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800Y1 - 가변각도 이음관 - Google Patents

가변각도 이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800Y1
KR200387800Y1 KR20-2005-0004826U KR20050004826U KR200387800Y1 KR 200387800 Y1 KR200387800 Y1 KR 200387800Y1 KR 20050004826 U KR20050004826 U KR 20050004826U KR 200387800 Y1 KR200387800 Y1 KR 200387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inding
fastening
angle generating
genera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완기
안순영
Original Assignee
백완기
안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완기, 안순영 filed Critical 백완기
Priority to KR20-2005-0004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53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held in place by bolts passing through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유통관(파이프)이 연결되어지는 한 쌍의 결속체를 형성함에 있어, 각도발생관의 선단 외주에는 결속판을 일정한 각도로 형성하되, 결속판을 연접시킨 상태에서 체결조임장치에 의해 체결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도발생관의 외측부에는 접속관을 형성하여 통상의 유통관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서로 인접하는 각도발생관의 내면을 동일동심원(타원)상으로 유지되는 곡선면으로 형성하여서 된 가변각도 이음관에 관한 것으로서, 체결(결속)력과 밀폐력을 강화시켜 유체가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진동이나 수격(Water Hammer 현상)작용이 발생하더라도 수밀작용이 떨어지지 않고 조정각도가 변형되어지는 않도록 하며, 각 체결관의 각도발생관의 내면에 형성되는 곡선면을 동일동심원(타원)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접속관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접속시키더라도 내부의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마찰력을 감소시켜 유체가 원활하게 유통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각도 이음관{A Variable Angle Connector}
본 고안은 파이프가 단부에 결합(삽입)되는 한 쌍의 결속체를 체결조임장치에 의해 접속시키되, 결속체를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결속체에 연결되어지는 파이프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 접속되는 결속체의 내부를 동일동심원(타원)상의 곡선면으로 형성하여 유통공간을 크게 확보함으로서 유체를 보다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가변각도 이음관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파이프가 각각 결합되는 각 접속관에는 각도발생관을 일체로 형성하되 각도발생관의 선단면을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각 각도발생관의 선단면의 외주에는 선단면과 동일한 각도로 유지되는 결속판을 형성하여서 된 한 쌍의 결속체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의 선단 외주에 형성된 결속판을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연접된 결속판을 체결조임장치에 의해 체결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연접하여 접속되는 각 각도발생관의 내면을 동일동심원상으로 유지되는 곡선면으로 형성하여 접속관이 각도를 유지하면서 접속되더라도 내부의 공간을 크게 확보하고 마찰력을 감소시켜 유체가 원활하게 유통되어지도록 된 가변각도 이음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과 같이 파이프의 각도를 임의로 조정하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것으로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84649호 "관이음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버터 설치받이"와, 실용신안 등록 제296562호 "가변이음관"과, 실용신안 등록 제311190호 "하수관용 가변 엘보우"및 특허출원 제2002-45671호 "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와 미국특허 제 4917408호 "유체유통용 조절볼 피팅장치"가 알려져 있다.
실용신안 등록 제284649호(관이음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버터 설치받이)는 유입관과 유출관의 단부에 동일한 형상의 글루브를 내/외측으로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키고, 결합된 글루브의 각도를 임의로 변경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나, 글루브의 각도를 변경(조정)(하는 조절 범위가 적고 더 큰 문제점은 단순히 삽입하여 연결시킬뿐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는 결합(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결속력이 약하여 견고하게 결합(체결)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결속력이 약하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이 강하게 되든지, 장기간 사용으로 노후시에는 유체가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를 하더라도 진동이나 수격(Water Hammer 현상)작용으로 인하여 수밀작용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조정각도가 변형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 등록 제296562호(가변이음관)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형성함에 있어 원통관에 연통구(각도발생관)를 일체로 형성하되 제1몸체의 연통구(각도발생관)에는 연결캡을 형성하고 제2몸체의 연통구(각도발생관)에는 연결부를 형성하여 연결부를 연결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도록 된 것이고, 실용신안 등록 제311190호(하수관용 가변 엘보우)는 한 쌍의 관결합부를 형성하되 각 관결합부는 원통관에 각도발생관을 일체로 형성하되 각 관결합부의 단부에 호형결합부와 호형돌기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호형결합부와 호형돌기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정역으로 회전시키면서 결속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이들은 파이프가 연결되는 몸체 또는 관결합부를 서로 결합시킬 때에, 연결부를 연결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거나, 대응되게 형성된 호형결합부와 호형돌기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정역으로 회전시켜 결합시키므로, 단순히 삽입하여 연결시키고 견고하게 결합시켜 주는 결합(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결속력이 약하여 견고하게 결합(체결)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결속력이 약하므로 유통되는 유체의 압력이 강하게 되면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를 하더라도 진동이나 수격(Water Hammer 현상)작용으로 인하여 수밀작용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조정각도가 변형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출원 제2002-45671호(상/하수관용 관 접속장치)와 미국특허 제 4917408호(유체유통용 조절볼 피팅장치)는, 일측의 관(파이프)가 접속되는 관연장부의 단부에 만곡부를 형성하고 그 만곡부의 내부에는 내면을 따라 회전되는 가동부를 내장하되 가동부의 내측에는 타측의 관(파이프)을 접속하여, 타측 관(파이프)을 회전시켜 각도를 변경시키면 가동부가 만곡부의 내측에서 회전되면서 각도가 변경되어지도록 된 것이나, 이는 만곡부의 내부에는 가동부가 단순히 삽입 내장되어 있으므로 패킹에 의해 밀폐상태를 유지시켜 주더라도 설치상태가 오래되거나 내부의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면 패킹의 밀폐능력이 떨어져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연결되어지는 관(파이프)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 조절 범위가 적다는 단점이 있고, 진동이나 수격(Water Hammer 현상)작용으로 인하여 수밀작용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조정각도가 변형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것으로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평5-1088호와 평6-80092호의 (自在繼手)가 알려져 있는데, 이는 한 쌍의 관접속구의 각 단부에 확경부와 환상구를 경사지게 형성하되 환상구를 