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183B1 -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183B1
KR100933183B1 KR1020070095786A KR20070095786A KR100933183B1 KR 100933183 B1 KR100933183 B1 KR 100933183B1 KR 1020070095786 A KR1020070095786 A KR 1020070095786A KR 20070095786 A KR20070095786 A KR 20070095786A KR 100933183 B1 KR100933183 B1 KR 10093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eric
gastric
coating
pancreati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464A (ko
Inventor
한정민
손세일
최춘갑
Original Assignee
대원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1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6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carbo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procainamide, procarbazine, metoclopramide, labeta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0Elemental chlorine; Inorganic compounds releasing chl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2Organic compounds, e.g.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5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oxide, poloxamers,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6Polysaccharides, e.g. gums; Cyclodextrin
    • A61K9/2866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93Tablet coat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용부 성분으로는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를 함유하고 장용부성분으로는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용부성분을 위용부 필름코팅액에 직접 녹여서 장용부 제피 위에 바로 이중코팅한 것으로 간단한 이중코팅으로 장용부와 위용부를 분리하고 코팅층을 조절함으로써 위용부성분과 장용부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하며, 종래의 장용핵정 제조공정, 장용제피공정, 위용부정 제조공정, 위용부의 외용피공정의 4단계 공정을 3단계로 단순화시키고, 필름 코팅정이므로 당의정에 비해 안정성이 증진되고, 상기 이중코팅정의 성분 중 위용부 성분인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는 부교감신경흥분 및 도파민신경차단의 작용을 나타내 하부식도 괄약근을 수축시키고 장 괄약근을 이완시켜 위액분비 및 위장운동을 촉진하므로 소화에 도움을 주며, 도파민신경을 약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약 섭취에 따른 구토를 억제할 수 있어 투약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소화기능 개선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판크레아틴, 코팅정

Description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Double-film-coating tablet containing metoclopramide and pancreat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능 개선제에 있어서 소화기능 개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위용성 성분과 장용부 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필요하다. 또한, 위용부 성분은 위에서 빠르게 용출되어 전량이 위에서 방출되는 속효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술한 위용부 성분과 장용부 성분의 연속적인 방출 및 위용부 성분의 속효성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7308호에는 위용 외부 층과 장용핵정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는 이중핵정이 공지되어 있으나 장용부를 먼저 중앙핵정으로 타정하고 장용 코팅 후 다시 그 위에 위용부를 외부 코팅핵정으로 타정한 다음에 통상의 외피를 코팅하여 이중핵정으로 제조해야 하는 공정상 번거러움이 있다. 또한 위 용부와 장용부를 핵정으로 만들어 코팅을 하기 때문에 위용부 성분과 장용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5920호에는 상층과 하층에 제산제를 함유하고 중간층에 소화효소를 함유하는 삼중정이 기재되어 있으나 제산제를 함유하는 상층과 하층의 바깥층이 먼저 용해되어 위내 pH를 조절함으로써 소화효소의 생리활성을 증진시키고자 단순히 삼중정으로 제조한 것으로 약효성분의 방출을 조절하는 기능은 갖지 못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04657호는 위용부 성분으로 크레오소오트, 시메치콘을 함유하고, 장용부 성분으로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위용부 성분은 위에서 85% 이상 방출되는 시간이 1시간 이상이 걸림으로써 속효성에 효과적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화기능 개선제에 있어서 소화기능 개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위용성 성분과 장용부 성분의 연속적인 방출 및 위용부 성분의 속효성을 위하여 연구하던 중, 위용부성분으로서는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를 함유하고 장용부성분으로는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이 위용부성분과 장용부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하며, 종래 당의정의 형태보다 40 ℃ 이상의 고온에서 안정하고, 제조단계가 단축되어 제조시 편리하고, 위에서 15분 내에 85% 이상 용출됨으로 써 속효성을 나타내고 약 섭취에 따른 구토를 억제하여 투약이 용이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용부성분과 장용부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하며, 약 섭취에 따른 구토를 억제하여 투약이 용이한 이중코팅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장용부 코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디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장용부 정제 중량의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부 제피층; 및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폴리비닐알콜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및 