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730B1 - 벌룬 카테터 - Google Patents

벌룬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730B1
KR101196730B1 KR1020100124315A KR20100124315A KR101196730B1 KR 101196730 B1 KR101196730 B1 KR 101196730B1 KR 1020100124315 A KR1020100124315 A KR 1020100124315A KR 20100124315 A KR20100124315 A KR 20100124315A KR 101196730 B1 KR101196730 B1 KR 10119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
balloon
tube
balloon cathe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224A (ko
Inventor
안용철
Original Assignee
안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철 filed Critical 안용철
Priority to KR102010012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7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61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separate inflations tubes, e.g. coaxial tubes or tubes otherwise arranged apart from the catheter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7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radio-opaque markers in the region of the ballo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카테터에서는, 튜브가 체내의 혈관이나 조직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지게 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벌룬 카테터 {BALLOON CATHETER}
본 발명은 의료용 벌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벌룬 카테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튜브와, 튜브의 양측 단부 중 일단에 접합되며 내압의 조절에 의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는 벌룬과, 튜브의 타단에 고정되어 튜브를 통하여 물질을 주입하는 시린지 등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벌룬 카테터는, 벌룬이 수축한 상태로 체내의 혈관, 조직이나 뼈의 내강에 삽입된다. 그리고, 벌룬이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되면, 체내의 혈관, 조직이나 뼈의 내강이 벌룬의 팽창에 따라 팽창된다.
벌룬 카테터에서 벌룬이 고정되는 튜브의 선단부는 체내의 혈관이나 조직 등에 그 형상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튜브는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튜브의 선단부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만들기 위해 튜브의 선단부를 구부린 상태에서 벌룬의 형상을 고정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튜브의 벌룬 카테터를 제조하는 데에 있어 복잡성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체내의 혈관이나 조직 등의 형상마다 튜브의 선단부가 다른 형상을 가지는 벌룬 카테터를 제작하여야 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의 선단부의 구부러진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벌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제1통로가 형성되는 제1튜브부재와, 상기 제1튜브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제1튜브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튜브부재와, 상기 제2튜브부재에 연결되는 벌룬과, 상기 제2튜브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제2튜브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튜브부재의 단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통과공이 형성되는 제3튜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튜브가 체내의 혈관이나 조직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독립적 또는 개별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복수의 벌룬이 구비되므로, 체내의 혈관이나 조직을 개별적으로 확장시켜야 하는 시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벌룬 카테터의 요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벌룬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벌룬 카테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벌룬 카테터에서 벌룬이 노출되는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벌룬 카테터에서 벌룬이 팽창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벌룬 카테터의 요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벌룬 카테터에서 벌룬이 노출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카테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튜브(10)와, 튜브(10)의 양측 단부 중 일단에 고정되고 혈관, 장기의 내강, 뼈의 내강과 같은 체내로 삽입되어 내압의 조절에 의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는 벌룬(20)과, 튜브(10)의 타단에 고정되어 튜브(10)를 통하여 벌룬(20)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를 주입하는 시린지(미도시) 등을 튜브(10)와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단부(111) 및 제2단부(112)를 가지며, 내부에 제1통로(113)가 형성되는 중공의 제1튜브부재(11)와, 제1튜브부재(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튜브부재(1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부착되는 제2튜브부재(12)와, 제2튜브부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튜브부재(12)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3튜브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튜브부재(11)는 제2튜브부재(12)에 비하여 강성이 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튜브부재(11)는 튜브(10)의 벌룬(20)이 체내로 삽입될 때 튜브(10)가 심하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튜브(1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튜브부재(11)는 스테인리스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튜브(10)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된 상태에서 튜브(10)가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튜브부재(11)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티탄과 니켈의 비자성 합금인 니티놀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은 제1튜브부재(11)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제1튜브부재(11)가 튜브(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다면, 제1튜브부재(11)의 재질로 합성수지(폴리머)가 적용될 수 있다.
