to PCT/KR2010/002304 priority patent/WO201012011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Landscapes

  • Handcar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를 승강(昇降)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전거를 타고 언덕길을 운행할 때 사람이 자전거에 올라타고 있는 상태에서 경사도로를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사진 언덕길의 하측에서부터 상측까지 회전되는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수단을 작동시켜주는 구동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수단의 일측면에 운전자의 한쪽 발이나 자전거의 한쪽 페달을 거치할 수 있는 발판지지대를 구성하여 운전자가 자전거에 탑승한 상태로 한쪽 발 또는 한쪽 패달을 상기 발판지지대에 올려놓으면 상기 컨베이어수단이 구동되면서 이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발판지지대가 회전되면서 운전자가 자전거에 올라탄 상태로 자전거가 언덕진 경사도로를 따라 올라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반대로도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왕복회전 함으로써 자전거의 활용효율을 배가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승강장치, 견인장치, 컨베이어, 경사도로

Description

자전거 승강장치{The Escalating Device for the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를 승강(昇降)시켜 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전거를 타고 언덕길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사람이 자전거에 올라타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한쪽 발이나 자전거의 한쪽 패달을 올려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지지대를 구비하고 이 지지대가 경사도로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동수단을 설치하여 경사진 언덕길에서도 상기 발판지지대를 상기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상승 또는 하강시켜 줌으로써 용이하게 자전거를 타고 언덕길을 올라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반대로도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왕복회전하는 자전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통수단에는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자동차의 발달로 인해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은 점차 그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 유산소 운동의 일환으로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하여 자전거 타기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고유가시대 시대에 접어들면서 차량 이용이 줄고 반대로 자전거 이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전거는 근거리 통학 및 출퇴근 수단으로써 경비절감과 건강증진의 일거양득을 얻을 수 있어 그 활용성이 급격하게 늘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각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 주변에는 자전거를 대량으로 비치하여 두고 근거리 이용에 활용토록 하여 도심교통난의 해소책 일환으로 각 지자체에서 제도적으로 도입 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근래에 들어 급격하게 그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자전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수단과 이를 적극 장려하는 정책과 더불어 자전거 운행에 편의성을 높여주는 여러가지 인프라의 구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 중 하나가 자전거 운행 중에 나타나는 경사진 언덕길을 통과하는데 있어 많은 이들이 자전거에서 내려 이를 밀고 올라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지정학적으로 우리나라의 도시는 많은 부분이 경사진 오르막길로 이루어져 있어 자전거를 타고 올라가기에는 상당히 힘이 들어 노약자나 부녀자 어린이들은 이와 같은 경사진 언덕길을 회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전거의 저변확대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다소나마 개선하기 위하여 지하도 등에 구비된 경사진 계단에는 자전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운반 컨베이어 장치를 측면에 설치하여 두고 자전거를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상차한 다음 운전자는 계단을 따라 자전거를 붙잡은 상태로 걸어 올라가는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있으며,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 1996-120966호에는 자전거의 바퀴를 협지부재에 끼워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컨베이어가 작동되면서 이동할 수 있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전거 이송장치는 모두 운전자가 자전거에서 내린상태에서 자전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자전거의 운전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 이송장치는 대부분이 지하도등과 같은 공공이용시설의 지하공간에서 지상으로 이동시에 사용되도록 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사진 언덕길 등에는 여전히 자전거를 탑승한 상태로 운전하면서 이동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경우 언덕길 경사로를 자전거를 탑승한 채 급하게 내려옴으로써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사고다발 안전표지판 등을 설치하고 자전거 이용자제나 안전교육 실시 등의 안전조치를 별도로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사진 언덕길의 하측에서부터 상측까지 회전되는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수단을 작동시켜주는 구동수단 및 상기 컨베이어수단의 일측면에 운전자의 한쪽 발이나 자전거의 한쪽 패달을 거치할 수 있는 발판지지대를 구성하여 운전자가 자전거에 탑승한 상태로 한쪽 발 또는 한쪽 패달을 상기 발판지지대에 올려놓으면 상기 컨베이어수단이 구동되면서 이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발판지지대가 상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로 자전거가 언덕진 경사로를 따라 올라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반대방향인 상측에서 하측으로 언덕진 경사도로를 따라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왕복회전 함으로써 자전거의 활용효율을 