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177B1 -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 Google Patents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177B1
KR100933177B1 KR1020080068621A KR20080068621A KR100933177B1 KR 100933177 B1 KR100933177 B1 KR 100933177B1 KR 1020080068621 A KR1020080068621 A KR 1020080068621A KR 20080068621 A KR20080068621 A KR 20080068621A KR 100933177 B1 KR100933177 B1 KR 10093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tube
connector
locking membe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177B1/ko
Priority to US13/054,735 priority patent/US8951231B2/en
Priority to EP09798030.4A priority patent/EP2308544B1/en
Priority to PCT/KR2009/001499 priority patent/WO201000812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1Aseptic inser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9Ureth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4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pre-formed, e.g. specially adapted to fit with the anatomy of body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vision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 A61M39/18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 connection under sterile conditions, i.e. sterile do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Abstract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체 내로부터 체액을 흡인하여 제거하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일정길이의 카테터가 삽입되는 안내관과 연결되는 전방 콘넥터 ; 상기 전방 콘넥터에 선단이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조정관 ; 상기 카테터가 삽입되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전방 콘넥터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조정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방 잠금부재 ; 상기 조정관의 후단에 조립되는 후방 콘넥터 ; 상기 전,후방 콘넥터를 관통하는 카테터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 콘넥터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후방 잠금부재 및 상기 후방 잠금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캡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수술을 하지 않고 최초 수술시 설치된 카테터를 이용하여 침상에서 별도의 멸균 및 소독과정의 필요없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인체 내의 체액을 흡인하여 단시간 내에 외부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고, 카테터의 흡인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68621
재흡인, 카테터, 조정관, 콘넥터, 잠금부재, 캡부재, 출혈

Description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Aseptic Adjustable Aspiration Catheter Device}
본 발명은 수술 후 재흡인 및 흡인위치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침상에서 별도의 멸균, 소독 과정없이 그 위치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조정하며, 카테터의 막힘을 제거할 수 있으며, 혈종, 농양이나 체액을 흡인할 수 있도록 개선한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 장치는 인체 내의 혈액, 혈종 및 체액 등을 흡인하여 병변을 검사하거나 인체 내로 약제를 주입하거나, 협착된 내강 등을 확장시키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도관 장치이다.
상기 카테터 장치는 쓰이는 부위나 목적에 따라 오줌의 배출이나 방광 세정, 방광 내 약제 주입을 위한 요도 카테터와, 심장혈관을 확장하는 시술에 사용되는 벌룬 카테터와 약제주입 및 채혈을 위하여 정맥에 삽입하는 히크만 카테터와, 출산 직후 신생아의 기관과 구강 내에 흡입된 이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기관 카테터 및 치과에서 시술시 발생되는 혈액, 타액을 흡인하여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석션 카테터 등과 같이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카테터 장치 중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가요 성 카테터를 이용하는 시술은 일정길이의 카테터를 인체 내에 삽입한 다음, 이를 통하여 인체 내의 혈액, 혈종 및 체액 등을 흡인하여 제거하고, 상기 카테터는 시술부위에 고정한 후 수술을 종료하게 된다.
이때, 두개 또는 복강 내에 남아있는 출혈의 경우에는 잔류량이 소량일 때 유로키나제(urokinase)와 같은 약제를 카테터를 투입하여 녹여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테터 장치는 인체 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흡인통로가 막히거나 카테터의 흡인위치를 조정해야만 하는 경우 카테터가 시술부위에 위치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카테터 장치를 시술부위로부터 제거한 다음 새로운 카테터 장치를 다시 설치하는 재수술을 해야만 하였다.
