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873B1 -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873B1
KR100928873B1 KR1020070127068A KR20070127068A KR100928873B1 KR 100928873 B1 KR100928873 B1 KR 100928873B1 KR 1020070127068 A KR1020070127068 A KR 1020070127068A KR 20070127068 A KR20070127068 A KR 20070127068A KR 100928873 B1 KR100928873 B1 KR 100928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glass plate
loading
plate
moun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959A (ko
Inventor
홍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to KR102007012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87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air blast or suction apparatus
    • B65H29/245Air blas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는, 유리판과 간지가 번갈아 적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의 측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대 쪽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간지를 반대편으로 날려 보내는 간지 블로우어; 및 상기 간지 블로우어와 마주보도록 상기 적재대의 다른 측면쪽에 설치되며 상기 간지 블로우어와 마주보는 면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간지 블로우어에 의해 날려오는 간지를 수거하는 간지 수거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분사를 통하여 간지를 제거함으로서 로봇 아암의 회전반경이 필요없게 되어 설치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유리판, 간지, 공기 분사, 간지 블로우어

Description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Apparatus for separate collection of paper inserted between glasses}
도 1은 종래의 간지 분리 수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지 분리 수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적재대 장입부(13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적재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유리판 이송로봇(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의 유리판 이송로봇(11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의 간지 블로우어(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분사봉(123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의 분사위치 제어수단(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10, 110: 유리판 이송로봇 11, 11a, 11b: 유리판
12: 유리판 이송로봇 아암 15, 115: 컨베이어
20: 간지 이송로봇 21, 21a, 21b: 간지
22: 간지 이송로봇 아암 25, 125: 간지 수거함
30, 130: 적재대 111: 이송로봇 지지판
112a: 제1아암 112b: 제2아암
112c: 지게대 112d: 흡착단
113: 수평이동판 114: 수평이동수단
115: 컨베이어 116a: 아암 경사 관절
116b: 유리판 경사 관절 120: 간지 블로우어
121: 블로우어 틀 122a, 122b: 분사봉 고정대
123a-123d: 분사봉 131: 턴 테이블 지지판
132: 턴 테이블 133: 적재대 얼라인 유니트
134: 적재대 받침대 135: 적재대 장입부
200: 분사위치 제어수단 220: 분사공
221: 분사틈 300: 수평이동판 위치파악수단
본 발명은 간지(paper inserted between glasses) 분리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FT-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의 기판으로서 유리기판이 사용된다. 통상 대형의 유리판을 층층이 적재한 채로 운반한 다음에 유리판을 한 장씩 꺼내어 공정라인에 투입한다. 이 때 유리판을 한 장씩 꺼내는 과정에서 두 장의 유리판이 밀착되어 유리판 두 장이 한꺼번에 들어 올려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에는 그 중 한 장이 떨어져서 유리판이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유리판을 층층이 적재할 때 유리판들 사이에 간지를 개재한다. 따라서 유리판을 한 장 꺼낸 다음에 간지를 분리수거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간지 분리 수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선으로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있는 적재대(30) 상에 유리판이 복수개가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판들 사이에는 간지가 개재된다.
유리판 이송로봇(10)은 진공흡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아암(12)을 이용하여 적재대(30)의 맨 위에 있는 유리판(11)을 진공흡착한 후 유리판 이송로봇 아암(12)이 유리판(11)을 위에서 들고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유리판(11)을 수평으로 위치시킨다. 유리판 이송로봇(10)은 수평회전(10a)하여 유리판(11)을 컨베이어(15)의 상부로 이송시킨 후 유리판 이송로봇 아암(12)의 진공흡착수단의 가동을 중단하여 유리판(11)을 컨베이어(15)에 안착시킨다. 컨베이어(15)에 안착된 유리판(11)은 공정라인에 투입된다.
유리판(11)이 컨베이어(15)로 이송되면 적재대(30) 상에는 간지(21)가 노출된다. 간지 이송로봇(20)은 진공흡착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아암(22)을 이용하여 노출된 간지(21)를 진공흡착한 후 간지 이송로봇 아암(22)을 수평회전(20a)하여 간지 수거함(25)으로 이송한다.