폴리에칠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위용부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용부 성분과 장용부 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한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 함유 이중코팅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은 소화 효소인 판크레아틴을 포함한 장용부 성분을 먼저 타정한 후, 장용성 코팅을 실시하고 그 위에 위장의 연동운동 및 구토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를 포함한 위용부 성분들을 위용부 필름 코팅 액에 용해시킨 후 장용성 코팅 위에 다시 이중코팅을 함으로써 종래의 장용핵정 제조공정, 장용제피공정, 위용부정 제조공정, 위용부의 외용피공정의 4단계 공정을 3단계로 단순화시키고 각각의 코팅층을 조절함으로써 위용부 성분과 장용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이중코팅정의 성분 중 위용부 성분인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는 부교감신경흥분 및 도파민신경차단의 작용을 나타내 하부식도 괄약근을 수축시키고 장 괄약근을 이완시켜 위액분비 및 위장운동을 촉진하므로 소화에 도움을 주며, 도파민신경을 약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약 섭취에 따른 구토를 억제할 수 있어 투약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소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팅정은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장용부 코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디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장용부 정제 중량의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부 제피층; 및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폴리비닐알콜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및 폴리에칠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위용부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용부 코어의 판크레아틴은 소나 돼지의 췌장을 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으로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프로테아제(protease) 등이 함유되어 있어 전분분해력, 지방분해력 및 단백질분해력이 있는 효소제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크레아틴은 효과적인 소화 개선을 위하여 단백소화력 450 FIP, 전분소화력 6500 FIP, 지방소화력 8000 FIP단위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용부 정제 중량의 40~6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장용부 성분으로서 판크레아틴 이외에 부형제로서 무수인산수소칼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판크레아틴 및 부형제는 장에서 용출될 수 있도록 장용부 제피층으로 코팅하며, 이때 장용부 제피는 제한되지 않으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디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용부 제피제는 장용부 정제 중량의 5~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용부 성분으로서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는 부교감신경흥분 및 도파민신경차단의 작용을 나타내 하부식도 괄약근을 수축시키고 장 괄약근을 이완시켜 위액분비 및 위장운동을 촉진한다. 또한, 도파민신경을 약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오심 구토 억제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위용부 성분으로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를 사용하면 위장운동을 촉진시키므로 소화기능 개선에 더욱 효과적이며, 정제 섭취시 일어날 수 있는 구토 작용을 억제하므로 투약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팅정에 있어서, 상기 위용부 성분은 위용부 필름 코팅액에 직접 녹여서 장용부 위에 바로 이중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중코팅정은 종래 당의정보다 고온(40 ℃ 이상)에서도 안정하며, 종래의 장용핵정 제조공정, 장용제피공정, 위용부정 제조공정, 위용부의 외용피공정의 4단계 공정을 3단계로 단순화시키고 각각의 코팅층을 조절함으로써 위용부 성분과 장용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용부 필름 코팅액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에 산화티탄, 폴리에칠렌글리콜, 에칠셀룰로오스, 디에칠프탈레이트, 탈크와 같은 부형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어지며, 상기 위용부 필름 코팅액은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필름 코팅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제 총 중량의 3~30 중량%,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 제 총 중량의 3~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위용부 필름 코팅액이 정제 총중량의 3% 미만이면, 코팅시 정제에 주성분이 균일하게 함유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최대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붕해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크레아틴을 포함하는 장용부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장용부 코어에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디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장용부 제피층으로 제피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의 장용부 제피층에 폴리비닐알콜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산화티탄, 폴리에칠렌글리콜, 에칠셀룰로오스 및 디에칠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위용부 필름 코팅액에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를 녹인 용액으로 필름 코팅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단계 1은 판크레아틴을 포함하는 장용부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장용부 성분으로는 주성분으로써 판크레아틴(단백소화력 450 FIP, 전분소화력 6500 FIP, 지방소화력 8000 FIP단위 이상) 40~60 중량%와 부형제로서 무수인산수소칼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타정한다.