이러한 카테터 장치의 재설치하는 재수술작업은 마취와 함께 멸균 및 소독과정을 필요로 하고, 환자의 회복시간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재수술을 하지 않고 최초 수술시 설치된 카테터를 이용하여 침상에서 마취과정 및 별도의 멸균, 소독과정의 필요없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인체 내의 체액, 농양, 혈액 등을 흡인하여 단시간 내에 외부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고, 카테터의 흡인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인체 내로부터 혈종, 농양, 체액을 흡인하여 제거하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일정길이의 카테터가 삽입되는 안내관과 연결되는 전방 콘넥터 ; 상기 전방 콘넥터에 선단이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조정관 ; 상기 카테터가 삽입되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전방 콘넥터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조정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방 잠금부재 ; 상기 조정관의 후단에 조립되는 후방 콘넥터 ; 상기 전,후방 콘넥터를 관통하는 카테터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 콘넥터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후방 잠금부재 및 상기 후방 잠금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캡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테터는 선단에 복수개의 흡인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관은 선단에 일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매입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테터 또는 안내관은 방사선이 투과되지 못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위치확인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콘넥터는 상기 안내관의 후단이 삽입되고 상기 전방 잠금부재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을 갖는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조정관의 선단과 조립되는 외부관 및 상기 외부관의 내부공간을 양분하도록 상기 내부관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격벽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은 상기 조정관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정관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소재로 이루어지고, 장축을 따라 수축과 확장이 가능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정관의 선단의 후단은 상기 전방 콘넥터의 후단에 삽입되는 전방 슬리브와 상기 후방 콘넥터의 선단에 삽입되는 후방 슬리브에 의해서 위치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잠금부재는 상기 카테터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전방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전방 콘넥터의 내부공으로 선단 일부가 삽입되는 전방몸체와, 상기 전방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가 관통되는 후방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전방 콘넥터에 선단이 접하는 후방몸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내부공은 상기 카테터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 내부공은 상기 카테터의 외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구 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몸체는 상기 후방몸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단면을 갖는 선단에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몸체는 상기 전방 콘넥터의 후단에 구비되는 외부관의 내경보다는 크고, 상기 외부관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몸체는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몸체는 몸체중앙의 외경이 양단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상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 콘넥터는 상기 카테터가 관통삽입되어 전후진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을 갖는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조정관의 후단과 조립되는 외부관 및 상기 외부관의 내부공간을 양분하도록 상기 내부관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격벽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은 상기 조정관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공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공은 상기 카테터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카테터의 외부면과 이격되는 대경부와, 상기 카테터의 외부면과 접하는 소경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대경부의 형성구간은 상기 소경부의 형성구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 잠금부재는 상기 카테터와 결합되는 전방 안내공을 갖는 전방 소경부와, 상기 전방 안내공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후방 안내공을 갖는 후방 대경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안내공은 상기 후방 안내공의 내경보다 작게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안내공과 후방 안내공사이에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부재는 상기 후방 안내공의 후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간의 결합시 상기 후방안내공으로 삽입배치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부재는 일정길이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후방 잠금부재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테터가 삽입되는 안내관과 연결되는 전방 콘넥터를 갖추고, 전방 콘넥터와 후방 콘넥터사이에 조정관을 갖추고, 전방 콘넥터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면서 조정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방 잠금부재 및 카테터의 후단과 연결되어 후방 콘넥터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후방 잠금부재를 갖추고 후방 잠금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캡부재를 갖춤으로써, 수술 후 체내의 선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고정설치된 안내관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여 체내의 수술부위에 잔류하는 체액이나 혈종을 재흡인할 수 있고, 카테터의 전후진과 회전이 가능하여 무균 상태에서 원하는 병소에 카테터의 선단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병소의 잔여 출혈 또는 재출열, 농양을 침상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수술 후 환자의 회복속도를 단축할 수 있는 한편, 수술의 부작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에서 전방 잠금부재가 전방 콘넥터에 삽입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에서 전방 잠금부재가 전방 콘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에서 후방 잠금부재가 후방 콘넥터에 삽입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에서 후방 잠금부재가 후방 콘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 내로부터 물질을 흡인하여 제거하도록 흡인 카테터 장치(100)로 구비되며, 이러한 흡입 카테터 장치(100)는 카테터(10), 안내관(20), 전방 콘넥터(30), 조정 관(40), 전방 잠금부재(50), 후방 콘넥터(60), 후방 잠금부재(70) 및 캡부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테터(10)는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안내관(20), 전,후방 콘넥터(30,60), 전방 잠금부재(50) 및 조정관(40)을 관통하여 상기 후방 잠금부재(70)에 후단이 연결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부재이다.
