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164B1 -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164B1
KR100928164B1 KR1020090041927A KR20090041927A KR100928164B1 KR 100928164 B1 KR100928164 B1 KR 100928164B1 KR 1020090041927 A KR1020090041927 A KR 1020090041927A KR 20090041927 A KR20090041927 A KR 20090041927A KR 100928164 B1 KR100928164 B1 KR 10092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t iron
flange
angle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신안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안주철 filed Critical (주)신안주철
Priority to KR102009004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53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held in place by bolts passing through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위치에 따라 그 연결되는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진 주철관 사이의 이음 작업시 삽구와 수구의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써 연결 각도를 조절하여 연결함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주철관을 이음할 수 있어 현장에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종래 규격화된 이음관에 비하여 하나의 구조로써 간편하게 여러 각도를 변형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하여 제작에 따른 경비를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주철관, 삽구, 수구, 회전, 각도

Description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Connector Elements Pipe Multi socket Bend}
본 발명은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 위치에 따라 연결되는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진 주철관 사이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이음관을 구성하는 삽구와 수구의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써 연결 각도를 달리 구성하여 주철관의 연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용으로 사용되는 주철관은 그 길이가 약 6m를 유지하여 이루어져 높은 수압이 작용 되어 주철관 연결시 수압 및 외부 충격에 의한 누수 및 이탈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견고한 연결과 완벽한 누수방지를 위한 밀폐가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철관은 주로 도로의 가장자리를 터파기를 한 다음, 이를 매설하여 건물로 연결되어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로서, 건물의 위치에 따라 직선 및 곡선으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연결은 그 각도에 적절하게 제공되는 연결용 이음관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주철관의 이음 각도에 적절하게 제작된 이음관은 주로 11°,22°,45°, 90°로 규격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 각도 범위에서 제작된 이음관을 사용하여 주철관의 커버 구간을 연결해야 함에 따라 그 시공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또한 각도에 따라 여러 타입의 이음관을 제작함에 따라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물 위치에 따라 연결되는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진 주철관 사이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이음관의 삽구와 수구의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써 주철관의 연결 각도를 변형시키도록 구성한 주철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타단에 주철관이 열결되는 수구 플랜지부와; 상기 수구 플랜지부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통되고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내주연에 제1,2경사단이 형성된 수구 경사받이부로 이루어진 멀티 수구; 일단에 주철관 열결되는 삽구 플랜지부와; 상기 삽구 플랜지부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의 제1경사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안착된 삽구 경사플랜지부로 이루어진 멀티 삽구; 및 상기 멀티 수구와 멀티 삽구 사이에 결합 되어 멀티 수구와 멀티 삽구의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는 수구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그 내각이 22.5°가 유지되고, 상기 멀티 삽구의 삽구 경사플랜지부는 삽구 플랜지부를 기준으로 그 내각이 22.5°가 유지되어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와 삽구 경사플랜지는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멀티 수구와 상기 멀티 삽구 내각의 합이 45°까지 조절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의 제1경사단에 관통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 내부와 삽구 경사플랜지부에 상부에 안착되고,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 제1,2아답터와; 상기 끼움공과 결합공을 통과하여 체결 고정되어 멀티 수구와 멀티 삽구의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의 제2경사단과 상기 삽구 경사플랜지부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부 사이에 고무패킹이 압착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주철관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건물 위치에 따라 연결되는 각도가 다르게 이루어진 주철관 