확경부의 내부에 삽입하여 자유롭게 습동(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확경부와 환상구의 대향면에 패킹을 구비하여 밀폐능력을 갖도록 하고 있으나 설치상태가 오래되거나 내부의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면 패킹의 밀폐능력이 떨어져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연결되어지는 관(파이프)의 각도를 변경시키게 되면 확경부와 환상구와의 사이에 모서리가 (유선형인 곡선면으로 되지 않고 직선면 각도가) 형성되므로 유통되는 유체는 모서리에 충돌하여 원활하게 유통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진동이나 수격(Water Hammer 현상)작용으로 인하여 수밀작용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조정각도가 변형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변각도 이음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파이프가 결합되는 각 접속관에는 각도발생관을 일체로 형성하되 각도발생관의 선단면을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각 각도발생관의 선단면의 외주에는 선단면과 동일한 각도로 유지되는 결속판을 형성하여서 된 한 쌍의 결속체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의 선단 외주에 형성된 결속판을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연접된 결속판을 체결조임장치에 의해 체결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연접하여 접속되는 각 각도발생관의 내면을 동일동심원상으로 유지되는 곡선면으로 형성한 것 된 가변각도 이음관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체결(결속)력과 밀폐력을 강화시키고, 더불어 유체가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진동이나 수격(Water Hammer 현상)작용이 발생하더라도 수밀작용이 떨어지지 않고 조정각도가 변형되어지는 않도록 된 가변각도 이음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 체결관의 각도발생관의 내면에 형성되는 곡선면을 동일동심원(타원)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접속관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접속시키더라도 내부의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마찰력을 감소시켜 유체가 원활하게 유통되어지도록 된 가변각도 이음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파이프(4)(5)가 결합되는 각 접속관(12)(22)에는 각도발생관(11)(21)을 일체로 형성하되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면을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각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면의 외주에는 선단면과 동일한 각도로 유지되는 결속판(10)(20)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 외주에 형성된 결속판(10)(20)을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연접된 결속판(10)(20)을 체결조임장치(30)에 의해 체결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연접하여 접속되는 각 각도발생관(11)(21)의 내면을 동일동심원상으로 유지되는 곡선면(15)(25)으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가변각도이음관(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각도이음관(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내지 도 1e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각도이음관(1)의 일 예시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와 A-A선 및 B-B선상에 형성되는 정원 및 타원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 도 3a 및 도 3b,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각도이음관(1)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가변각도이음관(1)은 한 쌍의 결속체(2)(3)와 이들 결속체(2)(3)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로 형성하였다.
각 결속체(2)(3)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내주에 단턱(13)(23)이 형성된 접속관(12)(22)의 선단에는 각도발생관(11)(21)을 일체로 형성하되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은 수직선(0)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θ1)만큼 경사지도록 형성하였고,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 외주에는 결속판(10)(20)을 동일한 각도(∠θ1)로 유지시켜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각 결속판(10)(20)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되는 오링홈(16)(26)을 형성하여 오링(17)(27)을 각각 매설하되 오링(17)(27)의 선단 면이 외측을 약간 노출되어지도록 하였으며, 각 각도발생관(11)(21)의 내면을 동일동심원상으로 유지되는 곡선면(15)(25)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결속체(2)(3)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외주에는 수용돌테(35)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타측 결속체(3)의 결속판(20)을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수용돌테(35)의 외주 면에는 나사부(36)를 형성하였으며, 결속체(3)를 형성하는 결속판(20)의 외측에서 수용돌테(35)의 나사부(36)에는 외측체결조임캡(31)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상기 외측체결조임캡(31)은, 외주관(32)의 내측 단부에 억류링판(33)을 일체로 형성하여 억류링판(33)이 결속판(20)에 걸리도록 하였고, 외주관(32)의 내주 면에는 나사부(34)를 형성하여 수용돌테(35)의 나사부(36)에 나사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b의 A-A선상에 형성되는 원은 도 1d에 예시된바와 같이 항상 정원 상태를 형성(유지)하고 있으므로 결속체(2)(3)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결속체(2)(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곡선면(15)(25)은 정원 상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1e에 예시된바와 같이 타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가변각도 이음관(1)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각 결속체(2)(3)는, 내주에 단턱(13)(23)이 형성된 접속관(12)(22)의 선단에 각도발생관(11)(21)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각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은 수직선(0)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θ1)를 유지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하였으며,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 외주에는 결속판(10)(20)을 동일한 각도(∠θ1)로 유지시켜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각 결속판(10)(20)의 외면에는 오측으로 개방되는 오링홈(16)(26)을 형성하여 오링(17)(27)을 각각 매설하되 오링(17)(27)의 선단 면이 외측을 약간 노출되어지도록 하였으며, 각 각도발생관(11)(21)의 내면을 동일동심원(원형의 동심원)상으로 유지되는 곡선면(15)(25)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결속체(2)(3)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각도발생관(21)에 형성된 결속판(20)의 외주에는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타측 각도발생관(11)의 결속판(10)을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후면에는 환상요홈(18)을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내측체결조임캡(40)의 환상돌테(44)를 수용(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도발생관(11)의 결속판(10)에서 타측의 결속판(20)의 방향으로 결합되어지는 내측체결조임캡(40)은, 외주관(41)의 후단부에 억류링판(42)을 일체로 형성하여 억류링판(42)이 결속판(10)의 후면에 걸리도록 하였고 억류링판(42)의 내주면에 환상돌테(44)를 형성하여 환상요홈(18)에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며, 외주관(41)의 외주면에는 나사부(43)를 형성하였다.
