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253Y1 - 소금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소금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253Y1
KR200260253Y1 KR2020010027724U KR20010027724U KR200260253Y1 KR 200260253 Y1 KR200260253 Y1 KR 200260253Y1 KR 2020010027724 U KR2020010027724 U KR 2020010027724U KR 20010027724 U KR20010027724 U KR 20010027724U KR 200260253 Y1 KR200260253 Y1 KR 200260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storage container
present
container
dr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7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림
Original Assignee
임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호림 filed Critical 임호림
Priority to KR20200100277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253Y1/ko

Links

Landscapes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금을 저장하기 위한 소금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금 결정체에 혼입된 인체에 유익한 각종 미네랄 성분은 그대로 보유시키고, 소금에 흡착되어 있는 간수 등의 불순물은 제거함으로써 청결하고, 고유의 품질과 맛을 함유한 소금을 식염 또는 건강염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는 소금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태양에 따르면, 손잡이가 착설된 용기 본체와, 이에 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뚜껑, 그리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판과 이로부터 연장된 받침대가 일체로 성형된 여과체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소금 저장 용기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소금에 흡착되어 있는 간수 등의 불순물은 수분과 함께 자연 탈수, 침강되어, 상기 여과체의 배수판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분리, 제거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 소금을 이송, 보관할 수 있다. 아울러 색상이 선명하고, 광택이 좋으며, 천일염의 본래의 입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소금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소금 저장 용기 {Salt Container}
본 고안은 소금을 운반, 저장, 보관하는 중에 소금이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금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일염에 수분과 함께 흡착되어 있는 인체에 이롭지 못한 간수 등의 각종 불순물이 자연 침강에 의해 분리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소금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소금을 비닐 포대, 마대 등에 담아 운반, 저장, 보관해 왔다. 소금은 외부의 습기를 쉽게 흡수하여 그에 의해 잘 녹아버리는, 소위 조해성을 가지고 있어서, 소금을 마대 등에 담아 운반, 저장하는 경우에는 습기의 침투가 용이하여 소금이 잘 녹아버리는 경향이 있고 또한 소금이 녹은 물은 마대의 외피를 축축하게 적시기 때문에 외부의 흙, 먼지 등의 오물이 소금 포장 마대 외부에 쉽게 달라붙게 되어 위생상 불결한 결점이 있었다.
한편, 비닐 포대에 소금을 저장, 보관하는 경우에는, 일단 한번 개봉을 하게 되면 그 개봉구를 통해 외부의 습기가 침투하여 소금이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봉구를 완전 밀봉시키는 수단을 강구하여야 했다. 또한, 비닐 포대에 소금을 봉입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해도 이를 장기 저장하게 되면 소금 자체의 수분이 포대 내에서 자연 탈수되면서 포대 내의 하부로 몰리고 이로 인해 소금이 덩어리지는 문제가 있다.
소형 비닐 포장의 경우에는 개봉구를 끈으로 동여맨다든지 하여 밀봉시키는 수단을 그나마 쉽게 강구할 수 있으나, 대용량의 소금, 특히 장을 담근다든지 김치를 담그기 위해 사용하는 대용량 마대 포장 소금의 경우에는 별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통을 마련하여 그 안에 저장하는 방법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별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통을 마련하여 소금을 저장하는 경우, 외부의 습기에 의해 소금이 녹는 것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소금이 눅눅해지는 것까지는 방지할 수 없었다.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통 안에 소금, 특히 천일염을 밀봉 저장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금이 눅눅해지는 이유는 제염 시에 소금 중에 이미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특히 천일염의 상품성의 관점에서 보면, 소금의 흡습 용해성(조해성)으로 인하여 소금 결정체가 녹게 되면 소금의 입도가 작아져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섬유재 등으로 직조되거나 비닐재 등으로 제조된 포대에 소금을 담아 운송하는 경우나 저장, 보관함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 입장에서는 운반하기가 불편한 점이 있으며, 운송 수단에는 습기, 빗물 등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소금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산자나 사용자 모두 저장 장소를 건조한 곳으로 골라야 하는 제약도 따른다.
