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118B1 -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118B1
KR100930118B1 KR1020090045088A KR20090045088A KR100930118B1 KR 100930118 B1 KR100930118 B1 KR 100930118B1 KR 1020090045088 A KR1020090045088 A KR 1020090045088A KR 20090045088 A KR20090045088 A KR 20090045088A KR 100930118 B1 KR100930118 B1 KR 100930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pool
forklift
inching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진
장진호
윤장원
김나경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정밀 filed Critical (주)엠에스정밀
Priority to KR1020090045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06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 1속용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작동시 서로 연동하는 메인 릴리프 밸브와,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와,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와, 모듈레이트 밸브를 일체화시켜 작동 신뢰성 향상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4개의 밸브 설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트랜스미션의 바디 부분에 접하면서 결합되는 저면에는 각 밸브 설치공간으로의 유체 흐름을 위한 제1,2,3유로, 제1,2매개유로 및 전후진 유로들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 밸브바디를 구비하여, 상기 각 밸브 설치공간내에 메인 릴리프 밸브와,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와,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와, 모듈레이트 밸브를 조립하여 하나로 통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를 제공한다.
지게차, 트랜스미션, 일체형 컨트롤 밸브, 메인 릴리프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 모듈레이트 밸브

Description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Integrated control valve for power shift transmission of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 1속용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작동시 서로 연동하는 메인 릴리프 밸브와,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와,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와, 모듈레이트 밸브를 일체화시켜 작동 신뢰성 향상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게차는 화물 등을 적재 및 하역하는데 유용한 운송수단으로서, 앞쪽에 2단으로 신축하는 수직 마스트가 있고, 이에 맞물린 좌우 2개의 포크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여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하게 되며, 이러한 지게차에는 적재 조작 및 주행을 위한 유압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하나의 유압시스템내에 구비되는 밸브들을 보면, 펌프의 토출압력을 일정하 게 유지하는 메인 릴리프 밸브와, 차량의 운행을 미세하게 운행하기 위해 유체클러치의 압력을 떨어뜨리기 위한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와, 변속시 압력을 상승시키는 모듈레이트 밸브와, 전후진시 유체의 방향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있으며, 이러한 각 밸브들은 단품으로 제작되어 소정의 설치장소에 각각 별도로 설치 조립된다.
그러나, 지게차의 적재 동작 및 주행 동작을 위한 1속용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작동시, 서로 연동하는 메인 릴리프 밸브와,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와,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와, 모듈레이트 밸브가 단품으로 제작되어 각각 별도로 조립됨에 따라, 그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협소한 설치공간에 각 밸브들을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게차 1속용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작동시 펌프에서 토출된 유량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메인 릴리프 밸브와, 스프링 장력을 조절하여 클러치에 공급되는 유압을 감소시켜 인칭의 역할을 수행하는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 및, 보다 컴팩트한 구조로 개선된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와, 오리피스관로 및 소정의 장력 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압력을 부드럽게 상승시킬 수 있는 모듈레이트 밸브를 하나의 밸브바디에 일체형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작동의 신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컨트롤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4개의 밸브 설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트랜스미션의 바디 부분에 접하면서 결합되는 저면에는 각 밸브 설치공간으로의 유체 흐름을 위한 제1,2,3유로, 제1,2매개유로 및 전후진 유로들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 밸브바디를 구비하여, 상기 각 밸브 설치공간내에 메인 릴리프 밸브와,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와,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와, 모듈레이트 밸브를 조립하여 하나로 통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릴리프 밸브와,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와,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와, 모듈레이트 밸브를 하나의 밸브바디에 일체형 구조로 조립하여 제작함으로써, 본래의 각 밸브가 갖는 기능 발현은 물론 컴팩트화에 따른 지게차내 좁은 설치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밸브바디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밸브바디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체형 