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623B1 -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623B1
KR100930623B1 KR1020070139083A KR20070139083A KR100930623B1 KR 100930623 B1 KR100930623 B1 KR 100930623B1 KR 1020070139083 A KR1020070139083 A KR 1020070139083A KR 20070139083 A KR20070139083 A KR 20070139083A KR 100930623 B1 KR100930623 B1 KR 10093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ter repellency
manufacturing
conductive
synthetic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918A (ko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623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8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applied in powder or granular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7/00Textiles: spinning, twisting, and twining
    • Y10S57/901Antist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합성 섬유 원사에 도전성 폴리머 및 나노파티클을 각각 코팅 및 부착하여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공하고, 상기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수성, 제전성, 전도성 폴리머, 나노파티클

Description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Textile having water repellent property and antistatic property,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using said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도성 폴리머 및 전도성 나노파티클이 코팅 및 부착된 직물을 제시하고 상기 직물의 제조 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일론, 아크릴사나 폴리에스테르계의 합성 섬유 원사는 소수성을 가진 섬유 원사이다. 그러나 상기 합성 섬유 원사가 물의 침투를 방지할 만큼의 발수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합성 섬유 원사에 발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상기 합 성 섬유 원사를 불소화합물 처리하여 발수성을 갖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합성 섬유 원사의 발수성을 높이기 위해 처리된 불소화합물에는 불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현재 상기 불소의 독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이를 사용함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소화합물 처리를 통해 발수성을 갖게 된 합성 섬유 원사는 정전기를 축적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제전성이 나쁘다는 문제를 가고 있다.
한편 상기 합성 섬유 원사의 제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합성 섬유 원사에 친수성 이온을 코팅하는 이온성 표면 가공을 하였는데 이러한 이온성 표면 가공은 내구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발수 가공을 동시에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불소화합물 처리를 하지 않아도 우수한 발수성을 가지면서 제전성도 동시에 우수한 합성 섬유 원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우수한 발수성을 가진 합성 섬유 원사 및 그 제공 방법은 제시되고 있으나 우수한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합성 섬유 원사를 제조하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도성 폴리머 및 전도성 나노파티클이 코팅 및 부착된 직물을 제시하고 상기 직물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합성 섬유 원사로 제조된 직물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원사의 표면에 코팅된 전도성 폴리머; 및 상기 전도성 폴리머가 코팅된 합성 섬유 원사에 부착된 전도성 나노파티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은 10 내지 50nm의 크기를 가지며, Ag, TiO2 및 SiO2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합성 섬유 원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합성 섬유 원사로 제조된 직물을 공급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에서 공급된 직물의 합성 섬유 원사의 표면에 전도성 폴리머를 코팅하는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 상기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에서 공급된 직물을 압축하는 제1압축롤러를 포함하는 제1압축롤러부; 상기 제1압축롤로부에서 공급된 직물의 합성 섬유 원사에 전도성 나노파티클을 부착하는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에서 공급된 직물을 압축하는 제2압축롤러를 포함하는 제2압축롤러부; 상기 제2압축롤러부에서 공급된 직물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부; 및 상기 열처리부에서 공급된 직물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 처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직물에 전도성 폴리머 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 처리된 직물을 제1압축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1압축 처리된 직물을 도전성 나노파티클 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나노파티클 처리된 직물을 제2압축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압축 처리된 직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폴리머 처리된 직물을 제1압축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머 처리된 직물의 합유율이 60 내지 80%가 되도록 제1압축 처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나노파티클 처리된 직물을 제2압축 처리 하는 단계는 상기 나노파티클 처리된 직물의 합유율이 60 내지 80%가 되도록 제2압축 처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제2압축 처리된 직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압축 처리된 직물을 100 내지 200℃의 온도로 30초 내지 120초 동안 열처리하여 건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은 합성 섬유 원사에 우수한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지게 한다.