또한, 직포 또는 비닐 봉투 등의 형태로 제작된 된 포장 용기는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 재활용하기 어려우며 폐기 시에는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금 저장과 관련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금을 일정 용량으로 규격화한 고체 용기에 밀봉 저장할 수 있고, 저장 중에 소금이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반이 용이하고, 위생적인 운반, 저장이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소금 저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천일염을 용기에 담아 운반, 저장하는 동안에 천일염에 수분과 함께 흡착된 간수 등의 불순물이 자연 탈수되도록 함으로써 소금이 녹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금의 입도를 제염시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소금 저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여과체를 보인 사시도.
도 3a는 상기 여과체의 평면도.
도 3b는 상기 여과체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뚜껑이 열린 모습을 보인 일부 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금 저장 용기 10: 용기 본체
12: 손잡이 15: 소금 저장부
16: 간수 집수부 20: 여과체
22: 배수판 22a: 배수공
24: 받침대 30: 뚜껑
S: 소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에 운반용 손잡이가 착설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상부 테두리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소금 저장 용기에 있어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판과 상기 배수판을 용기 본체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배수판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과 용기 본체의 내부 바닥 사에는 간수 집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저장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배수판과 받침대는 서로 별개로 제조되거나, 서로 일체가 되게 제조될 수 있다. 받침대는 배수판을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유지되도록 할 수만 있다면 용기 본체 내부의 하부 내주연부에 돌기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용기의 내부 바닥에 동심원의 원통 형태로 용기와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배수판과 받침대는 저장 용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며, 배수판과 받침대를 일체로 형성시킨 일명, '여과체(濾過體)' 또한 용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다.
배수판 또는 여과체 위의 공간은 소금 저장부를 형성하며 그 아래 부분의 공간은 간수 등의 수분이 침출되어 고이도록 하는 침출액 수집 공간 또는 간수 집수부를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에 따르면, 소금을 담아서 운반, 보관하는 중에 소금에 흡착되어 있는 간수 등의 불순물이 수분과 함께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향으로 자연적으로 탈수 및 침강되어 배수판에 형성된 배수공을 통하여 침출액 수집 공간 또는 간수 집수부에 수집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소금이 항상 보송보송하게 유지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판과 받침대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를 '여과체(濾過體)'라 칭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여과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3a 및 도3b 각각은 상기 여과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뚜껑이 열린 모습을 보인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1)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성형되어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도1에 보인 바와 같이 손잡이(12)가 양쪽 힌지(12a, 12b)에 회동 가능하게 착설되고 상부 외주연부에 2중의 상부 테두리(14)가 형성된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의 상부 테두리(14)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30)과,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여과체(2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여과체(20)는 용기 본체(10)와 분리 가능하며, 도2에 보인 바와 같이 다수의 배수공(22a)이 천공된 배수판(22)과 이로부터 연장된 받침대(24)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상기 배수판(22)은 도4에 보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저면부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받침대(24)에 의해 지지되며, 이에 따라 용기 본체(10)는 상기 여과체(20)의 배수판(22)에 의해 소금 저장부(15)와 간수 집수부(16)로 구획된다. 배수판(2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대(24)는 배수판(22)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원통부 안쪽에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의 보강대(24a)를 형성시켜서 소금의 자중에 의해 배수판(22)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수판(22)에 형성된 배수공(22a)은 도3에 보인 바와 같이 불규칙하게 천공하거나 임의의 형상 및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용기에 천일염을 담는 경우에는, 천일염의 입도가 일반적으로 2 ~ 5mm 정도이고, 1mm미만의 입도를 가진 소금은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배수공(22a)의 구멍의 크기는 1 ~ 1.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소금 저장 용기에 천일염의 입도보다 작은 소금을 담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공(22a)의 구멍의 크기는 저장 용기에 담는 소금의 입도보다 작게 형성시키면 된다.
