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631B1 - 역행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 Google Patents

역행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631B1
KR100932631B1 KR1020067019041A KR20067019041A KR100932631B1 KR 100932631 B1 KR100932631 B1 KR 100932631B1 KR 1020067019041 A KR1020067019041 A KR 1020067019041A KR 20067019041 A KR20067019041 A KR 20067019041A KR 100932631 B1 KR100932631 B1 KR 10093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onograph
retrograde
hands
clock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895A (ko
Inventor
토마스 호울론
스테판 린더
마크-안드레 글래시
Original Assignee
태그-호이어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그-호이어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태그-호이어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6013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8/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04F8/006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electromechanical means running only during the time interval to be measured, e.g. stop-watch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14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a stepping motor
    • G04C3/146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incorporating a stepping motor incorporating two or more stepping motors or roto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8/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04F8/08Means used apart from the time-piece for starting or stopping sam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노그래프의 1/10 초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과, 크로노그래프의 1/100 초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 2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에 관한 것이다. 시, 분 및 초는 문자반의 중앙에서 대응하는 시계 바늘들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크로노그래프 시계,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 지속기간, 문자반, 눈금

Description

역행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Chronograph watch with reverse display}
본 발명은 크로노그래프 시계(chronograph watch) 및 크로노그래프 시계에 대한 동작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카운팅되는 기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새로운 원리를 특징으로 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에 관한 것이다.
크로노그래프 시계들은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모드들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하나의 동작 모드는 현재 시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반면, 다른 모드는 이벤트의 정확한 지속기간(duration)이 측정 및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어떠한 전자 수정 크로노그래프들(electronic quartz chronographs)은 1/10초 또는 심지어 1/100초의 분해능으로 지속기간들을 카운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를 갖는 손목 시계의 경우에, 크로노그래프의 표시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문자반(dial) 상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이 제한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특히 1/10 및 1/100의 크로노그래프의 표시들을 디스플레하는 것은 거의 만족스럽지 않은 타협의 결과이다.
보통의 크로노그래프 시계들은 종종 중앙에 3개의 동심성 시계 바늘들(concentric hands)과 부 문자반들(sub-dials) 상에 몇 개의 작은 시계 바늘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앙에서의 시계 바늘을 언급할 때마다, 이는 문자반의 중앙에 또는 이러한 중앙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시계 바늘들을 의미하며, 이의 말단은 문자반의 주위에 인접한 주요 눈금으로 향한다.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어서, 중앙에서의 3개 시계 바늘들은 현재 시간, 분, 및 초를 각각 표시하며, 반면에 부 문자반들의 시계 바늘들은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크로노그래프 모드에 있어서, 카운팅된 지속기간의 시간들, 분들, 및 초들은 부 문자반들의 작은 시계 바늘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시되며, 반면에 1/10초들은 중앙의 초 시계 바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시계 바늘들의 다른 속성들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크로노그래프에 의해 카운팅되는 지속기간을 판독하는 것은 느리며 매우 직관적이지 않다. 한편, 상당한 지속기간 변화들은 중앙에서 분산된 작은 시계 바늘의 극소의 이동(displacements)에 의해서만 표시된다. 다른 한편, 시간, 분, 및 초 표시들은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시계 바늘들의 제 1 세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시계 바늘들의 상이한 세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느 시계 바늘이 각각의 모드에서 어느 표시에 할당되는지를 우선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원형의 부 문자반들은 매우 명확한 인덱스들이 거기에 배치되도록 허용하지 않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중요한 지속기간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중앙에서 분산된 작은 시계 바늘들과, 이러한 지속기간의 일부분(fractrions)을 위한 중앙에서 더 큰 시계 바늘들을 사용하는 것은 반 직관적(counter-intuitive)이다. 마지막으로, 중앙에서의 시계 바늘들은 시간 디스플레이 동안 사용되는 것들보다 훨씬 더 높은 각속도들로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구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동적인 구동 모터들이 이러한 시계 바늘들을 구동하는데 요구되는 반면에, 대형 시계 바늘들의 이러한 빠른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전류 소모가 상당하다.
카운팅되는 분들 또는 시간들의 레트로그레이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들 또한 공지되어 있다. 레트로그레이드 디스플레이는, 본 명세서에서 측정 동안 사용되는 회전의 감지에 반대 방향으로 각 이동(angular displacement)에 의해서만 시계바늘의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시계 바늘에 의한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레트로그레이드 디스플레이들은 개방 곡선에 따른, 예를 들어 원의 세그먼트에 따른 눈금을 포함하고, 이는 더 큰 사이즈 인덱스들이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또한 이러한 경우에, 시간 또는 분 표시들은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중앙 시계 바늘에 의해서 나타내어지고,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상이한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의 해석이 복잡하다. 한편, 카운팅되는 시간들의 레트로그레이드 디스플레이는, 직관적으로 카운팅 및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최대 지속기간을 제한한다. 시계 바늘은 눈금의 끝에 있는 것보다 더 큰 값을 표시할 수 없다.