상술한 종래의 유리판 이송장치는 유리판 이송로봇(10)의 수평회전반경(10a) 뿐만 아니라 간지 이송로봇(20)의 수평회전반경(20a)이 요구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많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분사로 간지를 분리수거함으로써 간지를 이송하는데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간지 분리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지 분리 수거장치는, 유리판과 간지가 번갈아 적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의 측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대 쪽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간지를 반대편으로 날려보내는 간지 블로우어; 및 상기 간지 블로우어와 마주보도록 상기 적재대의 다른 측면쪽에 설치되며 상기 간지 블로우어와 마주보는 면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간지 블로우어에 의해 날려오는 간지를 수거하는 간지 수거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대는 적재대 받침대에 지지되어 비스듬하게 놓이며, 유리판 이송로봇은 상기 적재대 쪽으로 수평이동 가능한 수평이동판 상에 상기 적재대 앞면 쪽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컨베이어는 상기 적재대와 마주보도록 상기 유리판 이송로봇 의 건너편에 설치된다. 상기 유리판 이송로봇은 흡착단을 가지고 있어 상기 수평이동판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적재대에 접근한 후 상기 흡착단을 통하여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유리판의 윗면을 흡착하여 들어 올려 회전하여 아래에서 받친 상태로 뒤로 젖혀져서 상기 흡착단에 흡착된 유리판을 상기 컨베이어에 올려놓고, 상기 간지 블로우어는 상기 유리판 이송로봇이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유리판을 흡착하여 들어 올렸을 때 동작한다.
상기 수평이동판은 상기 유리판 이송로봇이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유리판을 흡착하도록 상기 수평이동판이 상기 적재대 쪽으로 접근하였을 때의 상기 수평이동판의 위치를 파악하는 수평이동판 위치파악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간지 블로우어는 상기 수평이동판 위치파악수단으로부터 상기 수평이동판의 위치를 피드백 받아 상기 수평이동판의 위치가 적재대 쪽에 가까울수록 상기 간지 블로우어의 바람분사위치가 상기 적재대에 가깝도록 상기 간지블로우어의 바람분사위치를 이동시키는 분사위치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간지 블로우어는,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도록 세로로 세워지며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는 면이 개방되는 블로우어 틀; 상기 블로우어 틀의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설치되는 분사봉 고정대; 및 상기 분사봉 고정대에 윗단과 아랫단이 끼워져서 수직하게 세워져서 상기 간지 수거함쪽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봉;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분사봉 고정대를 상기 적재대 쪽으로 수평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바람분사위치를 이동시킨다. 상기 분사봉은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도록 옆으로 일렬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간지 블로우어는,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도록 세로로 세워지며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는 면이 개방되는 블로우어 틀; 상기 블로우어 틀의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설치되는 분사봉 고정대; 및 상기 분사봉 고정대에 윗단과 아랫단이 끼워져서 수직하게 세워져서 상기 간지 수거함쪽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도록 옆으로 일렬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분사봉;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적재대에서 먼쪽에 있는 분사봉부터 상기 적재대에 가까운 쪽에 있는 분사봉 순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바람분사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지 분리 수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리판 이송로봇(110)의 앞에는 적재대 장입부(135)가 위치하고, 뒤에는 컨베이어(115)가 위치하여 적재대 장입부(135), 유리판 이송로봇(110), 및 컨베이어(115)는 직선적으로 배열된다. 적재대 장입부(135)의 측면에는 간지 블로우어(blower, 120)가 설치되고 다른 측면에는 간지 블로우어(120)와 마주보게 간지 수거함(125)이 설치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적재대 장입부(13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턴 테이블 지지판(131) 상에 턴 테이블(132)이 수평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며, 턴 테이블(132) 상에는 적재대 받침대(134)가 설치된다. 적재대 받침대(134)는 적재대(130)가 비스듬하게 놓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적재대(13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11)이 복수개가 적층되며, 유리판(11)들 사이에는 간지(21)가 개재된다. 적재대(130)는 지게차에 의해 운반되어 적재대 받침대(134)에 놓여지며, 유리판(11)은 이 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을 향한다. 적재대(130)가 재위치에 놓이도록 턴 테이블(132)에는 적재대 얼라인 유니트(133)가 설치된다.
적재대(130)가 적재대 받침대(134)에 놓이면 턴 테이블(132)을 18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유리판(1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을 향하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 이송로봇(110)을 바라보게 된다.
도 5는 도 2의 유리판 이송로봇(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송로봇 지지판(111) 상에는 수평이동판(113)이 설치되며, 이송로봇 지지판(111)과 수평이동판(113) 사이에는 수평이동판(113)을 적재대(30) 쪽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수단(114)이 설치된다.
수평이동수단(114) 상에는 유리판 이송로봇(110)의 아암이 설치되며, 유리판 이송로봇(110)의 아암은 제1아암(112a)과 제2아암(112b)으로 구분된다. 제1아암(112a)은 한쪽 끝이 수평이동판(113)에 연결되며, 수평이동판(113)과의 연결부를 축으로 하여 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아암(112a)과 수평이동판(113)의 연결부에는 아암 경사 관절(116a)이 설치된다.
