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254B1 -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 Google Patents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254B1
KR100929254B1 KR1020090075402A KR20090075402A KR100929254B1 KR 100929254 B1 KR100929254 B1 KR 100929254B1 KR 1020090075402 A KR1020090075402 A KR 1020090075402A KR 20090075402 A KR20090075402 A KR 20090075402A KR 100929254 B1 KR100929254 B1 KR 10092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water
container body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진
Original Assignee
정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진 filed Critical 정동진
Priority to KR102009007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외면에는 상호를 표기할 수 있도록 상호표기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상호표기부의 하부에는 공기가 순환되면서 간수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공기순환부와 운반을 위해 손잡이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금에서 흘러나온 간수가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부가 돌출형성되는 용기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면서 개폐되고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부의 안착부가 함몰형성되는 뚜껑을 장착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는 배출부와 나선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안착부에 적층되도록 하부가 형성되는 간수통을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전에서 채취된 천일염을 일반 가정 등에서 보관하면서도 천일염과 간수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용기본체, 뚜껑, 간수통, 여과망, 봉인물, 지지프레임.

Description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A salt basket equipped with means to devide the salty water from the bay salt}
본 발명은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염전에서 채취된 천일염을 일반 가정 등에서 보관하면서도 천일염과 간수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은 외부의 습기를 쉽게 흡수하여 그에 의해 잘 녹아버리는 소위 조해성이 있어서, 소금을 마대 등에 담아 운반, 저장하는 경우에는 습기의 침투가 용이하여 소금이 잘 녹아버리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금이 녹은 물은 마대의 외피를 축축하게 적시기 때문에 외부의 흙, 먼지 등의 오물이 소금 포장 마대 외부에 쉽게 달라붙게 되어 위생상 불결한 결점이 있었다.
한편, 비닐 포대에 소금을 저장·보관하는 경우에는, 일단 상기 비닐 포대를 개봉하면 그 개봉구를 통해 외부의 습기가 침투함으로써 소금이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봉구를 완전 밀봉시키는 수단을 강구하여야 했다.
또한, 비닐 포대에 소금을 봉입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해도 이를 장기 저장하게 되면 소금 자체의 수분이 포대 내에서 자연 탈수되면서 포대 내의 하부로 몰리고 이로 인해 소금이 덩어리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소형 비닐 포장의 경우에는 개봉구를 끈으로 동여맨다든지 하여 밀봉시키는 수단을 그나마 쉽게 강구할 수 있으나, 대용량의 소금, 특히 장을 담근다든지 김치를 담그기 위해 사용하는 대용량 마대 포장 소금의 경우에는 별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통을 마련하여 그 안에 저장하는 방법 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이때, 별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통을 마련하여 소금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습기에 의해 소금이 녹는 것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소금이 눅눅해지는 것까지는 방지할 수는 없었다.
특히, 천일염의 상품성의 관점에서 보면, 소금의 흡습 용해성(조해성)으로 인하여 소금 결정체가 녹게 되면 소금의 입도가 작아져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섬유재 등으로 직조되거나 비닐재 등으로 제조된 포대에 소금을 담아 운송하는 경우나 저장, 보관함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 입장에서는 운반하기가 불편한 점이 있으며, 운송 수단에는 습기, 빗물 등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소금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산자나 사용자 모두 저장 장소를 건조한 곳으로 골라야 하는 제약도 따른다.
또한, 직포 또는 비닐 봉투 등의 형태로 제작된 포장 용기는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 재활용하기 어려우며 폐기 시에는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염전에서 채취된 천일염을 일반 가정 등에서 보관하면서도 천일염과 간수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외면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공기순환부를 형성하여 외부공기와 내부공기가 순환되면서 소금의 특성을 이용해서 간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상부와 뚜껑의 외주면으로 봉인고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봉인고리에는 봉인물을 결속하여, 소금을 담근 날짜와 그에 대한 경과를 확실히 파악하면서도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본체를 구성하는 배출부의 내부에 여과망을 장착하고, 용기본체의 경사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홈을 형성하여 소금이 쌓이면서도 간수가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금저장용기에 있어서 소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외면에는 상호를 표기할 수 있도록 상호표기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상호표기부의 하부에는 공기가 순환되면서 간수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공기순환부와 운반을 위해 손잡이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 금에서 흘러나온 간수가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부가 돌출형성되는 용기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면서 개폐되고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부의 안착부가 함몰형성되는 뚜껑을 장착하며,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는 배출부와 나선결합되고 상기 뚜껑의 안착부에 적층되도록 하부가 형성되는 간수통을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전에서 채취된 천일염을 일반 가정 등에서 보관하면서도 천일염과 간수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외면에 둘레에는 다수개의 공기순환부를 형성하여 외부공기와 내부공기가 순환되면서 소금의 특성을 이용해서 간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본체의 상부와 뚜껑의 외주면으로 봉인고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봉인고리에는 봉인물을 결속하여, 공장에서 출고해 소비자가 직접보관한 소금보관 날짜를 확인함과 동시에 타인이 공인으로 인정할 수 있고 외국산 소금이 국산으로 둔갑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본체를 구성하는 배출부의 내부에 여과망을 장착하고, 용기본체의 경사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홈을 형성하여 소금이 쌓이면서도 간수가 흘러내려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뚜껑과 간수통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구성하는 공기순환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10)는 내부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어 소금이 저장되는 용기본체(20)와,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용기본체(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30)과, 상기 용기본체(20)의 하부에 나선결합되고 저장되는 소금에서 흘러나온 간수가 저장되는 간수통(40) 등으로 구성된다.