제2튜브부재(12)는 제1튜브부재(11)의 제1단부(111)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는 제1단부(121)와, 제1튜브부재(11)의 제2단부(112)에 비하여 더 연장되고 내부에 제1튜브부재(11)의 제1통로(113)와 연통되는 제2통로(123)를 가지며 외주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24)이 형성되는 연장부(125)와, 연장부(125)와 연통되는 개구(126)를 가지는 제2단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벌룬(20)은 제2튜브부재(12)의 연장부(125)에 배치되며, 벌룬(20)의 내부는 관통홀(124) 및 제2통로(123)를 통하여 제1통로(113)와 연통된다. 벌룬(20)은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벌룬(20)의 양측 단부는 제2튜브부재(12)의 외주면에 용융 압착될 수 있다.
제2튜브부재(12)는 금속재질인 제1튜브부재(11)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피복될 수 있고, 제2튜브부재(12)의 외주면에 벌룬(20)이 융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튜브부재(12)의 재질로는 벌룬(20)의 재질과 같은 재질인 합성수지(폴리머)가 적용될 수 있다.
제2튜브부재(12)의 연장부(125)는 제1튜브부재(11)의 제2단부(112)에 비하여 더 연장되므로, 제1튜브부재(11)의 외주면에 피복되지 않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연장부(125)는 벌룬(20)이 팽창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한편, 시술자가 벌룬 카테터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경우, 시술자는 삽입되는 벌룬 카테터를 X-ray 또는 C-ARM 등의 방사선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체내에서의 벌룬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에서, 시술자가 영상장치에는 벌룬(20)의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2튜브부재(12)의 연장부(125)의 외주면에는 인식용 마크(41)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식용 마크(41)는 X-ray 또는 C-ARM 등의 방사선 영상장치에서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는 플래티늄, 이리듐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다. 한편, 인식용 마크(41)의 재질로는 벌룬(20)의 재질과 같은 합성수지(폴리머)가 적용될 수 있다. 인식용 마크(41)는 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튜브부재(12)의 연장부(125)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2튜브부재(12)는 벌룬(20)이 팽창하는 경우, 제1튜브부재(11)의 외주면에 피복되지 아니한 연장부(125)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튜브부재(12)의 제2단부(122)에는 개구(126)를 밀폐하는 밀폐부재(50)가 삽입될 수 있다. 개구(126)에 삽입되는 밀폐부재(50)의 일부분에는 제2튜브부재(12)의 연장부(125)에 부착되는 인식용 마크(41)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는 인식용 마크(42)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제2튜브부재(12)의 개구(126)에 밀폐부재(50)가 삽입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제2튜브부재(12)의 개구(126)를 이루는 제2튜브부재(12)의 제2단부(122)의 내주 부분이 열에 의하여 서로 융착되는 것에 의하여 개구(126)가 밀폐될 수 있다. 다만, 제2튜브부재(12)의 개구(126)에 밀폐부재(50)를 삽입하여 밀폐하는 경우에는 개구(126)를 이루는 부분을 서로 융착시키는 것에 비하여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밀폐부재(50)는 제2튜브부재(12)의 개구(126)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재(50)는 개구(126)에 밀착되게 삽입될 수 있는데, 밀폐부재(50)가 개구(126)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튜브부재(12)의 개구(126) 부분에 열을 가하여 제2튜브부재(12)를 밀폐부재(50)의 외면에 융착시켜 제2튜브부재(12)와 밀폐부재(5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밀폐부재(50)는 강성이 비교적 큰 재질로 이루어지며, 개구(126)에 삽입되어 튜브(10)의 선단, 즉, 제2튜브부재(12)의 제2단부(122)의 형상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벌룬(20)이 체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튜브(10)의 선단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30)의 일단에는 제1튜브부재(11)의 제1단부(111)과 제2튜브부재(12)의 제1단부(121)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30)와 제1튜브부재(11) 및 제2튜브부재(12)는 접착제 등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30)의 타단에는 벌룬(20)를 팽창시키기 위한 액체를 주입시키는 시린지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벌룬(20)이 수축된 상태에서 미리 천공된 구멍을 관통하여 체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튜브(10)는 제1튜브부재(11)에 의하여 강성이 보강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가이드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튜브(20)가 임의로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튜브부재(13)은 내부에 벌룬(2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3튜브부재(13)의 내경은, 벌룬(20)이 수축된 상태에서, 벌룬(20)이 튜브(10)와 함께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3튜브부재(13)는 벌룬(20)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벌룬 카테터의 운반 중과 같이 벌룬 카테터가 사용되고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 벌룬(20)이 스크래치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벌룬(2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튜브부재(13)는, 제2튜브부재(12)의 제2단부(122)와 인접하는 부분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131)을 가지는 통과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벌룬(20)은 통과공(132)를 통과하여 제3튜브부재(1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31)은 벌룬(20)이 통과공(13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튜브(10)가 경사면(131)의 기울기를 따라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튜브(10)가 구부러지는 각도는 경사면(13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벌룬(20)은 제3튜브부재(13)에 의하여 보호된 상태에서 체내로 삽입된다. 