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415A - 모바일 rfⅰ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rfⅰd 리더와 태그 - Google Patents

모바일 rfⅰ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rfⅰd 리더와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415A
KR20070034415A KR1020060024482A KR20060024482A KR20070034415A KR 20070034415 A KR20070034415 A KR 20070034415A KR 1020060024482 A KR1020060024482 A KR 1020060024482A KR 20060024482 A KR20060024482 A KR 20060024482A KR 20070034415 A KR20070034415 A KR 2007003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reader
frequency
channel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9982B1 (ko
Inventor
이동한
모희숙
배지훈
권성호
최길영
표철식
채종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7003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9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n access point and the access point contro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모바일 RFI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RFID 리더와 태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 방법은 복수의 채널들로 구성되는 극초단파(UHF) 대역을 사용하는 RFID 환경에서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기설정된 개수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리더 주파수 대역 할당단계;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상기 리더 채널영역을 제외한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태그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태그 주파수 대역 할당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더는 PIE(Pulse Interval Encoding) 부호화 방식과,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태그는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부호화 방식과,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점유방식은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리더의 사용 주파수 채널을 일정 채널 간격을 두고 설정하고 상기 간격을 구성하는 채널 영역을 태그의 후방 산란 신호의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함으로써, 송신 주파수 채널과 수신 주파수 채널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충분히 확보하고 리더의 송수신 분리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태그 개수 는 적고 리더 개수는 많은 모바일 RFID 환경에서 LBT 주파수 점유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리더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모바일 RFID, dense-interrogator environment, ISO/IEC 18000-6C, PIE(Pulse Interval Encoding), FM0(Frequency Modulation 0),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Description

모바일 RFⅠ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RFⅠD 리더와 태그{Frequency Allocation Method between Reader and Tag at Mobile RFID environment, RFID Reader therefor and RFID Tag thereof}
도 1은 종래 국내의 RFID/USN 무선 설비에 대한 주파수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모바일 RFID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설비 주파수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ISO/IEC 18000-6C 국제 표준 규격을 사용할 경우의 무선설비 주파수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ISO/IEC 18000-6C 국제 표준 규격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RFID 리더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1 : 반송파 주파수 결정부 512 : DR(Divide Ratio) 결정부
513 : Tari 결정부
514 : TRcal(Tag-to-Reader calibration symbol) 결정부
516 : M 결정부 520 : 메시지 생성부
530 : 부호화부 540 : 변조부
본 발명은 모바일 RFI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RFID 리더와 태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그 개수는 적고 리더 개수는 많은 모바일 RFID 환경에서 리더 사이의 충돌을 줄이고 태그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RFID 리더와 태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은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태그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독출하거나 기록함으로써 태그가 부착된 물건이나 동물, 사람 등을 인식, 추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RFID 시스템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지니고 물건이나 동물 등에 부착되는 다수의 태그(electronic tag 또는 transponder; 이하 간단히 '태그'라 한다)와 상기 태그의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RFID 리더(Reader 또는 Interrogator)로 구성된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리더와 태그 사이의 상호 통신 방식에 따라 상호 유도 방식과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되고, 태그가 자체 전 력으로 동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되며, 사용하는 주파수에 따라 장파, 중파, 단파, 초단파, 및 극초단파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규격이 제정되거나 제정 준비 중에 있다.
한편,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라 함은 필요한 모든 곳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상기 태그가 부착된 사물의 인식정보는 물론 주변의 환경정보까지 탐지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궁극적으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란 모든 사물에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네트워크, 디바이스, 서비스 종류에 관계없이 통신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RFID/USN 무선 설비의 주파수 대역으로는 UHF(Ultra-High Frequency; 극초단파)(860-960MHz) 대역이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수동형 RFID/USN 무선 설비는 908.5~914MHz 범위에서 채널 대역폭(channel BW) 200kHz로 FHSS 또는 LBT 방식의 주파수 점유 방식을 사용하여 엑세스(Access)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방식은 간섭회피를 위해 여러 채널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기설정되는 채널 점유 시간이 지나면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옮겨가는 방식으로서, 사용 주파수 대역이 넓은 미국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다. 이와 대비되는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사용 가능한 채널을 탐지하여 채널이 빈 경우에만 통신하는 방식으로서, 사용 주파수 대역이 협소한 유럽 등에서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다.