또한, 중앙에서 동심의 시계 바늘들에 의한 현재 시간과, 추가적인 수치 디스플레이에 의해 크로노그래프에 따라 카운팅되는 지속기간을 디스플레이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들이 공지되어 있다. 수치 디스플레이는 시계의 가격을 증가시키고, 추가적인 미적 제약들을 야기한다.
US5166912에서는 중앙에 레트로그레이드 1/10초들 시계 바늘을 포함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를 기술하고 있다. 시계 바늘은 360°로 폐쇄된 눈금을 가리킨다. 중앙에 배열은 최적이 아니다. 1/10초들 시계 바늘은 시간 또는 분 시계 바늘들에 의해 가려질 위험이 있다. 더욱이, 동일한 축 주위의 시계 바늘들이 증가하는 것은 매우 직관적인 판독이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어느 시계 바늘이 어느 단위(unit)를 표시하는지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책은 기껏해야 카운터의 1/10초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적절하다.
EP1024416에서는 초들의 일부분이 12시에서 작은 개방 눈금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허용하는 기계적 크로노그래프를 기재하고 있다.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이 머신에 대해 견고한 스네일(snail)에 의해 리턴되는 순수하게 기계적인 구성은, 표시될 수 있는 판독 분해능을 상당히 제한한다. 이 기재된 시계는 단지 1/5초들을 표시한다.
EP1211579는 하나의 모드에서 크로노그래프로부터 1/10초들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허용하는 레트로그레이드가 아닌 작은 시계 바늘들을 갖는 기계 장치(movement)에 관한 것이다.
유사하게는, EP1085384에서는 크로노그래프로부터의 1/10초들이 또한 디스플레이되도록 허용하는 레트로그레이드가 아닌 작은 시계 바늘들을 갖는 또 다른 기계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EP130150에서는 1/100초들이 중앙에서 레트로그레이드가 아닌 시계 바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허용하는 전자 크로노그래프 시계를 기술하고 있다.
CH61025에서는 레트로그레이드 분 시계 바늘을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를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시계는 초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WO02/093273은 초들의 레트로그레이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와 수치적 형태로 시간들 및 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계는 또 초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US5959941에서는 크로노그래프의 레트로그레이드 초들의 시계 바늘을 갖는 전자 크로노그래프를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시계는 또 초들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카운팅되는 기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새로운 원리를 특징으로 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특히 크로노그래프의 표시들, 구체적으로 1/10초 또는 심지어 1/100초의 가독성(legibility)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게 판독 및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될 지속기간들의 분해능을 증가시키는 것이며, 이것은 가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시계 바늘들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 소모를 제한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크로노그래프에 의해 카운팅되는 지속기간들의 표시의 문제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보다 직관적으로 대안적인 솔루션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들은 주요 청구항의 특징들을 갖는 시계에 의해, 특히 크로노그래프의 1/10초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3)과 크로노그래프의 1/100초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4)을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솔루션은 크로노그래프의 초들의 일부를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의 추가적인 시계 바늘을 사용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크로노그래프에 의해 카운팅되는 시간들, 분들, 및 초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중앙에 시계 바늘들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초들의 일부분은, 중앙에서 분산되어 작은 사이즈일 수 있으며 측정의 끝에서만 약간 이동할 수 있는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에 의해 표시된다. 그에 따라, 초들의 일부분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발생되는 전기 소모가 최소화된다.
게다가, 상당한 지속기간 변화들은, 사용자가 어떠한 경우에서 판독하는데 사용되는 중앙에서의 큰 시계 바늘에 의해 표시되는 반면, 단지 초들의 일부분은 부 문자반들(sub-dials) 상에 표시된다. 작은 문자반들의 가독성의 부족으로 인한 판독시 가능한 에러들은 결과적으로 측정된 지속기간의 더 작은 일부에 대해서만 어떠한 영향을 갖는다.
1/10초 및 1/100초에 대한 2개의 별개의 눈금들을 사용하는 것은, 큰 사이즈의 인덱스들이 이 2개 눈금들에 따라 배치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예시된 실시예의 기술을 통해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트로그레이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크로노그래프 시계의 3개의 가능한 동작 모드들 사이의 전 환들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크로노그래프 시계의 와인딩 푸시 버튼의 3개 축 위치들을 도식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크로노그래프 시계의 제 1 푸시 버튼의 2개 축 위치들을 도식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크로노그래프 시계의 제 2 푸시 버튼의 2개 축 위치들을 도식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시계의 크로노그래프 모드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노그래프 시계(1)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된 시계는 문자반(11) 위의 시계 바늘들(20 내지 24)을 구동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전자적 기계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스(10) 및 시계줄(12)을 포함한다. 케이스의 측면 상의 와인딩 푸시 버튼(C) 및 2개의 푸시 버튼들(A, B)은 시계를 세팅하고 보조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크로노그래프를 제어하도록 허용한다.
