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721B1 -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721B1
KR100930721B1 KR1020080029691A KR20080029691A KR100930721B1 KR 100930721 B1 KR100930721 B1 KR 100930721B1 KR 1020080029691 A KR1020080029691 A KR 1020080029691A KR 20080029691 A KR20080029691 A KR 20080029691A KR 100930721 B1 KR100930721 B1 KR 10093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zone
channel zone
synchronization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454A (ko
Inventor
권성호
모희숙
이동한
배지훈
최길영
표철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9005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Interference-related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01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resolving collision on th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simultaneously or concurrently interrogat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1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 G06K7/103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using at least one antenna particularly designed for interrogating the wireless record carriers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e.g. configurations including means to resolve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2001/7154Interference-related aspects with means for preventing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채널 존 생성 방법은 복수 개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에 미리 정해진 동기 신호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채널 존이 존재하는 경우 선택된 채널에 흐르는 동기 신호를 바탕으로 채널 존에 속하는지를 판단한 후, 채널 존에 속하는 경우, 채널 존을 위한 중재 리더와 함께 채널 존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인접한 리더간의 간섭, 인접 채널간의 간섭 및 동일 채널의 충돌을 줄이고, 태그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Figure R1020080029691
RFID, 채널, 리더, 간섭

Description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 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METHOD FOR GENERATING CHANNEL ZONE AND METHOD FOR IDENTIFING TAG USING CHANNEL ZONE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 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리더가 채널 존을 생성하는 방법 및 다수 개의 리더가 채널 존을 이용하여 태그를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23-02, 과제명: RFID 시스템 고도화 기술개발].
기존의 무선식별 시스템(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RFID 시스템)에서 다수 개의 리더는 주파수 천이(Frequency Hopping, FH) 방식 또는 액세스 전 채널 모니터(Listen Before Talking, LBT) 방식을 통해 한정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태그를 식별한다.
이때 주파수 천이 방식은 리더가 태그를 식별할 때 임의로 주파수를 선택하 여 일정시간 동안 사용한 후 다른 주파수로 천이하는 방식이고, 액세스 전 채널 모니터 방식은 무선 자원을 점유하기 전에 무선 자원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이 가능한 경우에 일정시간 동안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동시에 동작을 원하는 리더의 개수가 사용 가능한 채널 개수보다 많은 경우, 다수 개의 리더가 한정된 무선 자원을 경쟁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인접 채널간의 간섭 현상 및 동일 채널의 충돌 현상 등으로 인해 태그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채널 점유를 위한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 개의 리더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채널 존을 이용하여 리더의 태그 인식률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채널 존 생성 방법은 복수 개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채널에 미리 정해진 동기 신호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채널 존이 존재하는 경우, 선택된 채널에 흐르는 동기 신호를 바탕으로 채널 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채널 존에 속하는 경우, 채널 존을 위한 중재 리더와 함께 채널 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채널 존 생성 방법은 채널 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채널 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채널을 다시 선택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채널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 복수 개의 채널에서 선택된 채널을 제외한 일부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채널 존 생성 방법은 채널을 다시 선택하지 않는 경우, 복수 개의 채널 중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을 통해 동기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는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이 복수 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 개의 동기 신호 가 흐르지 않는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송출하는 단계는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을 통해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채널 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동기 신호를 바탕으로 중재 리더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거리를 바탕으로 채널 존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계산하는 단계는 동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채널 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거리와 미리 정해진 특정 값을 비교하여 채널 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태그 식별 방법은 복수 개의 리더 중 어느 하나의 리더가 태그를 식별하는 태그 식별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리더는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에 포함되며, 태그 식별 방법은 채널에 흐르는 신호를 감지하여,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채널을 통해 채널 점유 신호를 송출하여 채널을 점유하는 단계, 채널을 통해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질문 신호를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채널을 통해 태그로부터 질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태그 식별 방법은 채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일정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일정시간이 지난 후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판단하는 단계는 채널에 채널 점유 신호가 흐르는지 감지하여,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은 복수 개의 채널 존을 형성하고 채널 존을 이용하여 태그를 식별함으로써 인접한 리더간의 간섭, 인접 채널간의 간섭 및 동일 채널의 충돌을 줄이고, 태그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채널이 사용되지 않고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 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100)은 20개의 리더(R1~R2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채널을 이용하여 태그를 식별한다. 20개의 리더(R1~R20)의 각각은 복수 개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통해 태그를 식별한다.
이때 20개의 리더의 각각은 주파수 천이 방식 또는 액세스 전 채널 모니터 방식에 따라 복수 개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점유한 후,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20개의 리더의 각각은 복수 개의 리더가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는 채널 존(Channel Zone)을 생성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동기 신호를 바탕으로 채널 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동기 신호를 송신하는 리더는 해당 채널 존의 중재 리더(Mediator)에 해당하고, 동기 신호를 수신한 리더는 수신한 동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거리를 계산 한 후, 계산된 거리를 바탕으로 채널 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무선식별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리더 중 하나의 리더는 대역폭이 동일한 복수 개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한다(S101).