컨트롤 밸브에 대한 밸브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지게차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100)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서, 메인 릴리프 밸브(300)와,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200)와,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500)와, 모듈레이트 밸브(400)를 하나의 밸브바디(102)에 일체형 구조로 조립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밸브들의 설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바디(102)가 구비되며, 도 2에 도시된 밸브바디(102)의 저면 즉, 바닥부분은 트랜스미션의 바디 부분(미도시됨)과 결합되는 부위로서 유체 흐름을 위한 유로들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릴리프 밸브 구조 및 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내에 펌프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채워지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릴리프 밸브 구조 및 그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메인 릴리프 밸브(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밸브바디(102)내에서 가장 우측쪽에 마련된 밸브 설치공간(302)과, 이 밸브 설치공간(302)을 밀폐하는 캡볼트(304)와, 상기 캡볼트(304)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된 안내로드(306)와, 상기 밸브 설치공간(302)내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는 스풀(308)과, 상기 밸브 설치공간(302)의 바닥쪽에 고정되는 지지로드(310)와, 상기 스풀(308)의 저면과 상기 지지로드(310)의 상면 사이에 내재되어 스풀(308)의 승하강시 압축 또는 복원되는 스프링(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풀(308)의 상면에는 안내로드(306)가 삽입되는 안내구(314)가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스프링(312)의 상단과 닿는 스프링 지지구(316)가 형성되며, 중간부분의 둘레부에는 유체수용구(318)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풀(308)의 유체수용구(318)와 안내구(314) 사이에는 유체통과홀(320)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밸브 설치공간(302)까지 연통되며 연장되는 제1유로(P1)는 상기 스풀(308)의 유체수용구(318) 및 유체통과홀(320)과 서로 일치된 공간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 설치공간(302)에는 토크컨버터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TC포트(322)가 형성되는 바, 이 TC포트(322)는 상기 스풀(308)이 본래위치인 승강 위치에 있을 때 스풀(308)의 하부쪽 둘레면과 일치되어 막히게 되고, 상기 스풀(308)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는 스풀(308)의 유체수용구(318)와 연통되며 개방된 상태가 되어 토크컨버터에 유체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메인 릴리프 밸브의 작동 흐름을 보면, 먼저 지게차의 엔진 작동시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펌프에 의해서 토출된 유체는 필터를 거쳐 본 발명의 컨트롤 밸브(100)의 모든 유로(P1,P2,P3)에 유체를 채워지게 된다.
연이어, 상기 제1유로(P1)를 통해 한정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메인 릴리프 밸브(300)내로 유체가 들어오게 되면, 즉 제1유로(P1)를 통해 스풀(308)의 유체수용구(318)로 들어오는 동시에 유체통과홀(320)을 통과하여 스풀(308)의 안내구(314)로 들어가게 되며, 적정량 이상의 유체가 차게되면 압력이 점점 높아지는 동시에 높아진 압력으로 인해 유체는 그 닿아있는 면에 압력을 가해 밀게된다.
이에, 첨부한 도 6의 우측도면에서 보듯이, 유체가 스풀(308)의 안내구(314) 바닥면에 미는 힘으로 작용하여 스풀(308)이 하강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안내로드(306)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움직이지 않고, 일축선상에 있는 스풀(308)은 그 아래쪽의 스프링(312)을 압축시키면서 슬라이딩되며 하강 이동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스프링(312)의 장력 조절에 따라 메인 릴리프 밸브(300)의 세팅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스풀(308)이 적정 위치까지 밀리면, 스풀(308)의 유체수용구(318)는 토크컨버터로 통하는 TC포트(322: 도 6의 우측도면에 점선부)와 서로 연통되는 상태가 되어, 유체수용구(318)에 꽉 차있던 유체가 TC포트(322)로 빠지면서 다시 메인 릴리프 밸브(300)내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 원리를 계속적으로 반복하면서 메인 릴리프 밸브내 유체 압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렇게 일정압을 유지한 유체는 제2유로(P2)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밸브(100)의 첫번째 유로인 제1유로(P1)와 연결되는 메인 릴리프 밸브(300)에서는 토출된 유체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위와 같이 스프링 장력을 조절하게 되고, 스프링 장력 조절에 따라 메인 릴리프 밸브내의 유체압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릴리프 밸브(300)는 펌프 토출압력에 따른 스풀(308)의 작동에 의하여 제1유로(P1: 필터로부터의 펌프포트)와, 인칭포트인 제2유로(P2) 및 토크컨버터 포트인 TC포트(322)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레이트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 및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모듈레이트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와 그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평단면도로서, 도 7에서 밸브바디의 유로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 릴리프 밸브(300)내 압력을 일정압으로 유지하는 동안 잔여 유체는 제2유로(P2)로 이동하게 되고, 제2유로(P2)에서 토출된 유체는 도 7 및 도 8의 각 유로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2유로(P2)에서 제3유로(P3)까지 이동하게 되며, 현재의 상태는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지게차는 오직 전후진만 하게 된다.