RFID 리더의 동작 환경은 미리 정해진 영역(예를 들어, 반경 1km 이내의 영 역)에 존재하는 리더의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예를 들어 25개의 주파수 채널이 사용 가능한 환경을 가정할 때, single-interrogator environment라 함은 하나의 리더만이 존재하는 환경을 말하고, multiple-interrogator environment는 2개 이상 25개 이하의 리더가 존재하는 환경을 말하며, 마지막으로 dense-interrogator environment는 25개 이상의 리더가 존재하는 환경을 말한다. 한편, 리더의 인코딩 방식은 PIE(Pulse Interval Encoding) 방식이 사용되며, 변조 방식으로는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SSB-ASK(Sing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또는 PR-ASK(Phase-Reversal Amplitude-Shift Keying) 방식이 사용된다. 또한, 태그의 인코딩 방식은 FM0(Frequency Modulation 0) 방식 또는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방식이 사용되며, 변조 방식으로는 ASK(Amplitude-Shift Keying) 또는 PSK(Phase-Shift Keying) 방식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국내의 RFID/USN 무선 설비에 대한 주파수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내 수동형 RFID/USN 무선 설비에 대한 주파수 할당은 908.5~914MHz의 범위에 걸쳐 200kHz의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총 채널의 개수는 27개가 된다.
도 1의 <A>는 single-interrogator environment 또는 multiple-interrogator environment 환경에서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보여준다. 큰 사다리꼴은 리더에서 40kbps의 데이터 전송속도(data rate)에 대하여 DSB-ASK 변조를 수행한 경우의 주 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며, 작은 사다리꼴은 태그에서 40kbps의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하여 FM0 방식으로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DSB-ASK 변조로 응답한 경우의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의 <A>에서 리더는 27개의 가용채널 가운데 하나의 채널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태그는 리더가 사용한 채널을 사용하여 응답한다.
한편, 도 1의 <B>는 dense-interrogator environment 환경에서 종래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보여준다. 큰 사다리꼴은 리더에서 40kbps의 데이터 전송속도(data rate)에 대하여 SSB-ASK 또는 PR-ASK 변조를 수행한 경우의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내며, 작은 사다리꼴은 태그에서 40kbps의 데이터 전송속도에 대하여 밀러 서브캐리어 방식으로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DSB-ASK 변조로 응답한 경우의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낸다. 도 1의 <B>에서 리더는 각각의 가용 주파수 채널의 일부 주파수 대역만을 사용하며, 태그는 인접한 2개의 가용주파수 채널에 걸쳐 리더가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여 응답한다.
도 2는 모바일 RFID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RFID 환경에서 사용자는 무선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RFID 리더를 이용하여 태그로부터 제품(예를 들어, 영화 포스터)의 ID 정보를 읽어들인 후,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예를 들어, 포스터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그 상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RFID 환경에서는 리더가 태그로부터 태그 ID(TID) 또는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만 획득하면 무선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를 통해 태그에 대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리더와 태그 간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할 필요성이 적다.