상기 내측체결조임캡(40)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체결조임캡(31)은, 외주관(32)의 내측 단부에 억류링판(33)을 일체로 형성하여 억류링판(33)이 결속판(20)에 걸리도록 하였고, 외주관(32)의 내주면에는 나사부(34)를 형성하여 내측체결조임캡(40)의 나사부(43)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가변각도 이음관(1)은 결속체(2)(3)와 체결조임장치(30)를 형성함에 있어, 각 결속체(2)(3)는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결속체(2)(3)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속체(2)(3)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외주에는 체결링테(19)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타측 결속체(3)의 결속판(20)을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체결링테(19)에는 복수개의 너트공(19-1)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비철금속류나 합성수지제의 재질로 되고 선단이 원뿔(46)로 된 경사볼트(45)를 나사 결합하였으며, 결속체(3)를 형성하는 결속판(20)의 외주 후단 모서리에는 경사면(29)을 후방으로 형성하여 체결링테(19)의 너트공(19-1)에 나사 결합되는 경사볼트(45)의 원뿔(46)이 경사면(29)을 압착하도록 하였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가변각도 이음관(1)은 결속체(2)(3)와 체결조임장치(30)를 형성함에 있어, 각 결속체(2)(3)는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결속체(2)(3)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속체(2)(3)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각도발생관(11)(21)에 형성되어 연접되는 결속판(10)(20)의 외측에는 한 쌍의 체결밴드(50)를 통상의 비철금속류나 합성수지제로 된 볼트(55), 너트(56)를 이용하여 결합시켰다.상기 체결밴드(50)는, 반원링(51)의 내면 양측에 결속링판(52)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반원링(51)의 양단에는 체결공(54)이 통공된 체결편(53)을 외측으로 전개시켜 형성하였으며, 특히 반원링(51)의 내면 양측에 결속링판(52)을 형성함에 있어 내측의 폭(W2)을 연접되는 결속판(10)(20)의 폭(W1)보다 작게 형성하고 외측 입구의 폭(W3)을 결속판(10)(20)의 폭(W1)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일정한 각도(∠θ2)만큼 확개되어지도록 하였다.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가변각도 이음관(1)은 결속체(2)(3)와 체결조임장치(30)를 형성함에 있어, 각 결속체(2)(3)는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결속체(2)(3)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속체(2)(3)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각도발생관(21)에 형성된 결속판(20)의 외주에는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각도발생관(11)의 결속판(10)을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수용돌테(28)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체결클립(60)을 장착하여 결속판(10)(20)을 억류시키도록 하였다.상기 체결클립(60)은, 체결캡(61)을 "ㄷ"으로 형성하였고, 체결캡(61)의 내면에서 상측과 일측에 지지덧살부(62)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지지덧살부(62)가 형성된 측면에는 너트공(63)을 형성하여 통상의 비철금속류나 합성수지제의 클립볼트(64)를 나사 결합시키도록 하였다.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가변각도 이음관(1)은 결속체(2)(3)와 체결조임장치(30)를 형성함에 있어, 각 결속체(2)(3)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결속체(2)(3)와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속체(2)(3)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외주에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타측 결속체(3)의 결속판(20)을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결속판(10)(20)에는 복수개의 (타원형) 체결공(67)(68)을 등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동일선상에 통공하여 통상의 비철금속류나 합성수지제의 관통볼트(65)와 너트(66)로 체결하도록 하였다.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된 가변각도 이음관(1)은 한 쌍의 결속체(2)(3)와 이들 결속체(2)(3)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로 형성하였다.