사이의 이음 작업시 주철관 연결부위의 삽구와 수구의 간단한 회전 조작으로써 그 연결 여러 각도를 조절하여 연결함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주철관을 연결할 수 있어 현장에서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종래 규격화된 이음관에 비하여 하나의 구조로써 간편하게 여러 각도를 변형할 수 있어, 호환성이 우수하여 제작에 따른 경비를 절감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는 양단에 주철관(1)(2)이 각각 연결되고, 양단이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된 멀티 수구(10) 및 멀티 삽구(20)와; 멀티 수구(10)와 멀티 삽구(20)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멀티 수구(10) 및 멀티 삽구(2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철관(1)(2)은 그 길이가 약 6m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직경으로 주철 주물로 성형 된다.
상기 멀티 수구(10)는 타단에 주철관(1)이 열결되는 수구 플랜지부(12)와; 수구 플랜지부(12)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4)와; 연결부(14)의 타단에 연통되고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내주연에 다단으로 제1,2경사단(16a)(16b)이 형성된 수구 경사받이부(16)로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 삽구(20)는 일단에 주철관(2)이 열결되는 삽구 플랜지부(22)와; 삽구 플랜지부(22)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4)와; 연결부(24)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구 경사받이부(16)의 제1경사단(16a)에 안착되고, 단부에 걸림돌부(27)가 형성된 삽구 경사플랜지부(26)로 이루어진다.
이때, 멀티 수구(10)의 수구 경사받이부(16)는 수구 플랜지부(12)를 기준으로 그 내각이 22.5°가 유지되고, 멀티 삽구(20)의 삽구 경사플랜지부(26)는 삽구 플랜지부(22)를 기준으로 그 내각이 22.5°가 유지된다. 즉, 수구 경사받이부(16)와 수구 경사받이부(16)에 안착되는 삽구 경사플랜지(26)는 동일각도로 형성되고, 그 내각의 합이 최대 45°까지 조절된다.
상기 결합수단(30)은 수구 경사받이부(16)의 제1경사단(16a)에 관통 형성된 끼움공(31)과; 수구 경사받이부(16) 내부와 삽구 경사플랜지부(26)에 상부에 안착되고, 다수의 결합공(33)이 관통 형성된 제1,2아답터(34)(35)와; 끼움공(31)과 결합공(33)을 통과하여 체결 고정되어 멀티 수구(10)와 멀티 삽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2아답터(34)(35)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구 경사받이부(16) 내부에 일치되게 삽입된다.
상기 체결부재(40)는 끼움공(31)과 결합공(33)을 통과하여 체결 고정된 체결 볼트(42)와; 체결볼트(42)에 체결되어 멀티 수구(10)와 멀티 삽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너트(44)로 이루어진다.
한편, 멀티 수구(10)를 구성하는 수구 경사받이부(16)의 제2경사단(16b)과 삽구 경사플랜지부(26)의 걸림돌부(27) 사이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50)이 압착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주철관(1)(2)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로의 가장자리를 터 파기 한 다음, 약 6m로 이루어진 주철간(1)(2) 양단을 맞대어 미도시된 압륜 등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주철관(1)(2)에 대한 곡선구간에는 여러 각도로 이루어진 연결관을 사용하여 연결하게 되게 되는데, 이러한 곡선구간을 연결하기 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3b,3c,3d에서와 같이 멀티 수구(10)를 구성하는 수구 경사받이부(16)에, 멀티 삽구(20)를 구성하는 삽구 경사플랜지부(26)를 밀착시킨 다음, 멀티 삽구(20)의 삽구 경사플랜지부(26)를 적정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수구 경사받이부(16)의 제1경사단(16a) 내면을 따라 삽구 경사플랜지부(26)의 걸림돌부(27)가 면접촉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멀티 수구(10)와 멀티 삽구(20)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수구 경사받이부(16)는 수구 플랜지부(12)를 기준으로 그 내각이 22.5°가 유지되고, 삽구 경사플랜지부(26)는 삽구 플랜지부(22)를 기준으로 그 내각이 22.5°가 유지되어 양측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내각의 합을 최대 45°까지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은 45°이내에서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즉, 작업 현장에서 멀티 수구(10)와 멀티 삽구(20)를 회전하여 45°이내에서 각도 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이 우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결합수단(30)으로써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즉, 수구 경사받이부(16)의 제1경사단(16a)과 삽구 경사플랜지부(26)상부에 안착된 제1,2아답터(34)(35)의 결합공(33)과 끼움공(31)을 통하여 체결볼트(42)와 체결너트(44)의 체결력으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각도를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결합수단(30)의 체결력을 해제시켜 원하는 각도를 조절한 다음, 결합수단으로써 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수구 경사받이부(16)의 제2경사단(16b)과 삽구 경사플랜지부(26)의 걸림돌부(27) 사이에 고무패킹(50)이 압착 삽입되어 멀티 수구(10)와 멀티 삽구(20) 사이의 누수가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로서, 3a는 각도조절이 안 된 상태도이고, 3b는 11°로 조절된 상태이고, 3c는 22°로 조절된 상태도이며, 3d는 45°로 조절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주철관 10 : 멀티 수구
12 : 수구 플랜지부 14,24 : 연결부
16a,16b : 제1,2경사단 16 : 수구 받이부
20 : 멀티 삽구 22 : 삽구 플랜지부
26 : 삽구 경사플랜지부 30 : 결합수단
34,35 : 제1,2아답터 40 : 체결수단
50 : 고무패킹