상기 모듈레이터 밸브(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밸브바디(102)내에서 가장 좌측쪽에 마련된 밸브 설치공간(402)과, 이 밸브 설치공간(402)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캡볼트(404)와, 상기 밸브 설치공간(402)내의 하단부를 밀폐하며 장착된 고정로드(406)와, 상기 캡볼트(404)의 저면과 이격되며 승하강 가능하게 배열되는 이동로드(408)와, 상기 이동로드(408) 및 고정로드(406) 사이에 서로 겹쳐지며 배열되는 두 개의 스프링(410,412)으로 구성되고, 특히 두 개의 스프링(410,412)은 서로 다른 장력을 갖는 것으로 적용된다.
이때, 상기 제2유로(P2)와 제3유로(P3)는 제1매개유로(P4) 및 제2매개유로(P5)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캡볼트(404)와 이동로드(408)간의 사이공간은 제3유로(P3)의 시작공간과 일치하는 바, 이 제3유로(P3)의 시작공간과 제2유로(P2)의 연장유로인 제2매개유로(P5)는 제1오리피스 관로(414)로 이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로드(408)와 고정로드(406)의 사이공간도 제2유로(P2)의 연장유로인 제2매개유로(P5)와 제2오리피스 관로(416)로 이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유로(P2)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제1오리피스 관로(414)를 통해 제3유로(P3)의 시작공간인 상기 캡볼트(404)와 이동로드(408) 사이공간으로 들어오면 이동로드(408)를 가압하게 되고, 동시에 이동로드(408)는 두 개의 스프링(410,412)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2오리피스 관로(416)를 통해 상기 이동로드(408)와 고정로드(406)의 사이공간에도 유체가 들어가 이동로드(408)의 하강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지게차의 전후진 변속시 유압력이 부드럽게 상승되어진다.
한편, 상기 모듈레이트 밸브(400)의 바로 옆쪽에는 솔레노이드 밸브(500)가 장착되는데, 이 솔레노이드 밸브(500)는 전진 또는 후진 변속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의 운전자 기어 조작에 의한 전기적 신호가 솔레노이드 밸브(500)로 전달되면 솔레노이드는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한 작동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모듈레이트 밸브(400)에서 그 압력 변화가 부드럽게 상승된 유체가 솔레노이드 밸브(500)에 도달하게 되는 바, 도달한 유체는 솔레노이드 밸브(500)의 작동에 따라 전진유로(F) 또는 후진유로(R)로 유체가 흐르게 되어, 지게차의 전진 또는 후진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일땐 전진유로(F)쪽으로, 후진 일땐 후진유로(R) 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유체가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된 유체는 각각의 전후진 클러치(미도시됨)에 도달하여 전진 및 후진을 위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칭 레귤레이트 밸브 구조 및 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 구조 및 그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평단면도이다.
상기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200)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에서 기어변속을 유압에 의해서 수행하는 경우, 엔진의 회전을 빠르게 운전함과 동시에 차량의 운행을 미세하게 운행하기 위해 유체클러치의 압력을 떨어뜨리기 위한 밸브이 다.
