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014B1 -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014B1
KR100931014B1 KR1020080008880A KR20080008880A KR100931014B1 KR 100931014 B1 KR100931014 B1 KR 100931014B1 KR 1020080008880 A KR1020080008880 A KR 1020080008880A KR 20080008880 A KR20080008880 A KR 20080008880A KR 100931014 B1 KR100931014 B1 KR 10093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
substrate
clasp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982A (ko
Inventor
안경철
Original Assignee
(주)광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덕산업 filed Critical (주)광덕산업
Priority to KR102008000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0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65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2)과, 상기 기판(2)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되며 도어의 브라켓(100)이 결합 및 해제되는 걸쇠(4)와, 상기 걸쇠(4)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걸쇠(4)를 내측으로 회전시켜주는 롤러(5)와, 상기 걸쇠(4)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탄성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6)과, 상기 도어의 브라켓(100)과 접촉되도록 기판(2)상에 설치된 전원차단수단(7)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의 정지 후 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승강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성이 방지될 수 있다.
승강기, 도어, 전원, 차단

Description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FREIGHT ELEVATOR'S DOOR LOCK APPARATUS}
본 발명은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의 출발 및 정지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용 승강기는 구조상 도어가 상하로 개폐되도록 설계되며, 카의 승강시에는 도어의 무단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로크장치가 설치된다.
즉, 각 층의 승강장 개구부의 일측벽에 도어로크장치가 설치되며, 카의 이동중에는 도어가 록킹상태에 있게 되고, 카가 정지하였을때 록킹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카가 정지된 후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을 하던 중에도 승강기 제어부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므로 오조작에 의해 카가 출발할 우려가 있어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의 정지 후 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승강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도어의 브라켓이 결합 및 해제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카의 가입시 기판 내로 인입되는 롤러와, 상기 걸쇠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기판에는 상기 도어의 브라켓과 접촉되는 전원차단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전원차단수단은 상기 도어 브라켓과 접촉상태일때 오프되어 상기 카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 브라켓과 분리된 상태에서는 온되어 상기 카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의 정지 후 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승강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성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로크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로크장치(A)는, 기판(2)과, 상기 기판(2)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되며 도어의 브 라켓(100)이 결합 및 해제되는 걸쇠(4)와, 상기 걸쇠(4)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걸쇠(4)를 내측으로 회전시켜주는 롤러(5)와, 상기 걸쇠(4)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탄성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6)과, 상기 도어의 브라켓(100)과 접촉되도록 기판(2)상에 설치된 전원차단수단(7)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2)은 장방형의 금속판재이며 승강장 개구부(미도시)의 측벽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상기 걸쇠(4)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단에 걸림턱(42)이 형성된 것으로, 타단이 기판(2)의 일측에 축핀(43)으로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롤러(5)는 걸쇠(4)의 일측에 돌출된 연결부(44)에 축핀(454)으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스프링(6)은 일단부는 걸쇠(4)에 형성된 돌기(46)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기판(2)에 형성된 단턱(22)에 지지된 나사(62)의 외측에 끼워져 결합된 것으로, 반발력에 의해 걸쇠(4)가 항상 외측으로 회전되려고 하는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전원차단수단(7)은, 일측에 제 1접점(71)이 형성되고 타단에 접지롤러(5)가 형성된 레버(72)와, 상기 레버(72)가 힌지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 1접점(71)에 대응되는 제 2접점(75)이 형성되고 외부 전원선(300)이 연결된 바디(74)와, 상기 레버(72)가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상기 바디(74)와 레버(72)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레버(72)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가 되도록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2는 카가 접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카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을 승강장 개구부(미도시)의 측벽에 수직되게 설치하여 본 발명의 도어로크장치(A)를 각 층마다 설치하게 된다.
이때는, 걸쇠(4)의 걸림턱(42)에 도어의 브라켓(100)이 걸려진 상태이고, 아울러 상기 브라켓(100)이 레버(72)를 가압시킨 상태이므로 제 1 및 제 2접점(71,75)이 접촉되어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다.
이후, 카가 도착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미도시)에 설치된 접지부재(200)가 상기 롤러(5)를 가압하고, 이에 종동되어 걸쇠(4)가 회전하여 내측으로 인입되면 스프링(6)은 압축되고 걸쇠(4)의 걸림턱(42)으로부터 도어의 브라켓(100)이 분리된다.
따라서, 이렇게 도어의 브라켓(100)이 분리된 후 사용자가 승강기 조작부를 조작하여 도어를 자동 또는 수동방식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브라켓(100)이 상기 전원차단수단(7)의 레버(72)를 가압하여 제 1접점(71)과 제 2접점(75)이 접촉된 상태이므로, 카에는 여전히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다.
이후, 도어가 상방으로 개방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100)이 전원차단수단(7)의 레버(72)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탄성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레 버(72)가 회전되고, 제 1접점(71)과 제 2접점(75)이 분리됨으로써 카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불시에 승강기 조작부를 조작하더라도 카의 작동은 불능상태이므로 사고발생의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도어를 닫으면 브라켓(100)이 하강하다가 레버(72)를 가압하게 되고, 제 1 및 제 2접점(71,75)이 접촉됨으로써 다시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카의 운행이 가능하게 되며, 카가 이동하면 스프링(6)이 팽창되면서 발생된 탄발력에 의해 롤러(5) 및 걸쇠(4)가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걸쇠(4)의 걸림턱(42)에 도어의 브라켓(100)이 걸려진 상태가 되어 도어의 무단 개방이 방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로크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2는 카가 접촉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카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기판 4 : 걸쇠
5 : 롤러 6 : 스프링
42 : 걸림턱 71 : 제 1접점
72 : 레버 74 : 바디
75 : 제 2접점