단계 2는 상기 단계 1의 장용부 코어를 장용부 제피층으로 제피하는 단계이다. 장용부 제피층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디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로 구성되는 장용부 제피 용액을 장용부 정제 중량의 5~10%가 코팅되도록 조정한다.
단계 3은 장용부 제피층이 코팅된 정제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를 위용부 필름 코팅액에 녹인 용액으로 필름 코팅시키는 단계이다. 위용부 필름 코팅액은 폴리비닐알콜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에 산화티탄, 폴리에칠렌글리콜, 에칠셀룰로오스, 디에칠프탈레이트, 탈크와 같은 부형제를 혼합한 용액에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를 녹여 제조하고,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필름 코팅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제 총 중량의 3~30 중량%,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제 총 중량의 3~15 중량% 범위가 되도록 코팅을 한다.
이렇게 제조된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은 종래의 장용핵정 제조공정, 장용제피공정, 위용부정 제조공정, 위용부의 외용피공정의 4단계 공정을 3단계로 단순화시키고 안정성을 증진시키며, 각각의 코팅층을 조절함으로써 위용부 성분과 장용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이중코팅정의 성분 중 위용부 성분인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는 부교감신경흥분 및 도파민 신경차단의 작용을 나타내 하부식도 괄약근을 수축시키고 장 괄약근을 이완시켜 위액분비 및 위장운동을 촉진하므로 소화에 도움을 주며, 도파민신경을 약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약 섭취에 따른 구토를 억제할 수 있어 투약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소화기능 개선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정제 1정당 판크레아틴 212.5 mg, 무수인산수소칼슘 139.1 mg,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48 mg을 넣고 10~25분간 혼합한 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을 넣고 5분간 추가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정제기를 이용하여 경도가 최소 40 N, 마손도가 최대 0.5%, 붕해도는 40분 이내, 중량편차는 5% 이내로 하여 장용부 정제의 표준중량이 401 mg가 되도록 타정하였다. 이후, 장용부의 제피를 위해 에탄올에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디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와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분산시킨 후 메칠렌클로라이드를 넣고 교반하면서 용해시켜 장용 용액을 제조하여 상기 정제를 코팅기로 옮겨 다음과 같이 장용부 필름 코팅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제의 온도가 30~35 ℃가 되도록 온도를 조절한 후, 코팅팬을 3~4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분사속도를 1000 ㎖/min로 하여 10분간 필름 코팅을 실시하였다. 이후, 35 ℃, 6~7 rpm, 1000 ㎖/min으로 5~10% 장용부 피제를 수득할 때까지 상기 공정을 수행하였다. 장용 공정 후에 정제를 50 ℃에서 2~3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완성된 장용부 정제를 위용부 성분이 녹아있는 위용부 코팅액으로 필름 코팅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위용부 주성분을 정제수에 용해시킨 후 폴리비닐알콜에 산화티탄, 폴리에칠렌글리콜, 탈크를 넣고 분산시킨 후 총 정제 중량의 3~30 중량%가 되도록 필름 코팅을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팅정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는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이중코팅정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조성 양 (mg)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5.27 (무수물인 경우는 5.0 mg)
폴리비닐알콜 14.0
산화티탄 8.8
폴리에칠렌글리콜 7.1
탈크 5.2
정제수 0.17
판크레아틴 (단백소화력 450 FIP, 전분소화력 6500 FIP, 지방소화력 8000 FIP) 212.5
무수인산수소칼륨 139.1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48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디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1.9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26.8
< 실시예 2>
위용부 주성분 중 폴리비닐알콜 대신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사용하여 총 정제 중량의 3~15 중량%가 되도록 필름 코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중 코팅정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용출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이중코팅정을 대한약전 용출시험법 제2법에 따라 위액(pH 1.2)에서 30분 동안 용출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위액(pH 1.2) 내에서 용출률의 변화
시간(분) 용출률(%)
0 0.0
5 82.4
10 93.3
15 96.1
30 102.6
도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팅정의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가 위액 내에서 15분 내에 85% 이상 용출됨으로써 종래 이중코팅정(80% 용출시간: 1시간 이상 소요됨)에 비하여 빠른 시간 내에 소화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약 섭취에 의한 구토 및 메스꺼움을 완화시킬 수 있다.