이러한 카테터(10)는 두개 또는 복강 내로의 삽입시 자유로운 휨변형이 용이하게 가요성을 갖도록 실리콘과 같은 수지를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테터(10)의 선단에는 흡인력 제공시 체내의 체액을 흡인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흡인홀(12)을 관통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관(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10)의 외경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큰 내경의 내부공(22)을 가지며, 테프론(teflon)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일정길이의 관부재이다.
이러한 안내관(20)은 인체의 피부를 통하여 시술부위인 두개 또는 복강 내에 배치되도록 선단에 일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매입부(2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매입부(24)가 구비되는 안내관(20)의 선단에는 체내에 삽입된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X선과 같은 방사선이 투과되지 못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위치 확인부(26)를 링형상 또는 라인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테터(10)의 선단에도 위치조정시 선단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은 위치 확인부(1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 확인부(16,26)에 의해서 인체 내에 매입되는 안내관(20)의 선단 및 상기 안내관(20)을 통해 체내 내에 배치된 카테터(10)의 선단 위치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확인부(16,26)는 X선에 대하여 불투과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소재로서는 금, 은, 백금, 탄탈, 이리듐, 텅스텐 및 이들의 합금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콘넥터(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10)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안내관(20)의 후단과 연결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전방 콘넥터(30)는 상기 안내관(20)의 후단이 삽입되고 상기 전방 잠금부재(50)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33)을 갖는 내부관(31)과, 상기 내부관(31)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조정관(40)의 선단과 조립되는 외부관(32) 및 상기 외부관(32)의 내부공간을 양분하도록 상기 내부관(31)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격벽(3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34)은 상기 조정관(4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공(34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관(40)의 수축팽창시 상기 기공(34a)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조정관(40)내로 자유롭게 유입시키거나 상기 조정관(40)내의 공기를 외부로 자유롭게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조정관(40)의 수축팽창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33)은 상기 카테터(10)가 삽입된 안내관(20)의 외경과 대략적으로 같거나 작은 내경을 갖추어 상기 안내관(20)의 외부면과 접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관(31)은 상기 외부관(3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관(32)은 상기 격벽(34)을 기준으로 하여 선,후단이 서로 다른 외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 되는것은 아니며 같은 크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34)은 상기 외부관(32)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전방 슬리브(41)의 조립시 스토퍼역활을 하도록 한다.
상기 조정관(4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안내관(20)과 연결된 전방 콘넥터(30)의 후단에 선단이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관부재이다.
이러한 조정관(40)은 관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소재로 이루어지고, 우레탄과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정관(40)은 조작시 내부배치된 전방 잠금부재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이를 장축방향으로 조작할 할 수 있도록 장축을 따라 수축과 확장이 가능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정관(40)은 상기 전방 콘넥터(30)와 조립되는 선단이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단면상을 가지며, 몸체는 길이방향으로 외경이 일정하게 연장되고, 상기 후방 콘넥터(42)와 조립되는 후단은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정관(40)의 선단은 상기 전방 콘넥터(30)의 외부관(32) 후단에 삽입되는 전방 슬리브(41)의 내부면과 상기 외부관(32)의 외부면사이에 밀착되어 확고히 위치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슬리브(41)의 내부면에는 상기 전방 콘넥터(30)와 조정관(40)간의 조립시 상기 조정관(40)의 외부면과의 밀착 고정력을 향상시켜 상기 조정관(40)의 조립 후 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돌출부(41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잠금부재(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20)과 전방 콘넥터(30)를 관통한 카테터(1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조정관(40)의 내부에 배치되된 카테터(10)의 전후진시 이와 더불어 전후진되면서 상기 전방 콘넥터(30)의 내부공(33)으로 선단이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방 잠금부재(50)는 상기 카테터(10)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전방 내부공(53)을 갖추어 상기 전방 콘넥터(30)의 내부공(33)으로 선단 일부가 삽입되는 전방몸체(51)와, 상기 전방몸체(5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10)가 관통되는 후방 내부공(54)을 갖추어 상기 전방 콘넥터(30)에 선단이 접하는 후방몸체(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내부공(53)은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카테터(10)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방 