Claims (2)

  1. 기판(2)과,
    상기 기판(2)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되며 도어의 브라켓(100)이 결합 및 해제되는 걸쇠(4)와,
    상기 걸쇠(4)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카의 가압에 따라 상기 걸쇠를 내측으로 회전시켜주는 롤러(5)와,
    상기 걸쇠(4)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탄성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6)과,
    상기 도어의 브라켓(100)과 접촉되도록 기판(2)상에 설치된 전원차단수단(7)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수단(7)은, 일측에 제 1접점(71)이 형성되고 타단에 접지롤러(5)가 형성된 레버(72)와, 상기 레버(72)가 힌지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제 1접점(71)에 대응되는 제 2접점(75)이 형성되고 외부 전원선이 연결된 바디(74)와, 상기 레버(72)가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상기 바디(74)와 레버(72)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
KR1020080008880A 2008-01-29 2008-01-29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 KR10093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80A KR100931014B1 (ko) 2008-01-29 2008-01-29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880A KR100931014B1 (ko) 2008-01-29 2008-01-29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982A KR20090082982A (ko) 2009-08-03
KR100931014B1 true KR100931014B1 (ko) 2009-12-10

Family

ID=4120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880A KR100931014B1 (ko) 2008-01-29 2008-01-29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957B1 (ko) * 2009-12-11 2012-11-13 한영일 승강기 도어 록킹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038B1 (ko) * 2014-10-23 2015-07-28 수림엘리베이터(주) 장애인 이동수단의 에스컬레이터 탑승용 대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872U (ja) 1982-05-28 1983-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KR200436777Y1 (ko) * 2007-02-13 2007-10-02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0872U (ja) 1982-05-28 1983-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装置
KR200436777Y1 (ko) * 2007-02-13 2007-10-02 주식회사 금호엘리베이터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957B1 (ko) * 2009-12-11 2012-11-13 한영일 승강기 도어 록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982A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321B2 (en) Maintenance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a operation method thereof
JP4644125B2 (ja) 伸縮式敷居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アセンブリー
US8844984B2 (en) Door lock device
KR100931014B1 (ko)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로크장치
US9714532B2 (en) Latch assembly with pawl switch override device
KR20080061625A (ko) 인터럽팅 기능을 갖는 파워 클로징 도어 래치
JP4891495B2 (ja) 開閉器用操作器
JP2015030606A (ja) エレベータ乗場戸の解錠装置
CN108240143B (zh) 锁具及屏蔽门
JP2012249429A (ja) 引出形遮断器
JPH11191331A (ja) 点検用ドアインターロック
AU2014350781B2 (en) Secondary locking device, hopper car bottom door and hopper car
KR100809357B1 (ko)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KR101382281B1 (ko) 차량의 연료도어 장치
CN110939340A (zh) 一种门锁及其控制装置
KR101007232B1 (ko) 자동 드럼세탁기의 도어록킹장치
JP2013119476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2000184598A (ja) 電気機器
JP2012075681A (ja) 洗濯機のドアスイッチ装置
CN104326346B (zh) 电梯门锁
CN105668394A (zh) 一种自锁型电梯组件
CN206385937U (zh) 锁具及屏蔽门
JP2008110872A (ja) 昇降機のキャビンの扉のための能動的なシュート
JP5009706B2 (ja) 安全スイッチ
CN214886243U (zh) 一种半高门电磁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