상기와 같은 모바일 RFID 환경은 대부분 태그 개수는 적고 리더 개수는 많기 때문에 복수 개의 리더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주파수 할당 방법은 송신 주파수 채널과 수신 주파수 채널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며, 무선통신단말기에 집적화된 소형의 리더를 연동시키는 경우 리더의 송수신 분리도(isolation)를 많이 확보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데 성능의 열화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도 1의 <B>의 dense-interrogator environment 환경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리더는 SSB-ASK 또는 PR-ASK 변조 방식을 사용해야 하지만, 이러한 변조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I(In-phase) 채널과 Q(Quadrature-phase) 채널의 위상차를 생성해야 하고 SSB-ASK의 경우에는 두 개의 믹서(mixer)를 필요로 하는 등의 관계로 리더의 하드웨어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주파수 할당 방법은 태그가 협소한 제한 주파수 범위 내에서 응답해야 하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느려지고 그에 따른 성능 열화를 가져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태그 개수는 적고 리더 개수는 많은 모바일 RFID 환경에서 리더 사이의 충돌을 줄이고 태그의 응답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RFID 리더와 태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 집적화된 소형의 리더를 연동시키는 경우에도 적절한 송수신 분리도(isolation)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RFID 리더와 태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RFID 환경에서 동작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등에 장착되는 리더의 하드웨어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RFID 리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채널들로 구성되는 극초단파(UHF) 대역을 사용하는 RFI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의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기설정된 개수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리더 주파수대역 할당단계;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상기 리더 채널영역을 제외한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태그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태그 주파수대역 할당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리더는 PIE(Pulse Interval Encoding) 부호화 방식과, DSB-ASK(Double- 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태그는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부호화 방식과,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점유방식은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리더 주파수대역 할당단계는, 상기 리더 채널영역에 사용가능한 채널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채널 가운데 리더 송신신호의 주파수대역으로 사용할 채널을 선택하는 리더 송신채널 선택단계; 및 상기 송신채널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를 리더 송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로 하여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태그 주파수대역 할당단계는, 태그 송신신호의 링크주파수(Link Frequency)를 결정하는 태그 링크주파수 결정단계; 및 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 대역폭(Bandwidth)을 결정하는 태그 주파수대역폭 결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 링크주파수 결정단계는, 분할비(Divide Ratio)와 TRcal(Tag-to-Reader calibration symbol)을 결정함으로써 태그 링크주파수를 결정하며, 이렇게 결정되는 태그 링크주파수와 함께 태그의 밀러 서브캐리어 부호화에 있어 밀러 시퀀스가 비트당 몇 개의 부사이클을 포함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M 값을 결정함으로써 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대역폭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결정되는 태그 링크주파수와 태그 주파수대역폭을 통해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리더 송수신 신호의 격리(isolation)를 위한 충분한 가드 밴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더기는 복수의 채널들로 구성되는 극초단파(UHF) 대역을 이용하는 RFID 환경에서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방식을 사용하는 태그와 동작하는 리더기로서, 리더 송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극초단파 대역의 RFID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PIE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를 사용하여 상기 부호화된 메시지 데이터를 DSB-ASK 변조하는 변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기설정된 개수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의 주파수를 반송파 주파수로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 송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결정하는 반송파 주파수 결정부; 분할비(Divide Ratio;DR)를 결정하는 DR 결정부; 상기 태그의 밀러 서브캐리어 부호화에 있어 밀러 시퀀스가 비트당 몇 개의 부사이클을 포함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M 결정부; 및 상기 분할비(DR)와 함께 태그의 링크 주파수를 결정하는 TRcal(Tag-to-Reader calibration symbol) 값을 결정하는 TRcal 결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분할비(DR)와 M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TRcal 값을 참조하여 PIE를 수행한다. 상기 분할비(DR), TRcal 값, 및 M 값은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상기 M 값은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리더의 송신신호에 대하여 충분한 가드 밴드(guard band)를 확보하고 태그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 더기는 태그와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으로 주파수를 점유하며, 이를 위해 상기 반송파 주파수 결정부는 리더 채널영역에 사용가능한 채널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채널 가운데 선택되는 채널의 주파수를 반송파 주파수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그는 PIE(Pulse Interval Encoding)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며 극초단파(UHF) 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기설정된 개수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리더 송신신호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하는 RFID 리더기와 동작하는 RFID 태그로서,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서 상기 리더 채널영역을 제외한 채널들 가운데 상기 리더 송신신호의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는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분할비(Divide Ratio; DR)와 TRcal(Tag-to-Reader calibration symbol) 값 및 M 값을 리더기로부터 전달받아 태그 송신신호의 링크주파수(Link Frequency)와 전송속도 및 대역폭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는 리더와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으로 주파수를 점유한다.