내부공(53)은 상기 전방 내부공(53)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10)의 외주면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카테터(10)의 외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잠금부재(50)를 통한 카테터(10)의 전후진 조작시 부재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몸체(51)는 상기 후방몸체(52)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단면을 갖는 선단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5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잠금부재(50)의 전방몸체(51)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콘넥터(30)의 내부공(33)에 삽입되면, 상기 전방몸체(51)의 전방 내부공(53)은 상기 슬릿(55)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축소되면서 상기 전방몸체(51)의 전방 내부공(53)에 삽입된 카테터(10)의 외부면은 상기 전방 내부공(53)의 내부면과 서로 접하여 밀착되면서 밀착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카테터(10)의 이동이 곤란하도록 잠금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전방 잠금부재(50)의 전방몸체(51)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콘넥터(30)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되어 내부공(33)과 분리되면, 상기 전방 몸체(51)의 전방 내부공(53)은 상기 슬릿(55)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확장되면서 상기 전방몸체(51)의 전방 내부공(53)에 삽입된 카테터(10)의 외부면은 상기 내부공(53)의 내부면과 서로 분리되거나 밀착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카테터(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카테터(10)를 안내관(20)을 통하여 전후진 이동시켜 상기 카테터(10)의 선단위치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방몸체(52)는 상기 전방 콘넥터(30)의 후단에 구비되는 외부관(32)의 내경보다는 크고, 상기 외부관(32)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전방 콘넥터(30)의 내부공(33)내로 전방몸체(51)가 삽입될 때, 상기 전방 콘넥터(30)의 내부관(31)과 외부관(32)사이의 입구단을 밀폐함으로써 상기 격벽(34)에 형성된 기공(34a)을 통한 공기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카테터(10)의 잠금시 상기 조정관(40) 내로 외부공기가 상기 기공(34a)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몸체(52)는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56)를 구비하거나 아래로 오목한 곡선형 단면을 갖도록 몸체중앙의 외경이 양단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방 잠금부재(50)의 조작시 사용자의 취부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후방 콘넥터(60)는 도 1,2와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테 터(10)가 삽입되어 관통되고, 상기 조정관(40)의 후단과 연결되며 상기 후방 잠금부재(70)의 선단과 연결되는 연결부재이다.
이러한 후방 콘넥터(60)는 상기 전방 콘넥터(30)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바, 상기 카테터(10)가 관통삽입되어 전후진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63)을 갖는 내부관(61)과, 상기 내부관(61)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조정관(40)의 후단과 조립되는 외부관(62) 및 상기 외부관(62)의 내부공간을 양분하도록 상기 내부관(61)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격벽(6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64)은 상기 조정관(4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공(64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관(40)의 수축팽칭시 상기 기공(64a)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조정관(40)내로 자유롭게 유입시키거나 상기 조정관(40)내의 공기를 외부로 자유롭게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콘넥터(30)에 구비되는 기공(34a)과 더불어 상기 조정관(40)의 수축팽창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63)은 이를 관통하는 카테터(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카테터의 외부면과 이격되는 대경부와, 상기 카테터(10)의 외경과 대략적으로 같은 내경을 갖추어 카테터의 외부면과 접하는 소경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대경부의 형성구간은 상기 소경부의 형성구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카테터(10)의 전후진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상기 카테터의 위치조정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관(61)은 상기 외부관(6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관(62)은 상기 격벽(64)을 기준으로 하여 선,후단이 서로 다른 외경크기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같은 크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64)은 상기 외부관(62)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후방 슬리브(42)의 조립시 스토퍼 역활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정관(40)의 후단은 상기 후방 콘넥터(60)의 외부관(62) 선단에 삽입되는 후방 슬리브(42)의 내부면과 상기 외부관(62)의 외부면사이에 밀착되어 확고히 위치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 슬리브(42)의 내부면에도 상기 후방 콘넥터(60)와 조정관(40)간의 조립시 상기 조정관(40)의 외부면과의 밀착고정력을 향상시켜 상기 조정관(40)의 조립 후 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돌출부(4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잠금부재(70)는 도 1,2 및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20), 전,후방 콘넥터(30,60), 전방 잠금부재(50) 및 조정관(40)을 관통하는 카테터(10)의 후단과 연결되어 상기 후방 콘넥터(60)의 내부공(63)으로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잠금부재이다.
