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442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442B1
KR101972442B1 KR1020180084584A KR20180084584A KR101972442B1 KR 101972442 B1 KR101972442 B1 KR 101972442B1 KR 1020180084584 A KR1020180084584 A KR 1020180084584A KR 20180084584 A KR20180084584 A KR 20180084584A KR 101972442 B1 KR101972442 B1 KR 10197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ut
pipe
coupl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식
Original Assignee
정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식 filed Critical 정광식
Priority to KR102018008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49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being turned through an angle when passing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와,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를 결합부를 통해 결합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연결부에 대해 제2연결부가 회전하며 위치설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가 연속적으로 다양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커넥터의 연결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Pipe Connector With Adjustable Angle}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와,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를 결합부를 통해 결합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연결부에 대해 제2연결부가 회전하며 위치설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가 연속적으로 다양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커넥터의 연결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속이 빈 가늘고 긴 관을 가리켜 파이프(Pipe)라고 하며, 이러한 파이프는 유체 등을 수송하는데 사용이 되고, 땅 속이나 옥내의 배선을 할 때, 전선·케이블의 보호용으로도 사용된다.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는 통로를 관로라 하고, 이러한 관로를 설치하는 것을 배관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배관 공사에 사용되는 파이프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을 이루며, 일정한 길이를 단위로 직선 형태로 공급이 되는바, 배관 공사를 진행할 때에는 단위 파이프들을 서로 연결해야하는 일이 잦다. 이로 인해 배관 공사에는 직선 형태로 공급되는 단위 파이프뿐만 아니라, 이러한 단위 파이프들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Connector)들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의 종류를 살펴보면, 직경이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커넥터가 있는가 하면, 직경이 같은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커넥터도 있고, 파이프의 연장 방향을 바꾸어 일측의 파이프와 타측의 파이프가 일정한 연결각도를 가지고 꺾이며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 파이프의 단부를 일정한 각도로 꺾어서 연결하는 커넥터의 경우, 종래에는 꺾임 각도가 45도, 90도 등으로 극히 제한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배관 공사 계획단계에서부터 효율적인 설계도를 작성하기 어려웠고, 실제 공사 현장에서는 예상치 못한 배관 간섭 상황 등이 발생하였을 때 필요 이상으로 파이프를 연장해 나가야 하는 문제 및 무리하게 배관을 연결하여 연결부위의 파손, 누수, 역구배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종래에는 다양한 각도로 파이프들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가 구비되지 못하여 제한된 자재로 공사를 해나갈 수밖에 없었는 상황이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5152호(2014.10.2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의 종래기술(9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에는 관의 진행방향을 꺾어야 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파이프(91)와 타측의 파이프(93)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꺾인 파이프 커넥터(95)를 개재시켜 연결하였다.
하지만, 상기 파이프 커넥터(95)는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된 제품이기 때문에 공장에서 다양한 종류의 연결각도를 가지는 파이프 커넥터(95)가 제작되지 않는 한, 다양한 연결각도를 가지는 파이프 커넥터(95)의 제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설사 공장에서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파이프 커넥터(95)를 제작한다고 한들, 시공자측에서 비용, 자재저장공간 등을 이유로 이러한 다양한 연결각도를 가지는 파이프 커넥터(95)를 공사현장에 구비해 놓을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처럼, 종래의 파이프 커넥터는 연결각도를 가변시킬 수 없게 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바, 관련 업계에서는 현장에서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일측의 파이프와 타측의 파이프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5152호(2014.10.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와,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를 결합부를 통해 결합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연결부에 대해 제2연결부가 회전하며 위치설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가 연속적으로 다양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커넥터의 연결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절단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안착부를 구성하여, 상기 안착부가 결합부와 나사결합함으로써, 나사체결을 하는 과정에서 기밀을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을 지난 후에는 체결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가 이루는 사이 각도를 변경하여, 작업 상황에 맞는 적절한 커넥터의 연결각을 형성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부를 제1체결부, 제2체결부 및 실링부로 구성하여, 상기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통해 분리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결합시키고, 그 사이 상기 실링부가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능을 향상시킨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형성된 구성들의 내측공간을 서로 연통시켜 일측의 파이프를 통해 커넥터로 유입되는 유체 등이 큰 저항을 받지 않고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라 타측의 파이프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링부에 안착되는 오링부를 구성하여, 실링부의 기밀성능을 보완하여 파이프 커넥터 내측을 흐르는 유체 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절단부분에 위치설정부를 구성하여, 분리 구성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위치설정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사전에 계획된 정확한 위치에 결합하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의 위치설정부에는 홈을 만들고, 타측의 위치설정부에는 돌기를 만들며, 상기 홈과 돌기는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홈에 돌기는 끼우는 행위만으로도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절단부분에 