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502B1 -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502B1
KR100928502B1 KR1020070112121A KR20070112121A KR100928502B1 KR 100928502 B1 KR100928502 B1 KR 100928502B1 KR 1020070112121 A KR1020070112121 A KR 1020070112121A KR 20070112121 A KR20070112121 A KR 20070112121A KR 100928502 B1 KR100928502 B1 KR 10092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dielectric
film
dielectric film
forming
via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144A (ko
Inventor
신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11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5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2Modification of the material of dielectric layers, e.g. grading, after-treatme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layers, to increase their density etc.
    • H01L21/76826Modification of the material of dielectric layers, e.g. grading, after-treatme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layers, to increase their density etc. by contacting the layer with gases, liquids or plasm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01L21/76883Post-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소수성 저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저유전막의 내부에 비아홀과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비아홀과 트렌치를 매립하도록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저유전막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금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 및 평탄화된 결과물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노출된 저유전막의 표면에 친수성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소수성 저유전막의 표면에 친수성 산화막을 형성하므로서 캡핑층이나 솔벤트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소수성으로 인해 저유전막의 상부에 형성되는 워터 마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리로 된 금속층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된 CuOx막에 의해 구리 금속층의 부식(corrosion)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반도체 소자의 수율,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플라즈마, 워터 마크, 저유전막, 소수성, 친수성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90nm급에서 이용되는 예를 들면 3.0 이하의 유전 상수(k)를 갖는 소수성 저유전(low-k)막을 갖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고속화 및 고집적화를 실현하기 위해, 금속 배선의 선폭이 더욱 좁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SiO2 대신에 저 유전 상수(low-k)를 갖는 박막을 절연막으로 이용하고 알루미늄 대신에 구리를 배선으로 이용하는 소자 응용 기술이 많이 요구되고 있다. 반도체 제조 공정은 실리콘 기판에 트렌지스터를 형성하는 기판 공정(FEOL:Front End Of the Line)과 배선을 형성하는 배선 공정(BEOL:Back End Of Line)으로 구분된다.
배선 공정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서 개별 트랜지스터들을 서로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전원 공급 및 신호 전달의 통로를 실리콘 위에 구현하는 기술이다. 더욱 미세화된 다층 배선 공정에 의해 밀접하게 배열된 금속 배선 간의 정전 용량과 미세 금속선의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저항 정전 용량(RC:Resistance-Capacitance) 지연 효과가 크게 나타나게 되어 소자의 동작 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절연막의 유전 상수는 보통 3.5 내지 5.4이고, 유전 상수가 2.7 이하인 절연막을 저 유전 절연막이라고 한다. 특히, 로드 맵에서 90nm 이하에서, 3 이하의 k값을 갖는 절연막을 요구한다. 또한, 65nm 이하에서는 절연막이 2.0 이하의 k값을 가져야만 RC 지연이 발생하지 않고 반도체 소자가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낮은 유전 상수(low-k)를 갖는 저유전막의 경우 소수성을 가지므로, 저유전막의 상부에 워터마크(watermark)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리 배선을 위한 다마신(damascene) 공정의 경우, 비아홀(미도시)과 트렌치(미도시)에 구리를 증착하여 형성한 후,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수행한다. 이 때, CMP 공정에 의해 야기된 불순물들을 물을 포함한 세정액을 사용하여 세정할 경우, 저유전막이 소수성이면 워터마크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워터마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으로 방법들 중 하나로서, 소수성을 갖는 저유전막을 증착하여 형성하고, 형성된 저유전막의 상부에 친수성을 갖는 TEOS(TEtraethOxySilane)등으로 캡핑층(capping layer)를 형성하여 워터마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공정을 복잡하게 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CMP 공정 이후에 솔벤트를 사용하여 워터마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역시 솔벤트가 고가이므로,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캡핑층이나 솔벤트를 이용하지 않고, 저유전막의 상부에 발생할 수 있는 워터마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소수성 저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저유전막의 내부에 비아홀과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아홀과 상기 트렌치를 매립하도록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저유전막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금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평탄화된 결과물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상기 노출된 저유전막의 표면에 