즉, 지게차에서 인칭(INCHING)기능은 지게차가 전진이나 후진상태에서 작업을 할 때 전, 후진방향의 동력전달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지게차의 속도를 감소시켜서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속도를 만들어주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인칭기능은 트랜스미션의 전후진 기어를 단속하는 유압라인의 유압을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이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00)로 유체의 방향을 제어하며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인칭 작업이 이루어질 때, 유체를 탱크로 드레인되게 유도함으로써, 인칭 기능 수행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200)는 인칭밸브 기능 및 레귤레이터 기능을 겸하도록 두 개의 스풀과 스프링이 내장된 컴팩트한 구조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밸브바디(102)의 설치공간(202)의 상단에 나사 결합된 캡볼트(204)와, 설치공간(202) 하단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는 레귤레이터 스풀(206)과, 이 레귤레이터 스풀(206)의 내경에 일축선을 이루며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칭스풀(208)과, 상기 캡볼트(204)와 레귤레이터 스풀(206)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스프링(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스프링(2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레귤레이터 스풀(206)의 상부쪽 내경과 상기 인칭스풀(208)의 상부쪽 외경 사이에 내설되는 하부스프링(212)과, 상기 상부스프링(210)을 받쳐주면서 상기 인칭스풀(208)의 상단끝에 장착되는 워셔(214) 및 스톱퍼 너트(216)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 엔진 작동시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내의 펌프에서 끌어올린 유체는 필터를 거쳐 제1유로(P1)로 가게되고, 펌프에서 토출되어 제1유로(P1)로 간 유체는 메인 릴리프 밸브(300) 구간에서 일정압으로 조절 유지된 후, 연동되는 그외의 유체는 흐름에 따라 제2유로(P2)로 가게 되며, 제2유로(P2)에서 토출된 유체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본 발명의 컨트롤 밸브(100) 내의 모든 유로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200)는 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압이 제1유로(P1)에서 제어됨과 더불어 제2유로(P2)로 넘어가게 될 때, 제2유로(P2)의 포트 위치를 제어하여 토출되는 유량을 감소 제어함으로써, 운전중 지게차의 작업대 작동시 감소된 유압으로 클러치가 제어되어 차량의 속도를 미세하게 조종할 수 있게 된다.
즉, 모든 유로내에 유체가 다 채워져 제1,2,3유로(P1,P2,P3)순으로 유체가 흐르는 상태에서, 서행을 하기 위해 운전자가 인칭 페달(미도시됨)을 밟게 되면, 인칭 페달과 연결된 상기 레귤레이터 스풀(206)과 인칭스풀(208)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레귤레이터 스풀(206) 외경의 단차부분과 탱크포트(T)가 서로 일치되며 만나게 됨으로써, 결국 유체가 탱크포트(T)를 통해 탱크(미도시됨)로 드래인되어 유체 압력이 낮추어지게 되므로, 포크 리프트작업중에 미세한 전진 내지 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밸브바디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밸브바디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밸브바디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밸브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내에 펌프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채워지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메인 릴리프 밸브 구조 및 그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모듈레이트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와 그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평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의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 구조 및 그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일체형 컨트롤 밸브 102 ; 밸브바디
200 :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 202 : 설치공간
204 : 캡볼트 206 : 레귤레이터 스풀
208 : 인칭스풀 210 : 상부스프링
212 : 하부스프링 214 : 워셔
216 : 스톱퍼 너트
300 : 메인 릴리프 밸브 302 : 밸브 설치공간
304 : 캡볼트 306 : 안내로드
308 : 스풀 310 : 지지로드
312 : 스프링 314 : 안내구
316 : 스프링 지지구 318 : 유체수용구
320 : 유체통과홀 322 : TC포트
400 : 모듈레이트 밸브 402 : 밸브 설치공간
404 : 캡볼트 406 : 고정로드