슬롯부를 구성하여, 상기 슬롯부에 오링부를 안착시킴으로써, 실링부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슬롯부에 안착된 오링부에 의해 커넥터의 기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설정부를 감싸는 가압림부를 구성하여, 홈과 돌기를 결합시킨 뒤 가압림부에 의해 결합된 위치설정부가 파지되도록 함에 따라, 홈과 돌기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분리되지 않고 강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된 위치설정부와 가압림부가 테이퍼결합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강하게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결합시키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위치설정부의 제1안착면과 제2위치설정부의 제2안착면이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결합된 위치설정부 외주면을 가압림부의 분리방지홀이 감싸게 되었을 때, 불필요한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결합된 위치설정부와 분리방지홀이 밀착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의 파이프와 결합하는 제1연결부와, 타측의 파이프와 결합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사선방향으로 결합되며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내측공간을 형성하면서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제1내측공간과 연통된 제1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와, 제2내측공간을 형성하면서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제2내측공간과 연통된 제2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절단부분과 상기 제2바디부의 절단부분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부의 절단부분은, 내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의 절단부분은, 내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안착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안착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안착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안착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부의 절단부분의 단면과 상기 제2바디부의 절단부분의 단면과 접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체결부의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2체결부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된 제3내측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3내측공간은, 상기 제1내측공간 및 상기 제2내측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 커넥터는, 상기 제1체결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의 일면 상에 안착되는 제1오링부와, 상기 제2체결부를 수용하는 제2수용홀이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의 타면 상에 안착되는 제2오링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부의 절단부분은, 외면 상에 돌출형성된 제1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의 절단부분은, 외면 상에 돌출형성된 제2위치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설정부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는,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위치설정부는, 상기 제1바디부의 절단부분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1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의 일면 상에 함입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설정부는, 상기 제2바디부의 절단부분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제2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의 일면 상에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와 상기 돌기부는,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부는, 절단부분의 단면상에 함입된 공간인 제1슬롯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절단부분의 단면상에 함입된 공간인 제2슬롯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롯부와 상기 제2슬롯부는 서로 연통되어 내측에 고리형의 제3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바디부의 절단부분과, 상기 제2바디부의 절단부분의 외주를 감싸는 가압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림부는, 말린 판상형의 림바디와, 상기 림바디의 일단과 타단에서 돌출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가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림바디는, 내주면을 따라 함입되어 결합상태의 상기 제1위치설정부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분리방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분리방지홀은, 상기 제1위치설정부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의 결합상태 외주면과 테이퍼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위치설정부는, 테이퍼결합을 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설정부는, 테이퍼결합을 하는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안착면은, 상기 제2안착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경사면의 경사각(θ)은,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각(θ)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와,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를 결합부를 통해 결합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연결부에 대해 제2연결부가 회전하며 위치설정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가 연속적으로 다양한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커넥터의 연결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절단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안착부를 구성하여, 상기 안착부가 결합부와 나사결합함으로써, 나사체결을 하는 과정에서 기밀을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을 지난 후에는 체결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가 이루는 사이 각도를 변경하여, 작업 상황에 맞는 적절한 커넥터의 연결각을 형성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결합부를 제1체결부, 제2체결부 및 실링부로 구성하여, 상기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통해 분리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결합시키고, 그 사이 상기 실링부가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능을 향상시킨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분리형성된 구성들의 내측공간을 서로 연통시켜 일측의 파이프를 통해 커넥터로 유입되는 유체 등이 큰 저항을 받지 않고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라 타측의 파이프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실링부에 안착되는 오링부를 구성하여, 실링부의 기밀성능을 보완하여 파이프 커넥터 내측을 흐르는 유체 등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절단부분에 위치설정부를 구성하여, 분리 구성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위치설정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사전에 계획된 정확한 위치에 