각 결속체(2)(3)는, 내주에 단턱(13)(23)이 형성된 접속관(12)(22)의 선단에 각도발생관(11)(21)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되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을 수직선(0)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θ1)를 유지하도록 형성하였고,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 외주에는 결속판(10)(20)을 동일한 각도(∠θ1)로 유지시켜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각 결속판(10)(20)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개방되는 오링홈(16)(26)을 형성하여 오링(17)(27)을 각각 매설하되 오링(17)(27)의 선단 면이 외측을 약간 노출되어지도록 하였으며, 각 각도발생관(11)(21)의 내면을 동일동심원상으로 유지되는 곡선면(15)(25)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결속체(2)(3)를 체결 및 해제시켜 주는 체결조임장치(3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외주에는 수용돌테(35)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타측 각도발생관(21)에 형성된 결속판(20)을 수용(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수용돌테(35)의 내주면에는 나사부(36)를 형성하였으며, 각도발생관(21)에 형성된 결속판(20)의 외측에서 수용돌테(35)의 나사부(36)에 외측체결조임캡(31)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상기 외측체결조임캡(31)은, 내주관(32-1)의 외측 단부에 억류링테(33-1)를 일체로 형성하여 내주관(32-1)의 선단이 결속판(20)을 밀어주도록 하였고, 내주관(32-1)의 외주면에는 나사부(34)를 형성하여 수용돌테(35)의 나사부(36)에 나사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작동관계(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가변각도이음관(1)은 다음과 같이 사용(설치)하게 된다.
일측 결속체(2)의 접속관(12)을 이미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5)의 선단 외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결속체(3)에는 체결조임장치(30)의 외측체결조임캡(31)을 끼워 주되 외주관(32)이 전방을 향하도록 끼워주며, 외측체결조임캡(31)이 끼워진 결속체(3)의 결속판(20)을 파이프(5)에 결합 고정된 결속체(2)의 결속판(10)에 연접시키며, 결속판(10)(20)을 연접시킨 상태에서 외측체결조임캡(31)을 결속체(2)의 수용돌테(35)에 형성된 나사부(36)에 결합시켜 준다.
외측체결조임캡(31)을 완전히 결합시키기 전에 결속체(3)를 회전(자전)시키면 결속판(20)이 수용돌테(35)의 내측에서 회전(자전)하게 되고, 결속판(20)이 회전(자전)하게 되면 일체로 형성된 각도발생관(21)과 접속관(22)은 일정한 원을 그리면서 공전(회전)하여 방향(위치)이 달라지게 되며, 공전(회전)하는 결속체(3)의 각도발생관(21)과 접속관(22)은 도 1c에 예시된바와 같이 결속체(2)의 접속관(12)과 각도발생관(11)과는 소정의 각도만큼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결속체(3)를 소정의 방향으로 전환시켜 준 상태에서 풀어 놓은 외측체결조임캡(31)을 완전히 조여(나사 결합하여)주게 되면, 결속판(20)은 결속판(10)에 당접되고, 외측체결조임캡(31)의 억류링판(32)이 결속판(20)의 후면을 강력하게 밀어 받쳐 주게 되며, 당접된 결속판(10)(20)의 사이는 각 전면의 오링홈(16)(26)에 매설된 오링(17)(27)이 타측 결속판(20)(10)의 전면과 밀접하게 접촉(접속)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완전히 결합된 상기 결속체(3)의 접속관(22)에는 연장하여 설치할 다른 파이프(5)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특히, 도 1c에 예시된바와 같이, 결속체(2)를 형성하는 각도발생관(11)을 기준으로 다른 결속체(3)를 형성하는 각도발생관(21)의 방향을 변경(절곡)시키더라도 각도발생관(11)(21)의 내부는 동일동심원상으로 형성된 곡선면(15)(25)에 의해 공간(단면적)이 일정한 상태를 크게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유체를 통과시키게 되면 유체는 곡선면(15)(25)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충돌 없이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실시 예의 가변각도이음관(1)은 다음과 같이 사용(설치)하게 된다.
일측의 결속체(2)에는 내측체결조임캡(40)을 외측에 끼워주되 억류링판(42)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외주관(41)부터 끼워주고, 결속체(3)에는 체결조임장치(30)의 외측체결조임캡(31)을 끼워 주되 외주관(32)이 전방을 향하도록 먼저 끼워주며, 결속체(2)에 끼워지는 내측체결조임캡(40)의 환상돌테(44)를 결속판(10)의 환상요홈(18)에 결합시켜 준다.
내측체결조임캡(40)이 외측에 끼워진 결속체(2)의 접속관(12)을 기히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5)의 외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외측체결조임캡(31)이 끼워진 결속체(3)의 결속판(20)을 파이프(5)에 결합 고정된 결속체(2)의 결속판(10)에 연접시키면 결속판(10)은 결속체(3)의 수용돌테(28)의 내부에 수용(삽입)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결속판(10)(20)을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결속체(2)의 결속판(10)에 끼워진 내측체결조임(40)과 결속체(3)의 결속판(20)에 끼워진 외측체결조임캡(31)을 서로 나사 결합시키면 대응되게 형성된 나사부(43)(34)가 서로 치합되면서 결합되어진다.