다음, 리더는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103). 이때 리더는 선택된 채널에 흐르는 신호를 감지하여, 선택된 채널에 동기 신호가 흐르는지에 따라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리더는 선택된 채널에 동기 신호가 흐르는 경우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선택된 채널에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경우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이 존재하는 경우, 리더는 해당 채널 존을 위한 중재 리더와 리더간의 거리를 계산한다(S105). 이때 리더는 선택된 채널에 흐르는 동기 신호를 바탕으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리더는 선택된 채널에 흐르는 동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다음, 리더는 계산된 거리를 바탕으로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107). 이때 리더는 계산된 거리와 특정 값을 비교하여, 계산된 거리가 특정 값보다 작은 경우 리더가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에 속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계산된 거리가 특정 값보다 큰 경우 리더가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 는 채널 존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만약, 리더가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에 속하는 경우, 리더는 중재 리더와 함께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을 형성한다(S109).
한편, 리더가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에 속하지 않는 경우 또는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리더는 채널을 다시 선택할지를 판단한다(S111). 이때 리더는 복수 개의 채널 중 한번 선택되었던 채널을 제외하고 선택할 수 있는 채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채널을 다시 선택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채널 중 한번 선택되었던 채널을 제외하고 선택할 수 있는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리더는 채널을 다시 선택하고, 복수 개의 채널 중 한번 선택되었던 채널을 제외하고 선택할 수 있는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리더는 채널을 다시 선택하지 않는다.
만약, 채널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 리더는 복수 개의 채널 중 한번 선택되었던 채널을 제외한 일부 중 하나를 선택한다(S113). 이때 리더는 다시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S103),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채널을 다시 선택하지 않는 경우, 리더는 복수 개의 채널 중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을 선택한다(S115). 이때 동기 신호가 흐리지 않는 채널이 복수 개인 경우, 리더는 미리 정해진 우선 순서에 따라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 리더는 선택된 동기 신호가 흐리지 않는 채널을 통해 동기 신호를 송출한다(S117). 이때 리더는 동기 신호를 송출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을 위한 중재 리더로서 동작하게 된다. 또한 리더는 미리 정해진 방식에 대응하는 동기 신 호를 송출할 수 있고, 또한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존 생성 방법에 따라 생성된 무선식별 시스템의 채널 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의 채널 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100)은 4개의 채널 존 즉, 제1 채널 존(110), 제2 채널 존(130), 제3 채널 존(150) 및 제4 채널 존(170)을 포함한다.
제1 채널 존(110)은 5개의 리더(R1, R5, R6, R13, R17)를 포함하고, 5개의 리더는 복수 개의 채널 중 제1 채널을 사용한다. 이때 5개의 리더 중 하나의 리더가 제1 채널의 중재 리더에 해당하고, 5개의 리더 중 하나의 리더만이 제1 채널을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채널 존(130)은 5개의 리더(R2, R9, R14, R18, R20)를 포함하고, 5개의 리더는 복수 개의 채널 중 제2 채널을 사용한다. 이때 5개의 리더 중 하나의 리더가 제2 채널의 중재 리더에 해당하고, 5개의 리더 중 하나의 리더만이 제2 채널을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3 채널 존(150)은 5개의 리더(R3, R10, R11, R12, R15)를 포함하고, 5개의 리더는 복수 개의 채널 중 제3 채널을 사용한다. 이때 5개의 리더 중 하나의 리더가 제3 채널의 중재 리더에 해당하고, 5개의 리더 중 하나의 리더만이 제3 채널을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4 채널 존(170)은 5개의 리더(R4, R7, R8, R16, R19)를 포함하고, 5개의 리더는 복수 개의 채널 중 제4 채널을 사용한다. 이때 5개의 리더 중 하나의 리더가 제4 채널의 중재 리더에 해당하고, 5개의 리더 중 하나의 리더만이 제4 채널을 점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복수 개의 리더가 채널 존을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리더간의 간섭 및 인접 채널간의 간섭을 줄이고, 채널 존에 포함된 복수 개의 리더가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게 하여 동일 채널의 충돌을 줄인다.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을 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을 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복수 개의 리더 중 어느 하나의 리더가 태그 식별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301). 이때 리더는 제1 채널을 공유하는 제1 채널 존에 포함된다.
다음, 리더는 제1 채널에 흐르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1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303). 이때 리더는 제1 채널에 채널 점유 신호가 흐르는지를 감지하여, 제1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리더는 제1 채널에 채널 점유 신호가 흐르는 경우 제1 채널의 사용을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고, 제1 채널에 채널 점유 신호가 흐르지 않는 경우 제1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만약, 제1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리더는 제1 채널을 통해 채널 점유 신호를 송출하여 제1 채널을 점유한다(S305). 이때 제1 채널 존에 속하는 다른 리더는 채널 점유 신호에 따라 제1 채널이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음, 리더는 제1 채널을 통해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질문 신호를 태그로 전송한다(S307).