408 : 이동로드 410,412 : 스프링
414 : 제1오리피스 관로 416 : 제2오리피스 관로
500 : 솔레노이드 밸브 P1 : 제1유로
P2 : 제2유로 P3 : 제3유로
P4 : 제1매개유로 P5 : 제2매개유로
F : 전진유로 R : 후진유로

Claims (7)

  1. 4개의 밸브 설치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트랜스미션의 바디 부분에 접하면서 결합되는 저면에는 각 밸브 설치공간으로의 유체 흐름을 위한 제1,2,3유로(P1,P2,P3), 제1,2매개유로(P4,P5) 및 전후진 유로(F,R)들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된 밸브바디(102)를 구비하여,
    상기 각 밸브 설치공간내에 메인 릴리프 밸브(300)와,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200)와, 복동식 솔레노이드 밸브(500)와, 모듈레이트 밸브(400)를 조립하여 하나로 통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릴리프 밸브(300)는:
    가장 우측쪽 밸브 설치공간(302)의 상단을 밀폐하는 캡볼트(304)와;
    상기 캡볼트(304)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된 안내로드(306)와;
    상기 밸브 설치공간(302)내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되 상면에는 안내로드(306)가 삽입되는 안내구(314)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스프링(312)의 상단과 닿는 스프링 지지구(316)가 형성되며, 중간부분의 둘레부에는 유체수용구(318)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유체수용구(318)와 안내구(314) 사이에는 유체통과홀(320)이 관 통 형성된 구조의 스풀(308)과;
    상기 밸브 설치공간(302)의 바닥쪽에 고정되는 지지로드(310)와;
    상기 스풀(308)의 저면과 상기 지지로드(310)의 상면 사이에 내재되어 스풀(308)의 승하강시 압축 또는 복원되는 스프링(31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P1)는 트랜스미션 펌프 및 필터측으로부터 밸브 설치공간(302)까지 연통되며 연장되고, 상기 밸브 설치공간(302)에는 메인 릴리프 밸브(300)의 스풀(308)의 승하강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유로(P1)와 연통 또는 차단되는 TC포트(3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P2)는 트랜스미션 펌프 및 필터측으로부터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설치공간까지 유체 공급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3유로(P3)는 모듈레이트 밸브(400)의 상단으로부터 솔레노이드 밸 브(500)를 거쳐 상기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200)의 탱크포트(T)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및 제3유로(P2,P3)는 제1 및 제2매개유로(P4,P5)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레이터 밸브(400)는:
    상기 밸브바디(102)내에서 가장 좌측쪽에 마련된 밸브 설치공간(402) 상단부를 밀폐하는 캡볼트(404)와;
    상기 밸브 설치공간(402)내의 하단부를 밀폐하며 장착된 고정로드(406)와;
    상기 캡볼트(404)의 저면과 이격되며 승하강 가능하게 배열되는 이동로드(408)와;
    상기 이동로드(408) 및 고정로드(406) 사이에 서로 겹쳐지며 배열되는 서로 다른 장력을 갖는 스프링(410,41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유로(P3)의 시작공간과 제2유로(P2)의 연장유로인 제2매개유로(P5)는 제1오리피스 관로(414)로 이어지고, 상기 모듈레이터 밸브(400)의 이동로드(408)와 고정로드(406)의 사이공간도 제2유로(P2)의 연장유로인 제2매개유로(P5)와 제2오리피스 관로(416)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칭 레귤레이터 밸브(200)는:
    밸브 설치공간(202)의 상단에 나사 결합된 캡볼트(204)와;
    밸브 설치공간(202) 하단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내설되는 레귤레이터 스풀(206)과;
    상기 레귤레이터 스풀(206)의 내경에 일축선을 이루며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칭스풀(208)과;
    상기 캡볼트(204)와 레귤레이터 스풀(206) 사이에 개재되는 상부스프링(210)과;
    상기 레귤레이터 스풀(206)의 상부쪽 내경과 상기 인칭스풀(208)의 상부쪽 외경 사이에 내설되는 하부스프링(212)과;
    상기 상부스프링(210)을 받쳐주면서 상기 인칭스풀(208)의 상단끝에 장착되 는 워셔(214) 및 스톱퍼 너트(21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KR1020090045088A 2009-05-22 2009-05-22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KR100930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88A KR100930118B1 (ko) 2009-05-22 2009-05-22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088A KR100930118B1 (ko) 2009-05-22 2009-05-22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118B1 true KR100930118B1 (ko) 2009-12-07