친수성막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소수성 저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상기 저유전막의 표면에 친수성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친수성막을 포함하는 상기 저유전막 내부에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소수성 저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저유전막에 비아홀과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아홀과 상기 트렌치를 포함하는 상기 저유전막의 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친수성막을 상기 저유전막의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아홀과 상기 트렌치에 금속층을 매립하여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는 소수성 저유전막과,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상기 소수성 저유전막의 표면에 형성된 친수성막 및 상기 저유전막 내부의 비아홀과 트렌치에 매립되어 형성된 제1 금속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소수성 저유전막의 표면에 친수성 산화막을 형성하므로서 캡핑층이나 솔벤트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소수성으로 인해 저유전막의 상부에 형성되는 워터 마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리로 된 금속층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된 CuOx막에 의해 구리 금속층의 부식(corrosion)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반도체 소자의 수율, 신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반도체 기판(미도시)상에 형성된 절연막(130)의 상부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성 저유전막(136)을 형성한다(제100 단계). 예를 들어, 저유전막(136)은 그의 유전상수(k)가 3.0 이하일 경우 소수성일 수 있다. 반도체 기판(130)의 내부에는 하부 금속 배선(134)이 형성되며, 하부 금속 배선(134)의 테두리에 확산 방지막(13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속 배선(134)이 구리로 이루어질 경우, 확산 방지막(132)은 구리가 절연막(130)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00 단계 후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유전막(136)의 내부에 비아홀(138)과 트렌치(140)를 형성한다(제102 단계). 여기서, 비아홀(138)과 트렌치(140)의 내벽에 확산 방지막(또는, 일명 금속 배리어층)(142)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확산 방지막(142)은 후속하는 공정에서 비아홀(138)과 트렌치(140)에 매립되는 구리가 저유전막(136A)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PVD(Physical Vapor Deposition)법,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법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aN, Ta, TaN/Ta, TiSiN, WN, TiZrN, TiN 또는 Ti/TiN 같은 물질을 증착하여 확산 방지막(14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02 단계 후에,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아홀(138)과 트렌치(140)를 매립하도록 금속층(144)을 형성한다(제104 단계). 금속층(144)은 구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금속층(144)은 PVD법, CVD법 또는 전기화학 도금법(ECP:ElectroChemical Plat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금속층(144)을 전기 화학 도금법에 의해 형성할 경우, 도 2c에 도시된 확산 방지막(142)의 전 면에 시드(seed) 구리막을 PVD 또는 CVD법에 의해 증착한 후, 그 결과를 전해액에 담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층인 금속층(144)을 형성하여, 비아홀(138) 및 트렌치(140)에 구리를 매립할 수 있다. 금속층(144)은 비아홀(138) 및 트렌치(140)를 갭필할 뿐만 아니라 확산 방지막(142)이 형성된 저유전막(136A)의 상부를 덮도록 두텁게 구리 벌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04 단계 후에,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유전막(136A)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금속층(144)을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에 의해 평탄화한다(제106 단계).
제106 단계 후에,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된 결과물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146)하여 노출된 저유전막(136A)의 표면에 친수성막(136A1)을 형성한다(제108 단계). 따라서, 저유전막(136A)의 상부 표면은 친수성(136A1)을 갖고 친수성막(136A1)의 하부는 소수성을 갖게 된다. 나아가, 평탄화된 금속층(144A)의 노출된 표면도 플라즈마 처리(146)되어,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144A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즈마 처리 공정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플라즈마 가스로서 산소(O2)를 사용하고, 바이어스 전력은 800 내지 1500W이고, 공정 압력은 5 내지 10mTorr이고, 공정 시간은 10 내지 30초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수성막(136A1)의 두께는 5 내지 6Å이 될 수 있다. 매우 얇은 두께의 친수성막(136A1)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친수성막(136A1)이 저유전막(136A)의 고유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약하다. 이와 같이, 소수성을 갖는 저유전막(136A)을 O2 플라즈마 처리할 경우 저유전막(136A)의 표면은 친수성을 갖는 산화막(136A1)으로 그의 성질이 변하게 되므로, 워터 마크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만일, 금속층(144)이 구리로 형성될 경우, 금속층(144A)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된 CuOx막(144A1)이 형성되고, 표면 아래 부분(144A2)은 Cu로 남는다. CuOx막(114A1)은 후속하는 습식 식각에서 구리 금속층(144A2)에 야기될 수 있는 부식(corrosion)을 방지하는 부식 방지막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108 단계 후에,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막(136A1)과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144A1)의 전면에 층간 절연막(152)을 형성한다(제110 단계). 층간 절연막(152) 역시 저유전막(136)과 마찬가지로 저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수성일 수 있다.