결합하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측의 위치설정부에는 홈을 만들고, 타측의 위치설정부에는 돌기를 만들며, 상기 홈과 돌기는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상기 홈에 돌기는 끼우는 행위만으로도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절단부분에 슬롯부를 구성하여, 상기 슬롯부에 오링부를 안착시킴으로써, 실링부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슬롯부에 안착된 오링부에 의해 커넥터의 기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위치설정부를 감싸는 가압림부를 구성하여, 홈과 돌기를 결합시킨 뒤 가압림부에 의해 결합된 위치설정부가 파지되도록 함에 따라, 홈과 돌기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분리되지 않고 강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결합된 위치설정부와 가압림부가 테이퍼결합하도록 구성하여, 보다 강하게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결합시키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위치설정부의 제1안착면과 제2위치설정부의 제2안착면이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결합된 위치설정부 외주면을 가압림부의 분리방지홀이 감싸게 되었을 때, 불필요한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결합된 위치설정부와 분리방지홀이 밀착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B-B'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C-C'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
도 13은 가압림부에 관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림바디와 플랜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1)는, 일측의 파이프와 타측의 파이프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하는 것으로, 불연속적으로 일정한 각도만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다양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1)는, 제1연결부(10), 제2연결부(30), 결합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10)는, 일측의 파이프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는 속이 빈 반구 형상을 하면서, 일측의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원통형 구성이 추가된 형상을 한다. 상기 파이프 커넥터(1)는 상기 제1연결부(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 제2연결부(30)가 상기 제1연결부(10)와 결합되면서 완전한 구 형상을 갖추게 되고, 상기 제1연결부(10)와 후술할 제2연결부(30)의 체결 정도에 따라 일측의 파이프와 타측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연결부(10)는, 제1바디부(11), 제1돌출부(13), 제1단턱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부(11)는, 제1내측공간(11a)을 형성하면서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구성을 말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이라 함은, 속이 빈 구를 가정했을 때 구의 수평면 또는 구의 수직면이 아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를 자른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구를 사선방향으로 자르는 면은 구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바디부(11)는, 절단부분(111)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분(111)은, 속이 빈 구를 구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사선방향으로 잘랐을 때 잘려진 구의 단부를 말하며,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절단부분(111)은 잘린 끝단 표면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끝단 표면을 포함한 일정 부분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상기 절단부분(111)은 제1안착부(1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안착부(1111)는, 절단부분(111)의 내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산은 암나사산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1111)의 구성을 통해, 후술할 결합부(50)의 제1체결부(51)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결합부(50)의 제1체결부(51)의 반대측에는 제2체결부(53)가 구성되어 후술할 제2안착부(3111)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바, 결합부(50)가 개재된 상태로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31)의 결합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제1돌출부(13)는, 상기 제1바디부(11)의 제1내측공간(11a)과 연통된 제1연결공간(13a)을 가지며 상기 제1바디부(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1돌출부(13)는, 일측의 파이프를 수용하게 되는바, 수용하게 될 파이프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제1연결공간(13a)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출부(13)와 일측의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딩(Bond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단턱부(15)는, 상기 제1돌출부(13)의 제1연결공간(13a)을 통해 수용되는 일측의 파이프의 삽입한계를 정해주도록 상기 제1돌출부(13)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1단턱부(15)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제1연결공간(13a)의 내경이 작아지게 되어, 상기 제1연결공간(13a)으로 삽입된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제1단턱부(15) 전까지 추진되다가, 상기 제1단턱부(15)와 접하게 되면서 더 이상 추진되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상기 제1단턱부(15)의 높이는 삽입되는 파이프의 두께만큼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파이프 내에 흐르게 될 유체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부(30)는, 타측의 파이프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는 속이 빈 반구 형상을 하면서, 타측의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원통형 구성이 추가된 형상을 한다. 상기 파이프 커넥터(1)는 상기 제1연결부(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 제2연결부(30)가 상기 제1연결부(10)와 결합되면서 완전한 구 형상을 갖추게 되고,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의 체결 정도에 따라 일측의 파이프와 타측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연결부(30)는, 제2바디부(31), 제2돌출부(33), 제2단턱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제2바디부(31)는, 제2내측공간(31a)을 형성하면서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구성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이라 함은, 속이 빈 구를 가정했을 때 구의 수평면 또는 구의 수직면이 아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를 자른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구를 사선방향으로 자르는 면은 구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바디부(31)는, 절단부분(311)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분(311)은, 속이 빈 구를 구의 중심을 포함하도록 사선방향으로 잘랐을 때 잘려진 구의 단부를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절단부분(311)은 잘린 끝단 표면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끝단 표면을 포함한 일정 부분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상기 