Family

ID=4168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088A KR100930118B1 (ko) 2009-05-22 2009-05-22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1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0372A (zh) * 2011-11-07 2012-03-28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 井下无轨胶轮车液压控制型动力切断装置
KR101816388B1 (ko) 2016-04-06 2018-01-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모듈화된 밸브바디
CN107883050A (zh) * 2017-11-14 2018-04-06 国家电网公司 一种通用的电磁阀阀芯动作反馈装置
CN108730253A (zh) * 2018-06-26 2018-11-02 邢箫 一种高效溢流阀
CN109505816A (zh) * 2018-11-28 2019-03-22 合肥今典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轻型农用车电液操纵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574A (ja) * 1994-07-26 1996-02-06 Ckd Corp カートリッジバルブ
KR200303885Y1 (ko) 2002-10-15 2003-02-11 주식회사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지게차의 인칭 제어장치
KR100648483B1 (ko) 2005-02-23 2006-11-24 (주)와이피.텍 지게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JP2007177821A (ja) 2005-12-27 2007-07-12 Nachi Fujikoshi Corp 油圧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574A (ja) * 1994-07-26 1996-02-06 Ckd Corp カートリッジバルブ
KR200303885Y1 (ko) 2002-10-15 2003-02-11 주식회사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지게차의 인칭 제어장치
KR100648483B1 (ko) 2005-02-23 2006-11-24 (주)와이피.텍 지게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JP2007177821A (ja) 2005-12-27 2007-07-12 Nachi Fujikoshi Corp 油圧駆動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0372A (zh) * 2011-11-07 2012-03-28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 井下无轨胶轮车液压控制型动力切断装置
KR101816388B1 (ko) 2016-04-06 2018-01-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모듈화된 밸브바디
CN107883050A (zh) * 2017-11-14 2018-04-06 国家电网公司 一种通用的电磁阀阀芯动作反馈装置
CN108730253A (zh) * 2018-06-26 2018-11-02 邢箫 一种高效溢流阀
CN109505816A (zh) * 2018-11-28 2019-03-22 合肥今典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轻型农用车电液操纵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118B1 (ko) 지게차의 파워시프트 트랜스미션 1속용 일체형 컨트롤 밸브
WO2009104313A1 (ja) 油圧システムおよび油圧システムに用いるバルブ組立体
KR101808680B1 (ko) 컨트롤 밸브
EP2238371A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568273B2 (en) Hydraulic control device
JP4354419B2 (ja) 圧力補償弁を備えた流量制御弁
EP1811208B1 (en) Hydraulic stepless speed changing device
KR101688233B1 (ko) 중장비의 시동 꺼짐 방지 시스템
KR100648483B1 (ko) 지게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CN102661296B (zh) 一种液压系统及工程机械车辆
KR100452484B1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장치
KR100692381B1 (ko) 유압공구용 유압공급장치
KR200417575Y1 (ko) 유압공구용 유압공급장치
JP2005240994A (ja) 建設重装備用流量制御装置
CN103032562B (zh) 动力换挡变速器的换挡平稳结合阀以及换挡调压系统
JP2005248982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ステップモータ取付構造
US20110214523A1 (en) Marine gear selection and trim control
KR20100061153A (ko)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시스템의 유압 제어용 스풀밸브
US9261115B2 (en) Hydraulic control system
JP2011247290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4795682B2 (ja) フォークリフト用油圧回路
CN114060344B (zh) 先导手柄阀、挖掘机的液压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182919Y1 (ko) 유압시스템
CN110589723A (zh) 电动叉车门架液压控制系统
CN201059295Y (zh) 改进的限位气控分配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