제110 단계 후에,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152)에 사진 및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비아홀(154)을 형성한다(제112 단계). 비록, 도 2h의 경우, 비아홀(154)만을 도시하였지만, 비아홀(154)을 형성한 이후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하여 트렌치(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12 단계 후에,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152A)의 비아홀(154)에 접하는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144A1)을 식각하여 제거할 수 있다(제114 단계). 이 때, 비아홀(154)에 접하는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144A1)은 비아홀(154)을 형성하면서 제거할 수도 있고, 비아홀(154)에 확산 방지막(미도시)을 형성하기 이전에 스퍼터(sputter) 방식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금속 부분(144A1)을 제거하는 이유는, 금속 부분(144A1)이 비아홀(154)에 형성되는 비아 콘텍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제114 단계 후에,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152A)의 비아홀(154)에 금속층(156)을 형성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다층 배선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2i에 도시된 층간 절연막(152A)의 상부에 복수개의 배선 구조를 갖는 층간 절연막들이 적층될 경우에도 워터 마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반도체 기판(미도시)상에 형성된 절연막(220)의 상부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성 저유전막(226)을 형성한다(제200 단계). 여기서, 절연막(220)의 내부에는 하부 금속 배선(224)이 형성되며, 하부 금속 배선(224)의 테두리에 확산 방지막(22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속 배선(224)이 구리로 이루어질 경우, 확산 방지막(222)은 구리가 절연막(220)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b에 도시된 저유전막(226), 확산 방지막(222), 하부 금속 배선(224) 및 절연막(220)은 도 2b에 도시된 저유전막(136), 확산 방지막(132), 하부 금속 배선(134) 및 절연막(13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제조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00 단계 후에,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처리(228)에 의해 저 유전막(226)의 표면에 친수성막(226B)을 형성한다(제202 단계). 여기서, 플라즈마 처리 공정 조건은 제108 단계에서와 동일할 수 있으며, 친수성막(226B)의 두께는 도 2f에 도시된 친수성막(136A1)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저유전막(226)의 표면은 친수성(226B)을 갖게 되고 표면 아래는 소수성(226A)을 갖게 되므로, 향후 워터 마크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제202 단계 후에, 친수성막(226B)을 포함하는 저유전막(226) 내부에 제1 금속 배선(232A)을 형성한다(제204 단계). 부연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유전막(226)의 내부에 비아홀(229)과 트렌치(230)를 형성한다. 여기서, 비아홀(229)과 트렌치(230)의 내벽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 방지막(미도시)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아홀(229)과 트렌치(230)를 매립하도록 금속층(232)을 저유전막(226-1)의 전면에 형성한다. 금속층(232)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2d에 도시된 금속층(144)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유전막(226-1)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금속층(232)을 CMP 공정에 의해 평탄화한다.
제206 단계 후에,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막(226B1)과 금속층(232A)의 전면에 층간 절연막(234)을 형성한다(제206 단계). 층간 절연막(234) 역시 저유전막(226)과 마찬가지로 저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소수성일 수 있다.