Claims (4)

  1. 타단에 주철관(1)이 열결되는 수구 플랜지부(12)와; 상기 수구 플랜지부(12)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4)와; 상기 연결부(14)의 타단에 연통되고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내주연에 제1,2경사단(16a)(16b)이 형성된 수구 경사받이부(16)로 이루어진 멀티 수구(10); 일단에 주철관(2)이 열결되는 삽구 플랜지부(22)와; 상기 삽구 플랜지부(22)와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4)와; 상기 연결부(24)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16)의 제1경사단(16a)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안착된 삽구 경사플랜지부(26)로 이루어진 멀티 삽구(20); 및 상기 멀티 수구(10)와 멀티 삽구(20) 사이에 결합 되어 멀티 수구(10)와 멀티 삽구(20)의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결합수단(30)으로 구성된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16)는 수구 플랜지부(12)를 기준으로 그 내각이 22.5°가 유지되고,
    상기 멀티 삽구(20)의 삽구 경사플랜지부(26)는 삽구 플랜지부(22)를 기준으로 그 내각이 22.5°가 유지되어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16)와 삽구 경사플랜지(26)는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멀티 수구(10)와 상기 멀티 삽구(20) 내각의 합이 45°까지 조절되며,
    상기 결합수단(30)은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16)의 제1경사단(16a)에 관통 형성된 끼움공(31)과;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16) 내부와 삽구 경사플랜지부(26)에 상부에 안착되고, 결합공(33)이 관통 형성된 제1,2아답터(34)(35)와;
    상기 끼움공(31)과 결합공(33)을 통과하여 체결 고정되어 멀티 수구(10)와 멀티 삽구(20)의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체결부재(40)로 구성되며,
    상기 수구 경사받이부(16)의 제2경사단(16b)과 상기 삽구 경사플랜지부(26)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부(27) 사이에 고무패킹(50)이 압착 삽입된 것을 특징을 하는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41927A 2009-05-14 2009-05-14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KR10092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27A KR100928164B1 (ko) 2009-05-14 2009-05-14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927A KR100928164B1 (ko) 2009-05-14 2009-05-14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164B1 true KR100928164B1 (ko) 2009-11-25

Family

ID=4160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927A KR100928164B1 (ko) 2009-05-14 2009-05-14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148A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한양하이텍 연결각 조절이 용이한 관 연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57A (ja) 1998-01-27 1999-08-06 Akimitsu Maruyama 継 手
KR200387800Y1 (ko) * 2005-02-23 2005-06-22 백완기 가변각도 이음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57A (ja) 1998-01-27 1999-08-06 Akimitsu Maruyama 継 手
KR200387800Y1 (ko) * 2005-02-23 2005-06-22 백완기 가변각도 이음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148A (ko) *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한양하이텍 연결각 조절이 용이한 관 연결구
KR101865762B1 (ko) * 2016-11-23 2018-06-08 김윤기 연결각 조절이 용이한 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463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배관 연결용 조인트
KR100928164B1 (ko)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ES2904912T3 (es) Sistema de bloqueo positivo para juntas restringidas de tuberías y accesorios de fundición de hierro dúctil
CN204459565U (zh) 快速接头
KR20090007513A (ko) 파이프용 유니버셜 조인트
KR20120101845A (ko) 삼방 볼 밸브
CN205048033U (zh) 抗强震建筑用万向排水组合件
JP2012037041A (ja) 補修継手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JP6465881B2 (ja) 配管の連結システム
KR101420641B1 (ko) 파이프 회전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KR100831560B1 (ko) 배관용 관이음 장치
JP2001248774A (ja) リブ付管継手
CN219120038U (zh) 一种给排水管道安装组件
KR200364270Y1 (ko) 맨홀의 관연결부재
JP4395724B2 (ja) 配管装置
CN114809237B (zh) 一种农污项目井筒支管紧密连接件及连接方法
JP6422630B2 (ja) 弁装置を有する分岐管
CN220268723U (zh) 一种水泥管连接结构
KR20050105143A (ko) 내진형 관 연결구조
KR20090035979A (ko) 관이음용 조인트
CN101832440B (zh) 快速连接压缩空气输送管道的转换接头和使用方法
JP6147609B2 (ja) 分岐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