결속체(2)의 내측체결조임(40)과 결속체(3)의 외측체결조임캡(31)을 완전히 체결시키기 전에 결속체(3)를 회전시키게 되면, 결속판(20)의 수용돌테(28)가 결속판(10)의 외측에서 회전(공전)하게 되고, 수용돌테(28)가 회전(공전)하게 되면 각도발생관(21)과 함께 접속관(22)은 방향이 전환되어 결속체(2)의 접속관(12) 및 각도발생관(11)과는 소정의 각도만큼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결속체(3)를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을 전환시켜 준 후에 내측체결조임캡(40)과 외측체결조임캡(31)을 완전히 조여(나사 결합하여)주게 되면 결속판(20)과 결속판(10)은 당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각 억류링판(42)(33)은 결속판(10)(20)을 밀어주면서 받쳐 지지하게 된다.당접된 결속판(10)(20)의 사이는 각 전면의 오링홈(16)(26)에 매설된 오링(17)(27)이 타측 결속판(20)(10)의 전면과 밀접하게 접촉(접속)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완전히 결합된 상기 결속체(3)의 접속관(22)에는 연장하여 설치할 다른 파이프(5)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가변각도이음관(1)은 다음과 같이 사용(설치)하게 된다.
일측 결속체(2)의 접속관(12)을 기히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5)의 외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결속체(3)의 결속판(20)을 파이프(5)에 결합 고정된 결속체(2)의 결속판(10)에 연접되도록 체결링태(19)에 삽입시키며, 결속판(10)(20)을 연접시킨 상태에서 체결링테(19)의 각 너트공(19-1)에는 경사볼트(45)를 나사 결합시켜 준다.결속판(20)을 완전히 결합시키기 전에 경사 D(45)를 느슨하게 조인상태에서 결속체(3)를 회전시키게 되면 결속판(20)이 체결링테(19)의 내측에서 회전(공전)하게 되고, 결속판(20)이 체결링테(19)의 내부에서 회전(공전)하게 되면 각도발생관(21)과 접속관(22)은 소정의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결속체(2)의 접속관(12) 및 각도발생관(11)과는 소정의 각도만큼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결속체(3)를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을 전환시켜 준 후에 경사볼트(45)들을 완전히 나사 결합시켜 주며, 경사볼트(45)들을 완전히 조여 나사 결합시키게 되면 경사볼트(45)의 선단에 형성된 원뿔(46)이 결속판(20)의 경사면(29)과 접촉되면서 밀어주게 되므로 결속판(20)은 타측의 결속판(10)의 방향으로 강력하게 밀어 받쳐지게 된다.당접된 결속판(10)(20)의 사이는 각 전면의 오링홈(16)(26)에 매설된 오링(17)(27)이 타측 결속판(20)(10)의 전면과 밀접하게 접촉(접속)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완전히 결합된 상기 결속체(3)의 접속관(22)에는 다른 파이프(5)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가변각도이음관(1)은 다음과 같이 사용(설치)하게 된다.
일측 결속체(2)의 접속관(12)을 기히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5)의 외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결속체(2)(3)의 결속판(10)(20)을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그 외측에 한 쌍의 체결밴드(50)를 결합시켜 대응되게 유지되는 체결편(53)의 체결공(54)에 볼트(55), 너트(56)를 체결시킨다.볼트(55), 너트(56)를 완전히 체결시키지 않고 느슨하게 체결시킨 상태에서 결속체(3)를 회전시키며, 결속체(3)의 결속판(20)이 회전(공전)하게 되면 각도발생관(21)과 함께 접속관(22)이 회전(공전)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결속체(2)의 접속관(12) 및 각도발생관(11)과는 소정의 각도만큼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결속체(3)를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 전환시켜 준 후에 볼트(55), 너트(56)를 완전히 체결시켜 주면 ∠θ2 만큼 경사진 결속링(52)의 내면이 각 결속판(10)(20)의 외면 모서리를 서로 밀어주게 되므로 결속판(10)(20)은 밀접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당접된 결속판(10)(20)의 사이는 각 전면의 오링홈(16)(26)에 매설된 오링(17)(27)이 타측 결속판(20)(10)의 전면과 밀접하게 접촉(접속)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완전히 결합된 상기 결속체(3)의 접속관(22)에는 연장하여 설치할 다른 파이프(5)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 예시된 가변각도이음관(1)은 다음과 같이 사용(설치)하게 된다.
일측 결속체(2)의 접속관(12)을 기히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5)의 외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상태에서, 결속체(2)의 결속판(10)을 결속체(3)의 결속판(20)에 연접되도록 수용돌테(28)에 삽입시키게 되면 체결캡(61)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덕살부(62)가 수용돌테(28)의 외면과 결속판(20)의 후면에 연접되어 지지시켜 주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결속판(10)(20)을 연접시킨 상태에서 수용돌테(28)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체결클립(60)을 등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결합시킨 후에 각 체결클립(60)의 너트공(63)에 클립볼트(64)를 나사 결합시켜 준다.클립볼트(64)들을 완전히 결합시키지 않고 느슨하게 조인상태에서 결속체(3)를 회전시켜 결속판(20)을 회전(공전)시켜 주고, 결속판(20)이 회전(공전)하게 되면 각도발생관(21)과 접속관(22)은 방향 전환되어 결속체(2)의 접속관(12) 및 각도발생관(11)과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며, 결속체(3)를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을 전환시켜 준 후에 볼트(55) 너트(56)를 완전히 체결시켜 주게 되면 결속판(10)(20)은 밀접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당접된 결속판(10)(20)의 각 전면의 오링홈(16)(26)에 매설된 오링(17)(27)이 타측 결속판(20)(10)의 전면과 밀접하게 접촉(접속)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완전히 결합된 상기 결속체(3)의 접속관(22)에는 다른 파이프(5)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가변각도 이음관(1)은 다음과 같이 사용(설치)하게 된다.