배가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전거 승강장치(10)는, 경사진 언덕도로를 따라 한쪽 가장자리의 지면하(下)에 구비된 베이스블럭(11)과, 상기 베이스블럭(11)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상부프레임(13)으로 구성된 몸체(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프레임(12)에는 하단부측에 설치되는 구동휠(14)과 상단부측에 설치되는 피동휠(15) 및 상기 구동휠(14)과 상기 피동휠(15)을 연결하여 회전되는 컨베이어수단(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13)에는 그 중앙부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2)과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17)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블럭(11)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휠(14)을 구동시켜줄 수 있도록 회동축(141)과 연결된 구동수단(18)이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16)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상부측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3)이 장착되면서 그 하부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3)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D)로 돌출되도록 브라케트(19)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브라케트(19)의 끝단에는 자전거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한쪽 발을 올려놓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발판지지대(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의 양단부에는 상기 발판지지대(20)가 회전되면서 수납 보호될 수 있도록 반원통형상의 발판커버(21)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전거 승강장치는 이용자가 자전거를 탑승한 상태로 가파른 오르막길을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눈이나 비가오는 노면상태에서도 안전하게 내려올 수도 있고 또 고지대에 거주하면서 자전거를 이용하여 출퇴근이나 통학하는데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자전거의 활용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에너지절약은 물론 이용자의 건강증진 및 자전거를 이용한 레저관광의 활성화를 촉진함으로써 국가 산업발전과 더불어 국민 건강증진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발판지지대가 다른 형태로 적용된 요부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10)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진 언덕도로를 따라 한쪽 가장자리의 지면하(下)에 구비된 베이스블럭(11)과, 상기 베이스블럭(11)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상부프레임(13)으로 구성된 몸체(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프레임(12)에는 하단부측에 설치되는 구동휠(14)과 상단부측에 설치되는 피동휠(15) 및 상기 구동휠(14)과 상기 피동휠(15)을 연결하여 회전되는 컨베이어수단(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프레임(13)에는 그 중앙부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2)과 연결 고정하는 체결수단(17)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블럭(11)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휠(14)을 구동시켜줄 수 있도록 회동축(141)과 연결된 구동수단(18)이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16)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상부측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3)이 장착되면서 그 하부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3)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D)로 돌출되도록 브라케트(19)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브라케트(19)의 끝단에는 자전거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한쪽 발을 올려놓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발판지지대(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의 양단부에는 상기 발판지지대(20)가 회전되면서 수납 보호될 수 있도록 반원통형상의 발판커버(21)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판 커버(21)의 하단부와 상단부에는 자전거의 탑승자가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한 결재수단(22)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결재수단(22)은 사용자가 코인을 투입하는 장치나 카드를 결재하는 장치 또는 RFID 장치 등 어떤 형태로든지 이용료를 지불하면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가 구동될 수 있는 수단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결재수단(22)에는 상기 구동수단(18)과 연결된 제어부(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12)은 상기 베이스블럭(11)에 일정간격을 따라 앙카볼트(24,anchor bolt)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판지지대(20)는 다른 형태의 발판지지대(20a)로 변형될 수 있는바,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그 전방하부측으로 자전거의 페달(P)을 삽설할 수 있는 끼움홈(26b)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는 자전거의 패달(P)을 삽설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를 끌어올리는 능력을 한층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수단(16)은 와이어를 이용한 루푸방식, 체인을 이용한 체인방식, 벨트를 이용한 방식 등 여러가지 방식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휠(14)과 상기 피동휠(15) 사이에는 상기 컨베이어수단(16)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회전휠(W)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는 자전거 운행자가 경사진 언덕도로를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위해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의 상기 결재수단(22)에 코인이나 기타 이용카드 또는 핸드폰 등을 사용하여 요금결재가 이루어지면, 상기 발판지지대(20)는 상기 발판커버(2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준비상태로 된다.