이러한 후방 잠금부재(70)는 상기 카테터(10)의 내부공으로 선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일정크기의 전방 안내공(73)을 갖추어 상기 후방 콘넥터(60)에 결합되 거나 분리되는 전방 소경부(71)와, 상기 전방 안내공(73)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후방 안내공(74)을 갖추고 상기 전방 소경부(71)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추어 상기 후방 콘넥터(60)의 후단에 접하는 후방 대경부(7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카테터(10)의 내부공은 상기 후방 잠금부재(70)의 전,후방 안내공(73,74)과 서로 연통됨으로써, 상기 후방 잠금부재에 전달되는 흡인력은 상기 카테터(10)까지 전달되어 상기 카테터(10)의 선단에 형성된 흡인홀에서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서 체내의 체액, 농양, 혈종 등을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방 안내공(73)은 상기 후방 안내공(63)의 내경보다 작게 구비되고, 상기 전방 안내공(73)과 후방 안내공(74)사이의 경계영역에는 흡인력을 제공하는 주사기 바늘(9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면(7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경부(71)의 외부면에는 상기 카테터(10)과의 연결시 상기 카테터(10)의 내부면과의 밀착력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돌기부(71a)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캡부재(80)는 도 1,2 및 도 5,6에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 안내공(74)의 후단인 입구단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후방 잠금부재(75)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밀봉부재이다.
이러한 캡부재(80)는 상기 후방 안내공(74)의 후단인 입구단에 형성된 수나사부(77)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81)와,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간의 결합시 상기 후방안내공(74)으로 삽입배치되는 밀봉부재(82)를 포함한다.
여기서,상기 밀봉부재(82)는 상기 후방 안내공(74)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후방 안내공(74)의 내경과 대략 같은 크기의 외경크기를 갖는 원통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80)는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간의 결합해제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길의 연결부재(85)를 매개로 하여 상기 후방 잠금부재(7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테터 장치(100)는 두개 또는 복강 내에 출혈, 농양, 혈종 등이 발생한 경우 수술을 통해 안내관(20)의 선단부인 매입부(24)가 체내에 잔류하도록 함으로써 수술 중 체내의 체액이나 혈종을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는데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카테터 장치(100)는 수술 후 바로 제거하지 않고 그 자리에 그대로 고정한 상태로 수술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두개 또는 복강 수술 후에도 체내에 다량의 출혈이 남아 있는 경우나 재출혈로 출혈량이 많아진 경우에 재수술을 해야만 하지만 재수술을 하지 않고도 기설치된 본 발명의 카테터 장치를 이용하여 무균상태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체액이나 혈종을 흡인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안내관(20)의 내부에는 일정길이의 카테터(1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안내관(20)의 후단부에는 전방 콘넥터(30)가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콘 넥터(30)와 후방 콘넥터(60)사이에는 일정길이의 조정관(40)이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관(40)의 내부에는 전방 잠금부재(50)가 조립되고, 상기 후방 콘넥터(60)에는 후방 잠금부재(70)가 조립되어 있는 한편, 상기 후방 잠금부재(70)에는 캡부재(80)가 조립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내관(20)을 통해 삽입된 카테터(10)의 선단부는 체내에 위치되고, 후단부는 상기 후방 잠금부재(70)의 전,후방 안내공(73,74)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후방 잠금부재(70)의 후방몸체(72)와 나사결합된 캡부재(80)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잠금부재(70)의 후방 안내공(74)은 외부노출된다.