시계 바늘들(20 내지 24)은: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 및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12시간의 문자반의 회전을 완성하기 위해 구동되는 중앙에서의 종래의 시침(20);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 및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60분의 문자반의 회전을 완성하기 위해 구동되는 중앙에서의 종래의 분침(22);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 및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60초의 문자반의 회전을 완성하기 위해 구동되는 중앙에서의 종래의 초침(21); 및
약 7:30에 축(230) 주위를 회전하고 그의 말단은 개방 원 세그먼트를 따라 더블 눈금(113)을 가리키는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3)을 포함한다.
현재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3)은 0에서 3까지 날짜의 10일을 표시한다; 따라서 레트로그레이드 시계바늘의 위치는 각각의 달의 9, 19, 29일 후에 하나의 단위(unit)로 증가된다. 28, 29, 30, 또는 31일 후에, 그 달의 날들의 수에 의존하여, 시계 바늘은 그 시계바늘의 초기 위치 0으로 리턴한다.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3)은 크로노그래프에 의해 카운팅되는 지속기간의 0부터 9까지 1/10초들을 표시한다. 시계 바늘의 말단은 측정의 끝부분에서, 예를 들어 카운팅의 끝에서 또는 중간 시간 디스플레이에서 대응하는 눈금을 향하게 되고, 그 후에 카운터의 리세팅에 따라 시계바늘의 초기 위치로 리턴된다.
눈금(113)은 90°와 180°사이의 원의 세그먼트, 예를 들어 162°의 원의 세그먼트에 따라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시계 바늘(23)은 반시계 방향(d1)으로 방향을 바꿔 증가되고 반대 방향으로 다시 초기화된다.
약 5:30에서 축(240) 주위를 회전하고 그의 말단이 개방 원 세그먼트에 따른 눈금(114)을 가리키는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4). 현재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4)은 0부터 9까지 날짜의 단위들(units)을 표시한다. 따라서 시계바늘의 위치는 각각의 날의 자정에 하나의 단위로 증가된다. 28, 29, 30, 또는 31일 후에, 그 달의 날들의 수에 의존하여, 시계 바늘(24)은 초기 위치 0로 리턴한다.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4)은 크로노그래프에 의해 카운팅되는 지속기간의 0부터 9까지 1/100초들을 표시한다. 시계 바늘의 말단은 측정의 끝부분에서, 예를 들어 카운팅의 끝에서 또는 중간 시간 디스플레이에서 대응하는 눈금을 향하게 되고, 그 후에 카운터의 리세팅에 따라 초기 위치 0로 리턴된다.
눈금(114)은 90°와 180°사이의 원의 세그먼트, 예를 들어 162°의 원의 세그먼트에 따라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문자반의 최적 배열의 가독성 및 미적인 것 때문에, 눈금(114)은 대칭축 6시-12시와 비교하여 눈금(113)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시계 바늘(24)은 시계 방향(d2)으로 방향을 바꿔 증가되고 반대 방향으로 다시 초기화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시계는 시계가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 상태인 경우, 10시 10분 0초이고 날짜가 25일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시계가 정지된 크로노그래프 모드 상태인 경우, 시계는 10시 10분 0초, 25/100의 지속기간을 표시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날짜는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뿐만 아니라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도 하나 또는 몇 개의 윈도우들로 보다 종래의 방식에 따라 표시된다. 그에 따라, 시계 바늘들(23, 24)은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다른 표시들, 예를 들어 동력 보유 시간(power reserve), 추가적인 물리적 센서에 의해 측정된 표시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5개 시계 바늘들(20 내지 24)은 5개의 독립적인 스테핑 모터들(stepping motors)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앙에서 3개의 시계 바늘들(20 내지 22)은 기어들을 통해 초침(21), 분침(22), 및 시침(20)을 직접적으로 구동하는 단일 스테핑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동심원 방식에서 중앙에 배치된 3개의 시계 바늘들(20 내지 22)이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와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동일한 각속도로 구동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단일한 속도를 위해 이러한 시계 바늘들을 구동하는 각각의 모터를 최적화하여, 그에 따라 상이한 각속도들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모터들과 비교하여, 이러한 모터들의 비용, 공간적인 요구, 및 소모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러한 기능들을 위해 양방향 모터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 3개의 중심 시계 바늘들의 12시로의 리턴은 항상 시계 방향으로 수행될 것이다.