한편, 본 발명의 RFID 시스템은 복수의 채널들로 구성되는 극초단파(UHF) 대역을 사용하는 RFID 환경에서 동작하는 리더기와 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FID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기설정된 개수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사용하는 리더기;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상기 리더 채널영역을 제외한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태그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상기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태그 주파수대역으로 사용하는 태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리더기와 태그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술한 본 발명의 내용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은 리더와 태그 사이의 송수신 데이터 양이 많지 않고 태그 개수에 비해 리더 개수가 많은 모바일 RFID 환경에서 유용하며, 특히 리더의 개수가 가용 주파수 채널의 수보다 많은 dense-interrogator environment 환경에서 유용하므로, 이하에서는 무선통신단말기에 장착되는 모바일 RFID 리더가 dense-interrogator environment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설비 주파수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내에서 UHF(Ultra-High Frequency; 극초단파) 대역을 사용하는 수동형 RFID/USN 무선 설비에 대한 주파수 할당은 908.5~914MHz의 범위에 걸쳐 200kHz의 채널 대역폭을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총 채널의 개수는 27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Reader 또는 Interrogator)는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요구하지 않는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3에서 큰 사다리꼴은 리더에서 40kbps의 데이터 전송속도(data rate)에 대하여 DSB-ASK를 수행한 경우의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더들은 27개의 가용 주파수 채널을 2개 채널씩 건너뛰어 사용한다. (상기 리더의 채널 선택시에 건너뛰는 채널의 개수는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2개 채널을 건너뛰어 선택하는 경우를 실시예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3의 실시예에서 리더는 제1 채널, 제4 채널, 제7 채널, 제10 채널, 제13 채널, 제16 채널, 제19 채널, 제22 채널, 및 제25 채널의 총 9개의 채널 가운데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송신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은 다수 리더 간에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LBT(Listen Before Talk) 주파수 점유 방식을 사용한다. 즉, 리더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9개의 채 널 가운데 사용가능한 채널을 탐지 및 선택하며, 이렇게 선택되는 채널을 전용으로 사용하여 송신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Tag 또는 Transponder)는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방식으로 인코딩한 후 DSB-ASK 방식으로 변조하여 응답한다. 도 3에서 작은 사다리꼴은 태그에서 40kbps의 데이터 전송속도(data rate)에 대하여 밀러 서브캐리어 방식으로 인코딩한 후 DSB-ASK를 수행한 경우의 주파수 대역폭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그 응답은 리더의 채널 선택시에 건너뛴 채널 영역을 사용하여 응답한다. 도 3에서 태그 응답은 리더가 사용한 채널에 연달아 인접한 2개의 채널을 동시에 사용한다. 즉, 도 3의 실시예에서 태그는 제2 채널, 제3 채널, 제5 채널, 제6 채널, 제8 채널, 제9 채널, 제11 채널, 제12 채널, 제14 채널, 제15 채널, 제17 채널, 제18 채널, 제20 채널, 제21 채널, 제23 채널, 제24 채널, 제26 채널, 및 제27 채널을 사용하여 응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ISO/IEC 18000-6C 국제 표준 규격을 사용할 경우의 무선설비 주파수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에서 채널 대역폭은 200 [kHz]이고, Tari(= '0' 데이터의 지속시간)는 25 [μs](즉, 송신 전송속도=40 [kbps])이다. 리더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요구하지 않는 DSB-ASK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주파수 점유 방식은 다수 리더 간에 충돌을 피하기 위한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을 사용한다.
도 4의 <A>는 DR(Divide Ratio; 분할비)를 21.33, RTcal(Reader-to-Tag calibration symbol)(= 0length + 1length)을 2.5 Tari, TRcal(Tag-to-Reader calibration symbol)을 3 Tari (= 1.2 RTcal = 75 [μs])로 설정한 경우의 리더 송신신호와 태그 후방산란신호(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다. 이 경우 링크 주파수(Link Frequency; LF)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284.4 [kHz](= 21.33 / 75μs)가 된다.