제206 단계 후에, 층간 절연막(234)에 제2 금속 배선(238)을 형성한다(제208 단계). 부연하면,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234)에 사진 및 식각 공 정에 의해 비아홀(236)을 형성한다. 비록, 4h의 경우, 비아홀(236)만을 도시하였지만, 비아홀(236)을 형성한 이후에,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하여 트렌치(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에,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234A)의 비아홀(236)에 제2 금속배선(238)을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반도체 기판(미도시)상에 형성된 절연막(320)의 상부에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성 저유전막(326)을 형성한다(제300 단계). 여기서, 절연막(320)의 내부에는 하부 금속 배선(324)이 형성되며, 하부 금속 배선(324)의 테두리에 확산 방지막(32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금속 배선(324)이 구리로 이루어질 경우, 확산 방지막(322)은 구리가 절연막(320)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b에 도시된 저유전막(326), 확산 방지막(322), 하부 금속 배선(324) 및 절연막(320)은 도 2b에 도시된 저유전막(136), 확산 방지막(132), 하부 금속 배선(134) 및 절연막(13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제조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00 단계 후에,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유전막(326)에 비아홀(328)과 트렌치(330)를 형성한다(제302 단계). 여기서, 비아홀(328)과 트렌치(330)의 내벽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 방지막(미도시)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제302 단계 후에,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아홀(328)과 트렌치(330)를 포함하는 저유전막(326A)의 전면을 플라즈마 처리(332)하여 친수성막(326A1)을 저유전막(326A)의 표면에 형성한다(제304 단계). 여기서, 플라즈마 처리 공정 조건은 제108 단계에서와 동일하며 친수성막(326A1)의 두께는 친수성막(136A1)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플라즈마 처리(332)에 의해 하부 금속 배선(324)의 표면에도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14 단계에서 금속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부 금속 배선(324)의 표면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을 스퍼터등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304 단계 후에 비아홀(328)과 트렌치(330)에 금속층(334)을 매립하여 저유전막(326A)의 전면에 형성한다(제306 단계). 금속층(334)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2d에 도시된 금속층(144)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06 단계 후에,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유전막(326A)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금속층(334)을 CMP 공정에 의해 평탄화한다(제308 단계).
제308 단계 후에,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막(326A1)과 금속층(334A)의 전면에 층간 절연막(336)을 형성한다(제310 단계). 층간 절연막(336) 역시 저유전막(326)과 마찬가지로 저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수성일 수 있다.
제310 단계 후에, 층간 절연막(336)에 금속 배선(340)을 형성한다(제312 단계). 부연하면,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336)에 비아홀(338)을 형성 한다. 비록, 도 6h의 경우, 비아홀(338)만을 도시하였지만, 비아홀(338)을 형성한 이후에,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하여 트렌치(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336A)의 비아홀(338)에 금속배선(340)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는, 도 2i, 도 4i 또는 도 6i를 참조하면, 절연막(130, 220 또는 320), 소수성 저유전막(136A2, 226A1 또는 326A2), 친수성막(136A1, 226B1 또는 326A1), 금속층(144B, 232A 또는 334A), 층간 절연막(152A, 234A 또는 336A) 및 금속층(156, 238 또는 340)로 구성된다.
소수성 저유전막(136A2, 226A1 또는 326A2)은 절연막(130, 220 또는 320)상에 형성되고, 친수성막(136A1, 226B1 또는 326A1)은 플라즈마 처리(146, 228 또는 332)에 의해 저유전막(136A, 226-1 또는 326A)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금속층(144B, 232A 또는 334A)은 저유전막(136A, 226-1 또는 326A) 내부의 비아홀(138, 229 또는 328)과 트렌치(140, 230 또는 330)을 매립하도록 형성된다. 도 2i의 경우, 층간 절연막(152)은 친수성막(136A1)과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층(144A1)의 전면에 형성된다. 또한, 도 4i 또는 도 6i의 경우, 층간 절연막(234 또는 336)은 친수성막(226B1 또는 326A1)과 금속층(232A 또는 334A)의 전면에 형성된다. 금속층(156, 238 또는 340)은 층간 절연막(152A, 234A 또는 336A)의 비아홀(154, 236 또는 338)에 매립된다. 도 2i의 경우, 금속층(144B2)과 층간 절연막(152A)의 사이에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144B1)이 더 형성되어 있 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한 공정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220, 320 : 절연막 132, 222, 322, 142 : 확산 방지막
134, 224, 324 : 하부 금속 배선 136, 226, 326 : 저유전막
138, 229, 328, 154, 236, 338 : 비아홀
144, 232, 334, 156, 238, 340 : 금속층
146, 228, 332 : 플라즈마 152, 234, 336 : 층간 절연막

Claims (9)

  1. 반도체 기판상에 소수성 저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유전막의 내부에 비아홀과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아홀과 상기 트렌치를 매립하도록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유전막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금속층을 평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평탄화된 결과물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상기 노출된 저유전막의 표면에 친수성막을 형성하고, 상기 평탄화된 금속층의 노출된 표면에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이 형성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친수성막과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의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 절연막에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 절연막의 상기 비아홀에 접하는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을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홀에 접하는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은 상기 비아홀을 형성하면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반도체 