이때, 시술자가 X-ray 또는 C-ARM 등의 방사선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체내에서의 벌룬(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3튜브부재(13)에는 인식용 마크(133)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식용 마크(133)는 X-ray 또는 C-ARM 등의 방사선 영상장치에서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는 플래티늄, 이리듐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튜브부재(13)의 연결부재(30)에 대향하는 단부에는 시술자가 제3튜브부재(13)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벌룬(20)은 제3튜브부재(13)에 의하여 보호된 상태에서 체내로 삽입된 후, 체내에서 제3튜브부재(13)에 의한 보호가 해제된 상태에서 팽창될 수 있다. 제3튜브부재(13)에 대한 벌룬(20)의 해제는, 시술자가 제3튜브부재(13)의 손잡이(134)를 잡은 상태에서 벌룬(20)이 제3튜브부재(13)의 통과공(13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2튜브부재(12)를 제3튜브부재(13)의 단부를 향하여 미는 과정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튜브부재(30)에 형성되는 경사면(131)에 의하여 튜브(10)가 체내의 혈관이나 조직 등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그리고, 벌룬(20)이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30)에 연결되는 시린지 등에 의하여 제1튜브부재(11)의 제1통로(111)로 벌룬(20)을 팽창시키기 위한 유체가 주입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로(113)를 통하여 주입된 유체는, 제2통로(123) 및 관통홀(124)를 통하여 벌룬(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며, 벌룬(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벌룬(20)이 팽창된다.
이에 따라, 체내의 혈관, 장기의 내강 또는 뼈의 내강 등의 피시술부위가 벌룬(20)의 팽창에 따라 확장되며, 이에 따라 적절한 시술이 진행될 수 있다. 시술이 완료된 후에는 벌룬(20)의 내부의 유체는 관통홀(124), 제2통로(123) 및 제1통로(1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벌룬(20)은 팽창되기 전의 상태로 수축되며, 체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제2튜브부재(12)에 비하여 강성이 큰 중공의 제1튜브부재(11)를 마련하고, 제2튜브부재(12)의 연장부(125)가 마련되도록 제1튜브부재(11)의 길이에 비하여 긴 제2튜브부재(12)를 제1튜브부재(11)의 원주면상에 피복시키고, 제2튜브부재(12)의 연장부(125)에 인식용 마크(41)를 부착하고, 벌룬(20)의 양단을 제2튜브부재(12)에 융착시키는 것을 통하여 벌룬(20)을 제2튜브부재(12)의 연장부(125)상에 배치하고, 제2튜브부재(12)의 개구(126)에 밀폐부재(50)를 삽입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카테터의 제조방법은, 튜브(10)의 내부에 두 개의 통로를 형성하여야 하는 종래의 벌룬 카테터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제2튜브부재(12)에 비하여 강성이 큰 중공의 제1튜브부재(11)로 인하여 튜브(10)의 강성이 보강되므로, 종래의 벌룬 카테터와 같이 별도의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벌룬(20)을 체내에 용이하고 간편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시술자가 튜브뿐만 아니라 가이드 와이어를 함께 다루어야 하는 종래의 벌룬 카테터에 비하여 시술자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제3튜브부재(13)에 소정의 각도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131)이 구비되므로, 튜브(10)가 체내의 혈관이나 조직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에는 복수의 벌룬(2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벌룬(2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체내의 혈관이나 조직을 각각 확장시켜야 하는 시술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두 개의 벌룬(20)이 구비된 벌룬 카테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벌룬(20)은 튜브(10)의 선단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제1벌룬(21)과 제1벌룬(2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벌룬(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두 개의 벌룬(20)이 마련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두 개 이상의 벌룬(20)이 구비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는 복수의 벌룬(20)에 각각 유체를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튜브부재(12)는 제1튜브부재(11)의 외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튜브부재(11)와 제2튜브부재(12)의 사이에 유체공급통로(129)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튜브부재(12)에는 유체공급통로(129)와 제2벌룬(22)을 연통시키는 관통홀(229)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0)의 내부에는 제1통로(113)와 연통되는 제1공급통로(31)와 유체공급통로(129)와 