LF = DR / TRcal
그리고 M(밀러 시퀀스가 비트당 몇 개의 부사이클을 포함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값)이 4로 설정된 경우, 태그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약 71 [kbps]가 되며, 이에 따라 태그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폭(occupied BW)은 약 284 [kHz]가 된다. 따라서, 리더 신호와의 가드 밴드(guard band)는 약 62 [kHz](= 908.742MHz - 908.64MHz)와 94 [kHz](= 909.12MHz - 909.026MHz)가 된다. 반면, M이 8로 설정된 경우, 태그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약 35.5 [kbps], 태그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폭(= 태그의 데이터 전송 속도 * 4)은 142 [kHz], 리더 신호와의 가드 밴드는 약 133 [kHz](= 908.813MHz - 908.68MHz)와 165 [kHz](= 909.12MHz - 908.955MHz)가 된다.
데이터 전송속도 = LF / M
한편, 도 4의 <B>는 DR을 21.33, RTcal을 2.5 Tari, TRcal을 2.75 Tari (= 1.1 RTcal = 68.75 [μs])로 설정한 경우의 리더 송신신호와 태그 후방산란신호(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이다. 이 경우 링크 주파수(Link Frequency; LF)는 수학식 1에 의해 310.254545 [kHz](= 21.33 / 68.75μs)가 된다. 그리고 M이 4로 설정된 경우, 태그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수학식 2에 의해 약 77.5 [kbps], 태그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폭(occupied BW)은 310 [kHz], 리더 신호와의 가드 밴드(guard band)는 약 75 [kHz](= 908.755MHz - 908.68MHz)와 55 [kHz](= 909.12MHz - 909.065MHz)가 된다. 반면, M이 8로 설정된 경우, 태그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약 38.75 [kbps], 태그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대역폭은 155 [kHz], 리더 신호와의 가드 밴드는 약 152.5 [kHz](= 908.8325MHz - 908.68MHz)와 132.5 [kHz](= 909.12MHz - 908.9875MHz)가 된다.
결과적으로 ISO/IEC 18000-6C 국제 표준 규격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을 적용할 경우, 먼저 리더 송신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수 채널(도 4의 경우 두 채널)씩 건너뛰도록 설정함으로써 태그 신호의 사용 대역을 넓힐 수 있으므로 태그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DR과 RTcal 및 TRcal(1.1 RTcal 이상 3 RTcal 이하인 값)을 설정함으로써 링크 주파수(LF)를 결정하고 M 값을 조정함으로써 리더 신호와의 충분한 가드 밴드를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ISO/IEC 18000-6C 국제 표준 규격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RFID 리더의 일실시예 구조도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는 제어부(510), 메시지 생성부(520), 부호화부(530), 및 변조부(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의 상기 제어부(510)는 반송파 주파수 결정부(511), DR 결정부(512), Tari 결정부(513), RTcal 결정부(514), TRcal 결정부(515), M 결정부(5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는 LBT(Listen Before Talk) 주파수 점유 방식을 사용하며, 리더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도 4에도 도시되어 있듯이 27개의 가용 주파수 채널을 2개 채널씩 건너뛰어 사용한다. 따라서, 반송파 주파수 결정부(511)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9개의 주파수 채널(제1 채널, 제4 채널, 제7 채널, 제10 채널, 제13 채널, 제16 채널, 제19 채널, 제22 채널, 및 제25 채널) 가운데 사용가능한 채널을 탐지 및 선택한 후, 리더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510)는 DR(Divide Ratio), Tari, RTcal, TRcal, 및 M 값을 결정한다. 우선, DR 결정부(512)와 TR 결정부(515)는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되는 태그의 링크 주파수(Link Frequency; LF)에 따라 태그의 송신 신호(후방 산란 신호)가 리더의 사용 주파수 채널에 인접한 2개의 채널(도 4 참조)을 사용할 수 있도록 DR과 TRcal 값을 결정한다. 즉, 태그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가 상기 2개 채널의 중심 부분에 오도록 링크 주파수(LF)가 설정되어야 한다. 한편, ISO/IEC 18000-6C 규격에 따르면, TRcal은 1.2 RTcal 이상 3 RTcal 이하에서 정해 져야 하고, RTcal은 데이터 '0'의 길이(= Tari) 및 '1'의 길이(1.5 Tari 이상 1 Tari 이하인 값)의 합이다. 따라서, DR, Tari, RTcal, TRcal 값은 RFID 표준 규격을 만족하면서 최종적으로 태그 송신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가 상기 2개 채널의 중심 부분에 오도록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은 수학식 2에 따라 링크 주파수와 M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M 결정부(516)는 상기 DR과 TRcal에 의해 결정되는 링크 주파수 및 수학식 2를 고려하여 리더와 충분한 가드 밴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M값을 결정한다.