절단부분(311)은 제2안착부(3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안착부(3111)는, 절단부분(311)의 내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산은 암나사산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안착부(3111)의 구성을 통해, 후술할 결합부(50)의 제2체결부(53)가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결합부(50)의 제2체결부(53)의 반대측에는 제1체결부(51)가 구성되어 상기 제1안착부(1111)와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는바, 결합부(50)가 개재된 상태로 제1바디부(11)와 제2바디부(31)의 결합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제2돌출부(33)는, 상기 제2바디부(31)의 제2내측공간(31a)과 연통된 제2연결공간(33a)을 가지며 상기 제2바디부(3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2돌출부(33)는, 타측의 파이프를 수용하게 되는바, 수용하게 될 파이프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제2연결공간(33a)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돌출부(33)와 타측의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딩(Bond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단턱부(35)는, 상기 제2돌출부(33)의 제2연결공간(33a)을 통해 수용되는 타측의 파이프의 삽입한계를 정해주도록 상기 제2돌출부(33)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2단턱부(35)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제2연결공간(33a)의 내경이 작아지게 되어, 상기 제2연결공간(33a)으로 삽입된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제2단턱부(35) 전까지 추진되다가, 상기 제2단턱부(35)와 접하게 되면서 더 이상 추진되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상기 제2단턱부(35)의 높이는 삽입되는 파이프의 두께만큼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파이프 내에 흐르게 될 유체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제1바디부(11)의 절단부분(111)과 상기 제2바디부(31)의 절단부분(311)을 결합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부(11)와 상기 제2바디부(31)는 절단된 반구 형상을 하게 되는바,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제1바디부(11)와 상기 제2바디부(31)를 결합시켜 완전한 구 형상을 이루게 하고, 의도치 않게 상기 제1바디부(11)와 상기 제2바디부(31)가 분리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 결합부(50)는, 후술할 제1체결부(51)의 단부에서부터 후술할 제2체결부(53)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된 제3내측공간(50a)을 포함하고, 상기 제3내측공간(50a)은, 상기 제1내측공간(11a) 및 상기 제2내측공간(31a)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결합된 제1연결부(10) 및 제2연결부(30)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 등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결합부(50)는, 제1체결부(51), 제2체결부(53), 실링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부(51)는, 상기 제1안착부(111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안착부(1111)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착부(1111)는 바람직하게는 암나사산을 구성하는바, 이와 상보적인 형상의 수나사산을 가진 상기 제1체결부(51)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53)는, 상기 제2안착부(3111)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안착부(3111)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을 말하며, 상기 제2안착부(3111)는 바람직하게는 암나나산을 구성하는바, 이와 상보적인 형상의 수나사산을 가진 상기 제2체결부(53)가 상기 제2안착부(31111)와 나사결합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1체결부(51)를 통해 상기 제1안착부(1111)가 형성된 제1연결부(10)가 결합부(50)에 고정이 되고, 상기 제2체결부(53)를 통해 상기 제2안착부(3111)가 형성된 제2연결부(30)가 결합부(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5)는, 상기 제1체결부(51)와 상기 제2체결부(53)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부(11)의 절단부분(111)의 단면과 상기 제2바디부(31)의 절단부분(311)의 단면과 접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파이프 커넥터(1) 내측으로 유체 등이 흐를 경우, 나사결합 부위에서 누수 등이 문제될 수 있는바, 상기 결합부(50)에 상기 실링부(55)를 구성하여, 상기 제1바디부(11)와 상기 제2바디부(31)의 결합 부위에서의 누수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55)의 재료와 관련하여서는 누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으로, 전술한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오링부(70)가 추가된 특징이 있는바, 중복된 서술을 피하고자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추가로 포함된 오링부(7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오링부(70)는, 상기 결합부(50)의 제1체결부(51) 및/또는 제2체결부(53)에 수용되어, 상기 파이프 커넥터(1)의 기밀성능을 높이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링부(70)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한 고리형으로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링부(70)는, 제1오링부(71) 및 제2오링부(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오링부(71)는, 상기 제1체결부(51)를 수용하는 제1수용홀(711)이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55)의 일면 상에 안착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1오링부(7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55)의 일면 상에 안착됨으로써, 실링부(55)와 함께 파이프 커넥터(1)를 보다 기밀하게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2오링부(73)는, 상기 제2체결부(53)를 수용하는 제2수용홀(731)이 형성되어 상기 실링부(55)의 타면 상에 안착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2오링부(73)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55)의 타면 상에 안착됨으로써, 실링부(55)와 함께 파이프 커넥터(1)를 보다 기밀하게 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오링부(71)와 상기 제2오링부(73)의 동시 적용뿐만 아니라, 상기 제1오링부(71)만의 적용 또는 상기 제2오링부(73) 만의 적용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으로, 중복서술을 피하고자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서술하겠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부(11)에 제1위치설정부(113)와 제1슬롯부(115), 제2바디부(31)에 제2위치설정부(313)와 제2슬롯부(315), 가압림부(57) 및 제3오링부(75)가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는, 상기 제1바디부(11)의 절단부분(111) 외면 상에 돌출형성된 구성으로, 후술할 제2위치설정부(313)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는 제2위치설정부(313)와 결합하게 되는바, 작업자가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를 결합하고자 할 때,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를 결합시키는 행위만으로 사전에 계획된 정확한 위치상에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를 위치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는, 제1날개부(1131), 홈부(1133)를 포함한다.