내부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형성되어 소금이 저장되는 용기본체(20)는 소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외면 상부에는 상호를 표기할 수 있도록 상호표기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상호표기부(21)의 하부에는 공기가 순환되면서 간수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공기순환부(22)와 운반을 위해 손잡이(2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소금에서 흘러나온 간수가 경사면(25)을 따라 외 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부(24)가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호표기부(21)에는 상호와 별도로 소금의 담근 날짜가 표기되거나 또는 상호와 함께 소금의 담근 날짜가 표기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0)의 외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간수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기순환부(22)는 도시된 도 5(a) 내지 5(c)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 5(a)의 공기순환부(22)는 내측을 항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22-1a)와, 상기 곡면부(22-1a)의 상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연통공(22-2a)과, 상기 용기본체(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차단부(22-1c)로 형성된다.
도시된 도 5(b)의 공기순환부(22)는 측면과 하부를 절개하여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2-2a)와 상기 경사부(22-2a)의 절곡부분에 형성되는 연통공(22-2b)로 형성된다.
도시된 도 5(c)의 공기순환부(22)는 내측을 항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22-3a)와 상기 곡면부(22-3a)의 하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연통공(22-3b)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24)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부(24)는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외면에는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간수통(40)과 나선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24)의 내부에는 단턱부(24a)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4a)에는 다수개의 미세공(52)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여과망(5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면(25)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홈(25a)이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면(25)은 소금에서 흘러나온 간수를 흘러보내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도중에 형성되는 홈(25a)을 이용해서 소금이 쌓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부(24)와 여과망(5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용기본체(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30)은 상기 용기본체(20)와 개폐 작동할 수 있도록 나선결합된다.
이때, 상기 뚜껑(30)의 상부에는 용기본체(20)가 적층되도록 상부의 안착부(32)가 함몰형성되되, 상기 안착부(32)의 도중에는 결합돌기(36)가 별도로 더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도시된 도 4b 참조)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간수통(40)의 저면 중앙과 뚜껑(40)의 안착부 중앙에 끼움 삽입홈(42)과 결합돌기(36)를 형성하여 상호 끼움 결합되면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와 뚜껑(30)의 외주면에는 각각 봉인고리(26, 34)가 형성되고 상기 봉인고리(26, 34)에는 봉인물(6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봉인고리(26, 34)에 봉인물(60)을 장착하는 것은, 공장에서 출고해 소비자가 직접보관한 소금보관 날짜를 확인함과 동시에 타인이 공인으로 인정할 수 있는 중요한 부품일 뿐만 아니라 외국산 소금이 국산으로 둔갑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공장에서 출고해 소비자가 보관하는 간수분리구조 를 갖는 소금저장용기가 5년 이상되어, 이를 소금회사에 다시 높은 가격으로 되파는 경우에 소금회사는 상기 봉인고리(26, 34)에 결속된 봉인물(60)을 통해서 공인으로 인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소금의 저장기간은 긴 시간(5년 ~ 10년) 간수를 뺄 때 최고로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30)은 도시된 도 6과 같이 상기 안착부(32)의 내측으로 별도의 손잡이(38)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뚜껑(30)의 상부에 손잡이(38)를 더 형성하여 용기본체(20)에 형성되는 손잡이와 별도로 운반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손잡이(38)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용기본체(20)의 하부에 나선결합되고 저장되는 소금에서 흘러나온 간수가 저장되는 간수통(4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하부가 상기 뚜껑(30)의 안착부(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0)의 하부에는 간수통(40)과 별도로 용기본체(20)를 지지하면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지지프레임(7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70)은 도시된 도 5와 같이 다단식과 별도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20)를 지지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의 실시 예를 첨부 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소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외면에는 상호를 표기할 수 있도록 상호표기부(21)가 형성되면서 상기 상호표기부(21)의 하부에는 공기가 순환되면서 간수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공기순환부(22)와 운반을 위해 손잡이(23)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금에서 흘러나온 간수가 경사면(25)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부(24)가 돌출형성되는 용기본체(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에는 봉인고리(26)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24)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미세공(52)이 구비되는 여과망(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면서 개폐되고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부의 안착부(32)가 함몰형성되고 외주면에 봉인고리(34)가 형성되는 뚜껑(3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본체(20)의 하부에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간수통(40)을 장착하면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1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에 장착되는 뚜껑(30)을 개방한 후 내부에 정제된 소금을 공급한다. 이때, 소금에서 흘러나온 간수가 공기순환부(22)에 접촉될 경우에는, 상기 공기순환부(22)의 곡면부와 경사부를 통해서 간수는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에 위치한 배출부(24)를 통해서 간수통(40)으로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0)의 내부에 일정량의 소금이 쌓이게 되면,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에 뚜껑(30)을 결합한 후 상기 용기본체(20)의 봉인고리(26)와 뚜껑(30)의 봉인고리(34)에 봉인물(60)을 결속한다.