이어서, 흡인용 주사기(90)의 선단은 상기 후방 안내공(74)을 통해 전방 안내공(73)까지 삽입한 다음 상기 흡인용 주사기(90)를 이용하여 상기 카터테(10)에 흡인력을 제공하게 되면, 제공되는 흡인력이 카테터(10)의 선단에 형성된 흡인홀(12)까지 전달되기 때문에 강제로 흡인된 체내의 체액이나 혈종은 상기 카테터를 통하여 체외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카테터의 흡인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조정관(40)을 취부하고 있던 손으로 상기 전방 잠금부재(50)를 잡고서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전방 콘넥터(30)에 조립되어 있던 잠금부재(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카테터(10)가 삽입된 전방몸체(51)의 전방 내부공(53)은 상기 슬릿(55)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확장되면서 카테터(10)의 외부면과 전방 내부 공(53)의 내부면간의 밀착력이 해제되기 때문에 상기 안내관(20)을 통해 카테터(10)는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카테터(10)의 선단인 흡인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카테터에 대한 재흡인 위치조정작업을 종료한 후 상기 조정관(40)을 취부하고 있던 손으로 상기 전방 잠금부재(50)를 잡고서 전방으로 밀게 되면, 전방 콘넥터(30)로부터 분리되어 있던 잠금부재(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콘넥터(30)와 재결합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방몸체(51)의 전방 내부공(53)은 상기 슬릿(55)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축소되면서 카테터(10)의 외부면과 전방 내부공(53)의 내부면간의 밀착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카테터(10)의 이동이 곤란한 잠금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카테터의 조정작업시 사용자가 취부하게 되는 조정관의 수축팽창시 조정관의 내부공간에 잔류하는 공기 및 외부공기는 전,후방 콘넥터(30,60)의 격벽(34,64)에 형성된 기공(34a,64a)을 통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되거나 조정관의 내부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됨으로서 상기 조정관(40)의 수축팽창을 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테터(10)의 선단부 및 상기 안내관(20)의 선단부에는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흡인 위치 및 안내관의 매입 위치를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 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에서 전방 잠금부재가 전방 콘넥터에 삽입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에서 전방 잠금부재가 전방 콘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에서 후방 잠금부재가 후방 콘넥터에 삽입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에서 후방 잠금부재가 후방 콘넥터로부터 분리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카테터 16,26: 위치 확인부
20 : 안내관 24 : 매입부
30 : 전방 콘넥터 31,61 : 내부관
32,62 : 외부관 34,64: 격벽
40 : 조정관 41,42 : 전,후방 슬리브
50 : 전방 잠금부재 51 : 전방몸체
52 : 후방몸체 55 : 슬릿
60 : 후방 콘넥터 70 : 후방 잠금부재
71 : 소경부 72 : 대경부
80 : 캡부재 85 : 연결부재

Claims (23)

  1. 인체 내로부터 체액을 흡인하여 제거하는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일정길이의 카테터가 삽입되는 안내관과 연결되는 전방 콘넥터 ;
    상기 전방 콘넥터에 선단이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조정관 ;
    상기 카테터가 삽입되는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전방 콘넥터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조정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방 잠금부재 ;
    상기 조정관의 후단에 조립되는 후방 콘넥터 ;
    상기 전,후방 콘넥터를 관통하는 카테터와 연결되어 상기 후방 콘넥터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후방 잠금부재 및
    상기 후방 잠금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캡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선단에 복수개의 흡인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선단에 일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매입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또는 안내관은 방사선이 투과되지 못하는 소재 로 이루어진 위치확인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콘넥터는 상기 안내관의 후단이 삽입되고 상기 전방 잠금부재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을 갖는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조정관의 선단과 조립되는 외부관 및 상기 외부관의 내부공간을 양분하도록 상기 내부관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격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조정관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소재로 이루어지고, 장축을 따라 수축과 확장이 가능한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관의 선단의 후단은 상기 전방 콘넥터의 후단에 삽입되는 전방 슬리브와 상기 후방 콘넥터의 선단에 삽입되는 후방 슬리브에 의해서 위치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잠금부재는 상기 카테터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전방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전방 콘넥터의 내부공으로 선단 일부가 삽입되는 