도 11은 도 10의 C-C'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도로,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도록 한다.
상기 제1날개부(1131)는, 상기 제1바디부(11)의 절단부분(111)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의 몸체를 구성한다. 상기 제1날개부(1131)를 특정 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바디부(11)의 절단부분(111)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절단부분(111)의 외주면을 따라 고리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33)는, 상기 제1날개부(1131)의 일면 상에 함입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홈부(1133)는, 후술할 돌기부(3133)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돌기부(3133)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홈부(1133) 상에 돌기부(3133)를 결합시키는 행위만으로도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슬롯부(115)는, 상기 제1바디부(11)의 절단부분(111)의 단면상에 함입된 공간으로, 후술할 제2슬롯부(315)와 연통되어 후술할 제3오링부(75)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슬롯부(115)와 후술할 제2슬롯부(315)는 연통되어 제3오링부(75)를 수용하는바, 상기 제1슬롯부(115)와 후술할 제2슬롯부(315)가 만드는 공간의 형상은 제3오링부(75)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는, 상기 제2바디부(31)의 절단부분(311) 외면 상에 돌출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는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와 결합하게 되는바, 작업자가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를 결합하고자 할 때,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를 결합시키는 행위만으로 사전에 계획된 정확한 위치상에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를 위치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는, 제2날개부(3131), 돌기부(3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날개부(3131)는, 상기 제2바디부(31)의 절단부분(311)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의 몸체를 구성한다. 상기 제2날개부(3131)를 특정 개념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바디부(31)의 절단부분(311)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절단부분(311)의 외주면을 따라 고리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133)는, 상기 제2날개부(3131)의 일면 상에 돌출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돌기부(3133)는, 상기 홈부(1133)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홈부(1133)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홈부(1133) 상에 상기 돌기부(3133)를 결합시키는 행위만으로도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슬롯부(315)는, 상기 제2바디부(31)의 절단부분(311)의 단면상에 함입된 공간으로, 상기 제1슬롯부(115)와 연통되어 후술할 제3오링부(75)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슬롯부(315)는 상기 제1슬롯부(115)와 연통되어 제3오링부(75)를 수용하는바, 상기 제1슬롯부(115)와 상기 제2슬롯부(315)가 만드는 공간의 형상은 제3오링부(75)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가압림부(57)는, 상기 제1바디부(11)의 절단부분(111)과, 상기 제2바디부(31)의 절단부분(311)의 외주를 감싸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내용에 따르면,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의 홈부(1133)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의 돌기부(3133)는 위치설정을 위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바, 분리 형성된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를 고정시킬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위치설정부를 감싸는 상기 가압림부(57)를 구성함으로써, 결합된 상기 홈부(1133)와 상기 돌기부(3133)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의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가압림부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림바디와 플랜지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가압림부(57)는, 림바디(571), 플랜지(573), 고정수단(575)을 포함한다.