그러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23, 24)은 양방향 스테핑 모터들, 즉 공급된 제어 펄스들에 따라 역방향이나 각각의 순방향(d1, d2)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들에 의해 구동된다. 시계 바늘(24)의 모터의 순방향(d2)이 시계 방향인 반면에, 시계 바늘(23)을 구동하는 모터의 순방향(d1)은 시계 반대 방향이다. 역방향은 각각의 2개 모터들에 대해 순방향에서 반대 방향이다. 모터들 둘 다는 통상적인 순방향에서는 소모를 감소시키고 역방향에서는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최적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초기 위치로의 빠른 리턴이 이점하다.
시계 바늘들(23, 24)은, 대응하는 모터에서 현재 각도 위치를 향해 시계바늘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 다이렉트 펄스들의 수와 같은 레트로그레이드 펄스들의 수를 적용함으로써, 시계바늘들의 각각의 초기 위치로 리턴하며, 이는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23, 24) 각각의 리세팅은 요구되는 최소치 보다 더 큰 다수의 레트로그레이드 펄스들을 전달함으로써 수행되는 반면에, 초기 위치는 그에 따라 각각의 기계적 뱅킹들(231, 241)에 의해 결정된다.
크로노그래프의 시간들, 분들, 및 초들은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이러한 동일한 태스크들에 할당된 시계 바늘들에 의해 표시되기 때문에, 카운터의 지속기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특히 읽기 쉽고 직관적이라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23, 24)을 구동하는 모터들의 각각의 축들(230, 240)의 문자반의 사이드에 인접한 배치는 그것들이 중앙의 시계 바늘들을 구동하는 모터들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도록 하여 이용가능한 공간을 더 잘 이용하도록 허용한다. 분들 눈금의 것에 더 가까이 이동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갖는 원의 세그먼트들에 상의 눈금들(113, 114)은 1부터 9까지의 인덱스들이 상당히 멀리 이격되도록 하여, 심지어 1/10초들 및 1/100초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읽기 쉬운 인덱스들이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레트로그레이드 디스플레이들은, 실제로 문자반의 어떠한 위치, 예를 들어 9시 및 3시, 또는 심지어 문자반의 상위 2개의 사분원(two upper quarters), 즉 10:30 및 1:30에서,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중앙에서나 6시나 정오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가변적인 각 폭의 곡선이나 원의 세그먼트들 및/또는 반경들을 갖는 몇 개의 레트로그레이드 디스플레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몇 개의 동심원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 및/또는 중앙에서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프레임 내에서 가능하다. 이러한 추가적인 디스플레이들은 예를 들어 크로노그래프의 추가적인 데이터, 예를 들어 1/1000초들, 하나 또는 몇 개의 중간 시간들, 카운트 다운 등등 및/또는 크로노그래프 모드외의 모드들에서 시계의 표시들이 표시되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문자반의 하위 2개의 사분원들의 점유는, 짧은 지속기간 카운트들의 빈번한 경우에서, 시 또는 분침들에 의해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부분적으로 가려지는 부 문자반들의 하나 또는 다른 것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도 2는 2개의 푸시 버튼들(A, B) 및 와인딩 푸시 버튼(C)의 3개의 제어 기관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창의적인 크로노그래프 시계(1)의 3가지 가능한 동작 모드들 사이의 전환들을 예시하는 상태도이다. 초기에, 시계는 시계 바늘들(20, 21, 22)을 갖는 현재 시간과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23, 24)을 갖는 2개의 날짜 요소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상태(100)에 있다. 단계(101) 동안 와인딩 푸시 버튼(C)을 누름으로써(눌려진 위치 C=-1), 시계는 크로노그래프 모드로 전환한다. 크로노그래프는 우선적으로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23, 24) 둘다를 0에서의 그것들의 초기 위치이거나 또 다른 특정한 위치로 설정하기 위해 다시 초기화된다(단계 102). 동시에, 측정된 지속기간을 카운팅하는 전자 카운터(도시되지 않음)의 상태는 0에서 다시 개시된다.
이러한 초기화 단계(102) 후에, 시계(1)는 단계(103) 동안 크로노그래프 모드로 전환한다. 크로노그래프 모드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이하 추가로 논의될 것이다. 시계(1)는 그 후에 와인딩 푸시 버튼(C) 상에 새로운 누름이 단계(104) 동안 검출될 때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100)로 리턴한다. 다른 이벤트들이 전환(transition)(104)이 발생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단계(105) 동안, 시계는 와인딩 푸시 버튼(C)이 위치(C+1)로 외부로 당겨질 때 시간 디스플레이 상태(100)로부터 시간 세팅 상태로 전환한다. 중앙에서의 시계 바늘들(20 내지 2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은 일방향으로 와인딩 버튼을 회전시켜 정정될 수 있는 반면,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23, 24)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날짜가 단계(106) 동안 다른 방향으로 와인딩 버튼(C)을 회전시킴으로써 정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버튼들(A, B)에 의한 다른 시간 또는 날짜 정정 수단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크로노그래프 모드(103)로부터 시간 세팅 모드(106)로의 직접적 전환은 또한 와인딩 버튼(C)을 외부로 당김으로써 고려될 수 있다.