이후, 리더는 제1 채널을 통해 태그로부터 질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309). 이를 통해 리더는 수신된 응답 신호를 통해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1 채널의 사용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리더는 일정시간 동안 대기한다(S311). 이때 리더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다시 제1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S303),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채널 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리더가 하나의 채널을 경쟁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채널 존 내에서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채널이 사용되지 않고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식별 방법에 따라 무선식별 태그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식별 방법에 따라 무선식별 태그를 식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100)은 제1 채널을 공유하는 제1 채널 존(110) 및 제2 채널을 공유하는 제2 채널 존(130)을 포함하고, 제1 채널 존(110)에 포함된 제1 리더(R5)(111) 및 제2 채널 존(130)에 포함된 제2 리더(R9)(131)이 태그(200)를 식별하기 위해 시도한다.
이때 제1 리더(111)는 제1 채널을 통해 태그(200)로 제1 질문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리더(131)는 제2 채널을 통해 태그(200)로 제2 질문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리더가 하나의 태그를 식별하는 경우, 복수 개의 리더가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태그를 중복 식별하기 때문에, 무선식별 시스템(100)의 태그 인식률이 높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의 채널 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을 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식별 방법에 따라 무선식별 태그를 식별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1)

  1. 복수 개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채널에 미리 정해진 동기 신호가 흐르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채널 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채널에 흐르는 상기 동기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채널 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채널 존을 위한 중재 리더와 함께 상기 채널 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존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채널 존에 속하지 않는 경우, 채널을 다시 선택할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채널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채널에서 상기 선택된 채널을 제외한 일부의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존 생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채널을 다시 선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채널 중 상기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을 통해 상기 동기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채널 존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이 복수 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 개의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존 생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신호가 흐르지 않는 채널을 통해 수신 신호 강도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대응하는 동기 신호를 송출하는 채널 존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중재 리더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채널 존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존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존 생성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와 미리 정해진 특정 값을 비교하여 상기 채널 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존 생성 방법.
  9. 복수 개의 리더 중 어느 하나의 리더가 태그를 식별하는 태그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더는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는 채널 존에 포함되며,
    상기 태그 식별 방법은
    상기 채널에 흐르는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채널을 통해 채널 점유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채널을 점유하는 단계;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태그를 식별하기 위한 질문 신호를 상기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질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식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일정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일정시간이 지난 후 상기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그 식별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에 상기 채널 점유 신호가 흐르는지 감지하여, 상기 채널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그 식별 방법.
KR1020080029691A 2007-11-28 2008-03-31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 KR100930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1990 2007-11-28
KR1020070121990 200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454A KR20090055454A (ko) 2009-06-02
KR100930721B1 true KR100930721B1 (ko) 2009-12-09

Family

ID=4098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691A KR100930721B1 (ko) 2007-11-28 2008-03-31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7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415A (ko) * 2005-09-23 200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rfⅰ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rfⅰd 리더와 태그
KR20070072253A (ko) * 2005-12-31 2007-07-04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모바일 알에프 아이디 시스템에서 에어-채널 액세스 방법및 이를 이용한 태그 존 구획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415A (ko) * 2005-09-23 200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rfⅰ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rfⅰd 리더와 태그
KR20070072253A (ko) * 2005-12-31 2007-07-04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모바일 알에프 아이디 시스템에서 에어-채널 액세스 방법및 이를 이용한 태그 존 구획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454A (ko) 200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9148B2 (ja) 不正アクセスポイント接続阻止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及び無線lanシステム
JP2009523351A (ja) 無線タグシステムにおけるリーダー機間の衝突防止方法
CN10184305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用于发送业务的请求的方法和设备
RU2006111717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соседних узлов внутри системы связи пикостей
CN106096476A (zh) 一种rfid系统中基于多信道的阅读器碰撞避免方法
KR20100064181A (ko) 리더 충돌 방지 방법, 이를 포함하는 rfid 리더의 구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rfid 리더
JP4988472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Yu et al. Reducing reader collision for mobile RFID
US20080055085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Rfid Systems
CN114760607A (zh) 管理系统以及扩充基座装置以及控制网状网络的服务器
WO2006011195A1 (ja) Rfid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される質問器
JP2001136100A (ja) 情報通信処理方式
KR100930721B1 (ko)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
CN109073739A (zh) 用于降低碰撞危险的设备和方法
US7307964B2 (en) Contact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arrier used for the same
KR20120066566A (ko) 무선 주파수 식별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712881B1 (ko) 이동 리더기간의 충돌 회피방법
KR101476403B1 (ko) 리더기간 충돌 방지 프로토콜이 적용된 rfid 리더기 및그 동작 방법
JP4037421B2 (ja) タグシステム、icタグ、icタグ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915573B2 (ja) 無線認証システムおよびそのセンサ
JP4966725B2 (ja) 無線認証システムおよびそのセンサ
JP2008294604A (ja) 無線認証システムおよびそのセンサ
JP2009259155A (ja) 車両通行履歴管理システム
CN104077155A (zh) 移动设备上应用程序的启动
JP4853347B2 (ja) 無線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