이를 통해서, 타인이 함부로 상기 뚜껑(30)을 열거나 임의 뚜껑(3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에게는 뚜껑(30)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용기본체(20)의 상호표기부(21)에는 사용자 또는 상호와 더불어 소금의 담근 날짜를 표기하여 사용자 및 타인에게 상기 용기본체(20)에 저장되는 소금의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본체(20)의 내부에 보관되는 소금은 공기순환부(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통해서 자연적으로 정제되고 이때, 소금에서 흘러나온 간수는 용기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면(25)을 따라 배출부(24)로 전달된다.
즉, 기존의 소금저장용기는 밀봉된 상태에서 소금을 보관하기 때문에 간수가 발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처음 상태가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 본원발명은 상기 용기본체(20)의 내부에 소금을 보관하면서도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기순환부(22)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내부에 유입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소금의 특성을 이용해서 간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배출부(24)에 전달되는 간수는 단턱부(24a)에 장착되는 여과망(50)의 미세공(52)을 통과한 후 용기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된 간수통(40)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이용해서 많은 량의 소금을 정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소금이 저장되어 있는 상기 용기본체(20)를 적층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층하고자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10)의 뚜껑(30)에 또 다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10)의 간수통(40)을 안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서 좁은 공간에서도 다수개의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본체(20)의 내부에 정제된 소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본체(20)의 봉인고리(26)와 뚜껑(30)의 봉인고리(34)에 결속되어 있는 봉인물(60)을 제거한 후 뚜껑(30)을 개방한 다음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0)의 소금을 다 사용한 후 다시 소금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뚜껑과 간수통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구성하는 공기순환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구성하는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20 : 용기본체,
21 : 상호표기부, 22 : 공기순환부,
23 : 손잡이, 24 : 배출부,
25 : 경사면, 30 : 뚜껑,
32 : 안착부, 40 : 간수통,
50 : 여과망, 60 : 봉인물,
70 : 지지프레임.