그 후에, 시계는 안정적인 중간 위치(C=0)로 그것을 대체하기 위해 단계(107) 동안 와인딩 버튼을 누름으로써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로 리턴한다.
단계(108) 동안, 시계는 푸시 버튼들(A, B) 모두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예를 들어 적어도 2초 동안 동시에 눌려질 때, 시간 디스플레이 상태(100)로부터 시계 바늘 동기화 상태(109)로 전환한다. 이러한 모드는 시, 분, 및 초침들을 12시에 다시 세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분침이 정오에 있을 때 시침이 정확하게 12시를 가리키고, 초침이 정오에 있을 때 분침이 또한 12시를 가리킨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단계(109) 동안, 시계 바늘들(20, 21, 22)은 예를 들어 푸시 버튼들(A, B)의 수단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후 시계는 예를 들어 와인딩 푸시 버튼(C)를 간단히 누름으로써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로 리턴한다.
도 3은 크로노그래프 시계의 와인딩 푸시 버튼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3개의 축 위치들(C=-1, C=0, C=+1)을 도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중간 축 위치(C=0)가 안정적이며 크로노그래프 모드와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 모두에서 사용된다; 모드들에 대한 이러한 것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것으로의 전환은 와인딩 푸시 버튼이 불안정한 푸시 다운 위치(C=-1)에 도달하고 안정적인 위치(C=0)를 향한 스프링의 작동하에서 저절로 리턴할 때까지 와인딩 푸시 버튼(C)을 간단히 누름으로써 수행된다.
풀 아웃 위치(C=+1)가 안정적이며 시간 세팅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와인딩 버튼(C)을 외부로 당김으로써 도달된다. 위치(C=+1)에서 와인딩 버튼의 회전이 이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간 및 날짜를 정정하도록 허용한다는 것이 도 3에 기호적으로 상기된다. 시계는 중간 위치(C=0)에서 시간 세팅 모드를 대체하기 위해 와인딩 푸시 버튼(C)을 다시 누름으로써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와 크로노그래프 모드 각각으로 리턴한다.
도 4는 단일의 안정(monostable) 푸시 버튼(A)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2개의 축 위치들(A=-1, A=0)을 도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단지 외부 위치(A=0)만이 안정적이며, 푸시 버튼(A)은 그것이 푸시 다운 위치(A=-1)로부터 해제되자마자 이 위치로 저절로 리턴한다. 푸시 버튼(A)은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카운터를 특히 시작 또는 인터럽트하도록 허용한다.
도 5는 단일의 안정(monostable) 푸시 버튼(B)에 의해 취해질 수 있는 2개의 축 위치들(B=-1, B=0)을 도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단지 외부 위치(B=0)만이 안정적이며, 그것이 푸시 다운 위치(B=-1)로부터 해제되자마자 이 위치로 저절로 리턴한다. 푸시 버튼(B)은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중간 시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특히 카운터를 임시적으로 인터럽트하도록 허용한다.
도 6은 창의적인 시계의 크로노그래프 모드(103)에서의 작동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도 2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와인딩 푸시 버튼(C)을 간단히 누름으로써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100)로부터 크로노그래프 모드에 도달한다. 5개 시계 바늘들은 그것들의 초기 위치에 있어 0을 향해 나타내며, 크로노그래프는 사용자가 푸시 버튼(A)을 눌러서 지속시간 카운팅을 시작하거나 사용자가 와인딩 푸시 버튼(C)을 다시 눌러서 현재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로 리턴하는 단계(200) 동안 대기한다(전환은 도시되지 않음).
사용자가 푸시 버튼(A)을 단순히 누르자마자(단계 201), 크로노그래프가 시작되어 기계 장치 내에서 하나 또는 몇 개의 전자 카운터들이 각각의 1/100초들만큼 증가된다(단계 202). 초침(21), 분침(22), 및 시침(20)은 카운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특정 동안 이동된다. 그러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23, 24)은 움직이지 않는다.
사용자가 푸시 버튼(A)을 다시 누를 때(단계 203), 카운터의 증가분이 인터럽트된다.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23, 24)이 카운터에 의해 도달되는 각각의 1/10초 및 1/100초에 대응하는 위치들을 가리키도록 이동하는 반면에 중앙에서의 시계 바늘들(20, 21, 22)은 즉시 움직이지 않게 된다(단계 210). 이후에, 사용자는 5개 시계 바늘들(20 내지 24)에 의해 카운팅되는 지속기간(전체 시간)을 매우 쉽게 판독할 수 있다.