제2아암(112b)은 중간 부분이 제1아암(112a)의 다른 한쪽 끝에 연결된다. 제1아암(112a)과 제2아암(112b)의 연결부에는 유리판 경사 관절(116b)이 설치되며, 제2아암(112b)은 유리판 경사 관절(116b)을 축으로 하여 마치 시소처럼 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유리판(11)이 크기 때문에 제2아암(112b)에는 유리판(11)을 밑에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가로로 긴 지게대(112c)가 나란하게 복수개 설치되며, 지게대(112c)에는 유리판(11)에 닿는 면쪽에 흡착단(112d)이 설치된다.
유리판 이송로봇(110)이 유리판을 밑에서 받친 상태로 컨베이어(115)에 수평안착시킨 후에 컨베이어(115)가 가동되는 동안에는 유리판 이송로봇(110)은 유리판에서 이격되어 컨베이어(115)의 밑에 잠시 머물러야 한다. 이를 위해 컨베이어(115)에는 이송로봇 아암 통과 공간(A)이 마련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의 유리판 이송로봇(11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대기모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대(130)가 지게차에 의해 적재대 받침대(134)에 놓인 후 턴 테이블(132)을 180ㅀ 회전시키면 유리판(11)과 유리판 이송로 봇(110)이 서로 마주보는 대기모드 상태가 된다. 이 때 제1아암(112a)은 수직하게 세워져 있고 제2아암(112b)은 제1아암(112a)과 33.5ㅀ의 사잇각을 갖는다.
[아암 숙이기]
그 후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경사 관절(116a)을 축으로 하여 제1아암(112a)을 앞쪽으로 39ㅀ만큼 숙여서 제2아암(112b)이 유리판(11)과 나란하게 되도록 한다.
[아암 전진]
다음에,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이동수단(114)을 가동하여 흡착단(112d)이 유리판(11)에 닿도록 수평이동판(113)을 적재대(30)쪽으로 수평이동시킨다. 흡착단(112d)이 유리판(11)에 닿으면 흡착단(112d)을 통하여 유리판(11)을 진공흡착한다.
[아암 젖히기 및 간지 제거]
그리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경사 관절(116a)을 축으로 하여 제1아암(112a)을 뒤쪽으로 3ㅀ정도 젖혀서 흡착단(112d)에 흡착된 유리판(11)을 적재대(130)에서 소정의 간격(T) 만큼 이탈시킨다. 이 때 제2아암(112b)도 유리판 경사관절(116)을 축으로 하여 약간 회전하여 제1아암(112a)과 제2아암(112b) 사이의 사잇각은 33.5ㅀ에서 30.5ㅀ로 작아진다. 유리판(11)이 적재대(130)에서 이탈된 후에 는 간지 블로우어(120)를 통하여 공기를 불어넣어 유리판(11) 밑에 있던 간지(21)를 간지 수거함(125)으로 날려 보낸다.
[컨베이어에 안착]
다음에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경사 관절(116a)을 축으로 하여 제1아암(112a)을 뒤쪽으로 99ㅀ만큼 더 회전시켜 젖힌다. 그러면 결국에는 제1아암(112a)은 수직축에 대해서 63ㅀ만큼 뒤로 젖혀진 상태가 되며, 제2아암(112b)도 회전하여 제1아암(112a)과 제2아암(112b) 사이의 사잇각도 30.5ㅀ에서 27ㅀ로 더욱 작아진다. 이 때 유리판(11)은 컨베이어(115) 상에 수평으로 위치하게 된다. 컨베이어(115)에 설치되는 유리판 감지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유리판(11)이 컨베이어(115)상에 위치된 것이 확인되면 흡착단(112d)의 작동을 해제한다.
[컨베이어 이동]
진공흡착이 해제되면 로봇 아암(112a, 112b)이 컨베이어(115)의 이송로봇 아암 통과공간(A)을 통과하여 제1아암(112a)이 2ㅀ만큼 뒤로 더 젖혀지도록 한다. 그러면 흡착단(112d)이 유리판(11)에서 완전히 이격된다. 이 때 제1아암(112a)과 제2아암(112b)의 사잇각이 27ㅀ에서 25ㅀ로 작아지면서 제2아암(112b)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흡착단(112d)이 유리판(11)에서 떨어지면 컨베이어(115)를 가동시켜 유리판(11)을 다음 작업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유리판(11)이 이동된 후에는 로봇아암(112a, 112b)이 다시 앞으로 회전하면서 적재대(130) 쪽으로 접근하여 앞과정을 반복한다.
