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221B1 -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221B1
KR100932221B1 KR1020070113127A KR20070113127A KR100932221B1 KR 100932221 B1 KR100932221 B1 KR 100932221B1 KR 1020070113127 A KR1020070113127 A KR 1020070113127A KR 20070113127 A KR20070113127 A KR 20070113127A KR 100932221 B1 KR100932221 B1 KR 100932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group
oligomer
beta lactam
be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111A (ko
Inventor
이필호
김선대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2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아제티딘온 유도체를 올리고머화 반응(oligomerization)하여 제조한 신규 구조의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아제티딘온, 베타 락탐, 이량체, 삼량체

Description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β-Lactam oligomers, and preparing method of β-lactam oligomers via dimerization or trimerization of 4-acetoxy-2-azetidinone}
본 발명은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아제티딘온 유도체를 올리고머화 반응(oligomerization)하여 제조한 신규 구조의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로서 잘 알려져 있는 페니실린, 세파로스포린, 세파마이신, 카바페넴, 옥사페넴 등은 2-아제티딘온의 베타락탐을 기본 골격구조로 갖는 대표적 화합물이다. 2-아제티딘온 화합물은 1928년 L. A. Fleming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그 후로 2-아제티딘온 화합물의 구조적, 화학적 특성들로 인하여 수많은 유도체가 합성되었으며, 입체선택성을 갖는 유도체도 다수 개발되어 있다.
하지만 2-아제티딘온 화합물 또는 2-아제티딘온 유도체들은 산에 의해서 쉽게 분해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항생제로서의 역할을 유지 하면서 안정한 구조를 가지는 새로운 2-아제티딘온 유도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의 일환으로서, 다양한 치환기가 도입된 2-아제티딘온 유도체가 연구 또는 개발되고 있다. 그 예로 유기금속을 이용하여 2-아제티딘온 유도체에 알릴 또는 프로파질 유도체들을 도입하는 반응들이 소개되었고, 전이금속을 이용한 고리화 반응을 통해 다양한 이중고리 화합물도 합성하였다. 이외에도 2-아제티딘온 유도체와 관련된 많은 화학반응이 보고되어 있다. (Tetrahedron, 1987, 43, 2467; Chem. Coummn. 1996, 2315; Synth. Commun, 1997, 27, 3083; Synlett, 1999, 4, 447; Tetrahedron Lett. 1999, 39, 1579; J. Chem. Soc. Perkins Trans. 1, 1999, 1695; J. Org. Chem. 2001, 15, 5208; J. Org. Chem. 2002, 67, 1925; Angew. Chem. Int. Ed. 2005, 44, 1846; Chem. Eur. J. 2007, ASAP)
그러나, 본원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는 신규 화합물로서, 이의 제조방법 역시 어느 문헌에도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2-아제티딘온 유도체를 올리고머화 반응(oligomerization)하여 제조된 신규 베타락탐 올리고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신규 베타락탐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를 그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7079899104-pat00001
Figure 112007079899104-pat00002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 또는 R2는 각각 수소원자, 또는 트리에틸실릴, 터셔리부틸디메틸실릴 등을 포함하는 트리(C1-C6알킬)실릴기,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등을 포함하는 C1-C6알킬 카르보닐기, 벤조일 및 페닐아세틸기 중에서 선택된 하이드록시 보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아제티딘온 유도체를 염기 존재하에서 올리고머화 반응(oligomerization)시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를 각각 제조하는 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아제티딘온 유도체를 올리고머화 반응하여 제조된 신규 화합물이다.