카운팅 상태(202)로부터, 사용자가 푸시 버튼(B)을 누를 때(단계 204), 버튼이 눌러졌을 때에 카운터에 의해 도달되는 각각의 1/10초 및 1/100초에 대응하는 위치들을 가리키도록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23, 24)이 이동하는 반면에, 중앙에서의 시계 바늘들(20, 21, 22)은 즉시 움직이지 않게 된다(단계 205). 그러나 전자 카운터의 증가는 이러한 단계 동안 계속된다.
중간 시간 디스플레이의 이러한 위치(205)로부터, 사용자가 푸시 버튼(A)을 누르는 경우(단계 206), 크로노그래프가 정지된다. 이후에, 카운터의 증가는 단계(208) 동안 인터럽트되고, 시계는 전체 시간 디스플레이의 상태(210)에 다시 도달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푸시 버튼(B)을 다시 누르는 경우(단계 207),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이 0으로 리턴하는 반면에 초, 분, 및 시침들은 카운터에 의해 도달되는 현재 위치를 다시 회복한다(단계 209). 이후에, 크로노그래프는 카운팅되는 지속기간을 표시하고 지속기간 카운팅을 계속하기 위해 단계(202)로 리턴한다.
단계(210)로부터(전체 시간을 표시하는 정지된 크로노그래프), 푸시 버튼(A)을 누르는 것(단계 211)은 크로노그래프가 새롭고 연속적이지 않은 지속기간의 카운팅을 시작하기 위해 단계(201)로 되돌아 가도록 허용한다; 이후에, 카운터 및 시계 바늘들은 모든 선행하는 측정 사이클들 동안 카운팅되는 전체 지속기간을 표시한다. 한편, 푸시 버튼(B)을 누르는 것(단계 212)은 크로노그래프가 리셋되도록 하여, 모든 시계 바늘들이 크로노그래프 모드를 떠나지 않으면서, 즉 단계(200)로 리턴하여, 그것들의 초기 위치로 다시 돌아가도록 허용한다.
시계는 30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 수정 기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또는 다른 추가적인 모드들에서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들은 예를 들어 보다 많은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 프로그래밍에 의해 기계 장치 제조 이후에 개인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26)

  1. 크로노그래프(chronograph)의 1/10초들을 표시하는 제 1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retrograde hand)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노그래프의 1/100초들을 표시하는 제 2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바늘들의 말단(extremity)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 곡선(open curve)을 따라 이동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노그래프에 의해 카운팅되는 시간 또는 현재 시각을 모드에 따라 표시하는 시침(an hours hand)과,
    상기 크로노그래프에 의해 카운팅되는 분들 또는 현재 분을 모드에 따라 표시하는 분침(a minutes hand)과,
    상기 크로노그래프에 의해 카운팅되는 초들 또는 현재 초를 모드에 따라 표시하는 초침(a seconds hand)을 더 포함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 분 및 초침들은 동심원 방식(concentric fashion)으로 중앙에 배치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5. 제 1 항에 있어서,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지속기간(duration)의 카운팅 동안, 상기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이지 않게 하고 상기 카운팅의 종료에서 상기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이도록 상기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기계 장치(movement)를 포함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6. 제 1 항에 있어서,
    지속기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크로노그래프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모드에 따라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은 상기 다른 모드에서 또 다른 시간 표시를 표시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모드는 현재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은 상기 현재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날짜를 디스플레이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8. 제 5 항에 있어서,
    날짜의 십일(the tens of the date)이 제 1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고, 날짜의 단위들(units of the date)이 제 2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의 말단은 문자반(dial)의 6시-12시 축에 대하여 2개의 대칭적 개방 곡선들을 따라 이동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은 상기 문자반의 3시-9시 축 아래에 배치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이 7:30에 배치되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증분적 눈금(incremental graduation)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 2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은 4:30에 배치되고,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증분적 눈금을 따라 이동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3)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고, 다른 상기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은 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3. 제 1 항에 있어서,
    안정적인 중간 축 위치(a stable intermediary axial position)와,
    상기 크로노그래프 모드로부터 또 다른 디스플레이로의 전환 또는 상기 다른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상기 크로노그래프 모드로의 전환을 야기하는 일시적인 푸시 다운 축 위치(a temporary pushed-down axial position)와,
    상기 시계의 시간이 정정되도록 허용하는 안정적인 풀 아웃 축 위치(a stable pulled-out axial position)를 포함하는 3개의 축 위치들을 갖는 와인딩 푸시 버튼 또는 제어 기관(C)을 포함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4. 제 1 항에 있어서,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상기 크로노그래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기관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은, 크로노그래프 모드로의 전환 동안 미리 결정된 기준 위치를 향해 변위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5. 제 10 항에 있어서,
    시, 분, 및 초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중앙에 시계 바늘들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의 시계 바늘들은, 크로노그래프 모드로의 전환 동안 미리 결정된 기준 위치를 향해 변위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노그래프에 의해 지속기간의 카운팅을 시작하기 위한 제 1 제어 기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이 작동(actuation)의 시간에서 카운팅되는 초들의 부분(fraction)을 표시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을 변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관을 포함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은 상기 카운팅 동안 움직이지 않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8.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은 양방향 스테핑 모터(bidirectional stepping motor)에 의해 가동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핑 모터는 공급된 제어 펄스들에 따라 순방향으로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역방향에서의 상기 스테핑 모터의 회전 속도는 상기 순방향에서의 대응하는 값들과 서로 다른, 크로노그래프 시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은 별개의 스테핑 모터에 의해 각각 제어되고,