상기 림바디(57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말린 판상형의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이격공간(S)을 형성한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림바디(571)의 일부영역은 상기 제1바디부(11)의 일부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림바디(571)의 다른 일부영역은 상기 제2바디부(31)의 일부영역을 감싸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림바디(571)는 분리방지홀(5711)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방지홀(5711)은, 내주면을 따라 함입되어 결합상태의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방지홀(5711)은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와 제2위치설정부(313)의 결합상태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573)는, 상기 림바디(571)의 일단과 타단에서 돌출형성된 한 쌍의 구성을 말한다. 돌출된 방향과 관련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으로 림바디(571)가 말렸을 때 그 내측이 아닌 외측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573) 상에는 관통홀(57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5731)은, 플랜지(573)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고정수단(575)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573)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바, 각각의 플랜지(573)에 상기 관통홀(5731)이 각각 구성되어, 각각의 관통홀(5731)에 후술할 고정수단(575)이 삽입됨으로써, 림바디(571) 양 단에 구성된 플랜지(573)를 서로 인접하도록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575)은, 상기 플랜지(573)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상기 플랜지(573)의 관통홀(5731)에 삽입되어 림바디(571)의 양단이 인접하도록 가압함에 따라, 림바디(571)의 분리방지홀(5711)에 안착된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75)을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볼트 및 너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제3오링부(75)는, 상기 제1슬롯부(115)와 상기 제2슬롯부(315)의 내측에 안착되는 고리형의 구성을 말한다. 상기 제3오링부(75)는 고리형상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제3수용홀(751)이 형성되고, 상기 제3수용홀(751)을 통해 상기 제1슬롯부(115)와 상기 제2슬롯부(315)가 형성하는 공간 상에 상기 제3오링부(75)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전술한 실링부(55)의 구성이 없더라도 파이프 커넥터(1)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오링부(75)를 구성하는 재료에 관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진 고무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도면으로, 도 15를 참고하면, 전술한 도 10 내지 도 14의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상기 분리방지홀(5711)이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의 결합상태 외주면과 테이퍼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는, 제1경사면(1135) 및 제1안착면(1137)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경사면(1135)은, 상기 분리방지홀(5711)과 테이퍼결합을 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경사면(1135)은, 후술할 제2경사면(3135)과 동일한 경사각(θ)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각(θ)은, 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면(1137)은, 상기 제1경사면(1135)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상기 제1안착면(1137)은 후술할 제2안착면(3137)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일면이란, 동일 평면만이 아니라 동일 곡면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안착면(1137)와 후술할 제2안착면(3137)이 분리방지홀(5711) 내측에 위치하였을 때, 불필요한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설정부(313)는, 제2경사면(3135) 및 제2안착면(3137)을 포함한다.
상기 제2경사면(3135)은, 상기 분리방지홀(5711)과 테이퍼결합을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경사면(3135)은, 상기 제1경사면(1135)과 동일한 경사각(θ)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각(θ)은, 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면(3137)은, 상기 제2경사면(3135)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구성으로, 분리방지홀(5711) 내측에 상기 제1위치설정부(113)와 상기 제2위치설정부(313)가 위치하였을 때 불필요한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제2안착면(3137)은 상기 제1안착면(1137)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1)는 상기 제1연결부(10)와 상기 제2연결부(30)가 결합하면서 체결 정도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10)에 구성된 상기 제1돌출부(13)의 구성과, 상기 제2연결부(30)에 구성된 상기 제2돌출부(15)의 구성이 이루는 각도가 상이해 진다. 이를 통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파이프(P1)와 타측의 파이프(P2)를 나란하게 연결할 수도 있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파이프(P1)와 타측의 파이프(P2)를 직각이 되게 연결할 수도 있으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파이프(P1)와 타측의 파이프(P2)를 임의의 각도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도 조절은 연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바, 작업자는 얼마든지 원하는 다양한 각도로 파이프 커넥터(1)의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파이프 커넥터
10: 제1연결부
11: 제1바디부 11a: 제1내측공간
111: 절단부분 1111: 제1안착부
113: 제1위치설정부 1131: 제1날개부
1133: 홈부 1135: 제1경사면
1137: 제1안착면 115: 제1슬롯부
13: 제1돌출부 13a: 제1연결공간