또한 발명의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은 내구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의 접촉 면적 최소화로 방오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종래의 불소 독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은 합성 섬유 원사로 제조된 직물의 합성 섬유 원사의 표면에 코팅된 전도성 폴리머와 상기 전도성 폴리머가 코팅된 합성 섬유 원사에 부착된 전도성 나노파티클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폴리머와 전도성 나노파티클에 의해 상기 합성 섬유 원사에 정전기가 축적되지 않아 상기 직물은 제전성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은 상기 합성 섬유 원사의 표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합성 섬유 원사에 발수성을 가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폴리머는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과 합성 섬유 원사를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합성 섬유 원사의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이때, 상기 합성 섬유 원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이고,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은 Ag, TiO2 및 SiO2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은 10 내지 50nm의 크기를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이 Ag로 이루어져 있으면 상기 직물은 발수성 및 제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균 특성이 우수하게 되고,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이 TiO2로 이루어져 있으면 상기 직물은 발수성 및 제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을 차단하는 동시에 항균 특성이 우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상기 발수성 및 제전성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3은 상기 제조 공정 과정에서의 합성 섬유 원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 처리 장치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발수성 및 제전성 처리 장치(1000)는 합성 섬유 원사로 제조된 직물(100)을 공급하는 권출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권출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직물(100)의 합성 섬유 원사(110)의 표면에 전도성 폴리머(120)를 코팅하는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300)와 상기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300)에서 공급된 직물(100)을 압축하여 상기 직물(100)의 함유율이 60 내지 80%가 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압축롤러를 포함하는 제1압축롤러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압축롤러부(400)와 연결되며, 상기 압축 처리된 직물(100)의 합성 섬유 원사(110) 표면에 전도성 나노파티클(130)을 부착하는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500)와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500)에서 공급된 직물(100)의 함유율이 60 내지 80%가 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압축롤러를 포함하는 제2압축롤러부(60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압출롤러부(600)와 연결되며, 상기 제2압축롤러부(600)에서 압축 처리된 직물(100)을 열처리하여 건조시키는 열처리부(700) 및 상기 열처리부(700)에서 열처리된 직물(100)을 권취하는 권취부(80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300)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1혼합액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500)는 전도성 나노파티클을 포함하는 제2혼합액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부(700)는 상기 전도성 폴리머(120)가 코팅되고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130)이 부착된 직물(100)을 100 내지 200℃의 온도로 30초 내지 120초 동안 열처리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 섬유 원사(110)로 제조된 직물(100)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직물(100)은 권출부(200)에서 공급된다.
상기 권출부(200)에서 공급된 직물(100)은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300)에서 상기 직물(100)의 합성 섬유 원사(110)의 표면에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1혼합액(310)을 코팅하여 전도성 폴리머 처리 공정을 진행한다(S10).
이때, 상기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300)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1혼합액(310)과 상기 제1혼합액(310)을 담고 있는 배스(3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직물(100)이 상기 배스(320)에 담긴 제1혼합액(310)에 담갔다가 빼내게 되면 상기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1혼합액(310)이 상기 직물(100)의 합성 섬 유 원사(110)의 표면에 코팅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1혼합액(310)이 코팅된 직물(100)을 한 쌍의 압축 롤러를 구비한 제1압축롤러부(400)에 공급하고 상기 제1압축롤러부에서 상기 직물(100)을 압축하는 제1압축 처리 공정을 진행한다(S20).
이때, 상기 제1압축롤러부(400)은 상기 직물(100)의 함유율이 60 내지 80%가 되도록 상기 직물(100)을 압착하게 되는데, 상기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300)에서 코팅된 제1혼합액(310)이 상기 직물(100)에 60 내지 80%의 함유율을 갖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직물(100)을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500)에서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를 한다(S30).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500)는 전도성 나노파티클을 포함하는 제2혼합액(510)과 상기 제2혼합액(510)을 담고 있는 배스(5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은 Ag, TiO2 및 SiO2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은 10 내지 50nm의 크기를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물(100)이 상기 배스(520)에 담긴 제2혼합액(510)에 담갔다가 빼내게 되면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을 포함하는 제2혼합액(510)이 상기 직물(100)의 합성 섬유 원사(110)의 표면에 코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혼합액(510)은 상기 제1혼합액(310) 상에 코팅된다.