일측 결속체(2)의 접속관(12)을 기히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5)의 외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킨 상태에서, 결속체(3)의 결속판(20)을 결속체(2)의 결속판(10)에 형성된 수용돌테(28)에 삽입(수용)시키게 되면 결속판(10)(20)은 서로 연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결속판(10)(20)이 서로 연접된 상태에서 결속체(3)를 회전시키면 수용돌테(28)의 내측에 삽입된 결속판(20)이 회전(공전)하게 된다.결속판(20)이 회전(공전)하게 되면 각도발생관(21)과 접속관(22)은 방향이 전환되어 결속체(2)의 접속관(12) 및 각도발생관(11)과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며, 각도발생관(21)과 접속관(22)의 방향을 전환시킨 상태에서 일치되는 타원형 체결공(67)(68)에 관통볼트(65)와 너트(66)를 체결시켜 줌으로서 결속판(10)(20)을 밀접하게 밀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당접된 결속판(10)(20)의 사이는 각 전면의 오링홈(16)(26)에 매설된 오링(17)(27)이 타측 결속판(20)(10)의 전면과 밀접하게 접촉(접속)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완전히 결합된 상기 결속체(3)의 접속관(22)에는 연장하여 설치할 다른 파이프(5)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된 가변각도 이음관(1)은 다음과 같이 사용(설치)하게 된다.
일측 결속체(2)의 접속관(12)을 이미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5)의 외측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결속체(3)의 결속판(20)을 파이프(5)에 결합 고정된 결속체(2)의 수용돌테(35)의 내측으로 장전시켜 결속판(10)에 연접시키며, 결속판(10)(20)을 연접시킨 상태에서 외측체결조임캡(31)을 결속체(2)의 수용돌테(35)에 형성된 나사부(36)에 결합시킨다.
외측체결조임캡(31)을 완전히 결합시키기 전에 결속체(3)를 회전시키게 되면 결속판(20)이 수용돌테(35)의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각도발생관(21)과 함께 접속관(22)은 도 1c에 예시된바와 같이 결속체(2)의 접속관(12) 및 각도발생관(11)과는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이 전환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결속체(3)를 소정의 각도만큼 방향을 전환시켜 준 후에 외측체결조임캡(31)을 완전히 조여(나사 결합하여) 결속판(20)을 결속판(10)에 당접시켜 준다.외측체결조임캡(31)을 완전히 조여 나사 결합시키게 되면 외측체결조임캡(31)을 형성하는 내주관(32-1)의 선단이 결속판(20)의 후면을 강력하게 밀어 받쳐 주게 되고 억류링테(33-1)는 수용돌테(35)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당접된 결속판(10)(20)의 사이는 각 전면의 오링홈(16)(26)에 매설된 오링(17)(27)이 타측 결속판(20)(10)의 전면과 밀접하게 접촉(접속)되면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완전히 결합된 상기 결속체(3)의 접속관(22)에는 연장하여 설치할 다른 파이프(5)을 삽입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변각도 이음관(1)을 설치한 상태에서 유체를 유통(통과)시키게 되면, 일측 파이프(5)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결속체(2)의 각도발생관(11)과 결속체(3)의 각도발생관(21)의 내부에 형성된 동심원상(원형 또는 타원형)의 곡선면(15)(25)을 통과하게 되는데, 도 1b, 도 2b, 도 3b, 도 4b, 도 5b, 도6b, 도7b에 예시된바와 같이 곡선면(15)(25)이 일직선상으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체가 곡선면(15)(25)의 내부를 거침(저항)없이 통과하여 타측 접속체(3)에 결합되어 있는 파이프(5)으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반면에 결속체(2)의 각도발생관(11)과 결속체(3)의 각도발생관(21)과의 사이에 도 1c에 예시된바와 같이 방향을 전환시켜 주더라도 결속체(2)의 각도발생관(11)과 각도가 변경된 결속체(3)의 각도발생관(21)은 내부에 형성된 곡선면(15)(25)이 동일한 동심원상(원형 또는 타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따라서 일측 파이프(5)을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동일한 동심원상(원형 또는 타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공간(단면적)도 원상태를 크게 유지하고 있는 결속체(2)(3)의 각도발생관(11)(21)의 내부 곡선면(15)(25)과 충돌하지 않고, 곡선면(15)(25)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되면서 통과하게 되며, 이와 같이 곡선면(15)(25)을 따라 통과한 유체는 파이프(4)를 통하여 배출되어진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변각도 이음관은, 통상의 유통관(파이프)이 연결되어지는 한 쌍의 결속체를 형성함에 있어, 일정한 각도로 선단면이 형성된 각도발생관의 선단 외주에 결속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서로 연접되어지는 결속판을 체결조임장치에 의해 체결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도발생관의 외측부에는 접속관을 형성하여 통상의 유통관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서로 인접하게 되는 각도발생관의 내면을 동일동심원(타원)상으로 유지되는 곡선면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체결(결속)력과 밀폐력을 강화시켜 유체가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진동이나 수격(Water Hammer 현상)작용이 발생하더라도 수밀작용이 떨어지지 않고 조정각도가 변형되어지는 않도록 하며, 각 체결관의 각도발생관의 내면에 형성되는 곡선면을 동일동심원(타원)상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접속관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접속시키더라도 내부의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마찰력을 감소시켜 유체가 원활하게 유통되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각도 이음관의 일 예시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와 A-A 및 B-B선 상에 형성되는 원형 및 타원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a 및 도 2b, 도 3a 및 도 3b,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각도 이음관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변각도이음관 2.3: 결속체