Claims (7)

  1. 소금저장용기에 있어서,
    소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외면에는 상호를 표기할 수 있도록 상호표기부(21)가 형성되면서 상기 상호표기부(21)의 하부에는 공기가 순환되면서 간수가 흘러내릴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공기순환부(22)와 운반을 위해 손잡이(23)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소금에서 흘러나온 간수가 경사면(25)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부(24)가 돌출형성되는 용기본체(20)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에는 기밀이 유지되면서 개폐되고 적층이 가능하도록 상부의 안착부(32)가 함몰형성되는 뚜껑(30)을 장착하며,
    상기 용기본체(20)의 하부에는 배출부(24)와 나선결합되고 상기 뚜껑(30)의 안착부(32)에 적층되도록 하부가 형성되는 간수통(40)을 장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부와 뚜껑(30)의 외주면으로 봉인고리(26)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봉인고리(34)에는 봉인물(60)을 결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0)의 하부에 지지프레임(70)을 장착하여, 용기본체(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0)를 구성하는 배출부(24)의 내부에 다수개의 미세공(52)이 구비되는 여과망(50)을 장착하고, 상기 용기본체(20)의 경사면(25)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홈(25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22)는 측면과 하부를 절개하여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2-2a)와 상기 경사부(22-2a)의 절곡부분에 형성되는 연통공(22-2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22)는 내측을 항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22-3a)와 상기 곡면부(22-3a)의 하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연통공(22-3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수통(40)의 저면 중앙과 뚜껑(30)의 안착부(32) 중앙에 끼움 삽입홈(42)과 결합돌기(36)를 형성하여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KR1020090075402A 2009-08-14 2009-08-14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KR100929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02A KR100929254B1 (ko) 2009-08-14 2009-08-14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02A KR100929254B1 (ko) 2009-08-14 2009-08-14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254B1 true KR100929254B1 (ko) 2009-12-01

Family

ID=4168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402A KR100929254B1 (ko) 2009-08-14 2009-08-14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25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104A2 (ko) * 2010-05-04 2011-11-10 Jung Cho In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용기
KR101090548B1 (ko) 2010-05-04 2011-12-08 정초인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용기
KR101105885B1 (ko) 2011-06-16 2012-01-17 정동진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KR101212285B1 (ko) 2011-12-27 2012-12-13 이은철 간수 빼기 소금저장용기
KR101268839B1 (ko) 2011-06-08 2013-05-29 황백만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CN103274097A (zh) * 2013-05-14 2013-09-04 贵州万业包装有限公司 固体食品包装瓶
KR101720120B1 (ko) * 2015-10-12 2017-03-27 이은철 통기성이 향상된 소금저장 상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6999A (en) 1989-06-05 1991-08-06 Bartholomaeus Bitsch Waste-collecting container with a ventilating device
KR970020762U (ko) * 1995-11-15 1997-06-18 정세춘 염수받이가 부설된 소금 보관통
US6223927B1 (en) 1997-06-30 2001-05-01 Richard John Rand Ventilated container
JP2002345659A (ja) 2001-05-29 2002-12-03 Imotani:Kk 食品保存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6999A (en) 1989-06-05 1991-08-06 Bartholomaeus Bitsch Waste-collecting container with a ventilating device
KR970020762U (ko) * 1995-11-15 1997-06-18 정세춘 염수받이가 부설된 소금 보관통
US6223927B1 (en) 1997-06-30 2001-05-01 Richard John Rand Ventilated container
JP2002345659A (ja) 2001-05-29 2002-12-03 Imotani:Kk 食品保存容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104A2 (ko) * 2010-05-04 2011-11-10 Jung Cho In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용기
KR101090548B1 (ko) 2010-05-04 2011-12-08 정초인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용기
WO2011139104A3 (ko) * 2010-05-04 2012-03-22 Jung Cho In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용기
KR101268839B1 (ko) 2011-06-08 2013-05-29 황백만 소금독을 이용한 간수포집 장치
KR101105885B1 (ko) 2011-06-16 2012-01-17 정동진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KR101212285B1 (ko) 2011-12-27 2012-12-13 이은철 간수 빼기 소금저장용기
CN103274097A (zh) * 2013-05-14 2013-09-04 贵州万业包装有限公司 固体食品包装瓶
KR101720120B1 (ko) * 2015-10-12 2017-03-27 이은철 통기성이 향상된 소금저장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254B1 (ko)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KR20100008131A (ko)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JP2009056069A (ja) 飲料用容器及び飲料用容器の使用方法
KR101105885B1 (ko)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FR2920425A1 (fr) Ensemble a filtre pour un appareil de filtration d'eau domestique et procede pour filtrer de l'eau en utilisant cet appareil
US20110042374A1 (en) Drink cup
KR101215203B1 (ko) 슬라이드 개폐식 식품용기
KR200451347Y1 (ko) 방수팩이 구비되는 배낭
KR200457241Y1 (ko)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 저장팩
KR101679025B1 (ko) 자석 부착형 용기
KR101212285B1 (ko) 간수 빼기 소금저장용기
KR101295227B1 (ko) 결로방지용 결합용기
KR200260253Y1 (ko) 소금 저장 용기
DE60301403D1 (de) Schutzabdeckung für lebensmittel- und wasserlagerungsbehälter
CN204355537U (zh) 一种便携式茶叶包装袋
CN204355468U (zh) 一种防潮茶叶罐
CN207001072U (zh) 一种饮料瓶
KR200305956Y1 (ko) 에어 박스
CN209650974U (zh) 一种铁路粮食运输集装袋
CN202966958U (zh) 透明茶叶罐
KR101289031B1 (ko) 리필용기용 마개
KR200461760Y1 (ko) 소금 포장용 포대
KR20170017666A (ko) 천일염 간수 배출 기능을 갖는 위생 포장용기
JP3075962U (ja) 密閉容器
KR970003812Y1 (ko) 1회용 팩이 내장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