이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을 포함하는 제2혼합액(310)이 코팅된 직 물(100)을 한 쌍의 압축 롤러를 구비한 제2압축롤러부(600)에 공급하고, 상기 제2압축롤로부(600)에서 상기 직물(100)을 압축하는 제2압축 처리 공정을 진행한다(S40).
이때, 상기 제2압축롤러부(600)은 상기 직물(100)의 함유율이 60 내지 80%가 되도록 상기 직물(100)을 압착하게 되는데,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500)에서 코팅된 제2혼합액(510)이 상기 직물(100)에 60 내지 80%의 함유율을 갖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1혼합액(310) 및 제2혼합액(510)이 순차적으로 코팅된 직물(100)을 열처리부(700)에 장입하고 배출하면서 상기 열처리부(700)에 장입되는 직물(100)을 열처리하는 공정을 진행한다(S50).
이때, 상기 열처리부(700)에서의 열처리 공정에 의해, 상기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300) 및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500)에서 각각 코팅된 제1혼합액(310) 및 제2혼합액(510)은 전도성 폴리머(120) 및 전도성 나노파티클(130)을 제외한 다른 용액들은 증발된다.
이때, 상기 열처리부(700)는 상기 직물(100)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직물(100)을 100 내지 200℃의 온도로 30초 내지 120초 동안 열처리하여 건조시킨다.
따라서 열처리 공정까지 완료된 상기 직물(100)은 합성 섬유 원사(110)의 표면에 전도성 폴리머(120)가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폴리머(120)가 코팅된 합성 섬유 원사(110)에 전도성 나노파티클(130)이 부착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권취부(800)에서 그 표면에 전도성 폴리머(120)가 코팅되어 있고, 전도성 나노파티클(130)이 부착되어 있는 합성 섬유 원사(110)로 이루어진 직물(100)을 권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따라 직물을 처리하게 되면, 상기 직물은 전도성 폴리머 및 전도성 나노파티클이 각각 코팅 및 부차된 합성 섬유 원사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직물은 우수한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고 표면의 접촉 면적 최소화로 방오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의 합성 섬유 원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직물 110 : 합성 섬유 원사
120 : 전도성 폴리머 130 : 전도성 나노파티클
200 : 권출부 300 : 전도성 폴리머 처리부
400 : 제1압축롤러부 500 : 전도성 나노파티클 처리부
600 : 제2압축롤러부 700 : 열처리부

Claims (9)

  1. 합성 섬유 원사로 제조된 직물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원사의 표면에 코팅된 전도성 폴리머; 및
    상기 전도성 폴리머가 코팅된 합성 섬유 원사에 부착된 전도성 나노파티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은 10 내지 50nm의 크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파티클은 Ag, TiO2 및 SiO2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 원사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5. 삭제
  6. 직물에 전도성 폴리머 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 처리된 직물을 제1압축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제1압축 처리된 직물을 도전성 나노파티클 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나노파티클 처리된 직물을 제2압축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압축 처리된 직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처리된 직물을 제1압축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머 처리된 직물의 합유율이 60 내지 80%가 되도록 제1압축 처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티클 처리된 직물을 제2압축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나노파티클 처리된 직물의 합유율이 60 내지 80%가 되도록 제2압축 처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 처리된 직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압축 처리된 직물을 100 내지 200℃의 온도로 30초 내지 120초 동안 열처리하여 건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70139083A 2007-12-27 2007-12-27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10093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083A KR100930623B1 (ko) 2007-12-27 2007-12-27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083A KR100930623B1 (ko) 2007-12-27 2007-12-27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918A KR20090070918A (ko) 2009-07-01
KR100930623B1 true KR100930623B1 (ko) 2009-12-09

Family