메시지 생성부(520)는 RFID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되는 DR(Divide Ratio)와 M값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메시지에는 인벤토리 라운드(inventory round)를 위한 세션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인 'Session', 라운드(round) 내의 슬롯(slot) 개수를 설정하기 위한 'Q', 및 CRC(Cyclic redundancy check) 등의 RFID 통신 규격에 따른 여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부호화부(530)는 상기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된 Tari, RTcal, 및 TRcal 값을 참조하여 PIE(Pulse-Interval Encoding) 부호화를 수행한다.
변조부(540)는 상기 PIE 부호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의 반송파 주파수 결정부(511)에서 결정되는 주파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를 수행하며, 이렇게 변조된 신호는 리더기의 안테나를 통해 태그로 전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리더의 사용 주파수 채널을 일정 채널 간격을 두고 설정하고 상기 간격을 구성하는 채널 영역을 태그의 후방 산란 신호의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함으로써, 송신 주파수 채널과 수신 주파수 채널 사이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충분히 확보하고 송수신 분리도(isolation)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그의 사용 주파수 대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리더의 변조 방식으로 DSB-ASK를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에 장착되는 리더의 하드웨어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그 개수는 적고 리더 개수는 많은 모바일 RFID 환경에서 LBT 주파수 점유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리더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0)

  1. 복수의 채널들로 구성되는 극초단파(UHF) 대역을 사용하는 RFI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의 주파수를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기설정된 개수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리더 주파수대역 할당단계;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상기 리더 채널영역을 제외한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태그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태그 주파수대역 할당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의 부호화방식은 PIE(Pulse Interval Encoding)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의 변조방식은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부호화방식은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변조방식은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주파수대역 할당단계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2개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채널을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주파수대역 할당단계는,
    상기 태그 채널영역의 채널 가운데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된 채널에 연속하여 인접한 2개의 채널을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점유방식은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주파수대역 할당단계는,
    상기 리더 채널영역에 사용가능한 채널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채널 가운데 리더 송신신호의 주파수대역으로 사용할 채널을 선택하는 리더 송신채널 선택단계; 및
    상기 송신채널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를 리더 송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로 하여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주파수대역 할당단계는,
    태그 송신신호의 링크주파수(Link Frequency)를 결정하는 태그 링크주파수 결정단계; 및
    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 대역폭(Bandwidth)을 결정하는 태그 주파수대역폭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링크주파수 결정단계는,
    상기 리더 송신채널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의 주파수가 태그 송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가 되도록 태그 링크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링크주파수 결정단계는,
    분할비(Divide Ratio)와 TRcal(Tag-to-Reader calibration symbol)을 결정함으로써 태그 링크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주파수대역폭 결정단계는,
    상기 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대역이, 상기 리더 송신채널 선택단계에서 선택된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의 영역을 사용하도록 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대역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주파수대역폭 결정단계는,
    밀러 서브캐리어 부호화에 있어 밀러 시퀀스가 비트당 몇 개의 부사이클을 포함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M 값을 결정함으로써 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대역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링크주파수와 상기 태그 주파수대역폭은,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리더 송수신 신호의 격리(isolation)를 위한 가드 밴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할당 방법.