도 7은 도 5의 간지 블로우어(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어 틀(121)은 세로로 세워지며 간지 수거함(125)을 바라보는 면은 개방된다. 블로우어 틀(121)의 위쪽 모서리와 아래쪽 모서리에는 분사봉 고정대(122a, 122b)가 설치되며, 분사봉 고정대(122a, 112b)에는 복수개의 분사봉(123a-123d)의 양단이 끼워진다. 분사봉(123a-123d) 각각은 세로로 길게 세워지며, 복수개가 모두 간지 수거함(125)을 바라보도록 옆으로 일렬로 세워진다. 분사봉(123a-123d)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일렬로 복수개의 분사공(220)이 형성되거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길게 분사틈(221)이 형성된다.
적재대(130)의 유리판(11)을 흡착단(112d)으로 흡착하기 위해서는 도 6c에서와 같이 수평이동판(113)이 적재대(130) 쪽으로 수평이동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때 유리판(11)이 이송작업이 반복될수록 적재대(130)에 남아있는 유리판(11)의 수가 적어지므로 수평이동판(113)은 점점 더 적재대(130) 쪽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두에 있는 유리판(11a)을 이송할 때에는 블로우어(120)의 바람이 선두 유리판(11a)의 밑에 있는 간지(21a)의 뒷면 쪽으로 불어 들어가지만, 작업이 계속 진행되어 말미에 있는 유리판(11b)을 이송할 때에는 블로우어(120)의 바람이 말미 유리판(11b)의 밑에 있는 간지(21b)의 윗면쪽으로 불어 들어간다. 따라서 선두 유리판(11a)의 밑에 있는 간지(21a)는 간지수거함(125)으로 잘 날려가나 말미 유리판(11b)의 밑에 있는 간지(21b)는 오히려 잘 날 려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참조번호 124는 블로우어(120)에서 나오는 바람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간지 블로우어(120)는 작업이 진행될수록 블로우어(120)의 바람분사위치를 적재대(130)쪽으로 이동시키는 분사위치 제어수단(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베이어(115)로 이송된 유리판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적재대(130)에 남아있는 유리판의 수가 적어지므로 도 6c의 단계에서 수평이동판(113)이 적재대(130) 쪽으로 더 많이 이동해야 한다. 유리판 이송로봇(110)이 적재대(130)에 적재된 유리판(11)을 흡착하도록 수평이동판(113)이 적재대(130)쪽으로 수평 이동하였을 때 그 때의 수평이동판(113)의 위치는 수평이동판 위치파악수단(300)을 통해서 파악된다.
분사위치 제어수단(200)은 수평이동판 위치파악수단(300)으로부터 이러한 수평이동판(113)의 위치를 피드백 받아 수평이동판(113)의 위치가 적재대(130) 쪽에 가까울수록 간지 블로우어(120)의 바람분사위치가 적재대(130)에 가깝도록 바람분사위치를 이동시킨다. 바람분사위치의 이동은 분사봉 고정대(112a, 112b)를 적재대(130)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바람분사위치의 이동은 분사봉 고정대(112a, 112b)의 이동없이 복수개의 분사봉(122a-122d)에서의 분사순서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적재대(130)에서 먼쪽에 있는 분사봉(123d)부터 적재대(130)에 가까운 쪽에 있는 분사봉(123a) 순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면 유리판의 이송이 진행될수록 블로우어(120)에서 나오는 바람이 점점 적재대(130)에서 가까운 곳에서 나오게 되어 간지 가 바람에 눌려 날려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분사를 통하여 간지를 제거함으로서 로봇아암의 회전반경이 필요없게 되어 설치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Claims (7)

  1. 유리판과 간지가 번갈아 적재되며 적재대 받침대에 지지되어 비스듬하게 놓이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의 측면 쪽에 설치되며 상기 적재대 쪽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간지를 반대편으로 날려보내는 간지 블로우어;
    상기 간지 블로우어와 마주보도록 상기 적재대의 다른 측면쪽에 설치되며 상기 간지 블로우어와 마주보는 면이 개방되어 있어 상기 간지 블로우어에 의해 날려오는 간지를 수거하는 간지 수거함;
    상기 적재대 쪽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이동판;
    상기 적재대 앞면 쪽을 바라보도록 상기 수평이동판 상에 설치되는 유리판 이송로봇; 및
    상기 적재대와 마주보도록 상기 유리판 이송로봇의 건너편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판 이송로봇은 흡착단을 가지고 있어 상기 수평이동판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적재대에 접근한 후 상기 흡착단을 통하여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유리판을 흡착하여 들어 올려 회전하여 아래에서 받친 상태로 뒤로 젖혀져서 상기 흡착단에 흡착된 유리판을 상기 컨베이어에 올려놓고, 상기 간지 블로우어는 상기 유리판 이송로봇이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유리판을 흡착하여 들어올렸을 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분리 수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판은 상기 유리판 이송로봇이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유리판을 흡착하도록 상기 수평이동판이 상기 적재대 쪽으로 접근하였을 때의 상기 수평이동판의 위치를 파악하는 수평이동판 위치파악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간지 블로우어는 상기 수평이동판 위치파악수단으로부터 상기 수평이동판의 위치를 피드백 받아 상기 수평이동판의 위치가 적재대 쪽에 가까울수록 상기 간지 블로우어의 바람분사위치가 상기 적재대에 가깝도록 상기 간지블로우어의 바람분사위치를 이동시키는 분사위치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분리 수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블로우어는,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도록 세로로 세워지며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는 면이 개방되는 블로우어 틀;