전방몸체와, 상기 전방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카테터가 관통되는 후방 내부공을 갖추어 상기 전방 콘넥터에 선단이 접하는 후방몸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내부공은 상기 카테터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내경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 내부공은 상기 카테터의 외경보다 큰 내경크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몸체는 상기 후방몸체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단면을 갖는 선단에 적어도 하나의 슬릿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몸체는 상기 전방 콘넥터의 후단에 구비되는 외부관의 내경보다는 크고, 상기 외부관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몸체는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몸체는 몸체중앙의 외경이 양단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콘넥터는 상기 카테터가 관통삽입되어 전후진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을 갖는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조정관의 후단과 조립되는 외부관 및 상기 외부관의 내부공간을 양분하도록 상기 내부관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격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조정관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은 상기 카테터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카테터의 외부면과 이격되는 대경부와, 상기 카테터의 외부면과 접하는 소경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의 형성구간은 상기 소경부의 형성구간보다 상 대적으로 길게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잠금부재는 상기 카테터와 결합되는 전방 안내공을 갖는 전방 소경부와, 상기 전방 안내공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후방 안내공을 갖는 후방 대경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안내공은 상기 후방 안내공의 내경보다 작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안내공과 후방 안내공사이에는 경사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상기 후방 안내공의 후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와 암나사부간의 결합시 상기 후방안내공으로 삽입배치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는 일정길이의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후방 잠금부재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KR1020080068621A 2008-07-15 2008-07-15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KR10093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621A KR100933177B1 (ko) 2008-07-15 2008-07-15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US13/054,735 US8951231B2 (en) 2008-07-15 2009-03-24 Aseptic adjustable aspiration catheter device
EP09798030.4A EP2308544B1 (en) 2008-07-15 2009-03-24 Aseptic re-aspiration catheter apparatus
PCT/KR2009/001499 WO2010008127A1 (ko) 2008-07-15 2009-03-24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621A KR100933177B1 (ko) 2008-07-15 2008-07-15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177B1 true KR100933177B1 (ko) 2009-12-21

Family

ID=4155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621A KR100933177B1 (ko) 2008-07-15 2008-07-15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51231B2 (ko)
EP (1) EP2308544B1 (ko)
KR (1) KR100933177B1 (ko)
WO (1) WO201000812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730B1 (ko) 2010-12-07 2012-11-07 안용철 벌룬 카테터
KR101343833B1 (ko) 2013-01-14 2013-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심정맥관용 키트
KR101967349B1 (ko) * 2018-08-31 2019-04-09 (주)케이피테크놀로지 의료용 다기능 프로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3734A (zh) * 2013-08-02 2013-12-25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导尿管连接管
CN108495681B (zh) * 2015-06-26 2021-07-13 科洛普拉斯特公司 导尿管组件
CN109789290B (zh) 2016-09-27 2021-08-03 科洛普拉斯特公司 具有套管的水合导管
DK180417B1 (en) 2018-07-20 2021-04-22 Coloplast As INTERMITTING URINCATHER FITTING
US11771584B2 (en) 2018-12-20 2023-10-03 Coloplast A/S Urine collecting bag
US20210299426A1 (en) * 2020-03-27 2021-09-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Extension se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GB202105827D0 (en) * 2021-04-23 2021-06-09 Convatec Ltd An intermittent catheter