기판상에 소수성 저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상기 저유전막의 표면에 친수성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친수성막을 포함하는 상기 저유전막 내부에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플라즈마 처리시 플라즈마 가스로서 산소(O2)를 사용하고, 바이어스 전력은 800 내지 1500W이고, 공정 압력은 5 내지 10mTorr이고, 상기 친수성막의 두께는 5 내지 6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반도체 기판상에 소수성 저유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유전막에 비아홀과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아홀과 상기 트렌치를 포함하는 상기 저유전막의 전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친수성막을 상기 비아홀과 상기 트렌치를 포함하는 상기 저유전막의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아홀과 상기 트렌치에 금속층을 매립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1 항 및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에서,
    플라즈마 가스로서 산소(O2)를 사용하고, 바이어스 전력은 800 내지 1500W이고, 공정 압력은 5 내지 10mTorr이고, 상기 친수성막의 두께는 5 내지 6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되는 소수성 저유전막;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상기 소수성 저유전막의 표면에 형성된 친수성막;
    상기 저유전막 내부의 비아홀과 트렌치에 매립되어 형성된 제1 금속층;
    상기 친수성막과 상기 제1 금속층의 전면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의 비아홀에 매립된 제2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과 상기 층간 절연막의 사이에 형성된 플라즈마 처리된 금속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9. 삭제
KR1020070112121A 2007-11-05 2007-11-05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28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121A KR100928502B1 (ko) 2007-11-05 2007-11-05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121A KR100928502B1 (ko) 2007-11-05 2007-11-05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144A KR20090046144A (ko) 2009-05-11
KR100928502B1 true KR100928502B1 (ko) 2009-11-26

Family

ID=4085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121A KR100928502B1 (ko) 2007-11-05 2007-11-05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659B1 (ko) 2018-10-01 2023-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855A (ko) * 2002-12-30 2004-07-06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컨택트 형성방법
KR20050012583A (ko) * 2003-07-25 2005-02-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JP2006147655A (ja) * 2004-11-16 2006-06-08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509499A (ja) * 2003-10-21 2007-04-12 フリースケー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k誘電体を半導体製造プロセスにおいて形成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9855A (ko) * 2002-12-30 2004-07-06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컨택트 형성방법
KR20050012583A (ko) * 2003-07-25 2005-02-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JP2007509499A (ja) * 2003-10-21 2007-04-12 フリースケー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低k誘電体を半導体製造プロセスにおいて形成する方法
JP2006147655A (ja) * 2004-11-16 2006-06-08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144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9700B1 (en) Interconnect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same
US8138082B2 (en) Method for forming metal interconnects in a dielectric material
US7541276B2 (en) Methods for forming dual damascene wiring f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tective via capping layer
JP3887282B2 (ja) 金属−絶縁体−金属キャパシタ及びダマシン配線構造を有する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20080157380A1 (en) Method for forming metal interconnection of semiconductor device
US20100314765A1 (en) Interconnection structure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90250429A1 (en) Methods of Forming Dual-Damascene Metal Wiring Patterns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Wiring Patterns Formed Thereby
US2006028129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9343400B2 (en) Dual damascene gap filling process
US9679848B2 (en) Interconnect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TW201727709A (zh) 具有楔形鑲嵌孔洞之半導體結構及其製造方法
KR101286239B1 (ko) 산소 포획 패턴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배선 구조 및 그제조 방법
KR100835409B1 (ko) 다마신 mim형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20050266679A1 (en) Barrier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US720566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373198A1 (en) Metal interconnect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939773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및 그의 형성방법
US20060118955A1 (en) Robust copper interconnection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89296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2850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7361992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interconnects formed by damascene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53794B2 (en) Interconnect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KR20070005870A (ko) 반도체 소자의 구리 금속배선 형성방법
JP2005129937A (ja) 低k集積回路相互接続構造
CN108573912B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