그리고 약간의 인터벌을 두고 자전거 운행자가 자전거를 탑승한 상태에서 한 쪽 발을 상기 발판커버(2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발판지지대(20)에 올려놓으면 상기 구동수단(18)이 작동되고 이어 상기 회동축(141)이 회동되면서 상기 구동휠(14)이 구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컨베이어수단(16)이 회전되면서 이에 연결된 상기 발판지지대(20)가 해당 방향(상부측 또는 하부측)으로 회전이 시작된다.
그러면 자전거 운행자의 한쪽 발이 상기 발판지지대(20)에서 지지되면서 회전됨으로써 자전거가 경사도로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용이하게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3)는 처음 결재수단(22)이 작동되면서 상기 발판지지대(20)를 상기 발판커버(21)의 외부로 내보내고 또 이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운전자가 발을 올려놓는 시간) 다시 상기 발판지지대(20)를 회전시키고 또 정지위치에 다다르게 되면 회전속도를 줄이면서 서서히 정지하여 운전자가 발을 떼어놓으면 상기 발판지지대(20)를 상기 발판커버(21) 내부로 수납 안착시키면서 정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3)는 상기와 같은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는바, 프로그램중에 '발판 준비중입니다-발을 올려 놓으세요-출발합니다-정지합니다-발을 내려놓으세요-감사합니다'등과 같은 기계어 등을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발판지지대(20)는 상기 컨베이어수단(16)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1개씩 설치하여 상기 컨베이어수단(16)이 반바퀴 즉 180도 회전할 때마다 자전거 운전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발판지지대(20)가 출발점 즉 하단부에 1개 설치된 경우에는 상단부에 구비된 상기 발판커버(21)측에 상기 발판지지대(20)의 감지센서(25)를 설치하여 두고 상기 발판지지대(20)의 상승이 종료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컨베이어수단(16)을 역회전시켜 상기 발판지지대(2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지지대(20,20a)에는 그 뒤측에 운전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 견고하게 지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슬립방지턱(26,26a)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 몸체감지센서나 압력센서(S)를 구비하여 작동 중에 운전자의 발이 상기 발판지지대(20,20a)에서 떨어지면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가 정지되고 이어 다시 발을 올려 놓으면 작동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하부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3)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D)에는 먼지 등과 같은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불순물방지모(毛)가 부착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자전거 승강장치(10)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수단이 내장된 제1몸체(200)와 상기 제1몸체(200)와 일정간격을 두고 컨베이어수단이 내장된 제2몸체(3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200)의 컨베이어 수단에는 자전거 운전자의 한쪽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제1발판지지대(201)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300)의 컨베이어 수단에도 자전거 운전자의 다른쪽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제2발판지지대(301)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제1몸체(200)와 제2몸체(300)의 양단에는 각각 발판커버(202,302)가 구비되면서 상기 각 발판커버(202,302)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1,2발판지지대(201,301)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제1몸체(200)와 상기 제2몸체(300)에 구비된 상기 컨베이어수단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수단(미도시)이 연결설치되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감지센서가 보내주는 감지신호에 따라 역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200)와 상기 제2몸체(300) 중 어느 한쪽의 양단에는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를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부(203)가 구비된 결재수단(4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10)는 자전거 운전자가 경사도로를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위해 상기 결재수단(400)에 요금결재를 하면 상기 제1,2발판지지대(201,301)가 상기 각 발판커버(202,302)로부터 돌출되고 이어 자전거의 양바퀴를 상기 제1몸체(200)와 상기 제2몸체(300) 사이의 경사도로에 위치시킨 다음 운전자의 양발을 상기 제1,2발판지지대(201,301)에 올려놓으면 상기 구동수단이 구동되고 이에 구비된 컨베이어수단이 회전되면서 상기 제1,2발판지지대(201,301)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자전거와 운전자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재수단(400)은 상기 제1몸체(200) 또는 상기 제2몸체(300)의 양단에 설치되어 자전거 운전자가 언덕길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결재수단(400)이 상기 제1몸체(200) 또는 상기 제2몸체(300)의 하단부 한쪽에만 설치 구성할 경우도 있는바, 이경우에는 상기 제1,2발판지지대(201,301)가 경사도로 위쪽에 구비된 상기 각 발판커버(202,302)에 도달하게 되면 자전거와 운전자가 이탈되고 이어 상기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3)로 보내면 상기 제어부(203)는 상기 구동수단을 역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다음 운전자를 위해 대기 상태가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의 구성이 이루어지면서 경사진 언덕도로를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반대로도 안전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왕복회전함으로써 자전거의 운전효율이 배가되고 이와 더불어 자전거 이용자가 확대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분리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발판지지대가 다른 형태로 적용된 요부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자전거승강장치 11:베이스블럭 12:하부프레임 13:상부프레임