  16. 복수의 채널들로 구성되는 극초단파(UHF) 대역을 이용하는 RFID 환경에서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방식을 사용하는 태그와 동작하는 리더기로서,
    리더 송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극초단파 대역의 RFID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상기 제어부에서 결정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를 사용하여 상기 부호화된 메시지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기설정된 개수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의 주파수를 반송파 주파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메시지 대하여 PIE(Pulse Interval Encoding)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부호화된 메시지에 대하여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기.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가운데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더 송신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결정하는 반송파 주파수 결정부;
    분할비(Divide Ratio;DR)를 결정하는 DR 결정부;
    상기 태그의 밀러 서브캐리어 부호화에 있어 밀러 시퀀스가 비트당 몇 개의 부사이클을 포함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M 결정부; 및
    상기 분할비(DR)와 함께 태그의 링크 주파수를 결정하는 TRcal(Tag-to-Reader calibration) 값을 결정하는 TRcal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분할비(DR)와 M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TRcal 값을 참조하여 PIE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분할비(DR)와 상기 TRcal 값이 조정된 리더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링크 주파수와 함께 태그 송신신호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상기 M 값이 조정된 리더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리더의 송신신호에 대하여 충분한 가드 밴드(guard band)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M 값이 조정된 리더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태그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M 값이 조정된 리더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리더 채널영역에 사용가능한 채널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채널 가운데 선택되는 채널의 주파수를 반송파 주파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기.
  25. 제 21 항에 있어서,
    태그와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으로 주파수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더기.
  26. PIE(Pulse Interval Encoding)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며, 극초단파(UHF) 대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기설정된 개수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리더 송신신호의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하는 RFID 리더기와 동작하는 RFID 태그로서,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들에서 상기 리더 채널영역을 제외한 채널들 가운데 상기 리더 송신신호의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으로 이용하는 RFID 태그.
  27. 제 26 항에 있어서,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분할비(Divide Ratio; DR)와 TRcal(Tag-to-Reader calibration symbol) 값을 리더기로부터 전달받아 태그의 링크주파수(Link Frequency)를 결정하는 RFID 태그.
  28. 제 27 항에 있어서,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리더 송신신호의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M 값을 리더기로부터 전달받아 태그 송신신호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RFID 태그.
  29. 제 27 항에 있어서,
    태그의 데이터 전송속도(data rate)를 개선할 수 있도록 조정된 M 값을 리더기로부터 전달받아 태그의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RFID 태그.
  30. 제 26 항 또는 제 28항에 있어서,
    리더와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으로 주파수를 점유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RFID 태그.
  31. 제 30 항에 있어서,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32. 복수의 채널들로 구성되는 극초단파(UHF) 대역을 사용하는 RFID 환경에서 동작하는 리더기와 태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FID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기설정된 개수의 채널 간격으로 건너뛰어 선택되는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리더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사용하는 리더기; 및
    상기 복수의 채널들 가운데 상기 리더 채널영역을 제외한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태그 채널영역에서 선택되는 채널을 상기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할당하는 태그 주파수대역으로 사용하는 태그를 포함하는 RFID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PIE(Pulse Interval Encoding)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RFID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밀러 서브캐리어(Miller Subcarrier)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DSB-ASK(Double-SideBand Amplitude-Shift Keying)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시스템.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태그의 링크주파수를 결정하는 분할비(Divide Ratio)와 TRcal(Tag-to-Reader calibration symbol) 값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RFID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상기 리더의 송신신호 주파수대역으로 선택되는 채널에 기설정된 개수만큼 연속하여 인접한 채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링크 주파수와 함께 태그 송신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하는 M 값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태그의 데이터 전송속도(data rate)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M 값을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시스템.
  39. 제 37 항에 있어서,
    태그의 송신신호 주파수 대역이 리더의 송신신호에 대하여 충분한 가드 밴드(guard band)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M 값이 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시스템.
  4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와 상기 태그 사이의 주파수점유방식은 LBT(Listen Before Talk)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시스템.