연통되는 제2공급통로(3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연결부재(30)의 제1공급통로(31)로 공급되는 유체는 제1통로(113)을 통하여 제1벌룬(21)으로 공급되어 제1벌룬(21)을 팽창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재(30)의 제2공급통로(32)로 공급되는 유체는 유체공급통로(129)를 통하여 제2벌룬(22)로 공급되어 제2벌룬(22)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벌룬 카테터는, 독립적 또는 개별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복수의 벌룬(20)이 구비되므로, 체내의 혈관이나 조직을 개별적으로 확장시켜야 하는 시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벌룬(20)의 재질은 X-ray 또는 C-ARM 등의 방사선 영상장치에서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방사선 영상장치에서 인식될 수 있는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합성수지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의 금속입자는 플래티늄, 이리듐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금속이 될 수 있다. 벌룬(20)의 재질이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인식용 마크를 부착하지 아니하여도 벌룬(2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 튜브 11: 제1튜브부재
12: 제2튜브부재 13: 제3튜브부재
20: 벌룬 30: 연결부재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제1통로가 형성되는 제1튜브부재;
    상기 제1튜브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제1튜브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튜브부재;
    상기 제2튜브부재에 연결되는 벌룬; 및
    상기 제2튜브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제2튜브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튜브부재의 단부와 인접하는 부분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통과공이 형성되는 제3튜브부재를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벌룬은 독립적으로 팽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룬은 플래티늄, 이리듐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튜브에는 인식용 마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카테터.
KR1020100124315A 2010-12-07 2010-12-07 벌룬 카테터 KR10119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315A KR101196730B1 (ko) 2010-12-07 2010-12-07 벌룬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315A KR101196730B1 (ko) 2010-12-07 2010-12-07 벌룬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224A KR20120063224A (ko) 2012-06-15
KR101196730B1 true KR101196730B1 (ko) 2012-11-07

Family

ID=4668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315A KR101196730B1 (ko) 2010-12-07 2010-12-07 벌룬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7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177B1 (ko) 2008-07-15 2009-1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US20100099946A1 (en) 2004-04-21 2010-04-22 Acclaren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9946A1 (en) 2004-04-21 2010-04-22 Acclaren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KR100933177B1 (ko) 2008-07-15 2009-1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균 재흡인 카테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224A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1079B2 (en) Occlusion catheter for the ascending aorta
JP5946195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1125626B1 (ko) 벌룬 카테터
EP1557193B1 (en) Balloon catheter
US20160317784A1 (en) Adjustable Bent Sheath Tube
US20070293754A1 (en) Probe With Asymmetric Balloon
US20130144298A1 (en) Balloon catheter
JP6311031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KR102113902B1 (ko) 벌룬 카테터
JPWO2006092903A1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2010201027A (ja) 医療用シャフト及び医療用器具
JP4780688B2 (ja) 医療用のカテーテル装置
KR101196730B1 (ko) 벌룬 카테터
CA2342597C (en) Occlusion catheter for the ascending aorta
JP2010259624A (ja) ガイド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30535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CN110475577A (zh) 液压自动穿越球囊/导管
EP1897584A1 (en) Angioplasty catheter
US10492939B2 (en) Deflation needle with stabilizat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CN111801132A (zh) 除结石用球囊导管
JP2015008766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6372904B2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10092733B2 (en) Balloon catheter
JP2013150687A (ja) 瘤治療デバイス及び瘤治療方法
JP2011200587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