4.5: 파이프 10.20: 결속판 11.21: 각도발생관
12.22: 유통관 13.23: 단턱 15.25: 곡선면
16.26: 오링홈 17.27: 오링 18: 환상요홈
19: 체결링테 30: 체결조임장치 31: 외측체결조임캡
28.35: 수용돌테 40: 내측체결조임캡 44: 환상돌테
45: 경사볼트 46: 원뿔 50: 체결밴드
51: 반원링 52: 결속링판 53: 체결편
60: 체결클립 61: 체결캡 62: 지지덧살부

Claims (10)

  1. 파이프(4)(5)가 결합되는 각 접속관(12)(22)에는 각도발생관(11)(21)을 일체로 형성하되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면을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각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면의 외주에는 선단면과 동일한 각도로 유지되는 결속판(10)(20)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11)(21)의 선단 외주에 형성된 결속판(10)(20)을 서로 연접시킨 상태에서 연접된 결속판(10)(20)을 체결조임장치(30)에 의해 체결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연접하여 접속되는 각 각도발생관(11)(21)의 내면을 동일동심원상으로 유지되는 곡선면(15)(25)으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접되는 각 각도발생관(11)(21)의 결속판(10)(20)을 체결 및 해제시키는 체결조임장치(30)는,
    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외주에 수용돌테(35)를 외향으로 형성하고, 그 수용돌테(35)의 내측에 각도발생관(21)의 결속판(20)을 삽입 수용시킨 것과;
    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수용돌테(35)의 외주면에 나사부(36)를 형성하고, 그 수용돌테(35)의 내측에 각도발생관(21)의 결속판(20)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외측체결조임캡(31)을 각도발생관(21)에 끼워 나사부(36)에 나사 결합시킨 것과;
    상기 외측체결조임캡(31))은, 외주관(32)의 내주면에는 수용돌테(35)의 나사부(36)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34)를 형성하고, 외주관(32)의 내측 단부에는 결속판(20)을 억류시키는 억류링판(33)을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11)(21)의 결속판(10)(20)을 체결 및 해제시키는 체결조임장치(30)는,
    각도발생관(21)에 형성된 결속판(20)의 외주에는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고, 그 수용돌테(28)의 내측에 각도발생관(11)의 결속판(10)을 삽입 수용시킨 것과;
    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후면에는 환상요홈(18)을 형성하여 내측체결조임캡(40)의 환상돌테(44)를 삽입시킨 것과;
    결속판(10)에서 결속판(20)의 방향으로 결합되는 내측체결조임캡(40)은, 외주관(41)의 후단부에 억류링판(42)을 형성하고, 억류링판(42)의 내주면에 환상돌테(44)를 형성하며, 외주관(41)의 외주면에는 나사부(43)를 형성한 것과;
    내측체결조임캡(40)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체결조임캡(31)은, 외주관(32)의 내측 단부에 억류링판(33)을 일체로 형성하고, 외주관(32)의 내주면에는 나사부(34)를 형성하여 내측체결조임캡(40)의 나사부(43)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11)(21)의 결속판(10)(20)을 체결 및 해제시키는 체결조임장치(30)는,
    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외주에 체결링테(19)를 외향으로 형성하여 각도발생관(21)의 결속판(20)을 삽입시킨 것과;
    체결링테(19)에는 복수개의 너트공(19-1)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비철금속류나 합성수지제의 재질로 되고 선단이 원뿔(46)로 된 경사볼트(45)를 나사 결합시킨 것과;
    각도발생관(21)에 형성된 결속판(20)의 외주 후단 모서리에는 경사면(29)을 후방으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11)(21)의 결속판(10)(20)을 체결 및 해제시키는 체결조임장치(30)는,
    연접되어지는 각도발생관(11)(21)의 결속판(10)(20)의 외측에는 한 쌍의 체결밴드(50)를 통상의 비철금속류나 합성수지제의 볼트(55),너트(56)를 이용하여 결합시키킨 것과;
    상기 체결밴드(50)는, 반원링(51)의 내면 양측에 결속링판(52)을 일체로 형성하고 양단에는 체결공(54)이 통공된 체결편(53)을 외측으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11)(21)의 결속판(10)(20)을 체결 및 해제시키는 체결조임장치(30)는,
    각도발생관(21)에 형성된 결속판(20)의 외주에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고, 그 수용돌테(28)의 내측에 각도발생관(11)의 결속판(10)을 삽입하여 수용시킨 것과;
    수용돌테(28)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체결클립(60)을 장착하여 결속판(10)(20)을 억류시킨 것과;