Figure 112007079899104-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1 또는 R2는 각각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아제티딘온 유도체를 올리고머화 반응하여 제조하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머화 반응은 염기 존재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염기는 알칼리금속염의 무기염기 예를 들면, 소디움하이드라이드(NaH), 탄산칼륨(K2CO3), 탄산나트륨(Na2CO3)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아민류의 유기염기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Et3N), 피리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염기로서 바람직하기로는 무기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성이 있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무기염기로서 탄산칼륨(K2CO3)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염기의 사용량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아제티디논 유도체에 대하여 1 내지 3 당량비 범위로 사용할 수 있고, 좋기로는 1 당량비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올리고머화 반응에 사용되는 반응 용매로는 통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클로로메탄(CH2Cl2),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아세토니트릴(MeCN)을 사용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기로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올리고머화 반응은 상온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50 ℃ 내지 80 ℃ 온도로 가열하는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반응물질, 염기의 종류, 반응용매의 종류, 반응용매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TLC 등을 통하여 출발물질인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아제티디논 유도체가 모두 소모되었음을 확인 후 반응을 완결시킨다. 반응이 완결되면, 추출 및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시킨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목적물을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베타락탐 올리고머의 합성
Figure 112007079899104-pat00004
질소분위기 하에서 탄산칼륨 (138.0 mg, 1.0 mmol)에 THF (1 mL)를 넣은 후, 여기에 [3R(1'R,4R)]-(+)-4-아세톡시-3-[1-(터셔리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에틸]-2- 아제티디논 (143.0 mg, 0.5 mmol)를 THF (1 mL)에 녹여 첨가한 후 교반 시키면서 70 ℃로 온도를 올렸다. 반응이 종결되면 실온으로 온도를 낮춰준 후 여기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시켰다. 이 혼합물은 디에틸 에테르 (20 mL×3)로 추출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0 mL×3)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 (20 mL×3)으로 씻어주었다. 추출한 유기층은 무수 MgSO4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용매를 제거한 후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이량체 또는 삼량체의 베타락탐 올리고머를 각각 분리하였다.
아세틱 엑시드 3,3'-비스-[1-(터셔리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에틸]-4,4'-디옥소-[1,2']바이아제티디닐-2-일 에스터 :
1H NMR (400 MHz, CDCl3, 25℃, TMS) δ 6.20 (s, 1H), 5.99 (s, 1H), 5.28 (s, 1H), 4.25-4.19 (m, 2H), 3.51 (t, J = 2.47 Hz, 1H), 3.10 (d, J = 2.54 Hz, 1H), 2.10 (s, 3H), 1.26 (d, J = 6.39 Hz, 3H), 1.22 (d, J = 6.39 Hz, 3H), 0.85 (s, 9H), 0.84 (s, 9H), 0.06-0.03 (m, 12H)
아세틱 엑시드 3,3',3"-트리스[1-(터셔리부틸다이메틸실릴옥시)에틸]-4,4',4"-트리옥소-[1,2',1',2"]-테트라아제티딘-2-일 에스터 :
1H NMR (400 MHz, CDCl3, 25℃, TMS) δ 6.09 (s, 1H), 5.80 (s, 1H), 5.33 (d, J = 1.97 Hz, 1H), 5.06 (d, J = 2.02 Hz, 1H), 4.20-4.14 (m, 3H), 3.59 (t, J = 2.27 Hz, 1H), 3.47 (t, J = 2.34 Hz, 1H), 3.10 (d, J = 3.99 Hz, 1H), 2.11 (s, 3H), 1.22-1.15 (m, 9H), 0.81 (s, 27H), 0.04-0.01 (m, 18H)
이상에서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는 문헌에 공개된 바 없는 신규 화합물이며, 이들 신규 화합물은 베타락탐 구조를 모핵으로 갖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에 이용되는 중간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 :
    [화학식 1]
    Figure 112009044134335-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9044134335-pat00006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은 트리(C1-C6알킬)실릴기이고, R2는 벤조일기 또는 아세틸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트리에틸실릴기, 또는 터셔리부틸디메틸실릴기이고,
    상기 R2는 벤조일기 또는 아세틸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
  3. 제 1 항에 있어서,
    아세틱 엑시드 3,3'-비스-[1-(터셔리부틸디메틸실란일옥시)-에틸]-4,4'-디옥소-[1,2']바이아제티디닐-2-일 에스터, 또는
    아세틱 엑시드 3,3',3"-트리스[1-(터셔리디메틸실란일옥시)-에틸]-4,4',4"-트리옥소-[1,2',1',2"]-테트라아제티딘-2-일 에스터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
  4.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아제티딘온 유도체를, 50 ℃ 내지 80 ℃ 온도와 소디움하이드라이드(NaH), 탄산칼륨(K2CO3) 및 탄산나트륨(Na2CO3)으로부터 선택된 염기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올리고머화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베타락탐 올리고머의 제조방법 :
    [화학식 3]
    Figure 112009044134335-pat00007
    [화학식 1]
    Figure 112009044134335-pat00008
    [화학식 2]
    Figure 112009044134335-pat00009
    상기 화학식 1, 2 또는 3에서, R1은 트리(C1-C6알킬)실릴기이고, R2는 벤조일기 또는 아세틸기이다.