< 실험예 2> 당의정과 이중코팅정의 비교
본 발명에 따른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에 있어서,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른 약제의 성상 및 용출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과 종래의 당의정에 대하여 온도 및 빛에 노출시 성상변화와 용출효과를 알아보았다.
(1) 성상변화
상기 이중코팅정과 당의정을 PE병에 넣고 50 ℃에서 3개월동안 보관한 후, 성상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거나(A 및 B), 30일 동안 빛에 노출시킨 후 성상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C 및 D)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정제 제조방법과 보관 조건을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정제 제조방법 보관 조건
A 이중코팅정 PE병, 50 ℃, 3개월
B 당의정 PE병, 50 ℃, 3개월
C 당의정 빛에 노출, 30일
D 이중코팅정 빛에 노출, 30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보관조건에서 당의정은 변색되거나 붕괴의 가능성이 보이나, 이중코팅정은 성상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이중코팅정이 당의정에 비해 더 우수한 성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2) 위용부 용출실험
상기 이중코팅정과 당의정을 대한약전 용출시험법 제2법에 따라 위액(pH 1.2)에서 30분 동안 용출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시간 (분) 용출률 (%)
당의정 이중코팅정
0 0.0 0.0
5 87.8 82.9
10 94.7 90.6
15 94.0 92.4
30 94.8 99.1
일반적으로 대조약의 용출률이 85%인 시점에서 ±15% 이내이면 동등하다고 판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의정과 이중코팅정의 용출양상은 동등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위용부 코팅제에 따른 붕해시간 비교
본 발명에 따른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이중코팅정에 있어서, 상기 코팅정의 위용부 코팅제의 성분에 따른 붕해시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및 2에서 코팅정 제조시 10 중량%, 20 중량%로 코팅하여 제조한 코팅정 12정을 각각 pH 1.2액에서 붕해도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5, 표 6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 표 6에서 A는 코팅제로서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를 나타내고, B는 코팅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2)를 나타낸다.
붕해시간 (분) 붕해된 코팅정의 수(개)
A B
1
2 5
3 6
4 1
5
6 2
7 7
8 2
9 1
10
A: 코팅제로서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 B: 코팅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2)
붕해시간 (분) 붕해된 코팅정의 수(개)
A B
5분 이내 1
5~10분 8 2
10~15분 3 8
15~20분 2
A: 코팅제로서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1) B: 코팅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2)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팅제로서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한 경우(A)에는 위용부 성분이 붕해되는 시간이 5분 이내인 반면, 코팅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사용한 경우(B)에는 6~10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동일 양의 위용부 코팅시 위용부 코팅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보다 폴리비닐알콜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두 코팅제 모두 15분 내에 붕해되어 용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코팅제를 20 중량% 코팅시 15분 내에 붕해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 코팅량을 15 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팅정의 성분 중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의 용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팅정과 당의정의 보관에 따른 제품성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코팅정과 당의정의 위용부 용출 그래프를 나타낸다.

Claims (7)

  1.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장용부 코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디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고, 장용부 정제 중량의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부 제피층; 및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폴리비닐알콜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및 폴리에칠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위용부 코팅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용부 성분과 장용부 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한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 함유 이중코팅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용부 코팅층은 폴리비닐알콜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및 폴리에칠렌글리콜에 산화티탄, 에칠셀룰로오스 및 디에칠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위용부 필름 코팅액에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를 녹여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용부 성분과 장용부 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한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 함유 이중코팅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용부 필름 코팅액이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위용부 필름 코팅액의 코팅량은 정제 총 중량의 3~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용부 성분과 장용부 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한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 함유 이중코팅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용부 필름 코팅액이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위용부 필름 코팅액의 코팅량은 정제 총 중량의 3~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용부 성분과 장용부 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한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 함유 이중코팅정.