도1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30)의 하단부에는 태그(32a)가 형성된 개봉띠(32)를 뚜껑(30)과 일체로 성형시키되, 그 원주 방향의 이음 부위는 뚜껑(30)의 최초 개방시에 뚜껑(30)으로부터 쉽게 찢어져서 분리, 제거되도록 취약하게 성형되도록 한다. 즉, 천일염이 포장, 출하된 후에 사용자가 상기 개봉띠(32)의 태그(32a)를 잡아 당기면 개봉띠(32)의 취약한 이음 부위가 원주 방향을 따라서 찢기면서 뚜껑(30)으로부터 분리, 제거된다. 개봉띠(32)가 뚜껑(30)으로부터 분리, 제거된 후에도 뚜껑(30)을 용기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뚜껑(30)의 내주연부에는 용기 본체(10)의 상부 외주연부에 형성된 상부 테두리(14)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홈(31, 도4)이 형성된다.
한편, 뚜껑(30)의 상부에는 도4의 단면도에서 보았을 때에 요홈을 형성하는 요홈부(33)가 마련되는데, 이 요홈부(33)의 내경은 저장 용기의 바닥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저장 용기 위에 다른 저장 용기를 계속해서 쌓을 수 있어서 용기의 적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의 소금 저장부(15)에 소금(S)을 담아서 뚜껑(30)을 결합시켜서 출하하게 되면 뚜껑에 형성된 개봉띠(32)를 사용자가 찢어내기 전까지는 완전한 기밀이 유지되어 외부의 습기에 의해 소금이 녹는 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소금을 사용하기 위해 개봉띠(32)를 찢어낸다 해도 뚜껑(3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홈(31)과 용기 본체 상부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상부테두리(14)가 상호 결합되므로 사용 중에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서 소금이외부의 습기와 접촉하여 녹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소금(S)에 흡착되어 있는 간수 등의 불순물과 외부의 습기와 결합하여 형성하는 수분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배수판(22)의 배수공(22a)을 통해서 간수 집수부(16)에 수집됨으로써 소금 결정체로부터 분리, 제거되므로 소금이 녹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뚜껑을 자주 열고 닫아도 항상 보송보송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소금의 색상은 일반 포대 보관에 비해 더욱 선명해지고 광택이 좋아지는 효과를 확인했다. 소금의 색상이 일반 포대 보관에 비해 더 선명해지고 광택이 좋아지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 낼 수 없었으나, 본 고안자가 추정하는 바로는 소금에 흡착되어 있는 간수 등이 중력 작용에 의해 분리되어 용기 바닥부에 분리, 저장되기 때문인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이송 중에 용기(1)의 심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간수 집수부(16)에 수집된 침출액, 즉 간수가 소금 저장부(14)로 일부 역류한다 하여도 소금의 용해도(20℃에서 36임)가 간수의 용해도 보다 낮기 때문에 소금이 간수에 용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금의 용해로 인해 소금의 입도가 작아지지는 일도 없음을 확인했다. 이의 물리적 기구(mechanism)를 추정하건대, 용기의 움직임에 따라 일부 역류된 간수는 용기(1)의 움직임이 정지된 때에는 다시 중력에 의해 아래로 침강하여 간수 집수부(16)에 수집되면서 소금 결정체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1)는 5Kg용, 7kg용, 10Kg용, 20Kg용 등의 다양한 용량으로 제품화할 수 있고 용기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색상이 선명하고, 광택이 좋으며, 천일염의 본래의 입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소금의 상품가치가 높아져 일반 가정은 물론 음식점 및 염전 업체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로 변형, 수정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여과체(20)의 배수판(22)을 아래로 볼록하게 테이퍼지게 성형할 수 있으며, 용기 본체(1)의 저면부에 간수 수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공(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이러한 배출공에 탄성체의 마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패킹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판과 받침대로 이루어진 소위 간수 분리 수단을 소형 용기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기본적인 기술 사상을 대형의 저장 창고에도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추출된 간수의 재활용과 관련하여, 본 실시예와 같은 소용량의 용기의 사용례에서 보면 소금으로부터 추출, 분리되어서 모인 간수의 양은 미미하였으므로, 그 추출된 간수의 재활용 방법을 찾기는 어려우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대형의 소금 저장 창고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로부터 분리, 추출되는 간수의 양은 상당하므로, 이를 회수하여 두부의 제조, 마그네시아 시멘트, 정미용(精米用) 또는 무기공업에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는, 소금 결정체에 혼입된 인체에 유익한 각종 미네랄 성분은 그대로 보유시키고, 소금에 흡착되어 있는 간수등의 불순물을 수분과 함께 자연 탈수, 침강시켜 제거함으로써 청결하고, 고유의 품질과 맛을 함유한 소금을 식염 또는 건강염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금 저장 용기는,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위생적으로 소금을 이송, 보관할 수 있다. 아울러 소금의 색상 및 광택을 선명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천일염의 본래의 입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소금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손잡이(12)가 회동 가능하게 착설된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상부 테두리(14)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30)으로 이루어진 소금 저장 용기에 있어서,