GB202105826D0 (en) * 2021-04-23 2021-06-09 Convatec Ltd An intermittent cathe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709A (en) 1978-03-06 1982-05-04 Datascope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ercutaneous introduction of intra-aortic balloons into the human bod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20413A5 (ko) * 1970-12-31 1972-08-18 Durand Herve
US4224951A (en) * 1978-11-30 1980-09-30 Hasson Harrith M Gynecological instrument
US4515592A (en) * 1980-05-13 1985-05-07 Arrow International, Inc. Catheter shield
US4676228A (en) * 1985-10-25 1987-06-30 Krasner Jerome L Medical apparatus having inflatable cuffs and a middle expandable section
US4787884A (en) * 1987-09-01 1988-11-29 Medical Engineering Corporation Ureteral stent guidewire system
US4913683A (en) * 1988-07-05 1990-04-03 Medical Engineering Corporation Infusion stent system
US4950226A (en) * 1989-09-11 1990-08-21 Bruce Barron Surgical shunt for liver isolation
US5527292A (en) * 1990-10-29 1996-06-18 Scimed Life Systems, Inc. Intravascular device for coronary heart treatment
US5584803A (en) * 1991-07-16 1996-12-17 Heartport, Inc. System for cardiac procedures
AU2428495A (en) * 1995-03-28 1996-10-16 Ballard Medical Products Anti-contaminating catheter sheath with filter/closure barri ers
US5876373A (en) * 1997-04-04 1999-03-02 Eclipse Surgical Technologies, Inc. Steerable catheter
EP0904797A3 (en) * 1997-09-24 2000-08-09 ECLIPSE SURGICAL TECHNOLOGIES, Inc. Steerable catheter with tip alignment and surface contact detector
US6044845A (en) * 1998-02-03 2000-04-04 Salient Interventional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ischemia
US6613014B1 (en) 2000-06-09 2003-09-02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hub with detachable push device
US7691095B2 (en) * 2004-12-28 2010-04-06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Bi-directional steerable catheter control han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709A (en) 1978-03-06 1982-05-04 Datascope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ercutaneous introduction of intra-aortic balloons into the human bod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730B1 (ko) 2010-12-07 2012-11-07 안용철 벌룬 카테터
KR101343833B1 (ko) 2013-01-14 2013-12-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심정맥관용 키트
KR101967349B1 (ko) * 2018-08-31 2019-04-09 (주)케이피테크놀로지 의료용 다기능 프로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8127A1 (ko) 2010-01-21
EP2308544A1 (en) 2011-04-13
US8951231B2 (en) 2015-02-10
EP2308544B1 (en) 2016-08-03
EP2308544A4 (en) 2011-10-26
US20110160704A1 (en)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177B1 (ko)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US11207508B2 (en) Sinus balloon dilation catheters and sinus surgery tools
JP3327921B2 (ja) 排液管を利用する装置
US6878142B2 (en) System for aspirating and irrigating tract wounds
JP3924033B2 (ja) 気管壁に孔を形成する装置
RU2538237C2 (ru) На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с механизмом аспирации
US3782381A (en) Method for preventing skiving of a catheter
JP7315915B2 (ja) 穿刺システム
EP3054830B1 (en) Interventional sinus endoscope
US10136907B2 (en) Methods of locating and treating tissue in a wall defining a bodily passage
EP0808638A1 (en) Catheter-introduction-sheath with occlusion balloon
WO2007130605A1 (en) Soft tissue tunneling device
BR112020015371A2 (pt) Sistema de punção
CZ2004470A3 (cs) Katétr a způsob jeho použití
BR112021014104A2 (pt) Sistema de terapia intravenosa tendo um controlador central de agulha e controlador central de cateter
JP2004329552A (ja) 薬液投与用カテーテル
WO1987005523A1 (en) Tubular devices for introduction into body orifices
JP2021513450A (ja) 耳カテーテル
JP2003275173A (ja) 拡張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111182933B (zh) 注射装置和系统以及其使用方法
JP2016185277A (ja) イントロデューサーシースおよびイントロデューサー組立体
JP2023521177A (ja) 鎖骨下静脈カテーテル留置の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4141357A (ja) 拡張バルーン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