KR1020060024482A 2005-09-23 2006-03-16 모바일 rfⅰ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rfⅰd 리더와 태그 KR100769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965 2005-09-23
KR20050088965 2005-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415A true KR20070034415A (ko) 2007-03-28
KR100769982B1 KR100769982B1 (ko) 2007-10-25

Family

ID=4163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482A KR100769982B1 (ko) 2005-09-23 2006-03-16 모바일 rfⅰ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rfⅰd 리더와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98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79B1 (ko) * 2006-08-31 2007-10-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rfid 리더 환경에서의 리더 충돌 방지 방법
KR100884749B1 (ko) * 2007-08-29 2009-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리더들 간 충돌 회피 방법 및 그 장치
KR100930721B1 (ko) * 2007-11-28 2009-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
US8265570B2 (en) 2007-09-07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FID reader and RF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101237974B1 (ko) * 2007-12-11 2013-0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태그, rfid 리더, 및 이들을 구비하는rfid 시스템
US8653946B2 (en) 2006-05-10 2014-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ssive RFID reade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US8723647B2 (en) 2007-12-27 2014-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FI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146967B2 (en) 2011-06-16 2018-12-04 Gemalto Sa Contact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negative modulation
CN114386553A (zh) * 2022-01-10 2022-04-2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超高频rfid标签的反向链路编码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22B1 (ko) * 2008-08-07 2015-0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 송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3946B2 (en) 2006-05-10 2014-02-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assive RFID reade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769879B1 (ko) * 2006-08-31 2007-10-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rfid 리더 환경에서의 리더 충돌 방지 방법
KR100884749B1 (ko) * 2007-08-29 2009-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리더들 간 충돌 회피 방법 및 그 장치
US7893836B2 (en) 2007-08-29 2011-0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collision between each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s
US8265570B2 (en) 2007-09-07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FID reader and RF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100930721B1 (ko) * 2007-11-28 2009-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식별 시스템에서 채널 존 생성 방법 및 채널 존을이용한 태그 식별 방법
KR101237974B1 (ko) * 2007-12-11 2013-0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 태그, rfid 리더, 및 이들을 구비하는rfid 시스템
US8723647B2 (en) 2007-12-27 2014-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FI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146967B2 (en) 2011-06-16 2018-12-04 Gemalto Sa Contact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negative modulation
CN114386553A (zh) * 2022-01-10 2022-04-2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超高频rfid标签的反向链路编码方法
CN114386553B (zh) * 2022-01-10 2024-05-2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超高频rfid标签的反向链路编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982B1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982B1 (ko) 모바일 rfⅰd 환경에서 리더와 태그 사이의 주파수 할당방법 및 그를 위한 rfⅰd 리더와 태그
US7304579B2 (en) RFID reader to select code modules
US7982584B2 (en) Mobile RFID read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8213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tag signal in mobile RFID reader
US8653946B2 (en) Passive RFID reade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US8120494B1 (en) RFID readers and systems with antenna switching upon detecting too few tags and methods
US7893834B2 (en) Power control method for mobile RFID reader and RFID reader using the same
KR101407359B1 (ko) 무선 주파수 인식 리더기 및 그것의 무선 주파수 전송 방법
EP2124167A1 (en) Interrogating Device, RFID interrogator, and RFID interrogating method
KR100886631B1 (ko) 밀집모드를 지원하는 수동형 rfid 리더
Jameel et al. Multi-tone carrier backscatter communications for massive IoT networks
US8552841B2 (en) Communication method having selectable response signal strength levels
JP2010021684A (ja) Rfidシステム、rfidリーダライタ、rfidタグおよびrfid通信方法
US11836562B2 (en) Multi-protocol RFID tag and system
KR100907212B1 (ko) F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밀집모드를 지원하는 수동형rfid 리더
KR100858053B1 (ko) 수동형 rfid 리더기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CN105303135B (zh) 通信的建立方法、装置及读卡器
CN116502655A (zh) 基于无线射频识别的通信方法及装置
KR100968749B1 (ko) 서브 캐리어를 포함하는 밀러 엔코딩 신호의 프리앰블검출장치
US20230306225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768101B1 (ko) 모바일 rfⅰd 리더의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이구현된 rfⅰd 리더
Frank et al. Efficient RFID Modulation Scheme for Better Ubiquitous Network Performance
Xu RFID Application Simulation Environment in SDR Workbench
KR20110070674A (ko) 수동형 rfid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