    상기 체결클립(60)은, 체결캡(61)을 "ㄷ"으로 형성하고, 체결캡(61)의 내면에서 상측과 일측에 지지덧살부(62)를 일체로 형성하며, 지지덧살부(62)가 형성된 측면에는 너트공(63)을 형성하여 통상의 비철금속류나 합성수지제의 클립볼트(64)를 나사 결합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11)(21)의 결속판(10)(20)을 체결 및 해제시키는 체결조임장치(30)는,
    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외주에 수용돌테(28)를 외향으로 형성하고, 그 수용돌테(28)에 각도발생관(21)의 결속판(20)을 삽입하여 수용시킨 것과;
    결속판(10)(20)에는 복수개의 타원형 체결공(67)(68)을 등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동일 원주선상에 통공하고, 체결공(67)(68)에는 통상의 비철금속류나 합성수지제의 관통볼트(65)와 너트(66)를 체결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각도발생관(11)(21)의 결속판(10)(20)을 체결 및 해제시키는 체결조임장치(30)는,
    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결속판(10)의 외주에는 수용돌테(35)를 외향으로 형성하고, 그 수용돌테(35)의 내측에는 각도발생관(21)에 형성된 결속판(20)을 삽입하여 수용시킨 것과;
    각도발생관(11)에 형성된 수용돌테(35)의 내주 면에는 나사부(36)를 형성하고, 나사부(36)에는 외측체결조임캡(31)을 각도발생관(21)에서 끼워 나사 결합시킨 것과;
    수용돌테(35)의 나사부(36)에 나사 결합되는 외측체결조임캡(31)은, 내주관(32-1)의 외측 단부에 억류링테(33-1)를 형성하여 결속판(20)을 밀어주도록 하고, 내주관(32-1)의 외주 면에는 나사부(34)를 형성하여 수용돌테(35)의 나사부(36)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접하게 접속되는 각 각도발생관(11)(21)의 내면에 동일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곡선면(15)(25)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10. 청구항 5에 있어서, 반원링(51)의 내면 양측에 결속링판(52)이 형성되는 체결밴드(50)는,
    내측의 폭(W2)을 연접되는 결속판(10)(20)의 폭(W1)보다 작게 하고, 외측 입구의 폭(W3)을 결속판(10)(20)의 폭(W1)보다 크게 형성하여, 결속링판(52)이 각도(∠θ2)만큼 확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각도 이음관.
KR20-2005-0004826U 2005-02-23 2005-02-23 가변각도 이음관 KR200387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26U KR200387800Y1 (ko) 2005-02-23 2005-02-23 가변각도 이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26U KR200387800Y1 (ko) 2005-02-23 2005-02-23 가변각도 이음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800Y1 true KR200387800Y1 (ko) 2005-06-22

Family

ID=4368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826U KR200387800Y1 (ko) 2005-02-23 2005-02-23 가변각도 이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8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64B1 (ko) * 2009-05-14 2009-11-25 (주)신안주철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CN107620844A (zh) * 2016-07-14 2018-01-23 抚顺煤矿电机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可360°旋转的水管接头
KR101972442B1 (ko) * 2018-07-20 2019-08-26 정광식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64B1 (ko) * 2009-05-14 2009-11-25 (주)신안주철 멀티 주철관 연결장치
CN107620844A (zh) * 2016-07-14 2018-01-23 抚顺煤矿电机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可360°旋转的水管接头
KR101972442B1 (ko) * 2018-07-20 2019-08-26 정광식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778B1 (ko) 에어덕트섹션의맞대기이음매장치
US20160186912A1 (en) Device for partially repairing pipe using hose band
AU772570B2 (en) In-line diversion valve with flow-through capability
JP2018501449A (ja) 回転くさびを用いたパイプのコネクター
KR200387800Y1 (ko) 가변각도 이음관
US9322157B1 (en) Mechanically coupled drain fixture and outlet fitting
JP3968397B1 (ja) 合成樹脂製通水管用の継手
JPH06507700A (ja) 電気的導管取付具
KR200409598Y1 (ko) 체결조임형 가변각도 이음관
US7004513B2 (en) Pipe coupling methods
JP4665177B2 (ja) フランジ
EP0682202B1 (en) Fittings for pipe coupling
JP2011179660A (ja) 両挿しチーズ継手とこれを用いた回転ヘッダー並びにメータユニット用の分岐継手
EP1793153A1 (en) Pipe coupling
KR100770397B1 (ko) 이탈방지 연결클램프 및 그 연결클램프가 장착된배관이음구조
KR100764845B1 (ko) 복합식 가변각도 이음관
JP2000240879A (ja) 流体分配用のヘッダー
JP2001177964A (ja) 接続部への埋設管の接合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接合構造
CN211006968U (zh) 一种三通地漏接头
CN216382968U (zh) 一种便于拆卸的给水管道结构
KR200367776Y1 (ko) 체결형 가변회전각도 연결구
US20080296892A1 (en) Extendable pipe union
KR200364167Y1 (ko) 체결형 가변각도 이음관
CN217736606U (zh) 一种软管防漏型连接结构
WO2003067098A2 (en) Swivel drop ear elbow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