    상기 2개의 스테핑 모터들 중 하나의 순방향은 시계 방향이며, 다른 모터의 순방향은 시계 반대 방향이고 ,
    상기 역방향에서의 스테핑 모터들 모두의 회전 속도는 동일한, 크로노그래프 시계.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들은 지속기간의 표시가 크로노그래프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고, 또 다른 표시가 또 다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허용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22.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기준 위치로 적어도 하나의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의 리턴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뱅킹(mechanical banking)을 포함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23. 제 3 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적어도 2개의 푸시 버튼들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시, 분, 및 초침들의 12시로 리타이밍(retiming)을 허용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푸시 버튼들을 포함하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24. 기계 장치에 의해 카운팅되는 지속기간의 초의 부분들(fractions)을 표시하기 위해 레트로그레이드 시계 바늘(23, 24)을 각각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2개의 양방향 모터들을 포함하는 전자기계 시계 기계 장치.
  25. 삭제
  26. 삭제
KR1020067019041A 2004-02-17 2005-02-04 역행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KR100932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39/04 2004-02-17
CH00239/04A CH704948B1 (fr) 2004-02-17 2004-02-17 Montre chronographe électromécanique à affichage rétrograde.
PCT/EP2005/050489 WO2005091086A1 (fr) 2004-02-17 2005-02-04 Montre chronographe a affichage retrogra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895A KR20060131895A (ko) 2006-12-20
KR100932631B1 true KR100932631B1 (ko) 2009-12-21

Family

ID=3496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041A KR100932631B1 (ko) 2004-02-17 2005-02-04 역행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96057B2 (ko)
EP (1) EP1716462A1 (ko)
JP (1) JP2007522478A (ko)
KR (1) KR100932631B1 (ko)
CN (1) CN1914566A (ko)
CH (1) CH704948B1 (ko)
RU (1) RU2361257C2 (ko)
TW (1) TW200537263A (ko)
WO (1) WO20050910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0816B2 (ja) * 2006-03-23 2012-07-11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時間計測機能付きアナログ電子時計
JP4329832B2 (ja) * 2007-03-16 2009-09-09 ヤマハ株式会社 装着型電子装置
NL1037424C2 (nl) * 2009-10-29 2011-05-02 Atte Nicolaas Bakker Chronograaf.
JP5321654B2 (ja) * 2011-08-01 2013-10-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針式電子時計
JP6420965B2 (ja) * 2014-04-23 2018-1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間計測装置
JP6338920B2 (ja) * 2014-04-23 2018-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ナログ電子時計
CN103941573A (zh) * 2014-05-20 2014-07-23 余永健 一种钟表
CH711317A2 (fr) 2015-07-01 2017-01-13 Richemont Int Sa Mécanisme de chronographe à rattrapante rétrograde.
JP6661930B2 (ja) * 2015-09-17 2020-03-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時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8093B2 (ja) * 2016-03-10 2019-05-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針装置、電子時計、電子時計の指針駆動方法、および電子時計の指針駆動プログラム
TWI746663B (zh) * 2016-10-19 2021-11-21 日商精工電子有限公司 時計及時計的控制方法
EP3330809B1 (fr) 2016-12-01 2019-10-16 Omega SA Montre comportant un dispositif d'affichage de quantième
CN108459489B (zh) * 2017-02-17 2021-06-15 精工电子有限公司 机构模块、机芯以及钟表
JP7076194B2 (ja) * 2017-02-17 2022-05-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機構モジュール、ムーブメントおよび時計
US10048652B1 (en) * 2017-05-12 2018-08-14 Tai Wai Luk Analog timepiece with steps illustrating arrangement
JP2019148534A (ja) * 2018-02-28 2019-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計
CN112639629B (zh) 2018-08-28 2022-11-29 百达翡丽日内瓦公司 用于钟表的显示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钟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706A (ko) * 1992-10-05 1994-05-16 김정의 양이온 발생 침구
KR940008706B1 (ko) * 1988-06-17 1994-09-26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KR100278054B1 (ko) * 1993-03-23 2001-01-15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날짜표시기가 있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1025A (fr) * 1912-09-24 1913-09-01 Adrien Aubert Montre chronographe-compteur
JPS54136875A (en) * 1978-04-17 1979-10-24 Seiko Epson Corp Analog electronic watch
CH654717GA3 (ko) * 1983-06-23 1986-03-14
WO1989006387A1 (en) * 1987-12-25 1989-07-13 Citizen Watch Co., Ltd. Display using pointer
JP2542939B2 (ja) * 1990-01-16 1996-10-09 セイコー電子工業株式会社 ストップウォッチ付アナログ電子時計
US5251190A (en) * 1991-02-22 1993-10-05 Citizen Watch Co., Ltd. Electronic timepiece having functional hands
JP3123097B2 (ja) * 1991-03-29 2001-01-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トップウォッチ装置
CH684917B5 (fr) * 1992-08-10 1995-08-15 Ebauchesfabrik Eta Ag Montre avec fonction de quantième.