15: 제1단턱부
30: 제2연결부
31: 제2바디부 31a: 제2내측공간
311: 절단부분 3111: 제2안착부
313: 제2위치설정부 3131: 제2날개부
3133: 돌기부 3135: 제2경사면
3137: 제2안착면 315: 제2슬롯부
33: 제2돌출부 33a: 제2연결공간
35: 제2단턱부
50: 결합부
50a: 제3내측공간 51: 제1체결부
53: 제2체결부 55: 실링부
57: 가압림부 571: 림바디
5711: 분리방지홀 573: 플랜지
5731: 관통홀 575: 고정수단
70: 오링부
71: 제1오링부 711: 제1수용홀
73: 제2오링부 731: 제2수용홀
75: 제3오링부 751: 제3수용홀

Claims (15)

  1. 일측의 파이프와 결합하는 제1연결부와,
    타측의 파이프와 결합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는 사선방향으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제1내측공간을 형성하면서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제1내측공간과 연통된 제1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제2내측공간을 형성하면서 사선방향으로 잘린 구 형상의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제2내측공간과 연통된 제2연결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부는, 절단부분 내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디부는, 절단부분 내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안착부에 나사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안착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안착부에 나사결합되는 제2체결부와, 누수 방지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방사상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부의 절단부분과 상기 제2바디부의 절단부분에 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여,
    별도의 오링 없이 상기 나사결합을 체결하는 것만으로 기밀을 유지하고 기밀이 확보된 이후에는 추가적인 나사결합의 체결을 통해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체결부의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2체결부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관통형성된 제3내측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3내측공간은, 상기 제1내측공간 및 상기 제2내측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84584A 2018-07-20 2018-07-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KR10197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84A KR101972442B1 (ko) 2018-07-20 2018-07-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84A KR101972442B1 (ko) 2018-07-20 2018-07-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442B1 true KR101972442B1 (ko) 2019-08-26

Family

ID=6780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584A KR101972442B1 (ko) 2018-07-20 2018-07-20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4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1695U (ko) * 1975-04-16 1976-10-23
WO1992019901A1 (en) * 1991-05-07 1992-11-12 Joti Vvs A/S An adjustable pipe bend for drain pipes
US6561549B1 (en) * 1998-09-10 2003-05-13 Mdc Sarl Sealing connector with variable geometry
KR200387800Y1 (ko) * 2005-02-23 2005-06-22 백완기 가변각도 이음관
JP2005299827A (ja) * 2004-04-13 2005-10-27 Mitsui Chemicals Inc 自在継手
KR101455152B1 (ko) 2014-06-23 2014-10-28 이수희 각도조절용 엘보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1695U (ko) * 1975-04-16 1976-10-23
WO1992019901A1 (en) * 1991-05-07 1992-11-12 Joti Vvs A/S An adjustable pipe bend for drain pipes
US6561549B1 (en) * 1998-09-10 2003-05-13 Mdc Sarl Sealing connector with variable geometry
JP2005299827A (ja) * 2004-04-13 2005-10-27 Mitsui Chemicals Inc 自在継手
KR200387800Y1 (ko) * 2005-02-23 2005-06-22 백완기 가변각도 이음관
KR101455152B1 (ko) 2014-06-23 2014-10-28 이수희 각도조절용 엘보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318B1 (en) Piping joint and integrated valve with it
JP4970426B2 (ja) 角度変更可能な管状接続部品
US9310002B2 (en) Multilayer hydraulic seal assembly for clamp
JP6240455B2 (ja) 合成樹脂製管継手
US20150300549A1 (en) Mechanical Pipe Fitting
US20160040816A1 (en) Mechanical pipe fitting
TWI700452B (zh) 三件式管聯結器
US11187361B2 (en) Pipe coupler having function of covering pipe
US4836583A (en) Pipe connection for instruments or machines
KR20180131215A (ko) 그루브드 커플러
KR101166878B1 (ko) 파이프와 연결관의 연결장치
KR10197244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커넥터
EP1724509B1 (en) A variable angle pipe connector
US8827610B2 (en) Hydraulic coupling system for coupling a shell mill to an adapter
KR102038188B1 (ko) 2개의 파이프라인을 동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배열체
US10788153B2 (en) Joint assembly for fluid carrying pipes
US11333283B2 (en) No-crimp valve assembly
US11009160B2 (en) Joint assembly for fluid carrying pipes
JPH06105115B2 (ja) 管継手
TWI624612B (zh) 管接頭
JP2022022461A (ja) 離脱防止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管継手
JP6420882B2 (ja) 合成樹脂製管継手
US11435012B2 (en) Elbow screw joint system
KR20110000707U (ko) 용수관연결부재의 용수관 조임구조
US11624463B2 (en) Double ball biaxial pipe coupling