    상기 블로우어 틀의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설치되는 분사봉 고정대; 및
    상기 분사봉 고정대에 윗단과 아랫단이 끼워져서 수직하게 세워져서 상기 간 지 수거함쪽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봉;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분사봉 고정대를 상기 적재대 쪽으로 수평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바람분사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분리 수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봉은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도록 옆으로 일렬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분리 수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지 블로우어는,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도록 세로로 세워지며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는 면이 개방되는 블로우어 틀;
    상기 블로우어 틀의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설치되는 분사봉 고정대; 및
    상기 분사봉 고정대에 윗단과 아랫단이 끼워져서 수직하게 세워져서 상기 간지 수거함쪽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간지 수거함을 바라보도록 옆으로 일렬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분사봉;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위치 제어수단은 상기 적재대에서 먼쪽에 있는 분사봉부터 상기 적재대에 가까운 쪽에 있는 분사봉 순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바람분사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지 분리 수거장치.
KR1020070127068A 2007-12-07 2007-12-07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 KR10092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068A KR100928873B1 (ko) 2007-12-07 2007-12-07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068A KR100928873B1 (ko) 2007-12-07 2007-12-07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959A KR20090059959A (ko) 2009-06-11
KR100928873B1 true KR100928873B1 (ko) 2009-11-30

Family

ID=4098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068A KR100928873B1 (ko) 2007-12-07 2007-12-07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47B1 (ko) * 2009-10-23 2012-03-23 (주) 유니티엔씨 유리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리코팅시스템
CN113695024A (zh) * 2021-08-24 2021-11-26 中建材智能自动化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尺寸超薄玻璃的破碎回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3493U (ja) * 1981-12-18 1983-06-24 トキコ株式会社 吊上げ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3493U (ja) * 1981-12-18 1983-06-24 トキコ株式会社 吊上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959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09B1 (ko) 자기부상방식 판유리 이송장치
KR100595111B1 (ko) 기판 이송 장치
TWI337166B (ko)
KR101703032B1 (ko) 판유리 가공시스템
JP5168594B2 (ja) 基板搬送設備
JP2006206324A (ja) 基板搬送装置
KR20060101249A (ko) 글래스 기판용 필름의 부착방법
JP2007015846A (ja) 板ガラスの方向転換装置
JP2003017114A (ja) 極板積層体の極板分離供給装置
JP2006182560A (ja) 基板搬送装置
KR100928873B1 (ko) 공기 분사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
JP5093618B2 (ja) 基板搬送設備
JP2001196438A (ja) 薄板状材の搬送装置
KR20090057698A (ko) 유리판 이송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8172046A (ja) 基板浮上搬送装置
KR100955406B1 (ko) 흡착형 간지 분리 수거장치
KR102431793B1 (ko) 초박형 유리용 합착시트 정렬장치
JP2004277003A (ja) 大型薄板用コンテナーおよび大型薄板給排装置
JPH07309470A (ja) 枚葉印刷機の給紙装置
JP2003037145A (ja) ウエハ搬送装置
JP4246507B2 (ja) 大型薄板用コンテナーおよび大型薄板給排装置
JP4676406B2 (ja) 可撓性シートの集積装置
CN211516413U (zh) 单晶电池片裂片设备
JP4289093B2 (ja) トレイ搬送システム
TW201221455A (en)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thod for plate-shaped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