14:구동휠 15:피동휠 16:컨베이어수단 17:체결수단 18:구동수단
19:브라케트 20,20a:발판지지대 21:발판커버 22:결재수단 23:제어부
24:앙커볼트 25:감지센서 26,26a:슬립방지턱 26b:끼움홈 141:회동축
100:몸체 200:제1몸체 300:제2몸체 201:제1발판지지대
301:제2발판지지대 202,302:발판커버 P:페달 W:공회전휠

Claims (8)

  1. 자전거가 경사진 언덕도로를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자전거와 운전자를 동시에 끌어 올려주는 자전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는 경사진 언덕도로를 따라 한쪽 가장자리의 지면하(下)에 구비된 베이스블럭(11)과, 상기 베이스블럭(11)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2)과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상부프레임(13)으로 구성된 몸체(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프레임(12)에는 하단부측에 설치되는 구동휠(14)과 상단부측에 설치되는 피동휠(15) 및 상기 구동휠(14)과 상기 피동휠(15)을 연결하여 회전되는 컨베이어수단(16)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블럭(11)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휠(14)을 구동시켜줄 수 있도록 회동축(141)과 연결된 구동수단(18)이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16)에는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상부측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3)이 장착되면서 그 하부프레임(12)과 상부프레임(13)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D)로 돌출되도록 브라케트(19)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브라케트(19)의 끝단에는 자전거 운전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한쪽 발을 올려놓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지지대(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양단부에는 상기 발판지지대(20)가 회전되면서 수납 보호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반원통형상의 발판커버(21)와, 또 상기 몸체(1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기 발판지지대(20)를 감지하고 이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놓를 수 있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역회전시켜 주는 감지센서(25)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대(20)는 상기 몸체(10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대(20)는 그 하부측에 자전거의 페달을 삽설하여 끼워줄 수 있도록 된 끼움홈(26b)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
  5. 자전거가 경사진 언덕도로를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자전거와 운전자를 동시에 끌어 올려주는 자전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는 컨베이어수단이 내장된 제1몸체(200)와,
    상기 제1몸체(200)와 일정간격을 두고 컨베이어수단이 내장된 제2몸체(300)가 구비되되;
    상기 제1몸체(200)의 컨베이어 수단에는 자전거 운전자의 한쪽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제1발판지지대(201)가 연결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300)의 컨베이어 수단에도 자전거 운전자의 다른쪽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제2발판지지대(301)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제1몸체(200)와 제2몸체(300)의 양단에는 각각 발판커버(202,302)가 구비되면서 상기 각 발판커버(202,302)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1,2발판지지대(201,301)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1몸체(200)와 상기 제2몸체(300)에 구비된 상기 컨베이어수단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감지센서가 보내주는 감지신호에 따라 역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
  6. 제1항과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대에는 그 후미측에 운전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슬립방지턱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
  7. 제1항과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승강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재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결재수단에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
  8. 제1항과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대에는 자전거 운전자의 발이 떨어지면 상기 자전거 승강장치(10)의 작동이 정지되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된 몸체감지센서나 압력센서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승강장치.