  7. 판크레아틴을 포함하는 장용부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장용부 코어에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디아세틸화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장용부 제피층으로 제피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의 장용부 제피층에 폴리비닐알콜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산화티탄, 폴리에칠렌글리콜, 에칠셀룰로오스 및 디에칠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위용부 필름 코팅액에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를 녹인 용액으로 필름 코팅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위용부 성분과 장용부 성분의 연속적인 방출이 가능한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 함유 이중코팅정의 제조방법.
KR1020070095786A 2007-09-20 2007-09-20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786A KR100933183B1 (ko) 2007-09-20 2007-09-20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786A KR100933183B1 (ko) 2007-09-20 2007-09-20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464A KR20090030464A (ko) 2009-03-25
KR100933183B1 true KR100933183B1 (ko) 2009-12-22

Family

ID=4069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786A KR100933183B1 (ko) 2007-09-20 2007-09-20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1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754A (ko) * 1997-01-14 1998-10-15 유충식 소수성 물질을 이용한 안정한 효소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17308B1 (ko) 1996-12-24 1999-09-01 정지석 이중핵정의 복합소화제와 그 제조방법
KR20020062028A (ko) * 2001-01-19 2002-07-25 부광약품 주식회사 이중코팅정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308B1 (ko) 1996-12-24 1999-09-01 정지석 이중핵정의 복합소화제와 그 제조방법
KR19980065754A (ko) * 1997-01-14 1998-10-15 유충식 소수성 물질을 이용한 안정한 효소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62028A (ko) * 2001-01-19 2002-07-25 부광약품 주식회사 이중코팅정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464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9473B1 (fr) Association d&#39;un agent hypnotique a duree d&#39;action longue et d&#39;un agent hypnotique a duree d&#39;action courte et son application therapeutique
KR101968457B1 (ko) 장용 코팅된 저 강도 췌장 리파제 제제
JP4053604B2 (ja) 時間特異的放出制御型投与製剤及びその製法
CA2348086C (en) Controlled-releas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20080031940A1 (en) Quercetin-containing composition,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US20080031980A1 (en) Curcumin-containing composition,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using
IE59089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5970189B2 (ja) 医薬調製物
KR20160046813A (ko) 디메틸푸마레이트를 포함하는 일일 저용량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HU230830B1 (hu) Módosított hatóanyag-leadású tamszulozin tabletták
US20130337062A1 (en) Gastro-resistant enzym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R2900823A1 (fr) Nouvelle forme d&#39;administration du racecadotril.
NO309455B1 (no) Filmbelagt tablett av paracetamol og domperidon
CN101516368A (zh) 用于施用布洛芬的方法和药物
JPS61145124A (ja) 膵臓酵素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L192648B1 (pl) Preparat farmaceutyczny o kontrolowanym uwalnianiu, zawierający inhibitor ACE jako substancję aktywną
KR20070044323A (ko) 보관안정성이 개선된 클로피도그렐 황산수소염 함유 경구용제제
KR100933183B1 (ko) 염산메토클로프라미드 및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이중코팅정 및 이의 제조방법
EP1970056A1 (en) Time-specific delayed/pulsatile release dosage forms
JP2023018079A (ja) 消化障害の予防および/または処置用の医薬組成物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医薬製品
WO2000078307A1 (en) Orally administrable pharmaceutical preparation having therapeutic effect on gastrointestinal disorders comprising coated ranitidine, bismuth subcitrate and sucralfate
EP3357492B1 (en) Multilayer tablet for administration of magnesium
KR100404657B1 (ko) 이중코팅정 및 그 제조방법
US2019037447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weight loss
CN114191411B (zh) 一种质子泵抑制剂胶囊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