    다수의 배수공(22a)이 형성된 배수판(22)과 상기 배수판(22)을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배수판 받침대(24)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판(22)과 용기 본체(10)의 내부 바닥 사이에는 간수 집수부(1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저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판(22)과 배수판 받침대(2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저장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의 횡단면 형상이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요홈부(33)의 내경은 소금 저장 용기의 바닥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금 저장 용기.
KR2020010027724U 2001-09-10 2001-09-10 소금 저장 용기 KR200260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24U KR200260253Y1 (ko) 2001-09-10 2001-09-10 소금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24U KR200260253Y1 (ko) 2001-09-10 2001-09-10 소금 저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253Y1 true KR200260253Y1 (ko) 2002-01-10

Family

ID=7310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724U KR200260253Y1 (ko) 2001-09-10 2001-09-10 소금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25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49Y1 (ko) * 2008-03-24 2010-09-14 남궁포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 용기
KR200457241Y1 (ko) * 2010-01-28 2011-12-12 김병구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 저장팩
KR200459126Y1 (ko) * 2008-12-26 2012-03-19 (유)서해푸드 천일염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49Y1 (ko) * 2008-03-24 2010-09-14 남궁포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 용기
KR200459126Y1 (ko) * 2008-12-26 2012-03-19 (유)서해푸드 천일염 용기
KR200457241Y1 (ko) * 2010-01-28 2011-12-12 김병구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 저장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7517C2 (ru) Контейнер, снабженный внутренним пакетом
US5287985A (en) Container for dewatering or packaging and transportation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US20080131034A1 (en) Expandable bag assemblies with an integral support structure for filling
KR200260253Y1 (ko) 소금 저장 용기
KR100929254B1 (ko)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저장용기
GB9923986D0 (en) Plastic bags
KR20100008081U (ko) 물티슈 리필용 지퍼백
US4458962A (en) Refuse bins
AU774396B2 (en) Spa gems mineral bath
KR101133406B1 (ko)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JP2004099177A (ja) 飲用物包装用パウチ
US20100308057A1 (en) Beverage containers and components thereof
KR200457241Y1 (ko) 간수분리구조를 갖는 소금 저장팩
CA1158209A (en) Container with a stiffened bottom,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CN107914956A (zh) 一种方形瓶盖
KR200450249Y1 (ko) 간수 분리구조를 갖는 천일염 저장 용기
CN208647376U (zh) 少胶节能环保包装盒
GB1323804A (en) Packing containers
JP3230621U (ja) 巾着袋
KR20170002593U (ko) 덩어리 설탕용 보관함이 형성된 커피믹스 박스
KR940005457Y1 (ko) 조립식 마개가 형성된 위조 방지용 팩용기
CN207389966U (zh) 食品包装小罐
KR200439639Y1 (ko) 일회용 식품 용기
KR200430482Y1 (ko) 회전식 개폐가 가능한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