KR1020090032420A 2009-04-14 2009-04-14 자전거 승강장치 KR10093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420A KR100935577B1 (ko) 2009-04-14 2009-04-14 자전거 승강장치
PCT/KR2010/002304 WO2010120110A2 (ko) 2009-04-14 2010-04-14 자전거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420A KR100935577B1 (ko) 2009-04-14 2009-04-14 자전거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577B1 true KR100935577B1 (ko) 2010-01-07

Family

ID=4180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420A KR100935577B1 (ko) 2009-04-14 2009-04-14 자전거 승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5577B1 (ko)
WO (1) WO2010120110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315B1 (ko) 2012-03-23 2012-10-24 주식회사 장원 자전거 에스컬레이터
KR20190043393A (ko) 2017-10-18 2019-04-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전용 고가도로
CN110171764A (zh) * 2019-04-26 2019-08-27 梅伯寿 坡道电梯用上坡组件
CN110217680A (zh) * 2019-04-26 2019-09-10 梅伯寿 坡道电梯用轨道系统
CN110217679A (zh) * 2019-04-26 2019-09-10 梅伯寿 坡道电梯用传送系统
CN111874785A (zh) * 2020-07-31 2020-11-03 陈志峰 方便共享单车通行的市政天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6737B1 (en) 2013-12-09 2017-05-10 Lo Minck Systemen B.V. A ramp for a bicycle
CN108425523B (zh) * 2018-04-25 2020-04-14 温州铭泰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共享单车存放转运系统
TWI736354B (zh) * 2020-05-20 2021-08-11 詹雅菁 扶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066A (en) 1981-01-16 1982-07-24 Shin Meiwa Ind Co Ltd Entrance passage for bicycle parking lot
JPH01109550U (ko) * 1988-01-19 1989-07-25
JPH0426983U (ko) * 1990-06-26 1992-03-03
JPH06239569A (ja) * 1993-02-17 1994-08-30 Denkoo Kk 駐輪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9066A (en) 1981-01-16 1982-07-24 Shin Meiwa Ind Co Ltd Entrance passage for bicycle parking lot
JPH01109550U (ko) * 1988-01-19 1989-07-25
JPH0426983U (ko) * 1990-06-26 1992-03-03
JPH06239569A (ja) * 1993-02-17 1994-08-30 Denkoo Kk 駐輪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315B1 (ko) 2012-03-23 2012-10-24 주식회사 장원 자전거 에스컬레이터
KR20190043393A (ko) 2017-10-18 2019-04-2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전거 전용 고가도로
CN110171764A (zh) * 2019-04-26 2019-08-27 梅伯寿 坡道电梯用上坡组件
CN110217680A (zh) * 2019-04-26 2019-09-10 梅伯寿 坡道电梯用轨道系统
CN110217679A (zh) * 2019-04-26 2019-09-10 梅伯寿 坡道电梯用传送系统
CN110171764B (zh) * 2019-04-26 2020-10-09 东阳市俊华电器销售有限公司 坡道电梯用上坡组件
CN111874785A (zh) * 2020-07-31 2020-11-03 陈志峰 方便共享单车通行的市政天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0110A3 (ko) 2011-03-03
WO2010120110A2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577B1 (ko) 자전거 승강장치
CN106945778A (zh) 一种共享电动单车
NL2003942C2 (nl) Fiets.
DE102011018152A1 (de) Mehrspuriges, solaraktives Hybridrad (Pedelec oder E-Bike) für Gehbehinderte, Senioren, Elternteil mit Kind; für Lastentransporte und für telemedizinische Therapiemaßnahmen
CN206719415U (zh) 拉索踏步自行车
CN108661369B (zh) 一种自行车立体停车库
KR20110023238A (ko) 전동식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JP6698346B2 (ja) 駐輪ロック装置
KR20100095853A (ko) 자전거의 스탠딩장치
KR101117911B1 (ko) 경사로의 자전거 이송장치
TWI461326B (zh) 自行車安全煞車裝置及方法
EP1614616A2 (en) Human-powered vehicles, drive systems and suitable protective tracks
JP2005104424A (ja) 駐輪機
EP3081465A1 (en) Ground lock apparatus
JP2008155787A (ja) 乗用モノレール、乗用台車及び乗用モノレールの敷設方法
CN105905203A (zh) 一种电动独轮踏板平衡车
KR20210017146A (ko) 주행 속도의 제어가 가능한 전동킥보드
CN205931054U (zh) 一种电动独轮踏板平衡车
CN212335676U (zh) 一种骑行人不下车的骑车稳定装置及道路设施
WO2003013945A1 (en) Self-supporting motorized cycle
KR100980824B1 (ko) 자전거 보관장치
CN2606048Y (zh) 折叠多功能自行车
KR102605277B1 (ko) 운송수단용 우산 장착장치
KR20120000910A (ko) 자전거 페달 및 이 페달용 신발
KR20160097945A (ko) 자전거주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