ID=4132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083A KR100930623B1 (ko) 2007-12-27 2007-12-27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967A3 (en) * 2016-09-08 2018-07-12 İstanbul Tekni̇k Üni̇versi̇tesi̇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polymer-coated textile material and an assembl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63B1 (ko) * 2009-09-03 2012-03-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실리카 입자와 발수제를 이용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직물의 발수가공방법
CN103503078B (zh) * 2011-03-07 2016-05-25 意大利国家研究委员会 导电纤维材料
DE102013016587A1 (de) * 2013-10-08 2015-04-09 Martin-Luther-Universität Halle-Wittenberg,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nopartikel-dotierten Pflanzenfasern, insbesondere Baumwollfasern, zur Herstellung von intelligenten Textilien unter Verwendung eines nachhaltigen, automatisierten hydroponischen Systems
KR102109531B1 (ko) * 2018-11-21 2020-05-12 울산과학기술원 초발수 표면 형성용 몰드, 초발수 표면 및 초발수 표면을 가지는 물품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289A (ko) * 1999-10-29 2001-05-15 최근배 포지를 폴리우레탄 용액으로 함침시키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289A (ko) * 1999-10-29 2001-05-15 최근배 포지를 폴리우레탄 용액으로 함침시키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967A3 (en) * 2016-09-08 2018-07-12 İstanbul Tekni̇k Üni̇versi̇tesi̇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polymer-coated textile material and an assembly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918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623B1 (ko) 발수성 및 제전성을 동시에 가진 직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 장치를 이용한 제조 방법
Tian et al. Ultraviolet protection cotton fabric achieved via layer-by-layer self-assembly of graphene oxide and chitosan
Cao et al. Multifunctional surface modification of silk fabric via graphene oxide repeatedly coating and chemical reduction method
US7468332B2 (en) Electroconductive woven and non-woven fabric
US6685989B2 (en) Anti-static cleanroom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60002484A1 (en) Improved hydrophobicity with nanofiber and fluoropolymer coating
US20140093731A1 (en) Conductive fiber materials
Ali et al. Novel, Self-Assembled Antimicrobial Textile Coating Containing Chitosan Nanoparticles.
US20170067203A1 (en) Flame retardant fabrics and process to make same
CN111335026B (zh) 一种超疏水抗菌导电织物及其制备方法
Varesano et al. A systematic study on the effects of doping agents on polypyrrole coating of fabrics
Lepak-Kuc et al. Washable, colored and textured, carbon nanotube textile yarns
CN106192420B (zh) ZnO纳米材料织物的生产方法及ZnO纳米材料织物
JP3896834B2 (ja) 防塵衣用織物および防塵衣
JP4614306B2 (ja) 疎水仕上げされたアラミド織物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使用
KR20160139855A (ko) 터치 패널용 원단의 제조방법
JP2007291562A (ja) 耐久制電機能性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4825772B2 (ja) 導電加工された獣毛繊維スライ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該スライバーから得られる導電性紡績糸、並びに、該導電性紡績糸を用いた繊維製品
He et al. Preparation of polyaniline/nylon conducting fabric by layer‐by‐layer assembly method
CN107190499B (zh) 一种自清洁抗菌抗紫外的复合织物及其制备方法
KR101909454B1 (ko) 내구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도전사의 제조방법
WO2019058966A1 (ja) 吸湿性アクリロニトリル系繊維、該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該繊維を含有する繊維構造体
Baseri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nductive and antibacterial polyacrylonitrile terpolymer yarns produced by one-step organic coating
KR102085193B1 (ko) 항균성 및 광분해성이 향상된 직물 및 그의 제조 방법
TW201805074A (zh) 連接器清潔具用清潔帶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