KR1020070113127A 2007-11-07 2007-11-07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2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27A KR100932221B1 (ko) 2007-11-07 2007-11-07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27A KR100932221B1 (ko) 2007-11-07 2007-11-07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11A KR20090047111A (ko) 2009-05-12
KR100932221B1 true KR100932221B1 (ko) 2009-12-16

Family

ID=4085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127A KR100932221B1 (ko) 2007-11-07 2007-11-07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2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5560A (en) 1978-12-25 1980-06-27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Azetidinone derivative
US4948885A (en) * 1986-07-21 1990-08-14 Schering-Plough Corp. Synthesis of azetidinones
KR950013767B1 (ko) * 1986-07-10 1995-11-15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키랄성 아제티디논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5560A (en) 1978-12-25 1980-06-27 Yamanouchi Pharmaceut Co Ltd Azetidinone derivative
KR950013767B1 (ko) * 1986-07-10 1995-11-15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키랄성 아제티디논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4948885A (en) * 1986-07-21 1990-08-14 Schering-Plough Corp. Synthesis of azetidinon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etin of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1986), 59(6), 1887-9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11A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3161B1 (en) Intermediates used to make entecavir
EP0013663B1 (en) Process for removing an allylic group from allylic esters, carbonates and carbamates
JP2007538041A (ja) ジフェニルアゼチジノン誘導体の製造方法
EP0928787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amino-pyrrolidine derivatives
KR100932221B1 (ko) 베타락탐 올리고머 및 이의 제조방법
EP1718591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cyclohexenones
KR101059339B1 (ko) 경구 투여용 카르바페넴 화합물의 제조 방법
CN110950836B (zh) 一种苯并二硫杂环戊烯类骨架化合物的制备方法
EP0372699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acyloxy-2-azetidinone derivatives
KR101031143B1 (ko) 경구 투여용 카르바페넴 화합물의 신규 합성 중간체 및그의 제조 방법
CN102531985B (zh) 一种制备依泽替米贝关键中间体的方法
EP0255278B1 (en) Synthesis of azetidinones
JP3954670B2 (ja) カルバペネム抗生物質中間体の製造法
JP2008517967A (ja) フェニル2−ピリミジニルケトン類の製造方法及びその新規中間体
CN112824411B (zh) 一类桥环异吲哚啉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4903956B2 (ja) 7−オキサビシクロ[2.2.1]ヘプト−5−エン−2−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
EP0801057B1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trans-vinyl sulfide alcohols
JP3724854B2 (ja) 1−アザビシクロ[1.1.0]ブタンの製造法
US523506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d-(+)-biotin intermediate
KR0128282B1 (ko) 피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1017561A (ja) アリルアルコール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22939A (en) Process for preparing azetidin-2-one derivatives
JP3684339B2 (ja) カルバペネム化合物の製造方法
CN117209374A (zh) 一种含季碳中心的羟基戊酸化合物及其合成方法
JP4491104B2 (ja) カルボニル化合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