JP3602205B2 (ja) * 1995-06-30 2004-12-15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電子時計
CH691087A5 (fr) * 1997-04-04 2001-04-12 Gerald Genta Sa Pièce d'horlogerie, notamment montre-bracelet.
CH696713A5 (fr) * 1999-01-28 2007-10-15 Patek Philippe Sa Chronographe mécanique.
SG92738A1 (en) * 1999-09-16 2002-11-19 Ebauchesfabrik Eta Ag Electronic chronograph watch
EP1085384B1 (fr) * 1999-09-16 2008-09-03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ontre chronographe électronique
TW494287B (en) * 2000-11-29 2002-07-11 Ebauchesfabrik Eta Ag Electronic chronograph watch with analogue display
ATE428960T1 (de) * 2000-11-29 2009-05-15 Eta Sa Mft Horlogere Suisse Elektronische chronographuhr mit analoger anzeige
CH694948A5 (de) * 2001-05-14 2005-09-30 Eterna Ag Uhrenfabrik Analoger Chronograph mit digitaler Anzeige.
US6896403B1 (en) * 2002-12-30 2005-05-24 Timex Group B.V. Mode selecting assembly for a timepiece
US7113450B2 (en) * 2003-05-20 2006-09-26 Timex Group B.V.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display functionality
US6975562B2 (en) * 2003-12-05 2005-12-13 Timex Group B.V.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mode operation indicator
JP4475630B2 (ja) * 2004-01-27 2010-06-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変形セグメント歯車を含むぜんまい巻き状態表示装置付き時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706B1 (ko) * 1988-06-17 1994-09-26 세이꼬 엡슨 가부시끼가이샤 아나로그 전자 시계용 ic를 구비하는 아나로그 전자 시계
KR940008706A (ko) * 1992-10-05 1994-05-16 김정의 양이온 발생 침구
KR100278054B1 (ko) * 1993-03-23 2001-01-15 마틴 비에리, 다니엘 파래태 날짜표시기가 있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22478A (ja) 2007-08-09
RU2361257C2 (ru) 2009-07-10
US20060280037A1 (en) 2006-12-14
KR20060131895A (ko) 2006-12-20
EP1716462A1 (fr) 2006-11-02
WO2005091086A1 (fr) 2005-09-29
TW200537263A (en) 2005-11-16
RU2006133327A (ru) 2008-03-27
US7596057B2 (en) 2009-09-29
CN1914566A (zh) 2007-02-14
CH704948B1 (fr) 201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631B1 (ko) 역행 디스플레이를 갖는 크로노그래프 시계
US6570823B1 (en) Electronic chronograph watch
US20140293755A1 (en) Device with functional display and method for time management
JP4558270B2 (ja) 時計ケース
JP4896604B2 (ja) 暦表示装置を備える時計
JP5756208B2 (ja) 単針時計
JPH06300864A (ja) クロノグラフ時計
US20070153636A1 (en) Timepiece with AM/PM indicating
JP2007041011A (ja) 電気アナログ時計
US4726687A (en) Analog timepiece with device for electronic data input
JP2008203261A (ja) クロノグラフ時計
JP4444567B2 (ja) ディジタル表示付アナログクロノグラフ
JP2000065958A (ja) 天文時計
JP2009520197A (ja) 設定/修正機構を備えたマルチモード型電子装置
JP2009539073A (ja) タイムゾーンの変更方法及び時計
JP3027700B2 (ja) 多機能表示時計
JP2018520365A (ja) 腕時計用多機能システム
WO2009040532A1 (en) Single-handed timepiece
JP5212326B2 (ja) アナログ電子時計
JP7259457B2 (ja) 電子時計、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95999B2 (ja) カレンダ表示機構を備えた時計
JP2013253786A (ja) アナログ電子時計
US11209777B2 (en) Electronic timepiece and method of reporting state of electronic timepiece
JP5966453B2 (ja) アナログ表示装置
JPH01124790A (ja) アナログ多機能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